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4809Y1 -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09Y1
KR200454809Y1 KR2020110001132U KR20110001132U KR200454809Y1 KR 200454809 Y1 KR200454809 Y1 KR 200454809Y1 KR 2020110001132 U KR2020110001132 U KR 2020110001132U KR 20110001132 U KR20110001132 U KR 20110001132U KR 200454809 Y1 KR200454809 Y1 KR 200454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unit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엽
Original Assignee
정준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엽 filed Critical 정준엽
Priority to KR2020110001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09Y1/ko
Priority to JP2013553342A priority patent/JP2014508353A/ja
Priority to US13/983,570 priority patent/US20140016258A1/en
Priority to CN2012800078931A priority patent/CN103339579A/zh
Priority to PCT/KR2012/000352 priority patent/WO2012108626A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면에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의 현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슬라이딩 돌기에 체결되는 슬라이딩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돌기와 슬라이딩홈의 연계 동작에 의해 표시부의 하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휴대 단말기가 수용되어 접속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된 휴대 단말기 결합부;를 구현한 바, 휴대 단말기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가 없을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of combination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부와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에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여 휴대 단말기의 현재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 결합부를 표시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현재 화면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장치는 단지 휴대 단말기의 현재 화면만을 표시뿐이어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현재 화면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결합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충격에 손상을 입거나 오작동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연결해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가 없을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하면에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의 현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슬라이딩 돌기에 체결되는 슬라이딩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돌기와 슬라이딩홈의 연계 동작에 의해 표시부의 하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휴대 단말기가 수용되어 접속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된 휴대 단말기 결합부;를 포함한다.
표시부 또는 결합부는 배면에 표시부 또는 결합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는 배터리부로부터 표시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버튼;을 더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결합부는 수용 공간에 장착되어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와 표시부의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와 표시부로 양방향 전송하는 커넥터; 및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형성된 카메라홀;을 더 포함한다.
커넥터는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이 휴대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배터리부와 연결된다.
배터리부는 착탈식으로 분리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가 없을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인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표시부에 삽입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인출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표시부에 삽입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수용되어 휴대 단말기의 현재 화면이 표시부에 출력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인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표시부에 삽입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인출된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 단말기 결합부가 표시부에 삽입된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수용되어 휴대 단말기의 현재 화면이 표시부에 출력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부(110) 및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200)는 휴대폰, PMP, 스마트폰, PDA, 액정을 구비하는 MP3 플레이어 등이 포함된다.
표시부(110)는 하면에 슬라이딩 돌기(115)가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화면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110)는 LED, LCD 또는 OLED로 구성되며,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은 정전식 또는 감압식의 터치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110)에 표시된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화면은 표시부(110)에서 별도로 조작이 가능하고, 표시부(110)를 통해 조작된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화면은 다시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휴대 단말기(200)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표시부(110)에는 전원 버튼(111), 스피커(112), 볼륨 조절 버튼(113), 이어폰 삽입홀(114) 및 배터리부(130)가 구비된다.
