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749Y1 - One touch container - Google Patents
One touch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749Y1 KR200451749Y1 KR2020070016486U KR20070016486U KR200451749Y1 KR 200451749 Y1 KR200451749 Y1 KR 200451749Y1 KR 2020070016486 U KR2020070016486 U KR 2020070016486U KR 20070016486 U KR20070016486 U KR 20070016486U KR 200451749 Y1 KR200451749 Y1 KR 2004517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ver
- container body
- container cover
- tou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원터치 용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원터치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덮개; 용기덮개를 용기본체에 대해 결합 및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용기본체와 용기덮개에 마련되는 덮개 결합부; 및 용기덮개에 마련되며, 용기덮개의 상면 일 영역을 가압할 때 덮개 결합부의 결합 상태가 부분적으로 해제되도록 유도하는 결합해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물품을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용기덮개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One touch containers are disclosed. One-touch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is open,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rticle therein; A contain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 cover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cover to couple and release the container cover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And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ease release guide for inducing the coupled state of the cover engaging portion is partially released when pressing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rticle and the container cover for blocking the open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are not only made by a simple method, but also maintained in a combined state unless a separate operation is applied. The user can feel the convenience in use.
용기, 용기본체, 용기덮개, 가압, 결합해제, 걸림 Container, container body, container cover, pressurization, release, jam
Description
본 고안은, 원터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물품을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용기덮개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원터치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a combination of the container bod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rticle and the container cover for block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is made by a simple method as well as a separate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container capable of maintaining a combined state as long as it is not applied, so that a user may feel convenient in use.
일반적으로, 용기는 각종 식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근래 생산되는 대부분의 용기는 내용물의 보관 또는 운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덮개를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container is used to store various types of contents, including various foods, and most containers produced in recent years have a cover made of plastic to facilitate the storage or transportation of the contents. It is used by attaching to and detaching from.
용기는 용기본체에 보관되는 내용물에 따라 덮개와 용기본체의 구성을 달리 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용기의 덮개 및 용기본체의 결합 구조로는, 덮개에 마련된 로킹부재를 이용하여 덮개와 용기본체 간을 결합시키는 구조와, 용기본체가 원 형상으로 제조되는 경우 덮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본체와 덮개 간을 결합시키는 구조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The container differs in the structure of the cover and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The most common container cover and container body of the currently used container, using a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cover between the cover and the container body If the structure and the container body is manufactured in a circular shape, the cov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combine the structure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may be representative.
이러한 구조의 용기 중, 전자의 구조를 갖는 용기는, 그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한 후 덮개를 용기본체의 개방 부분에 일치시킨 후 덮개에 모서리 부분에 마련된 로킹부재를 용기본체에 각각 체결하고, 반대로 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반출하기 위해서는 로킹부재를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덮개를 열어야 한다. Among the containers having such a structure, the container having the former structure has the contents stored therein, and then the cover is matched with the open par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n the locking members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cover are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respectively. In order to remove the contents stored therein, the locking member must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and then the cover must be opened.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에 있어서는, 비교적 단순한 방법에 의해 덮개를 용기본체에 체결하거나 용기본체로부터 덮개를 분리할 수 있지만 용기본체와 덮개 간을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로킹부재의 로킹 및 언로킹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 중 로킹부재가 파손되는 경우 덮개 및 용기본체 간의 결합이 불가능해져 용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By the way, in the contain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cover to the container body or to remove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body by a relatively simple method, but in order to join or separate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the user directly locks the locking member and There may be inconveniences to perform the unlocking, and there may also be a disadvantage that if the locking member is broken during use,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and the container body becomes impossible and the container cannot be used.
마찬가지로, 후자의 방법에 의하여 용기본체에 덮개를 체결하거나 또는 용기본체로부터 덮개를 분리하는 경우 단순히 회전에 의해서 덮개의 체결 및 분리를 할 수 있지만, 체결 시 엇갈리게 회전하여 제대로 체결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Likewise, when the cover is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by the latter method or the cover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cover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by simply rotating, but the case is not rotated properly due to the rotation of the cover.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user may feel somewhat uncomfortable.
