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4169Y1 - 마스카라 용기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69Y1
KR200454169Y1 KR2020090010687U KR20090010687U KR200454169Y1 KR 200454169 Y1 KR200454169 Y1 KR 200454169Y1 KR 2020090010687 U KR2020090010687 U KR 2020090010687U KR 20090010687 U KR20090010687 U KR 20090010687U KR 200454169 Y1 KR200454169 Y1 KR 200454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mascara
container
storage contain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831U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20090010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6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6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7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piston
    • B65D83/76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piston the piston being actuat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카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마스카라액이 저장되고 일측으로 상기 마스카라액을 배출시키는 배출관(111)이 형성된 저장용기(110)와, 상기 저장용기(110)에 형성된 배출관(111)이 관통 삽입되는 솔대(122)가 형성되고, 그 외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침상 돌기(124)가 형성된 브러시(120)와, 상기 브러시(120)의 외경 둘레를 감싸고 저장용기(110)의 배출관(111)을 통해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머금은 상태에서 브러시(12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마스카라액을 침상 돌기(124)에 도포하는 브러시 캡(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저장용기와 브러시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브러시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며 마스카라액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어 마스카라액을 남김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마스카라, 브러시, 분리, 휴대, 배출량 조절, 교체, 속눈썹

Description

마스카라 용기{A case of mascara}
본 고안은 속눈썹을 화장하기 위해 마스카라액을 저장하고 속눈썹에 도포하는 마스카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카라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피스톤이 설치된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에서 외부로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에 바를 수 있는 브러시가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착탈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저장용기와 브러시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브러시만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마스카라액을 남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마스카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눈썹 화장을 하는 이유는 눈을 아름답게 표현하여 자신의 인상착의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써, 속눈썹 화장을 할때에는 마스카라 및 마스카라 브러시를 이용하여 하게 된다.
상기 마스카라에 의한 속눈썹 화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위쪽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르는 방법은 마스카라 브러시에 묻은 내용물의 양을 조절한 후, 시선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속눈썹의 뿌리 쪽으로부터 쓰다듬어 내리듯이 발라준 후, 상기한 브러시를 아래에서 위로 치켜 올리듯이 발라 준다. 그리고, 아래쪽의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르는 방법은, 브러시를 시선을 위로향한 상태에서 즉 눈썹을 올리듯이 발라준 후 내리 빗으면서 마무리 한다.
상기와 같은 용도 및 방식으로 사용되는 마스카라의 일반적인 구조는 마스카라액과 같은 내용물이 저장된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개폐하는 역할과 브러시가 일체로 형성된 마개 및 상기 브러시에 적당량의 마스카라액이 묻어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가 저장용기의 입구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마스카라 용기는 브러시에 마스카라액을 적당량 묻힌 다음에 브러시를 돌려가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브러시를 이용하여 속눈썹 화장을 할 때에는 마스카라액이 묻은 브러시로 속눈썹을 빗어 올리면서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에 골고루 바른 후 속눈썹을 말아 올리거나 속눈썹이 풍성하게 보이도록 정리함으로써 속눈썹 화장을 더욱 아름답게 연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스카라 용기는 속눈썹을 화장하지 않을 때 브러시가 저장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 또는 휴대되기 때문에 브러시가 저장용기의 마스카라액에 잠긴 상태에 놓이게 됨으로써, 저장용기의 마스카라액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즉, 브러시를 사용하여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에 바르는 과정 중에 속눈썹의 오염물이 브러시에 달라 붙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브러시가 저장용기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되면, 저장용기의 마스카라액이 브러시에 달라 붙은 오염물에 의해 변질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용기의 내부에서 마스카라액이 오염물에 의해 뭉쳐지면서 굳어져 브러시에 마스카라이 고르게 묻어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브러시의 빈번한 사용에 의하여 브러시가 변형되거나 또는 사용자 취급의 부주의에 의하여 브러시가 파손된 경우에는 상기 브러시를 교체할 방법이 없어 저장용기 및 브러시를 폐기하고 새로운 마스카라 용기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카라액을 저장한 저장용기와 사용자의 속눈썹과 접촉하는 브러시가 