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07Y1 - Portable Oxygenator - Google Patents
Portable Oxygen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807Y1 KR200466807Y1 KR2020130001010U KR20130001010U KR200466807Y1 KR 200466807 Y1 KR200466807 Y1 KR 200466807Y1 KR 2020130001010 U KR2020130001010 U KR 2020130001010U KR 20130001010 U KR20130001010 U KR 20130001010U KR 200466807 Y1 KR200466807 Y1 KR 2004668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ygen
- air
- mixing space
- air mixing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6—Respiratory apparatus with liquid oxygen or air; Cryogenic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92—Pressure sensor associated with other sensors, e.g. for measuring acceleration or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와 입에 밀착되는 호흡부; 상기 호흡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연동하여 신장 및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혼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액체산소를 저장하는 액체산소저장부; 유입구가 상기 액체산소저장부와 연결되고 유출구가 상기 공기혼합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산소저장부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몸체부의 신장 및 신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하여 상기 공기혼합공간까지 이어지고,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단부는 끝 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산소공급관; 상기 산소공급관상에 형성되어 상기 산소공급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배출관; 상기 공기배출관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배출관을 개폐하는 전자식체크밸브; 상기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어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및 상기 산소센서에서 측정한 산소 농도가 소정의 적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압력이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전자식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산소호흡기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and mouth breathing unit;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reathing unit,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be stretched and stretched in conjunction with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the air mixture space therein; A liquid oxygen storage unit coupled to the body to store liquid oxygen; An inlet port is connected to the liquid oxygen storage unit and an outlet port is connected to the air mixing space, start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iquid oxygen storage unit and extending downward to the air mixing space based on the elongation and expans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let port Is formed end is an oxygen supply pipe is formed so as to in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end; A solenoid valve formed on the oxygen supply pip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xygen supply pipe; An air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body to communicate the air mixing space with the outside; An electronic check valve formed on the air discharge pipe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pipe to discharge the air in the air mixing space to the outside; An oxygen sensor formed inside the body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 pressure sensor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body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air mixing space;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so that the oxygen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oxygen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n the pressure sensor When the measured pressure exceeds a reference value, a portable oxygen respi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opening the electronic check valv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 산소를 사용하여 적정 산소 농도를 갖는 공기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용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oxygen respi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oxygen respirator for providing a wearer with air having an appropriate oxygen concentration using liquid oxygen.
산소호흡기는 일시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가정에서 응급 처치용으로 사용되거나, 화재 발생 현장,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산업현장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한 호흡 곤란 및, 노약자의 호흡 관리 등에 사용된다.Oxygen respirator is a device for temporarily supplying oxygen, which is used for emergency treatment at home, or is used for breathing difficulties due to a fire site, an industrial site where an toxic gas is generated, or an accident, and the respiratory management of the elderly.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6707에서 기재한 “산소공급장치”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산소호흡기는 크게, 소정의 농도로 충진되는 산소 탱크와, 산소를 누설 없이 환자에게 전달하는 마스크 타입의 호흡부를 포함한다. 이때, 산소 탱크와 호흡부는 별개로 형성되며 소정의 관로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산소호흡기는 부피 및 중량이 크기 때문에 적시에 사용하기가 쉽지 않으며, 휴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As in the “oxygen supply apparatus”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0656707, an oxygen respirator typically includes a large oxygen tank filled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and a mask-type respirator which delivers oxygen to a patient without leakage. do. At this time, the oxygen tank and the breathing unit is form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ipe. However, such oxygen respirator is not easy to use in a timely manner due to its large volume and weight, and is difficult to carry.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8438에서 기재한 “휴대용 산소호흡기”에서와 같이, 산소탱크를 소형화하고, 산소탱크에 직접 연결되는 산소흡입 마우스를 구비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을 높인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Thus, as in the "portable oxygen respirator" describ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20-0318438, the oxygen tank is miniaturized, and the oxygen intake mouse directly connected to the oxygen tank is provided to increase the mobility and portability. .