따라서, 용기본체에 덮개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한 용기본체로부터 덮개가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용기의 개발의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and maintains a bonding force such that the cover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unless a separate operation is applied.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물품을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용기덮개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원터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made by a simple method of coupling and detaching the container bod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rticle and the container cover which blocks the open top of the container body, but also maintaining the combined state unless a separate opera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one-touch container that the user can feel the convenience in use.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덮개; 상기 용기덮개를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결합 및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덮개에 마련되는 덮개 결합부; 및 상기 용기덮개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 일 영역을 가압할 때 상기 덮개 결합부의 결합 상태가 부분적으로 해제되도록 유도하는 결합해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기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is open,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rticle therein; A contain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 cover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cover to couple and release the container cover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ed in the container cover, it is achieved by a one-touc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coupling induction portion to induce the combined state of the cover engaging portion is partially released when pressing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cover.
여기서, 상기 결합해제 유도부는,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 일 영역의 가압 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기 용기덮개의 타 영역이 독립적으로 상방으로 들리면서 상기 덮개 결합부의 결합 상태가 부분적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덮개의 일측벽과 상기 일측벽에 인접하는 양측벽 일부는 상기 용기덮개의 타측벽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lease release guide portion, the other region of the container cover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when the pressing of the upper region of the container cover can be lifted independently upwards so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cover coupling portion can be partially released One side wall of the container cover and a portion of both side walls adjacent to the one side wall is preferably formed shorter than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ntainer cover.
상기 결합해제 유도부가 형성된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덮개의 가압 위치를 표시하는 가압위치 표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ressing posi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container cov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formed with the release guide portion.
상기 덮개 결합부는,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덮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걸림리브; 및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덮개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걸 림리브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coupling portion, the locking rib provided in any on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cover; And a locking step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cover to selectively lock the locking ribs.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용기덮개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rib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the locking jaw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용기덮개의 내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구간에 걸쳐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ribs are protruded discontinuously over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cover, and the locking jaw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해제 유도부의 맞은편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덮개의 상면 일 영역을 가압할 때 실질적으로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는 메인 리브부분; 및 상기 메인 리브부분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걸림턱에 독립적으로 걸리는 보조 리브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rib may include a main rib portion provided opposite to the release guide portion ba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and substantially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when pressing a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And an auxiliary rib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rib portion and independently caught on the locking jaw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보조 리브부분은, 상기 결합해제 유도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덮개에 상호 대향되게 한 쌍 마련될 수 있다.The auxiliary rib portion may be provided in pairs to face each other on the container cover with respect to the release guide portion region.
상기 용기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턱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덮개의 하단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덮개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ver support jaw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ocking jaw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to partial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상기 덮개 결합부는, 상기 메인 리브부분과 상기 보조 리브부분 사이에 상기 용기 덮개의 내면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용기덮개와 상기 용기본체 결합 시 상기 걸림턱을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용기덮개와 상기 용기본체 간의 결합을 보조적으로 강화하는 결합 강화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coupling part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between the main rib portion and the auxiliary rib portion, by pressing the locking step inwards when the container cover and the container body is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and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reinforcing protrusion for auxiliary reinforcing bonding between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덮개는,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용기덮개 내측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저지턱이 상기 용기덮개의 내면 둘레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contain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stepped step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cover to prevent the container body from entering the container cover more than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용기본체 내에 보관되는 상기 소정의 물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cov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lastic material so as to identify the predetermined article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의 물품을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용기덮개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for storing a certain article and the container cover for block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is not only made by a simple method, but also maintains a combined state unless a separate operation is applied. The user can feel the convenience in use.