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16Y1 - Guide for adhering surface protective film - Google Patents
Guide for adhering surface protective fil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016Y1 KR200469016Y1 KR2020120001843U KR20120001843U KR200469016Y1 KR 200469016 Y1 KR200469016 Y1 KR 200469016Y1 KR 2020120001843 U KR2020120001843 U KR 2020120001843U KR 20120001843 U KR20120001843 U KR 20120001843U KR 200469016 Y1 KR200469016 Y1 KR 2004690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on film
- surface protection
- release paper
- insertion groove
- attach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의 액정화면 등의 표면을 보호하는 필름을 누구나 정확한 위치에 한 번에 쉽게 붙일 수 있도록 하는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디지털기기의 액정화면에 표면보호필름을 누구나 정확한 위치에 한 번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표면보호필름의 부착 시 표면보호필름의 점착면을 오염시키거나 훼손하지 않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표면보호필름의 오염 또는 훼손으로 인하여 표면보호필름을 재구매함에 따르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that allows anyone to easily attach a film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an LCD screen, such as a smartphone, to a precise position at a time. It is ab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rface protection film can be attached to the LCD screen of a digital device at an accurate position at a time, and whe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attached, it is quickly attached without contaminating or damaging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conomic loss due to the repurchas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due to contamination or damag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Description
본 고안은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의 액정화면 등의 표면을 보호하는 필름을 누구나 정확한 위치에 한 번에 쉽게 붙일 수 있도록 하는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that allows anyone to easily attach a film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an LCD screen, such as a smartphone, to a precise position at a tim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용 모니터, 디지털카메라 등 액정화면을 구비한 디지털기기에는 액정화면을 보호하는 투명한 표면보호필름을 부착한다.
In general, a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film for protecting the LCD screen is attached to a digital device having a LCD screen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 monitor for a computer,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액정화면에 부착하는 표면보호필름은 부착할 때 점착면이 오염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한 번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소비자는 표면보호필름을 액정화면의 정확한 위치에 한 번에 부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차례 탈부착을 하는 시행착오를 거쳐 부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Surface protective film to be attached to the LCD screen should be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at a time because it should not be contaminated or damaged when attached. However, the general consumer is often difficult to attach the surface protection film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LCD screen at one time, so it is often attached through trial and error that is detached several times.
한 번에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지 못하고 수차례 탈부착을 반복하게 되면 표면보호필름의 점착면에 손가락 자국이 나거나 이물질이 붙어 오염될 우려가 있고, 탈착과정에서 구겨져 훼손될 우려도 있으며, 일단 표면보호필름이 오염되거나 훼손되면 액정화면에 부착하더라도 화면이 깨끗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다.
If it is not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at one time and repeatedly detached and detached, there is a risk of finger marks or foreign matters sticking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which may be contaminated. When this is contaminated or damaged, even if it is attached to the LCD screen, the screen is not clean, so it is often not available.
[선행기술 문헌]
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
[Patent Literature]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94268호 "컴퓨터 엘시디모니터용 화면보호필름의 가이드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착방법"(2006. 8. 29. 공개)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6-0094268 "Guidecase of the screen protection film for computer LCD monitor and how to attach using the same" (2006. 8. 29. published)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10076호 "액정보호필름 부착 도구"(2010. 10. 14. 공개)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10-0010076 "Liquid Information Film Attachment Tool" (released October 14, 2010)
본 고안의 목적은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의 액정화면에 표면보호필름을 누구나 정확한 위치에 한 번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nyone to attach the surface protection film to the correct position at a time on the LCD screen of a digit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보호필름의 부착 시 표면보호필름의 점착면을 오염시키거나 훼손하지 않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attach the surface protective film quickly without contaminating or damaging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보호필름의 오염 또는 훼손으로 인하여 표면보호필름을 재구매함에 따르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economic loss due to the repurchas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due to contamination or damag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는 3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일측 방향만 개방되는 자 모양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하부 3면에 걸쳐 형성되어 디지털 기기{이하 '기기'라고 한다}를 삽입하는 기기 삽입홈(120)과,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상부 3면에 걸쳐 형성되어 표면보호필름을 삽입하는 필름 삽입홈(11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ree sides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open only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기기 삽입홈(120)은, 기기의 액정화면은 완전히 노출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레임(30) 부분만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필름 삽입홈(110)은 기기 삽입홈(120)의 상측에 기기 삽입홈(120) 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표면보호필름(F)에는 기기(D)에 부착되는 저면의 점착층을 보호하는 하면이형지(Fb)와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을 보호하는 상면이형지(Ft)가 구비되며, 상기 하면이형지(Fb)는 상기 표면보호필름(F)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하는 분리용 절취선(4)에 의해 보조 하면이형지(Fb-1)와 주 하면이형지(Fb-2)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provided with a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for protec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bottom surface attached to the device (D) and the upper surface release paper (Ft) for protecting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 Fb) is divided into a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and a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by an auxiliary cutting line (4) for easy attachment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can do.