KR200440824Y1 - Grating frame fo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and slop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Grating frame fo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and slope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0824Y1 KR200440824Y1 KR2020070002523U KR20070002523U KR200440824Y1 KR 200440824 Y1 KR200440824 Y1 KR 200440824Y1 KR 2020070002523 U KR2020070002523 U KR 2020070002523U KR 20070002523 U KR20070002523 U KR 20070002523U KR 200440824 Y1 KR200440824 Y1 KR 2004408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grid
- retaining wall
- frame
- ri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화가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정의 높이를 갖고 측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플레이트(20)와;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격자형태로 구성되는 격자틀 플레이트(30); 그리고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 및 격자틀 플레이트(3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면을 차폐하는 배면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보강 성토체 전면에 식생을 위한 별도의 식생토층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토층의 형성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nd the slope is mad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edge plate 20 to form a side edge; Grid frame plate 30 is configured in a grid form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border plate 20; And a rear plate 4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rder plate 20 and the grid plate 30 to shield the rear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fill body is provided for vegetation. Separate vegetation soil layer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mation of the vegetation soil layer is easily made.
사면, 녹화, 토낭, 토목섬유 Slope, greening, sack, geotextile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격자틀을 이용한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using a gr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격자틀을 이용한 다른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struction sequence using a gr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k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단계를 도시한 순차도.5a to 5k is a sequential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step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the slo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격자틀 20 : 테두리 플레이트10: grid 20: border plate
30 : 구획 플레이트 32 : 횡 플레이트30: partition plate 32: side plate
34 : 종 플레이트 40 : 배면 플레이트34: vertical plate 40: back plate
45 : 체결홈 50 : 기초지반45: fastening groove 50: foundation ground
60 : 지지틀 60a : 하부프레임60:
60b : 전면프레임 60c : 지지프레임60b:
70 : 보강재 80 : 지지매트70: reinforcing material 80: support mat
90 : 성토층90: fill layer
본 고안은 절개지 사면을 녹화 사면으로 보강하는 사면의 보강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격자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d used in th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ope to reinforce the incision slope to the green slope.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산을 굴착하는 경우 절개면은 경사가 급하여 붕괴의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절개지 사면의 경우 옹벽이나 보강토 공법을 이용하여 보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시공이 크게 요구되고 있고 따라서, 붕괴의 위험성이 매우 큰 경우가 아니면, 보강토 공법을 이용하여 사면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보강토 공법을 이용하는 경우, 보강된 사면의 전면을 녹화시켜 친환경적인 시공을 강조하고, 미관을 중시하고 있다.In order to install the structure, when the mountain is excavated, the incision surface is steep and there is a high risk of collapse. Therefore, it is common to reinforce the inclined slope using retaining wall or reinforced soil method. However,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is highly demanded, and thus, unless the risk of collapse is very high, it is common to stabilize the slope using a reinforced soil method. In addition, in case of using reinforcement soil method, the front side of reinforced slope is recorded to emphasize eco-friendly construction and emphasizes aesthetics.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토목섬유를 이용하여 성토층 간의 전단력을 높이는 시공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In order to meet such social demands, construction methods have recently been used to increase shear force between fill layers by using geotextile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성토층 전면에 식생토층을 별도로 구비하고 하는 경우 그 시공이 복잡해지고, 성토층의 형성중 성토층이 붕괴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when the vegetation soil layer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l layer using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construc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l layer may collapse during the formation of the fill layer.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성토층 전면에 식생토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조물을 삽입하므로 식생토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soil is contaminated because a separate structure is inserted to form a vegetation soil layer on the front fill layer.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성토층 전면에 격자틀에 의해 식생토층을 형성시켜, 시공시 성토층이 완전히 형성될 때까지 격자틀이 식생토층을 지지하여 시공시 안정성이 충족되고, 시공방법이 단순화되는 녹화사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vegetation soil layer by the lattice frame in front of the fill layer, the lattice frame until the fill layer is completely formed during construction To support the vegetation soil layer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greening slope that satisfies the stability during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method is simplified.