그러나, 충진된 산소를 직접 공급하는 것으로, 사람이 통상적으로 마시는 산소가 희석된 공기가 아닌 문제점이 있다. 100%에 가까운 산소를 직접 마시는 것은 산소중독을 유발할 수 있어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소 농도가 희석된 공기를 산소탱크에 충진하는 경우, 공급되는 산소량이 부족하게 될 위험이 크고, 산소탱크가 커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by directly supplying the filled oxyg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xygen that is normally consumed by humans is not diluted air. Drinking oxygen close to 100% directly may cause oxygen poisoning, which is not good for health. 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is filled in the oxygen tank filled with oxygen, there is a high risk of insufficient oxygen supply, a problem that the oxygen tank should be large.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절한 산소 농도를 갖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면서, 휴대하기 용이한 산소 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oxygen respirator that is easy to carry while supplying air having an appropriate oxygen concent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코와 입에 밀착되는 호흡부와, 상기 호흡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연동하여 신장 및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혼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액체산소를 저장하는 액체산소저장부와, 유입구가 상기 액체산소저장부와 연결되고 유출구가 상기 공기혼합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산소저장부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몸체부의 신장 및 신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하여 상기 공기혼합공간까지 이어지고,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단부는 끝 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산소공급관과, 상기 산소공급관상에 형성되어 상기 산소공급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배출관을 개폐하는 전자식체크밸브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어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산소센서에서 측정한 산소 농도가 소정의 적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압력이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전자식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reath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and the mouth,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reathing portion, in conjunction with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is formed to stretch and stretch, air mixed space therein The formed body portion, the liquid oxygen storage uni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store the liquid oxygen, 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liquid oxygen storage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air mixing space, the upper portion of the liquid oxygen storage Starting and extending downward to the air mix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elongation and expans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n end portion at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that increases toward an end thereof; Solenoid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pipe, and formed in the body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air mixing space and the outside An electronic check valve formed on the air discharge pipe and the air discharge pipe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pipe to discharge the air in the air mixing space to the outside, an oxygen sensor formed inside the body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 pressure sensor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body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air mixing space,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so that the oxygen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oxygen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n the pressure sensor When the measured pressure exceeds a reference value, a portable oxygen respi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opening the electronic check valve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벨로우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bellows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배출관은 상기 몸체부의 신장 및 신축방향으로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discharge pipe may be a conduit in the extending and stretching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흡부의 입구방향은 상기 몸체부의 신장 및 신축방향에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let direction of the breath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stretching and stretching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산소호흡기에 따르면, 액체산소저장부에서 산소를 공급하고, 착용자가 내뱉는 이산화탄소 농도와 산소 농도에 대응하여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연동하여 수축 및 확장되는 공기혼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가 적절한 산소 농도를 갖는 희석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oxygen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for supplying oxygen from the liquid oxygen storage unit, and adjusts the amount of oxygen supplied in response t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oxygen concentration of the wearer, in conjunction with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By providing a body portion that defines an air mixing space that contracts and expands, it provides the beneficial effect of allowing the wearer to inhale dilution air having an appropriate oxygen concentra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산소호흡기에 따르면, 공기혼합공간의 공기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착용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xygen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amount of air in the air mixing space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can provide a stable air to the weare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호흡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착용자가 숨을 내 쉴 때, 확장하는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전자식체크밸브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어, 공기혼합공간에서 착용자가 배출한 공기와 액체산소저장부에서 저장된 산소가 혼합되어 흡입 공기가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공기혼합공간의 흡입 공기를 착용자가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공기혼합공간의 여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xygen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tended body part when the wearer exhales, as shown in FIG. 1;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olenoid valve and an electronic check valv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am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and the intake air is generated by mixing the air discharged by the wearer and the oxygen stored in the liquid oxygen storage unit as shown in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sucks inhalation air in an air mixing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discharging extra air to the outside as an embodiment shown in FIG. 1.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호흡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xygen respi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shown in FIG.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1 and 2 clearly show only the main feature part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호흡기는, 호흡부(110)와, 공기혼합공간(121)이 형성된 몸체부(120)와, 액체산소저장부(130)와, 산소공급관(140)과 솔레노이드밸브(151)와, 전자식체크밸브(152)와, 공기배출관(160)과, 산소센서(170)와, 압력센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oxygen respi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먼저, 호흡부(110)는 착용자의 코와 입에 밀착되는 곳으로, 착용자의 얼굴 선을 따라 최대한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호흡부(110)와 착용자의 얼굴 틈으로 유독가스 등의 유해한 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호흡부(110)와 착용자의 밀착 영역은 틈이 생기지 않도록 정밀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는 코와 입에 밀착되는 마스크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입에 물리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도시되어도 무방하다.