착탈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브러시에 묻혀 사용함으로써, 저장용기의 내부로 브러시가 삽입됨으로써 발생되는 마스카라액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으며, 브러시만을 따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관과 휴대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마스카라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마스카라액이 저장되고 일측으로 상기 마스카라액을 배출시키는 배출관(111)이 형성된 저장용기(110)와, 상기 저장용기(110)에 형성된 배출관(111)이 관통 삽입되는 솔대(122)가 형성되고, 그 외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침상 돌기(124)가 형성된 브러시(120)와, 상기 브러시(120)의 외경 둘레를 감싸고 저장용기(110)의 배출관(111)을 통해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머금은 상태에서 브러시(12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마스카라액을 침상 돌기(124)에 도포하는 브러시 캡(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110)는 일측에 배출관(111)이 형성되며 타측이 개방되고 상기 타측의 끝단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12)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마스카라액이 저장되는 실린더 용기(113)와, 상기 실린더 용 기(113)에 형성된 가이드 홈(1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114)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실린더 용기(113)의 내경과 기밀하게 접촉하는 헤드(115)가 형성된 피스톤(116)과, 상기 피스톤(116)의 내경에 나사산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용기(113)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의 외경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피스톤(116)을 실린더 용기(113)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아이들 케이스(11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시(120)는 상기 저장용기(110)의 배출관(111)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배출관(111)이 끝나는 지점에 배출관(111)을 통해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유출시키는 유출공(121)이 형성된 솔대(122)와, 상기 솔대(122)의 외경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침상 돌기(124)와, 상기 솔대(122)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1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시 캡(130)은 상기 브러시(120)에 형성된 침상 돌기(124)의 둘레를 감싸도록 중공된 관(131)의 형상을 갖되, 상기 관(131)의 타측단은 저장용기(110)의 일측단과 접하는 제 1 걸림턱(133)이 형성된 제 1 개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관(131)의 일측단은 침상 돌기(124)가 형성되지 않은 솔대(122)와 접하는 제 2 걸림턱(135)이 형성된 제 2 개구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구부(132)와 제 2 개구부(134)가 형성된 관(131)이 브러시(12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솔대(122)에 형성된 침상 돌기(124)에 묻은 마스카라액을 적정량 잔유시킬 수 있도록 침상 돌기(124)를 쓸어주는 와이퍼(136)가 관(131)의 내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시 캡(130)이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저장용기(110)의 일측단과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형성되는 일방향 회전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40)는 상기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형성된 스토퍼(141)와, 상기 스토퍼(141)와 대면하는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 형성된 래칫기어(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캡(130)에 형성된 제 1 개구부(132)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 1 걸림턱(133)과 착탈되는 마개(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111)을 밀폐하도록 상기 배출관(111)의 둘레를 감싸고 저장용기(110)의 일측단과 착탈되는 저장용기 캡(1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마스카라 용기는, 마스카라액을 저장한 저장용기(110)와 사용자의 속눈썹과 접촉하는 브러시(120)가 착탈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저장용기(110)와 브러시(120)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을 더욱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브러시(120)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속눈썹 화장에 적합하지 않는 브러시(120)인 경우 브러시만을 따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마스카라액이 배출되어 브러시(120)에 형성된 침상 돌기(124)의 표면에 묻어나기 때문에 마스카라액이 저장된 저장용기(110)에 브러시(120)가 삽입되어 발생되는 마스카라액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마스카라액을 피스톤(116)이 가압하여 저장용기(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130)의 회전수에 따라 저장용기(110)로부터의 마스카라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마스카라액을 남김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마스카라액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브러시와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속눈썹 화장을 위해 사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는 크게 마스카라액이 저장되는 저장용기(110)와, 상기 저장용기(110)로부터 착탈되고 저장용기(110)와 결합되었을 때 저장용기(110)에서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머금는 침상 돌기(124)가 형성된 브러시(120)와, 상기 브러시(120)를 저장용기(110)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120)를 수납하 고, 수납된 상태에서 브러시(120)가 분리될 때 마스카라액을 침상 돌기(124)에 도포하는 브러시 