또한, 본 고안은 식생토층을 친환경적인 재료로 형성되는 격자틀을 이용하여 형성하므로 사면의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polluting the soil of the slope because the vegetation soil layer is formed using a grid forme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소정의 높이를 갖고 측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플레이트와;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격자형태로 구성되는 격자틀 플레이트와;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 및 격자틀 플레이트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면을 차폐하는 배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forming a border of the side; A grid frame plate configured to have a grid shape to partition an inner space of the border pl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ar plat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im plate and the grid frame plate to shield the rear surface.
이때, 상기 격자틀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횡플레이트와; 상기 내부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종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grid plate is a transverse plate for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comprises a longitudinal plate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 횡플레이트 및 종플레이트는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 횡플레이트 및 종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종 방향의 체결홈이 서로 체결되어 결합된다.The edge plate horizontal plate and the longitudinal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the edge plate,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respectively.
또한,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의 양 측면 후단부에는 상기 배면 플레이트가 결합 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와 배면 플레이트는,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에 형성된 종 방향의 체결홈이 서로 체결되어 결합된 다.In addition, both side rear end portions of the edge plate are formed with extension portions to which the rear plate is coupled; The edge plate and the rear plate, the longitudinal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edge plate and the rear plate are fastened to each other are coupled.
그리고, 상기 배면플레이프, 테두리 플레이트 및 격자틀 플레이트는 토양 내에서 분해가 용이한 생분해성 종이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ck plate, the rim plate and the grid plate is formed of biodegradable paper or biodegradable plastic that is easily decomposed in the soil.
또는, 상기 배면플레이프, 테두리 플레이트 및 격자틀 플레이트는 토양 내에서 분해가 용이한 생붕괴성 종이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back plate, the edge plate and the grid plate may be formed of biodegradable paper or biodegradable plastic that is easily decomposed in the soil.
내지는, 상기 배면플레이프, 테두리 플레이트 및 격자틀 플레이트는 폐지(폐박스를 포함한다)로 형성된다.The rear plate, the edge plate and the grid plate are formed of waste paper (including a waste box).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틀이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격자틀 및 성토층이 형성되므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사면 전면에 식생토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attice frame and the fill layer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firmly support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vegetation soil layer can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easily and stably.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녹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the greening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s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격자틀을 이용한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격자틀을 이용한 다른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5a 내지 도 5k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단계를 도시한 순차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using a grid according to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용 격자틀(10)은 상기 격자틀(10)의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 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는 전면과 배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전방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체결홈(4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5)은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홈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 두께의 절반의 깊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한편,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의 배면 양 측면에는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의 배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연장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2)는 후술할 배면 플레이트(40)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연장부(2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 종방향 길이의 절반)로 체결홈(45)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 내부에는 상기 격자틀(10) 내부 구획하기 위한 구획 플레이트(30)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 플레이트(30)는 다수개의 종 플레이트(34)와 다수개의 횡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A
상기 종 플레이트(34)는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의 전면 상하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체결홈(45)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의 체결홈(45)에 상기 종 플레이트(34)가 삽입되기 때문이다.The
이를 위해, 상기 종 플레이트(34) 상 하단에는 각각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45)이 형성된다.To this end, fastening
한편, 상기 종 플레이트(34)의 전면에는 후술할 횡 플레이트(32)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45)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격자틀(10) 내부를 횡 방향으로 구획하는 횡 플레이트(32)는 상기 횡 플레이트(32) 배면에 체결홈(45)이 형성되어, 상기 종 플레이트(34) 전면에 형성된 체결홈(45)과 결합한다. The
한편,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의 배면에는 배면 플레이트(40)가 구비된다. 상기 배면 플레이트(40)는 상기 테두리 플레이트(20)의 배면을 차폐하는 부분으로 상기 배면 플레이트(40) 양 측면의 하단부에 종방향의 체결홈(45)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22)의 체결홈(45)에 삽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술한 테두리 플레이트(20), 횡 플레이트(32), 종 플레이트(34) 그리고 배면 플레이트(40)의 체결홈(45)이 각각 결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틀(10)을 형성한다.The above-mentioned
물론, 상기 체결홈(45)의 위치와 형태는 상기 격자틀(10)을 조립하기 위한 형태이면 족하므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한편, 상기 격자틀(10)은 폐종이(폐박스를 포함한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격자틀(10)이 사면 시공 후에 식생토층 내에서 빨리 분해되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격자틀(10)은 폐종이 이외에 다양한 친환경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또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나 생분해성 종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녹말이나 전분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분해가 용이한 생붕괴성 종이 또는 생붕괴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용을 본 고안에 의한 격자틀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을 시공하는 방법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시공 순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구체적인 시공 모습은 도 5a 내지 도 5k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the slope using the gr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struction seque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but a detailed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K.