First, the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착용자가 숨을 내 쉴 때, 확장하는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body part when the wearer exhales, as shown in FIG. 1.
도 2 및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몸체부(120)는 공기혼합공간(121)이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혼합공간(121)은 호흡부(110)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20)는 가로 주름이 형성된 벨로우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120)는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연동하여 신장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혼합공간(121)의 용적도 이에 대응하여 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한편, 공기혼합공간(121)은 착용자가 내 쉬는 공기와 액체산소저장부(130)에 공급되는 산소가 혼합됨으로써, 착용자가 다시 들이마시는 공기가 생성되는 곳이다. 몸체부(120)의 신장 및 신축에 따라, 보다 원활하게 공기와 산소가 혼합될 수 있다. 도 3의 A가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착용자가 숨을 내 쉬게 되면, 몸체부(120)는 하향하여 신장하게 된다. 착용자의 날숨으로 인하여 공기혼합공간(121)의 공기량이 증가하면서 벨로우즈 형태의 몸체부(120)를 신장시키는 것이다. 이때, 공기혼합공간(121)의 공기는 산소가 줄어든 반면에 착용자의 날숨으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호흡부(110)의 입구방향은 몸체부(120)의 신장 및 신축방향에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let direction of the
액체산소저장부(130)는 액화산소가 저장되는 곳으로, 몸체부(1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산소저장부(130)에는 액체산소를 기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화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The liquid
산소공급관(140)은 액체산소저장부(130)의 저장된 산소를 몸체부(120)의 공기혼합공간(121)에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산소공급관(140)은 유입구(141)를 통해 액체산소저장부(130)와 연결되며, 유출구(142)를 통해 공기혼합공간(121)과 연결된다. The
일실시예에 있어서, 산소공급관(140)은 액체산소저장부(130)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몸체부(120)의 신장 및 신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하여 공기혼합공간(121)까지 이어지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출구(142)가 형성된 산소공급관(140)의 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산소공급관(140)의 단부가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산소공급관(140)을 통해 이동하는 산소를 공기혼합공간(121)으로 보다 원활하게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산소공급관(140) 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151)가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도 4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전자식체크밸브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olenoid valve, an electronic check valv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밸브(151)는 산소공급관(140) 상에 형성되어 산소공급관(14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솔레노이드밸브(151)는 제어부(도 4의 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솔레노이드밸브(151)가 열리면 액체산소저장부(130)로부터 공기혼합공간(121)으로 산소가 공급되고, 솔레노이드밸브(151)가 잠기면 액체산소저장부(130)로부터 공기혼합공간(121)으로 산소의 공급이 제한된다. 제어부(도 4의 190)는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151)의 개폐를 조절하여 공기혼합공간(121)의 산소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2 and 4, the
전자식체크밸브(152)는 공기혼합공간(121)의 공기량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공기혼합공간(121)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역활을 한다. 일실시예 있어서, 전자식체크밸브(152)는 몸체부(120)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관(16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전자식체크밸브(152)를 대신하여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압력차에 대응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수동식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The
공기배출관(160)은 외부와 공기혼합공간(121)을 연통시키는 역활을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배출관(160)은 몸체부(12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관로 방향은 몸체부(120)의 신축 및 신장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산소센서(170)는 몸체부(120)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혼합공간(121)의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산소센서(170)에서 측정된 산소농도는 제어부(190)에 전달된다.
The
압력센서(180)는 몸체부(120)의 공기혼합공간(121)의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센서(180)를 통해 공기혼합공간(121)에 공기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2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압력센서(180)에서 측정된 공기혼합공간(121)의 압력은 제어부(190)에 전달된다.