캡(13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저장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저장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저장용기(110)는, 그 내부에 마스카라액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마스카라액을 배출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저장용기(110)는 일측으로 배출관(111)이 형성되고 타측이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실린더 용기(113)와, 상기 실린더 용기(113) 내부에 위치하여 마스카라액을 가압하여 배출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피스톤(116)과, 상기 실린더 용기(113)과 피스톤(116)을 지지하며 회전에 따라 피스톤(116)을 실린더 용기 내부에서 배출관을 향해 이동시키는 아이들 케이스(117)를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실린더 용기(113)는 일측이 폐쇄된 대롱의 형상을 갖고, 폐쇄된 일측에 배출관(111)이 형성되어 실린더 용기(113)의 내부와 배출관(111)이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 용기(113)의 측벽 일부분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향하는 수직된 가이드 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용기(113)의 내부에는 실린더 용기(113)의 내경과 꼭맞는 외경을 갖는 헤드(115)가 형성된 피스톤(116)이 설치되는 바, 상기 피스톤(116)의 일측 단부에는 실린더 용기(113)에 형성된 가이드 홈(112)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홈(112)에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11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 용기(113)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116)은 실린더 용기(113)의 개방된 타측에서 배출관(111)이 형성된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용기(113)에 담겨진 마스카라액을 가압하는 피스톤(116)의 헤드(115)에는 헤드(115)가 마스카라액을 가압하여 배출관(111)을 통해 마스카라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마스카라액이 실린더 용기(113)의 내경과 피스톤(116)의 외경 사이를 통해 누수되지 않도록 오일링과 같은 기밀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실린더 용기(113)의 내경과 헤드(115)가 기밀하게 접촉하면서 피스톤(115)이 실린더 용기(113)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16)을 실린더 용기(113)의 내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아이들 케이스(117)가 형성되는 바, 상기 아이들 케이스(117)는 실린더 용기(113)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아이들 케이스(117) 내부에서 실린더 용기(11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아이들 케이스(117)의 타측단은 피스톤(116)의 내경에 나사산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 형성부(117a)가 마련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산 형성부(117a)는 아이들 케이스(117)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바, 상기 나사산 형성부(117a)는 아이들 케이스(117)의 타측단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아이들 케이스(117)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 용기(113)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나사산 형성부(117a)와 나사산 결합된 피스톤(116)이 실린더 용기(113)의 내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아이들 케이스(117)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에서 실린더 용기(11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116)이 실린더 용기(113)의 타측에서 배출관(111)이 형성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실린더 용기(113)의 내부에 저정된 마스카라액을 가압하게되고 가압된 마스카라액은 실린더 용기(113)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111)을 통해 저장용기(113)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저장용기(110)는 앞선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들 들어, 상기 저장용기(110)는 그 내부에 마스카라액을 저정하고 저장된 마스카라액을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111)을 통해 저장용기(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 저장용기(110)는 복원력을 갖는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용기(110)의 외측을 가압하였을 때 저장되었던 마스카라액이 배출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들 케이스(117)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 용기(113)를 회전시키고, 저장용기(110)로부터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머금는 브러시(120)가 내설된 브러시 캡(130)이 아이들 케이스(117)의 일측에서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브러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아이들 케이스(117)의 일측에서 착탈되는 브러시(120)는 크게 저장용기(110)에 형성된 배출관(111)에 관통되어 배출관(111)을 통해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안내하는 침상 돌기(124)가 형성된 솔대(122)와, 상기 솔대(122)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25)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솔대(122)는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111) 에 관통 삽입되도록 타측이 개방되고 일측이 폐쇄된 튜브의 형상을 갖되, 상기 배출관(111)이 솔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111)이 끝나는 지점에 마스카라액을 솔대(122)의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공(121)이 형성된 부분을 넘어서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5)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솔대(122)의 외경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침상 돌기(124)가 배치된다.