도 3 및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먼저, 녹화 사면이 시공될 기초지반(10)을 다지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10). 이때, 다짐의 정도는 성토될 성토층(90)의 무게 및 원지반의 지반 강도 등을 고려하려 소정의 지지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s 3 and 5a,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started by compacting the
지반을 다진 이후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 된 지반 상에 지지틀(60)을 설치한다(S20). 상기 지지틀(60)은 성토층(90)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성토층(9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fter the ground is chopped, the
상기 지지틀(60)이 기초지면에 설치된 이후에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20a) 및 기초지면의 상면에 보강재(70)를 설치한다(S30). 상기 보강재(70)는 시공되는 성토층(90) 간의 전단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주동토압에 의해 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70)는 마찰력이 크고 인장 강도가 큰 부재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된 토목 섬유(Geo Grid)가 사용된다.After the
상기 보강재(70)의 설치 이후에는,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토가 충진 된 격자틀(10)을 상기 지지틀(60) 배면에 설치한다(S40). After installation of the reinforcing
이때, 상기 격자틀(10)은 테두리 플레이트(20), 횡플레이트(32), 종플레이트(34) 및 배면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체결홈(45)이 서로 결합하여 결합 되고, 상기 횡플레이트(32)와 종플레이트(34)에 의해 구획된 격자틀(10) 내부에 식생토를 충진하여 준비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격자틀(10)의 전단부는 상기 지지틀(60)의 상단과 고정시켜 움직임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은 철사 또는 고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상기 격자틀(10)의 설치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격자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격자플레이트(20)에, 상기 격자틀(1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플레이트(40)를 결합한다(S41). 그리고 상기 격자틀(10)의 내부공간에 식물의 종자가 포함된 식생토를 채워 넣는다(S43). 그리고 그 이후에 상기 식생토가 충진된 격자틀(10)을 상기 지지틀(60) 배면에 설치하고, 상기 격자틀(10)을 상기 지지틀(60)에 고정한다(S45).Looking at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상기 격자틀(10)을 설치한 이후에는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매트(80)를 설치한다(S50). 상기 지지 매트(80)는 성토층(90)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은 상기 보강재(70) 상면에 위치시키고, 타 측은 상기 지지틀(60)을 넘겨 상기 지지틀(60)의 전면에 늘어뜨린다. 이때, 상기 지지 매트(80)는 토목 섬유(Geo Textile) 또는 타공된 부직포로 구성된다.After installing the
상기 지지 매트(80)를 설치한 이후에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60) 배면을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90)을 형성한다(S60). After installing the
상기 성토층(90)을 형성한 이후에,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60) 전면에 늘어뜨렸던 지지매트(80)를 접어 상기 성토층(90) 상면에 고정시킨 다(S70). 이때, 상기 고정은 앵커, 핀, 갈고리 철근 등 다양한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기 용이한 갈고리 형태로 구부린 이형철근(100)이 사용된다. After the
이후에,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틀(1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 플레이트(40)를 제거한다(S80). 이때는, 상기 격자틀(10)의 배면이 지지매트(80) 및 성토층(9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격자틀(10) 내부의 식생토가 유실될 우려가 없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H, the
한편, 상기 배면 플레이트(40)를 제거한 이후에는, 도 5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70)의 단부를 접어 상기 성토층(90) 상면에 고정한다(S90). 이때에도 고정은 상술한바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fter removing the
상기 보강재(70)를 고정하면,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60)을 전면으로 당겨 제거한다(S90). When fixing the reinforcing
이후, 도 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층(90) 상면에 지지틀(60)을 재설치하고 상기 단계(S20 내지 S90)들을 반복 시공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성토층(90)을 형성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2K, the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매트(80)를 설치하지 않고 본 고안을 시공하게 된다(도 4 참조).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without installing the support mat 80 (see FIG. 4).