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터치 용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덮개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해제 유도부에 의해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덮개가 결합 해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one-touc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container of Figure 1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container cover shown in Figure 2,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container cover from the container body by the disengagement guide unit shown in FIG. 4.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1)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덮개(30)와,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30)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0)에 대해 용기덮개(30)를 결합 및 결합 해제시키는 덮개 결합부(40)와, 용기덮개(30)의 일측벽에 의해 마련되어 용기덮개(30)의 상면 일 영역을 가압할 때 덮개 결합부(40)의 결합 상태가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되도록 유도하는 결합해제 유도부(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one-touch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먼저, 용기본체(10)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나, 본 실시 예의 용기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의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용기본체(10)의 외면 상부 영역에는 용기덮개(30) 결합 시 용기덮개(30)가 걸리는 덮개 결합부(40)의 걸림턱(41)과, 용기덮개(30)의 하단을 지지하는 덮개 지지턱(11)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턱(41) 및 덮개 지지턱(11)에 대해서는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30)의 결합 관계 설명 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용기덮개(30)는, 도 2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는 부분으로서, 용기본체(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용기본체(10)에 대응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용기덮개(30)는, 용기본체(10)와 결합 시 용기본체(10)의 상단부가 용기덮개(30)의 내측으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마련되는 저지턱(35)을 구비한다. The
한편, 덮개 결합부(40)는,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30)를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외면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걸림턱(41)과, 용기덮개(30)의 내면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0)와의 결합 시 걸림턱(41)에 걸림되는 걸림리브(45)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걸림턱(41)은, 용기덮개(3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조작을 가하지 않는 한 용기덮개(30)의 걸림리브(45)가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10)의 외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제작의 편의를 위해 걸림턱(41)이 용기본체(10)의 외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제작이 가능하다면 용기덮개(30)의 걸림리브(45)가 결합되는 구간에 한하여 불연속적으로 걸림턱(41)을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If the
걸림리브(45)는, 도 2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걸림턱(41)에 걸림되는 부분으로서, 용기덮개(30)의 일측벽 내면에서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용기본체(10)와의 결합 시 걸림턱(41)에 걸림되는 메인 리브부분(46)과, 용기덮개(30)의 타측벽 내면에서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용기본 체(10)와의 결합 시 걸림턱(41)에 보조적으로 걸림되는 보조 리브부분(47)을 구비한다. 2 and 3, the
먼저, 메인 리브부분(46)은, 후술할 결합해제 유도부(50)의 동작에 의해 걸림턱(41)에 걸림 해제되는 부분으로서, 용기덮개(30)와 용기본체(10) 간의 결합 시 용기본체(10)의 걸림턱(41) 및 덮개 지지턱(11) 사이에 걸림되게 위치한다. First, the
보조 리브부분(47)은, 메인 리브부분(46)의 걸림만으로 용기덮개(30)와 용기본체(10)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덮개(30)의 타측벽들의 모서리 부분에 한 쌍 마련되어 걸림리브(45)가 걸림턱(41)에 밸런스 있게 걸리도록 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가하지 없는 한 용기덮개(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결합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Since the
결합해제 유도부(50)는,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벽(30b)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 일측벽(30a), 즉 용기덮개(30)의 상면을 중심으로 메인 리브부분(46)에 대향되는 일측벽(30a)에 의해 마련되는 부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해제 유도부(50)는 일측벽(30a) 및 일측벽(30a)에 인접하는 양측벽 일부는 타측벽(30b)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해제 유도부(50)에 의해 용기덮개(30)는 용기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해제될 수 있다. 결합해제 유도부(50)가 형성된 용기덮개(30)의 상면에는 용기덮개(30)의 가압 위치를 표시하는 가압위치 표시부(36)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압위치 표시부(36)를 가압함으로써 메인 리브부분(46)이 걸림턱(41)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4 and 5, the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위치 표시부(36)를 가압할 때 용기덮개(30)의 일측벽(30a)을 중심으로 용기덮개(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해제 유도부(50)가 마련된 용기덮개(30)의 일측벽(30a)과 일측벽(30a)과 인접하는 양측벽 일부의 하단면은 덮개 지지턱(11)에 약간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즉, 타측벽(30b)들의 하단면은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30)의 결합 시 용기본체(10)의 덮개 지지턱(11)에 거의 근접하게 마련되는 반면에 결합해제 유도부(50)가 마련된 용기덮개(30)의 일측벽(30a)과 일측벽(30a)에 인접하는 양측벽 일부의 하단면은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30)의 결합 시 용기본체(10)의 덮개 지지턱(11)과 약간 간격을 유지한다. 이는, 결합해제 유도부(50)에 인접하게 마련된 가압위치 표시부(36)의 가압 시 용기덮개(30)의 일측벽(30a)이 하방으로 회동하고 용기덮개(30)의 일측벽(30a)과 대향되는 용기덮개(30)의 타측벽(30b)이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메인 리브부분(46)이 걸림턱(41)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일측벽(30a)과 인접하는 양측벽 일부의 바닥면은 일측벽(30a)을 기준으로 타측벽(30b)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양측벽의 바닥면과 덮개 지지턱(11) 사이에는 대략 삼각형 모양의 절개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위치 표시부(36)를 눌러 용기덮개(30)의 타측벽(30b)이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가압위치 표시부(36)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영역 내의 상측 방향 즉, 용기덮개(30)의 상단 모서리부에 형성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pressing the pressure
이때, 가압위치 표시부(36)의 가압 시 용기덮개(30)의 메인 리브부분(36)이 걸림턱(41)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보조 리브부분(47)의 상부 영역은 가압위치 표시부(36)의 가압 동작에 의하여 걸림턱(41)의 하부 영역에 접촉 지지되며, 이로 인해 가압위치 표시부(36)를 단순히 가압함으로써 메인 리브부분(46)은 걸림턱(41)으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해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region of the
또한 용기덮개(30)의 내측면에는 용기덮개(30)와 용기본체(10) 간의 결합을 보조적으로 강화하는 결합 강화돌기(31)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강화돌기(31)는, 걸림리브(45)가 불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가상의 선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30)의 결합 시 걸림턱(41)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효과를 내며, 이로 인해 용기덮개(30)와 용기본체(10)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강화돌기(31)는, 가압위치 표시부(36)가 가압되어 용기덮개(30)가 소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시 용기덮개(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부드럽게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터치 용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sage method of the one-touch container 1 which has such a structure is demonstrated.