The
제어부(190)는 솔레노이드밸브(151) 및 전자식체크밸브(152)를 조절하여 공기혼합공간(121)의 공기의 산소농도와 공기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제어부(190)는 산소센서(170)와 연결되어 공기혼합공간(121)의 공기의 산소농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다. The controller 190 adjusts the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공기혼합공간에서 착용자가 배출한 공기와 액체산소저장부에서 저장된 산소가 혼합되어 흡입 공기가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and the intake air is generated by mixing the air discharged by the wearer in the air mixing space and oxygen stored in the liquid oxygen storage unit as shown in FIG. .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받은 산소농도가 소정의 적정 범위보다 모자라는 경우, 제어부(190)는 솔레노이드밸브(151)를 열어 도 5의 B가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공기혼합공간(121)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입력 받은 산소농도가 소정의 적정 산소농도 범위보다 큰 경우, 제어부(190)는 솔레노이드밸브(151)를 닫아 공기혼합공간(121)에 산소 공급을 제한한다. 이로써, 공기혼합공간(121)에서 적정 산소농도를 유지하는 희석 공기가 생성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input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ppropriate range, the controller 190 opens the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공기혼합공간의 흡입 공기를 착용자가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inhales inhalation air in an air mixing space as shown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착용자가 숨을 들이마시면 공기혼합공간(121)의 적정 산소농도를 갖는 희석 공기가 도 6의 C가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착용자의 입 또는 코를 통해 흡입되게 된다. 이에, 착용자는 유해한 외부 공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공기혼합공간(121)에서 생성된 적정 산소농도를 유지하는 공기를 통해 호흡을 계속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wearer inhales, the diluted air having an appropriat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공기혼합공간의 여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discharging extra air to the outside as an embodiment shown in FIG. 1.
또한, 도 4 및 도 7을 병행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압력센서(180)와 연결되어 공기혼합공간(121)의 공기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다. 입력 받은 압력이 소정의 기준값을 넘으면, 공기혼합공간(121)에 필요 이상으로 공기량이 많은 경우로 판단하여, 제어부(19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식체크밸브(152)를 열어 공기혼합공간(121)안의 공기를 외부 공간에 배출시키도록 제어한다.4 and 7, the controller 190 is connected to the
이로써, 공기혼합공간(121)안에는 착용자가 호흡하기 적당한 양의 공기가 존재하도록 제어된다.
As a result, the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호흡부
120 : 몸체부
121 : 공기혼합공간
130 : 저장부
140 : 산소공급관
141 : 유입구
142 : 유출구
151 : 솔레노이드밸브
152 : 전자식체크밸브
160 : 공기배출관
170 : 산소센서
180 : 압력센서
190 : 제어부110: breathing unit
120: body
121: air mixing space
130:
140: oxygen supply pipe
141: inlet
142: outlet
151: solenoid valve
152: electronic check valve
160: air discharge pipe
170: oxygen sensor
180: pressure sensor
190:
Claims (4)
상기 호흡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연동하여 신장 및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혼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액체산소를 저장하는 액체산소저장부;
유입구가 상기 액체산소저장부와 연결되고 유출구가 상기 공기혼합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산소저장부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몸체부의 신장 및 신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하여 상기 공기혼합공간까지 이어지고,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산소공급관;
상기 산소공급관상에 형성되어 상기 산소공급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배출관;
상기 공기배출관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배출관을 개폐하는 전자식체크밸브;
상기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어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혼합공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및
상기 산소센서에서 측정한 산소 농도가 소정의 적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압력이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전자식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산소호흡기.A breathing unit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and mouth;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reathing unit,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be stretched and stretched in conjunction with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the air mixture space therein;
A liquid oxygen storage unit coupled to the body to store liquid oxygen;
An inlet port is connected to the liquid oxygen storage unit and an outlet port is connected to the air mixing space, start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iquid oxygen storage unit and extending downward to the air mixing space based on the elongation and expans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let port Is formed end is an oxygen supply pipe is formed so as to in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end;
A solenoid valve formed on the oxygen supply pip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xygen supply pipe;
An air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body to communicate the air mixing space with the outside;
An electronic check valve formed on the air discharge pipe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pipe to discharge the air in the air mixing space to the outside;
An oxygen sensor formed inside the body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 pressure sensor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body to measure a pressure of the air mixing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so that the oxygen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oxygen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opening the electronic check valve whe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exceeds a reference value.