상기 침상 돌기(124)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바를 때 거부감을 주지 않으며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침상 돌기는 그 형상에 구애를 받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컨데, 도면에서는 침상 돌기(124)가 솔대(122)의 외경 둘레를 따라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침상 돌기(122)가 다수의 디스크가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적층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인조모 및 천연모와 같은 직모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용기(110)로부터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안내하여 솔대(122)에 형성된 유출공(121)을 통해 침상 돌기(124)로 유출시키는 브러시(120)의 둘레에는 브러시(120)를 휴대하게 될 때 또는 솔대(120)에 형성된 유출공(121)을 통해 마스카라액을 유출시킬 때 일정량의 마스카라액을 머금을 수 있게 하는 브러시 캡(130)이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 캡(130)은, 브러시(120)의 솔대(122)에 형성된 침상 돌기(124) 의 둘레를 감싸도록 중공된 관(131)의 형상을 갖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제 1 개구부(132)와 제 2 개구부(134)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개구부(132)와 제 2 개구부(134) 각각에는 제 1 걸림턱(133)과 제 2 걸림턱(1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131)의 내경에는 와이퍼(136)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와이퍼(136)의 위치는 브러시 캡(130)에 브러시(120)가 내설되었을 때 솔대(122)에 형성된 유출공(121)보다 상기 관(131)의 일측에 형성된 제 2 개구부(134)에 가깝게 형성되어 브러시 캡(130)을 솔대(122)로부터 분리할 때 와이퍼(136)가 솔대(122)에 형성된 침상 돌기(124)를 쓸어주며 분리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저장용기(110)의 배출관(111)을 통해 솔대(122)에 형성된 유출공(121)으로 유출된 마스카라액은 유출공(121)의 외측에서 유출공(121)과 가깝게 형성된 침상 돌기(124) 사이에 머금은 상태에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브러시 캡(130)을 브러시(12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관(131)의 내경에 형성된 와이퍼(136)가 솔대(1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솔대(122)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침상 돌기(124)들을 쓸어주며 분리된다.
이렇게, 상기 솔대(1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침상 돌기(124)를 쓸어주게 되면 유출공(121)의 외측에서 유출공(121)과 가깝게 형성된 침상 돌기(124) 사이에 머금은 마스카라액이 와이퍼(136)의 이동에 따라 침상 돌기(124)를 순차적으로 도포하게 됨으로써, 마스카라액을 침상 돌기(124)의 표면에 적정량 잔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들 케이스(117)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용기(113)를 회전 시킴으로써,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마스카라액을 배출시키고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머금는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 및 상기 제 1 개구부(134)와 접촉하는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는 상기 실린더 용기(113)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일방향 회전부재(14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자면,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40)는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 브러시 캡(130)이 결합되어 일방향 회전될 때 상기 저장용기(110) 중 아이들 케이스(117)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 용기(113)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고, 브러시 캡(130)이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실린더 용기(113)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린더 용기(113)의 회전에 따른 피스톤(116)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마스카라액을 저장용기(110)로부터 배출시키고 이와는 반대로 저장용기(110)의 외부에 있는 마스카라액이 저장용기(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러시(120)의 둘레를 감싸는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와 상기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와 접하는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는 일방향 회전부재(140)가 설치되는 바,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40)는 상기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형성된 스토퍼(141)와, 상기 스토퍼(141)와 대면하는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 형성된 래칫기어(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 형성된 래칫기어(142)는 실린더 용기(113)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용기(113)의 일측단에 형성된 래칫기어(142)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의 경사각도가 매우 가파르게 형성되며, 타측에 형성된 나사산의 경사각도는 매우 원만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래칫기어(142)에 대응하도록 상기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스토퍼(141)가 형성되는 바, 상기 래칫기어(142)에 스토퍼(141)가 맞물려 브러시 캡(13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래칫기어(142)의 일측에 스토퍼(141)가 걸려 브러시 캡(130)의 일방향 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실린더 용기(113)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브러시 캡(13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스토퍼(141)가 래칫기어(142)의 타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실린더 용기(113)를 회전시키기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브러시(120)와 브러시 캡(130)에 마스카라액을 충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브러시(120)와 브러시 캡(130)을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는 마개(150)가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마개(150)의 내주연에는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33)과 형합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걸림턱(133)으로부터 착탈된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10)로부터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130)을 분리시켰을 때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마스카라액이 배출관(111)을 통해 임의적으로 유출되거나 또는 이물질이 배출관(111)의 입구에 고착되거나 배출관(111)의 내부에 잔류하는 마스카라액이 외부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굳어 배출관(111)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111)의 둘레를 감싸고 저장용기(110)의 일측단과 착탈되는 저장용기 캡(160)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사용을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10)의 일측으로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형성된 스토퍼(141)와 실린더 용기(113)의 일측단에 형성된 래칫기어(142)가 맞물리도록 결합시킨 상태에서 브러시 캡(130)의 제 1 걸림턱(133)을 아이들 케이스(117)의 일측에 결합시킨다.