전원 버튼(111)은 표시부(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 버튼(111)을 이용하여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후술할 배터리부(130)의 전원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피커(112)는 휴대 단말기(200)에서 현재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출력한다. 여기서,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는 현재 휴대 단말기(200)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동일한 소리가 아닌 휴대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0)가 진동 모드 또는 무음 모드일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가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112)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돌비 스테레오 사운드와 같은 다양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볼륨 조절 버튼(113)은 스피커(112)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으로, 스피커(112)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의 크기로 조절할 수 있으며, 스피커(112)에서 필요 이상의 소리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술할 배터리부(130)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이어폰 삽입홀(114)은 별도의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이어폰 삽입홀(114)에 이어폰을 연결할 경우 스피커(112)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무음으로 하고 동시에 스피커(112)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이어폰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이어폰과 이어폰 삽입홀(114)과의 연결관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터리부(130)는 표시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고 후술할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부(130)는 표시부(110)의 배면에 구비되며 착탈식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배터리부(130)가 방전되었을 경우 별도로 구비되는 여분의 배터리부(130)로 교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번 충전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전원 버튼(111), 스피커(112), 볼륨 조절 버튼(113) 및 이어폰 삽일홀(114)은 표시부(110)의 어느 부분에나 구비가 가능하며 이는, 당업자의 단순 설계 변경으로 구비되는 부분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원 버튼(111) 및 볼륨 조절 버튼(113)은 일반적인 버튼 방식과 터치 버튼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는 표시부(110)의 슬리이딩 돌기(115)의 형상과 일치하는 슬라이딩홈(124)이 상면에 형성되고, 표시부(110)의 슬리이딩 돌기(115)와 슬라이딩홈(124)의 연계 동작에 의해 표시부(110)의 하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휴대 단말기(200)가 수용되어 접속되도록 수용 공간(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 공간(121)은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의 일부에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200)가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는 커넥터(122) 및 카메라홀(123), 슬라이딩홈(124) 및 배터리부(130)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122)는 카메라홀(123)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휴대 단말기(200)의 커넥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200)와 표시부(110)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커넥터(122)를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기(200)와 표시부(11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즉,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화면에 대한 데이터가 표시부(110)로 전송되고 동시에 표시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화면을 조작하는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또한, 커넥터(122)는 배터리부(13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하여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에 결합된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이 방전되었을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200)를 구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122)는 30핀 커넥터 또는 HDMI 커넥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홀(123)은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의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이와 같은, 카메라홀(123)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200)를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200)를 이용한 카메라 촬영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카메라홀(123)이 형성된 위치 및 크기는 휴대 단말기(200)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은 당연하다.
배터리부(130)는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의 배면에 위치하며, 앞서 표시부(1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여기서, 배터리부(130)에서 휴대 단말기(2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은 커넥터(122)를 통해 배터리부(13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이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표시부 111 : 전원 버튼
112 : 스피커 113 : 볼륨 조절 버튼
114 : 이어폰 삽입홀 115 : 슬라이딩 돌기
120 : 휴대 단말기 결합부 121 : 수용 공간
122 : 커넥터 123 : 카메라홀
124 : 슬라이딩홈 200 : 휴대 단말기

Claims (6)

  1. 하면에 슬라이딩 돌기(115)가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10);
    상기 슬라이딩 돌기(115)에 체결되는 슬라이딩홈(124)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115)와 상기 슬라이딩홈(124)의 연계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110)의 하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수용되어 접속되도록 수용 공간(121)이 형성된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 및
    상기 표시부(110) 또는 상기 결합부(120)는 배면에 상기 표시부(110) 또는 상기 결합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 결합부(120)는,