먼저, 용기본체(10)에 용기덮개(30)를 결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필요에 따라 용기본체(10) 내의 공간에 소정의 물품을 넣은 후 용기덮개(30)를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면 전 영역을 가압한다. 그러면, 메인 리브부분(46) 및 보조 리브부분(47)이 용기본체(10)의 걸림턱(41)에 걸림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걸림리브(45)가 걸림턱(41)에 걸림되는 영역보다 더 하방으로 내려갈 수 있으므로 용기본체(10)에는 걸림턱(41) 하부 영역에 덮개 지지턱(11)이 마련되어 적절한 위치에서 용기덮개(3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되도록 하며, 또한 용기본체(10)가 용기덮개(30) 내부로 깊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용기덮개(30)의 내부에는 단차진 저지턱(35)이 마련되어 적절한 위치에서 용기덮개(3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되도록 한다.First, a case in which the
반대로, 용기본체(10)로부터 용기덮개(30)를 결합 해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용기덮개(30)의 상면 일 영역에 마련된 가압위치 표시부(36)를 가압하면 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위치 표시부(36)를 누르게 되면 가압위치 표시부(36)에 인접하게 마련된 용기덮개(30)의 일측벽(30a)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용기덮개(30)의 타측벽(30b)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 리브부분(46)이 걸림턱(41)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며 용기덮개(30)는 용기본체(10)로부터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된다. 이어서, 용기본체(10)로부터 용기덮개(30)를 분리하면 된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release and uncoupl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한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30) 간의 결합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 내부에 소정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또한 단순한 누름 동작에 의해서 용기덮개(30)를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between the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one-touch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description as in the one-touc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에서 용기덮개와 용기본체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101)는, 용기덮개의 상면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결합해제 유도부(150)를 구비한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tainer cover and a container body in a one-touch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one-touch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1 is provided with a
즉,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1, 도 1 내지 도 5 참조)가 용기덮개(30)의 일 영역에 결합해제 유도부(50)를 구비한 반면에 본 실시 예의 원터치 용기(101)는 용기덮개(130)의 양측 영역에 결합해제 유도부(150)를 구비한다.That is, the one-touch container 1 (see FIGS. 1 to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를 위해, 용기덮개(130)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벽(130a)과 양측벽(130a)에 각각 인접한 다른 양측벽 일부의 하단면은 용기덮개(130)와 용기본체(110) 간의 결합 시 덮개 지지턱(111)에 약간 이격되게 마련되며, 양측벽(130a) 내면에는 전술한 일 실시 예의 메인 리브부분(4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인 리브부분(14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용기덮개(130)의 양측벽(130a)에 인접한 용기덮개(130)의 상면 두 영역에는 가압 시 용기본체(110)로부터 용기덮개(130)를 결합 해제시키는 가압위치 표시부(136)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To this end, the bottom surface of the
따라서, 가압위치 표시부(136)를 누르게 되면, 용기덮개(130)의 상면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메인 리브부분(146)이 상방으로 회동하며 걸림턱(141)으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반면에 가압위치 표시부(136)에 인접하게 마련된 메인 리브부분(146)은 전술한 일 실시 예의 보조 리브부분(47, 도 5 참조)과 같이 가압위치 표시부(136) 가압 시 회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용기본체(110)에 대한 용기덮개(13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refore, when the pressing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용기덮개(130)의 상면 양측을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용기덮개(130)를 용기본체(10)로부터 결합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vely pressing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30, the container cover 130 can be released from the
전술한 일 실시 예에서는, 걸림리브의 보조 리브부분이 결합해제 유도부가 마련된 용기덮개의 일측벽의 양단 영역에 마련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용기덮개와 용기본체 간의 결합을 보조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면 다른 영역 예를 들면 용기덮개의 일측벽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auxiliary ribs of the locking ribs are provided in both end regions of one side wall of the container cover in which the release guide is provided, other regions may be provided if the coupling between the container cover and the container body can be maintained auxiliary.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one side wall of the container cover.