이렇게, 상기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130)이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설치되면, 상기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111)이 솔대(122)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배출관(111)의 끝단이 솔대(122)에 형성된 유출공(121)에 못미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용기(110)의 아이들 케이스(117)와 브러시(120)을 내설한 브러시 캡(130)을 각각 파지한 후 상기 브러시 캡(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일방향 회전부재(140)에 의해 아이들 케이스(117)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 용기(11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 용기(11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실린더 용기(113)의 내경에 꼭맞게 형성된 피스톤(116)이 아이들 케이스(117)에 고정된 나사산 형성부(117a)를 타고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실린더 용기(113)에 형성된 가이드 홈(112)에 피스톤(116)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4)가 안내되어 피스톤(116)을 배출관(111)을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피스톤(116)이 실린더 용기(113)의 내부에서 배출관(111)을 향해 이동하게 됨에 따라 실린더 용기(113)의 내부에 저장된 마스카라액이 피스톤(116)의 이동에 따라 헤드(115)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배출관(111)을 통해 브러시(120)의 솔대(122) 내부로 이동하여 솔대(122)에 형성된 유출공(121)을 통해 유출되어 마스카라액이 유출공(121)의 외측에서 유출공(121)과 가깝게 형성된 침상 돌기(124) 사이에 머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저장용기(110)로부터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130)을 분리한 후 저장용기(110)의 일측을 저장용기 캡(160)으로 밀폐하여 보관하고, 브러시 캡(130) 역시 마개(150)로 밀폐하여 보관하거나 다른 화장용품과 함께 휴대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용기(110)와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130)을 각각 보관하거나 휴대하다가 속눈썹의 화장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130)을 꺼내어 속눈썹 화장을 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눈썹의 화장을 위해 사용자는 브러시 캡(130)과 브러시(120)의 손잡이(125)를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주어 브러시 캡(130)과 손잡이(125)를 잡아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서, 브러시 캡(130)에 내설되었던 솔대(122)가 브러시 캡(130)의 제 2 개구부(134)를 통해 인출됨으로써, 브러시(120)와 브러시 캡(130)이 분리된다.