    상기 수용 공간(121)에 장착되어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상기 표시부(110)의 화면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상기 표시부(110)로 양방향 전송하는 커넥터(122); 및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형성된 카메라홀(1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배터리부(130)로부터 표시부(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111);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12); 및
    상기 스피커(112)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버튼(1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22)는 상기 배터리부(13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되도록 상기 배터리부(13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130)는 착탈식으로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110001132U 2011-02-10 2011-02-10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54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32U KR200454809Y1 (ko) 2011-02-10 2011-02-10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553342A JP2014508353A (ja) 2011-02-10 2012-01-16 携帯端末機を結合可能なディスプレイ装置
US13/983,570 US20140016258A1 (en) 2011-02-10 2012-01-16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portable terminal
CN2012800078931A CN103339579A (zh) 2011-02-10 2012-01-16 能安装便携式终端的显示装置
PCT/KR2012/000352 WO2012108626A2 (en) 2011-02-10 2012-01-16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32U KR200454809Y1 (ko) 2011-02-10 2011-02-10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809Y1 true KR200454809Y1 (ko) 2011-07-28

Family

ID=4663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13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4809Y1 (ko) 2011-02-10 2011-02-10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16258A1 (ko)
JP (1) JP2014508353A (ko)
KR (1) KR200454809Y1 (ko)
CN (1) CN103339579A (ko)
WO (1) WO201210862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2357A (en) * 2012-05-24 2013-11-27 Vincent Patrick Donohoe A docking station with a screen
KR101691771B1 (ko) * 2016-06-29 2016-12-30 장승우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6278B1 (en) 2010-11-01 2018-12-12 Mitab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smartphone
WO2014187024A1 (en) * 2013-05-19 2014-11-27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Reconfigurable mobile electronic devices with detachable computing and display units
US10362469B2 (en) * 2014-09-30 2019-07-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ccess to wireless emergency alert information via the spectrum access system
GB2554795A (en) * 2016-08-01 2018-04-11 Zone V Ltd Smartphone accessory for visually impaired or elderly users
US11841803B2 (en) * 2019-06-28 2023-12-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GPU chiplets using high bandwidth crosslinks
US12370440B2 (en) * 2023-12-01 2025-07-29 OhSnap Gaming LLC Magnetic sliding controller accessory for mobile phone gam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562A (ko) * 2005-03-28 2006-10-04 이재호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228A (en) * 1995-08-09 1997-09-02 Microsoft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executable instructions from a computer to the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3321345B2 (ja) * 1995-10-09 2002-09-0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H11161414A (ja) * 1997-11-28 1999-06-18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着脱式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着脱式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を備えたデータ処理装置
US6307745B1 (en) * 1998-07-01 2001-10-23 Gateway, Inc. Computer option bay having secondary access port with automatic sliding door mechanism
US6231371B1 (en) * 1999-06-25 2001-05-15 Hewlett-Packard Company Docking station for multiple devices
US6489932B1 (en) * 1999-09-30 2002-12-03 Prasanna R. Chitturi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tegral docking station for a palm sized computing device
US6859219B1 (en) * 1999-10-08 2005-02-22 Gateway, Inc. Method and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 devices
US6665173B2 (en) * 1999-12-20 2003-12-16 Wireless Agents, Llc Physical configuration of a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6476795B1 (en) * 2000-01-20 2002-11-05 Hewlett-Packard Company Mouse recharging module
US6823415B1 (en) * 2000-08-07 2004-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l-in-one mobile docking station and system used therewith
DE10042946A1 (de) * 2000-08-31 2002-03-14 Siemens Ag Schutzhülle
JP4922478B2 (ja) * 2000-10-18 2012-04-25 ジョアリスター フラム エービー エル.エル.シー. 携帯用コンピュータ
US6717798B2 (en) * 2001-03-22 2004-04-06 Intel Corporation Docking digital picture displays
US6798647B2 (en) * 2001-07-16 2004-09-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with integrated PDA I/O docking cradle
JP2003140770A (ja) * 2001-10-29 2003-05-1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機能拡張パッド、マウスクレイドルおよび機能拡張パッド接続用ユニット