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용기덮개와 용기본체의 결합 시 용기덮개의 일측벽의 하단부가 덮개 지지턱에 대해 이격되게 마련되거나 용기덮개의 양측벽의 하단부가 덮개 지지턱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가압위치 표시부 가압 시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덮개를 결합 해제시킨다고 설명하였으나, 제작의 편의를 위해 용기본체와 용기덮개의 결합 시 용기덮개의 하단부 전 영역이 용기덮개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도록 용기덮개를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en the container cover and the container body are combined, the lower end of one side wall of the container cover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support jaw, or the lower end of both side walls of the container cover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support jaw. Although the container cover is released from the container body when the display unit is pressurized, the container cover may be manufactured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cover wh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cover are combined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something to do.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one-touc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원터치 용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container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덮개의 배면도이다.3 is a rear view of the container cover shown in FIG.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해제 유도부에 의해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덮개가 결합 해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container cover from the container body by the release releasing guide unit shown in FIG. 4.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용기에서 용기덮개와 용기본체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tainer cover and a container body in a one-touch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원터치 용기 10 : 용기본체1: one-touch container 10: container body
11 : 덮개 지지턱 30 : 용기덮개 11: cover support jaw 30: container cover
31 : 결합 강화돌기 35 : 저지턱 31: combined reinforcement protrusion 35: jersey
36 : 가압위치 표시부 40 : 덮개 결합부36: pressurization position display portion 40: cover coupling portion
41 : 걸림턱 45 : 걸림리브41: jam jaw 45: jam rib
46 : 메인 리브부분 47 : 보조 리브부분46: main rib portion 47: auxiliary rib portion
50 : 결합해제 유도부50: release release induction par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16486U KR200451749Y1 (en) | 2007-10-10 | 2007-10-10 | One touch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16486U KR200451749Y1 (en) | 2007-10-10 | 2007-10-10 | One touch contai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03490U KR20090003490U (en) | 2009-04-15 |
| KR200451749Y1 true KR200451749Y1 (en) | 2011-01-10 |
Family
ID=4128915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700164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1749Y1 (en) | 2007-10-10 | 2007-10-10 | One touch contai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51749Y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8188860U (en) | 1982-06-11 | 1983-12-15 | 日本製罐株式会社 | can mouth sealing device |
| JPS60154251U (en) | 1984-03-26 | 1985-10-15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Drawer stopper |
-
2007
- 2007-10-10 KR KR2020070016486U patent/KR20045174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8188860U (en) | 1982-06-11 | 1983-12-15 | 日本製罐株式会社 | can mouth sealing device |
| JPS60154251U (en) | 1984-03-26 | 1985-10-15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Drawer stopp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03490U (en) | 2009-04-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836877B2 (en) | Tool storage case | |
| CN107249378A (en) | Chest | |
| US8418329B2 (en) | Urn with latch | |
| JP5837768B2 (en) | Cover of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ing container using the same | |
| JP6118530B2 (en) | Food container | |
| KR200451749Y1 (en) | One touch container | |
| JP2006224979A (en) | Packaging container | |
| JP2004231245A (en) | Plastic molded containers | |
| JP5821123B2 (en) | Delivery box | |
| JP2011189975A (en) | Arrangement case | |
| JP3214854U (en) | Plastic packaging container | |
| JP4003120B2 (en) | Bottle holder | |
| JP2530685Y2 (en) | Pull-out container | |
| JP2007045422A (en) | Hinge cap with falsification-proof function | |
| JP4216690B2 (en) | Structure of the sticking part of the display sticker of the storage container | |
| JP3228600U (en) | Storage case | |
| JP3174777U (en) | Cover for storing prizes, etc. used in one round beverage container | |
| KR102473849B1 (en) | The assembled cup for sacramental ceremony | |
| KR100973688B1 (en) | Airtight container that open and shut main body with one push | |
| JP3193796U (en) | Foamed resin container | |
| JP7706275B2 (en) | packaging containers | |
| JP7606729B2 (en) | container | |
| JP2020006987A (en) | Food packaging containers | |
| JPH09309535A (en) | Stackable container | |
| JP3149535U (en) | Storage contai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401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1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