이렇게 솔대(122)가 브러시 캡(130)의 제 2 개구부(134)를 통해 인출되는 과정에서 브러시 캡(130)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와이퍼(136)가 솔대(122)의 둘레에 형성된 침상 돌기(124)들을 순차적으로 쓸어주며 마스카라액을 침상 돌기(124)의 표면에 적정량 잔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스카라액이 표면에 묻은 솔대(122) 및 침상 돌기(124)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속눈썹 화장을 수행한 뒤 브러시(120)를 브러시 캡(130)에 결합시켜 보관 또는 휴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러시(120)의 솔대(122)와 브러시 캡(130)의 내경 사이에 남은 마스카라액이 부족하여 침상 돌기(124)의 표면에 마스카라액이 잘 묻어나지 않게 되면, 상기 브러시 캡(130)의 내부에 브러시(120)를 내설시킨 상태에서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결합된 마개(150) 및 저장용기(110)에 결합된 저장용기 캡(160)을 각각 분리한 후에 저장용기(110)와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130)을 결합시켜 저장용기(110)로부터 마스카라액을 브러시 캡(130)에 충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는, 마스카라액을 저장한 저장용기(110)와 사용자의 속눈썹과 접촉하는 브러시(120)가 착탈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저장용기(110)와 브러시(120)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을 더욱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브러시(120)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속눈썹 화장에 적합하지 않는 브러시(120)인 경우 브러시만을 따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카라액이 저장된 저장용기(110)에 브러시(120)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마스카라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브러시(120)를 내설한 브러시 캡(130)의 회전수에 따라 저장용기(110)로부터의 마스카라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마스카라액을 남김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마스카라액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브러시와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저장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저장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브러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 중 브러시의 사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저장용기 111 : 배출관
112 : 가이드 홈 113 : 실린더 용기
114 : 가이드 돌기 115 : 헤드
116 : 피스톤 117 : 아이들 케이스
120 : 브러시 121 : 유출공
122 : 솔대 124 : 침상 돌기
124 : 손잡이 130 : 브러시 캡
131 : 관 132 : 제 1 개구부
133 : 제 1 걸림턱 134 : 제 2 개구부
135 : 제 2 걸림턱 136 : 와이퍼
140 : 일방향 회전부재 141 : 스토퍼
142 : 래칫기어 150 : 마개
160 : 저장용기 캡

Claims (8)

  1. 마스카라액이 저장되고 일측으로 상기 마스카라액을 배출시키는 배출관(111)이 형성된 저장용기(110)와,
    상기 저장용기(110)에 형성된 배출관(111)이 관통 삽입되는 솔대(122)가 형성되고, 그 외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침상 돌기(124)가 형성된 브러시(120)와,
    상기 브러시(120)의 외경 둘레를 감싸고 저장용기(110)의 배출관(111)을 통해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머금은 상태에서 브러시(12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마스카라액을 침상 돌기(124)에 도포하는 브러시 캡(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10)는,
    일측에 배출관(111)이 형성되며 타측이 개방되고 상기 타측의 끝단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12)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마스카라액이 저장되는 실린더 용기(113)와,
    상기 실린더 용기(113)에 형성된 가이드 홈(1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114)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실린더 용기(113)의 내경과 기밀하게 접촉하는 헤드(115)가 형성된 피스톤(116)과,
    상기 피스톤(116)의 내경에 나사산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용기(113)의 일측 단에서 타측단까지의 외경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피스톤(116)을 실린더 용기(113)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아이들 케이스(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120)는,
    상기 저장용기(110)의 배출관(111)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배출관(111)이 끝나는 지점에 배출관(111)을 통해 배출된 마스카라액을 유출시키는 유출공(121)이 형성된 솔대(122)와,
    상기 솔대(122)의 외경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침상 돌기(124)와,
    상기 솔대(122)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캡(130)은,
    상기 브러시(120)에 형성된 침상 돌기(124)의 둘레를 감싸도록 중공된 관(131)의 형상을 갖되,
    상기 관(131)의 타측단은 저장용기(110)의 일측단과 접하는 제 1 걸림턱(133)이 형성된 제 1 개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관(131)의 일측단은 침상 돌기(124)가 형성되지 않은 솔대(122)와 접하 는 제 2 걸림턱(135)이 형성된 제 2 개구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구부(132)와 제 2 개구부(134)가 형성된 관(131)이 브러시(12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솔대(122)에 형성된 침상 돌기(124)에 묻은 마스카라액을 적정량 잔유시킬 수 있도록 침상 돌기(124)를 쓸어주는 와이퍼(136)가 관(131)의 내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캡(130)이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저장용기(110)의 일측단과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형성되는 일방향 회전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40)는,