Portable oxygen respirator comprising a.
상기 몸체부는 벨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호흡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ortable oxygen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bellows shape.
상기 공기배출관은 상기 몸체부의 신장 및 신축방향으로 관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호흡기.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discharge pipe is a portable oxygen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formed so as to extend and stretch the body portion.
상기 호흡부의 입구방향은 상기 몸체부의 신장 및 신축방향에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호흡기.
The method of claim 3,
Portable oxygen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direction of the breathing portion is formed inclined in the elongation and expans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30001010U KR200466807Y1 (en) | 2013-02-07 | 2013-02-07 | Portable Oxygen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30001010U KR200466807Y1 (en) | 2013-02-07 | 2013-02-07 | Portable Oxygena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66807Y1 true KR200466807Y1 (en) | 2013-05-08 |
Family
ID=5357813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3000101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6807Y1 (en) | 2013-02-07 | 2013-02-07 | Portable Oxygena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66807Y1 (en) |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28793A (en) * | 2014-09-04 | 2016-03-1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Manual artificial respiration device for adjustment of air injection pressure and method of injecting artificial respiration using the same |
| KR20160110810A (en) * | 2015-03-13 | 2016-09-22 | (주)파슨텍 | Security rescure system with automatic danger sensor and oxygen feeding mask |
| KR101781973B1 (en) * | 2014-09-04 | 2017-09-26 | 주식회사 옵티메드 | Respiratory device generating oxygen |
| KR101823060B1 (en) * | 2015-09-18 | 2018-03-15 | (주)케이엘코퍼레이션 |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
| KR101856869B1 (en) | 2016-11-04 | 2018-06-25 | (주)타이보메드 | Electronic Manual Resucitator equipped with air flow controller functions |
| KR20190035436A (en) | 2017-09-25 | 2019-04-03 | 정원찬 | Portable liquefied oxygen container |
| KR20200012097A (en) * | 2018-07-26 | 2020-02-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Emergency mask and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the smae |
| KR102231592B1 (en) | 2020-03-05 | 2021-03-23 | 엄관용 | Disposable Mechanical Ventilator |
| KR20210035966A (en) * | 2019-09-24 | 2021-04-02 | 구진회 | Respiratory device |
| KR102305729B1 (en) * | 2021-01-22 | 2021-09-28 | 손승현 | Functional mask with excellent infections blocking |
| KR20220089110A (en) * | 2020-12-21 | 2022-06-28 | 김승섭 | Expandable and retractable mask |
| KR20220093957A (en) * | 2020-12-28 | 2022-07-05 | 미노언 주식회사 | Life support apparatus and oxygen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274404A (en) | 1979-04-13 | 1981-06-23 | American Safety Flight Systems, Inc. | Oxygen supply system controlled by user exhalation |
| JP2007236814A (en) | 2006-03-10 | 2007-09-20 | Air Water Safety Service Inc | Respiratory organ |
-
2013
- 2013-02-07 KR KR2020130001010U patent/KR20046680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274404A (en) | 1979-04-13 | 1981-06-23 | American Safety Flight Systems, Inc. | Oxygen supply system controlled by user exhalation |
| JP2007236814A (en) | 2006-03-10 | 2007-09-20 | Air Water Safety Service Inc | Respiratory organ |
Cited By (1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28793A (en) * | 2014-09-04 | 2016-03-1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Manual artificial respiration device for adjustment of air injection pressure and method of injecting artificial respiration using the same |
| KR101638417B1 (en) | 2014-09-04 | 2016-07-11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Manual artificial respiration device for adjustment of air injection pressure and method of injecting artificial respiration using the same |