US6643127B1 (en) * 2002-02-19 2003-11-04 Brian Edward Richardson In-monitor docking station to integrate a laptop computer into a desktop computer system
TW586639U (en) * 2003-02-21 2004-05-01 Amtran Technology Co Ltd Expanding structure of display
US7054965B2 (en) * 2003-03-18 2006-05-30 Oqo Incorporated Component for use as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pointing device
US7719830B2 (en) * 2005-05-09 2010-05-18 Apple Inc. Universal docking station for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20040217992A1 (en) * 2003-05-01 2004-11-04 Oskulak Ray M Tablet accessory for personal electronics devices
KR100512742B1 (ko) * 2003-07-25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20050213297A1 (en) * 2003-10-22 2005-09-29 Motion Computing, Inc. Extended peripheral battery pack for a tablet computer
WO2005067604A2 (en) * 2004-01-05 2005-07-28 Oqo Incorporated Docking st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
JP2005217751A (ja) * 2004-01-29 2005-08-11 Sharp Corp カメラ付折り畳み式携帯情報機器
US20060082518A1 (en) * 2004-10-19 2006-04-20 Pranil Ram Multiple monitor display apparatus
US20060236014A1 (en) * 2005-04-19 2006-10-19 Memphis-Zhihong Yin Method and system of coupl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to a portable computer
US7502221B2 (en) * 2005-04-22 2009-03-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use auxiliary display
US20070086154A1 (en) * 2005-10-17 2007-04-19 Koch William F Auxiliary display system
TWI291626B (en) * 2005-12-23 2007-12-21 Asustek Comp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nserting display monitor into housing
JP2007295391A (ja) * 2006-04-26 2007-11-08 Sharp Corp 撮影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
TW200803416A (en) * 2006-06-30 2008-01-01 Inventec Corp Portable electronic system
US7684185B2 (en) * 2006-07-03 2010-03-23 Apple Inc. Integrated monitor and docking station
US20080270665A1 (en) * 2007-04-30 2008-10-30 Senatori Mark D Electronic device docking system
TWI340312B (en) * 2007-07-18 2011-04-11 First Int Computer Inc Notebook computer and module of electrical device combinable with the same
US8317146B2 (en) * 2007-10-05 2012-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US20090111508A1 (en) * 2007-10-29 2009-04-30 Wang-Hung Yeh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ual operating modes
US7921516B2 (en) * 2008-07-08 2011-04-12 Shin Zu Shing Precision Electron (Suzhou) Co., Ltd. Hinge assembly and a fram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hinge assembly
US7782610B2 (en) * 2008-11-17 2010-08-24 Incase Designs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US20100250817A1 (en) * 2009-03-27 2010-09-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ata communication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8653785B2 (en) * 2009-03-27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8630088B2 (en) * 2009-03-27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8279589B2 (en) * 2010-02-01 2012-10-02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entry from a removable portable device cover
USD630206S1 (en) * 2010-03-02 2011-01-04 Kovac Edward F Dual monitor/screen for a laptop computer with support for the second moni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562A (ko) * 2005-03-28 2006-10-04 이재호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2357A (en) * 2012-05-24 2013-11-27 Vincent Patrick Donohoe A docking station with a screen
KR101691771B1 (ko) * 2016-06-29 2016-12-30 장승우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WO2018004109A1 (ko) * 2016-06-29 2018-01-04 장승우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8626A2 (en) 2012-08-16
WO2012108626A3 (en) 2012-11-01
US20140016258A1 (en) 2014-01-16
JP2014508353A (ja) 2014-04-03
CN103339579A (zh)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809Y1 (ko)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594128B (zh) 可更換智慧核心元件之智慧平台
KR101143230B1 (ko) 단말기 장치
SG10201906633T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accessory functions and related methods
US9377878B2 (en) Tablet stylus with presentation interaction functionality
CN104333625A (zh) 移动终端
CN218383771U (zh) 集线器系统及包含在系统中的显示器和集线器设备
CN104066030A (zh) 一种线控蓝牙耳机
KR200464595Y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용 거치대 일체형 마이크
CN203773399U (zh) 一种直插式手机平板超级本
KR101966413B1 (ko) 넥밴드형 무선 이어폰
CN104656260A (zh) 一种头戴显示器
CN203248933U (zh) 电子产品的多功能底座
CN203378027U (zh) 多功能蓝牙耳机
KR101614617B1 (ko) 휴대 기기용 거치 장치
CN205812264U (zh) 一种家用投影机器人
CN101356489B (zh) 键盘以及管理键盘与手持媒体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
KR20120060092A (ko)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KR101207863B1 (ko) 무선 마이크
CN104898858A (zh) 具有对讲功能的镭射键盘
CN203480370U (zh) 一种手机平板超级本
CN203773943U (zh) 一种便携式多功能蓝牙音响
CN202340298U (zh) 配有线控器的数码插卡音箱
KR101515039B1 (ko) 모바일기기 케이스
KR101268722B1 (ko)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607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