즉, 격자틀(10)을 설치한 이후(S40)에, 바로 성토층을 형성한다(S60). 그리고, 상기 배면플레이트(40)를 제거한다(S80).That is, after installing the lattice frame 10 (S40), a fill layer is formed immediately (S60). Then, the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녹화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용 지지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Greening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nd slope construction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즉, 격자틀을 이용하여 식생토층을 형성하므로 시공방법이 간단해 지므로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That is, since the vegetation soil layer is formed by using the lattice frame, the construction method is simplified, and thus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그리고, 토양 내에서 쉽게 분해되는 친환경적인 재질의 격자틀을 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fear of environmental pollution because it uses a gri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that are easily decomposed in the soil.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2523U KR200440824Y1 (en) | 2007-02-12 | 2007-02-12 | Grating frame fo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and slope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2523U KR200440824Y1 (en) | 2007-02-12 | 2007-02-12 | Grating frame fo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and slope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40824Y1 true KR200440824Y1 (en) | 2008-07-04 |
Family
ID=4163947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7000252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0824Y1 (en) | 2007-02-12 | 2007-02-12 | Grating frame fo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and slope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40824Y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44810B1 (en) | 2012-06-29 | 2013-03-18 | (주)대한지오이엔씨 | Eco-friendly breast wall that use vegetation base |
-
2007
- 2007-02-12 KR KR2020070002523U patent/KR20044082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44810B1 (en) | 2012-06-29 | 2013-03-18 | (주)대한지오이엔씨 | Eco-friendly breast wall that use vegetation bas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46730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nd slope | |
| KR100843754B1 (en) | Support frame fo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and slope construction | |
| KR10067987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greening retaining wall | |
| KR10075215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greening retaining wall | |
| KR100641815B1 (en) | Reinforced geotextile mat and fi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008478B1 (en) | Geogrid installation structure to prevent expansion and destruction of crushe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of crushed columns using them | |
| KR200440824Y1 (en) | Grating frame fo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and slope construction | |
| KR101231123B1 (en) | Ecological block construction method using body-supporting vegetational gabion and vegetational gabion therewith | |
| KR100889257B1 (en) | Prefabricat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greening of front wall | |
| KR100966512B1 (en) | Vegetion earths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 KR101250304B1 (en) | Body-supporting vegetational gabion | |
| KR100557703B1 (en) | Coupling member,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200441783Y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supporting frame for slope construction | |
| KR101963362B1 (en) | Reinforced gabion retaining wall capable of completely draina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JP7109840B1 (en) | Embankment reinforce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embankment reinforced wall | |
| KR101235826B1 (en) | The method of constructing block for wall | |
| JP3611967B2 (en) | Slo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101385090B1 (en) | Foundation Structure and the method of wall and cut off wall | |
| KR101432467B1 (en) | Green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 KR101209659B1 (en) | Retaining wall for eco planting | |
| KR100419883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green reinforcement slope; R, S Green | |
| KR101508591B1 (en)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
| KR100992076B1 (en) | Structure of raising the ground level and excecution method thereof | |
| KR101188230B1 (en) | Retaining wall used soil bag block, and building a retaining wall | |
| KR100725274B1 (en) | Slope reinforcement gri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206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62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