    상기 브러시 캡(130)의 제 1 개구부(132)에 형성된 스토퍼(141)와,
    상기 스토퍼(141)와 대면하는 저장용기(110)의 일측단에 형성된 래칫기어(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캡(130)에 형성된 제 1 개구부(132)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 1 걸 림턱(133)과 착탈되는 마개(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111)을 밀폐하도록 상기 배출관(111)의 둘레를 감싸고 저장용기(110)의 일측단과 착탈되는 저장용기 캡(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
KR2020090010687U 2009-08-17 2009-08-17 마스카라 용기 Expired - Lifetime KR200454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87U KR200454169Y1 (ko) 2009-08-17 2009-08-17 마스카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87U KR200454169Y1 (ko) 2009-08-17 2009-08-17 마스카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31U KR20110001831U (ko) 2011-02-23
KR200454169Y1 true KR200454169Y1 (ko) 2011-06-20

Family

ID=4420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87U Expired - Lifetime KR200454169Y1 (ko) 2009-08-17 2009-08-17 마스카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874B1 (ko) 2012-06-05 2013-09-17 한국콜마주식회사 마스카라 브러쉬
KR200472164Y1 (ko) 2012-05-10 2014-04-09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배출구가 형성된 브러시를 구비하는 도포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364B1 (ko) * 2012-07-13 2013-12-11 알엔디 그룹 엘엘씨 화장용기의 회전형 와이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80Y1 (ko) * 1994-11-23 1996-10-21 강성일 카트리지(cartridge)식 마스카라(mascara)용기
KR20030041777A (ko) * 2001-11-21 2003-05-2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박형 회로기판 및 박형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0341777Y1 (ko) 2003-10-06 2004-02-14 김영육 승강기 마스카라
KR20070029089A (ko) * 2005-09-08 2007-03-13 배명학 마스카라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80Y1 (ko) * 1994-11-23 1996-10-21 강성일 카트리지(cartridge)식 마스카라(mascara)용기
KR20030041777A (ko) * 2001-11-21 2003-05-2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박형 회로기판 및 박형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0341777Y1 (ko) 2003-10-06 2004-02-14 김영육 승강기 마스카라
KR20070029089A (ko) * 2005-09-08 2007-03-13 배명학 마스카라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64Y1 (ko) 2012-05-10 2014-04-09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배출구가 형성된 브러시를 구비하는 도포구
KR101309874B1 (ko) 2012-06-05 2013-09-17 한국콜마주식회사 마스카라 브러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31U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582B2 (en) Cosmetic container
JP4842268B2 (ja) 化粧組成物を貯蔵かつ施与するための装置
JP4621625B2 (ja) 組成物例えば化粧品用包装及び塗布装置
JP5946593B2 (ja) 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ピンセット型パッケージ
ES2357444T3 (es) Aplicador que comprende un elemento de aplicación solidario, durante la utilización, a un recipiente que contiene un producto a aplicar.
KR200473973Y1 (ko) 실리콘계열의 마스카라 브러시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JPH08173237A (ja) メーキャップ製品の保存および塗布用装置
JP2007021229A (ja) 製品をパッケージ化及び小出しするための多容器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て化粧を塗布する方法
US8967896B2 (en) Cosmetic apparatus and method
US20130276817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Paddle-Shaped Applicator Tip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KR200454169Y1 (ko) 마스카라 용기
KR200464719Y1 (ko) 잔량 방지 마스카라 용기
US20060171763A1 (en) Applicator dispenser of a paste cosmetic product, typically a mascara
US20110052304A1 (en) Receptacle Comprising a Container for Liquid Product, Device Comprising Such a Receptacle and Use of Such a Device for Applying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Receptacle to a Surface
KR200358749Y1 (ko) 화장품용기
US7673636B2 (en) Powder container
KR200456832Y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1157017B1 (ko) 화장용 솔
JP2016154662A (ja) しごき部材及び塗布液容器並びに塗布装置
KR100708878B1 (ko) 화장품 용기
KR200362338Y1 (ko) 마스카라 용기
ES2841673T3 (es) Kit para producir un conjunto para envasar y aplicar un producto, principalmente un producto cosmé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8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6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