| KR101781973B1 (en) * | 2014-09-04 | 2017-09-26 | 주식회사 옵티메드 | Respiratory device generating oxygen |
| KR20160110810A (en) * | 2015-03-13 | 2016-09-22 | (주)파슨텍 | Security rescure system with automatic danger sensor and oxygen feeding mask |
| KR101684075B1 (en) * | 2015-03-13 | 2016-12-15 | (주)파슨텍 | Security rescure system with automatic danger sensor and oxygen feeding mask |
| KR101823060B1 (en) * | 2015-09-18 | 2018-03-15 | (주)케이엘코퍼레이션 |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
| KR101856869B1 (en) | 2016-11-04 | 2018-06-25 | (주)타이보메드 | Electronic Manual Resucitator equipped with air flow controller functions |
| KR20190035436A (en) | 2017-09-25 | 2019-04-03 | 정원찬 | Portable liquefied oxygen container |
| KR20200012097A (en) * | 2018-07-26 | 2020-02-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Emergency mask and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the smae |
| KR102079243B1 (en) * | 2018-07-26 | 2020-02-1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Emergency mask and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the smae |
| KR20210035966A (en) * | 2019-09-24 | 2021-04-02 | 구진회 | Respiratory device |
| KR102285793B1 (en) * | 2019-09-24 | 2021-08-05 | 구진회 | Respiratory device |
| KR102231592B1 (en) | 2020-03-05 | 2021-03-23 | 엄관용 | Disposable Mechanical Ventilator |
| KR20220089110A (en) * | 2020-12-21 | 2022-06-28 | 김승섭 | Expandable and retractable mask |
| KR102619774B1 (en) * | 2020-12-21 | 2024-01-03 | 김승섭 | Expandable and retractable mask |
| KR20220093957A (en) * | 2020-12-28 | 2022-07-05 | 미노언 주식회사 | Life support apparatus and oxygen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531186B1 (en) | 2020-12-28 | 2023-05-10 | 미노언 주식회사 | Life support apparatus and oxygen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305729B1 (en) * | 2021-01-22 | 2021-09-28 | 손승현 | Functional mask with excellent infections blocking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66807Y1 (en) | Portable Oxygenator | |
| JP5095634B2 (en) | Breathing apparatus | |
| US8667963B2 (en) | Ventilator circuit for oxygen generating system | |
| US11504490B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carbon dioxide-based sleep disorder therapy | |
| US8616200B2 (en) | Reservoir system for gas delivery to a patient | |
| US20210121649A1 (en) | Portable rebreathing system with staged addition of oxygen enrichment | |
| CN108261596A (en) | Combined type CPAP and resuscitation system and method | |
| KR101489430B1 (en) | Manual operated artificial respiration apparatus | |
| US20180169369A1 (en) | Oxygen re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 JP2018501066A (en) | Innovation in mechanical ventilators | |
| US20210008322A1 (en) | Method for inhalation effect on the body,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me | |
| CN105169539B (en) | A kind of first-aid respirator | |
| WO2013122326A1 (en) | Manual artificial respiration device | |
| US12329912B2 (en) | Installation for supplying therapeutic gas to a patient while taking account of the losses of leaktightness at the mask | |
| CN216222554U (en) | Inhalation therapy device | |
| KR20170036854A (en) |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 |
| CN212593562U (en) | Oxygen balancing device | |
| US9694152B2 (en) | Device for supplying gas to a patient | |
| CN203777221U (en) | Hood oxygen inhalation terminal | |
| KR102825126B1 (en) | Rebreather with oxygen supplying amount adjustment function | |
| CN222900042U (en) | An emergency chemical oxygen self-rescue respirator | |
| CN214343837U (en) | Severe patient uses novel respirator | |
| KR200329009Y1 (en) | Firefighter's portable oxygen resuscitator | |
| KR20250024362A (en) | Rebreather | |
| JP2024534782A (en) | Autonomous emergency method and system for respiratory failure and pulmonary resuscitation with a ventilation mask equipped with a CO2 sensor, a self-regulating oxygen source, and a neck suppor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2005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