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는 제거용 테이프(211a, 211b)가 부착되어 있는 하면이형지(Fb)를 저면에 구비한 표면보호필름(F)과, 기기(D)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 고정테이프(500)와, 상기 표면보호필름(F)과 상기 측면 고정테이프(5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용 테이프(5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e protection film (F) having a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is attached to the removal tapes (211a, 211b) on the bottom, and the side of the device (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하면이형지(Fb)는 표면보호필름(F)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하는 분리용 절취선(4)에 의해 보조 하면이형지(Fb-1)와 주 하면이형지(Fb-2)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is divided into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and the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by the separation cut-out line 4 displayed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t may b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측면 고정테이프(500)는 기기(D)의 측면 크기로 형성되며, 기기(D)의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조작버튼(504)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501)이 형성되고, 기기(D)의 프레임(30) 가장자리를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기기(D)의 프레임(30) 두께를 감안하여 접는 선(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는 제거용 테이프(211)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상면이형지(Ft)와 하면이형지(Fb)가 구비된 표면보호필름(F)과, 상기 표면보호필름(F)의 부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이형지(Ft)에 액정화면(L)의 화면부(L2) 크기로 표시된 부착 안내라인(311)과, 상기 표면보호필름(F)을 기기(D)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이형지(Ft)에 구비되는 고정용 테이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e protection film (F) having a top release paper (Ft) and a bottom release paper (Fb) to which the
상기 하면이형지(Fb)는, 주 하면이형지(Fb-2) 위에 보조 하면이형지(Fb-1)의 일부를 겹쳐서 중첩단(8)을 형성하며, 하면이형지(Fb-2)에 붙지 않도록 상기 중첩단(8)에는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overlaps a part of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on the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to form an overlapping
본 고안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의 액정화면에 표면보호필름을 누구나 정확한 위치에 한 번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nyone can attach the surface protection film to the correct position at a time on the LCD screen of a digit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또한 표면보호필름의 부착 시 표면보호필름의 점착면을 오염시키거나 훼손하지 않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attach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quickly attached without contaminating or damaging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또한 표면보호필름의 오염 또는 훼손으로 인하여 표면보호필름을 재구매함에 따르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the economic loss due to the purchas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due to contamination or damag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에 표면보호필름이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를 사용한 표면보호필름의 부착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를 디지털 기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를 사용한 표면보호필름의 부착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a)의 B-B'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를 사용한 표면보호필름의 부착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나타낸 하면 이형지의 다른 분리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inserted into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ttachment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us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shown in FIG.
5 is a view show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shown in FIG. 5 is installed in a digital device.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ttach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us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shown in FIG. 5.
8 is a view show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8 (a).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ttach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us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shown in FIG. 8.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separation example of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shown in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
≪ Example 1 >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G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일측 방향만 개방되는 자 모양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하부 3면에 걸쳐 형성되어 디지털기기를 삽입하는 기기 삽입홈(120)과,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상부 3면에 걸쳐 형성되어 표면보호필름을 삽입하는 필름 삽입홈(110)을 포함한다.
Surface protective film attachment guide (G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three-sided body is formed integrally connected and open only one side of the
상기 기기 삽입홈(120)은, 기기(D)의 액정화면은 완전히 노출되고 기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레임(30) 부분만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필름 삽입홈(110)은 기기 삽입홈(120)의 상측에 구비되고 표면보호필름은 기기에 비해 기기의 프레임이 차지하는 부분만큼 그 크기가 작으므로 필름 삽입홈(110)은 기기 삽입홈(120) 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된다.
The
몸체부(100)는 기기(D)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기기 삽입홈(120) 및 필름 삽입홈(110)의 깊이 및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보호필름(F)에는 기기(D)에 부착되는 저면의 점착층을 보호하는 하면이형지(Fb)와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을 보호하는 상면이형지(Ft)가 구비되는데, 상면이형지(Ft)는 생략할 수도 있다.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provided with a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for protec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bottom surface attached to the device (D) and the upper surface release paper (Ft) for protecting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the upper surface release paper (Ft) May be omitted.
상기 하면이형지(Fb)는 표면보호필름(F)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하는 분리용 절취선(4)에 의해 보조 하면이형지(Fb-1)와 주 하면이형지(Fb-2)로 구분된다.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is divided into auxiliary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and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by the separation cut-out line 4 for easy attachment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라 표면보호필름(F)을 부착하는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ase of attach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필름 삽입홈(110)에 표면보호필름(F)을 밀어 넣어 삽입한 다음 기기(D)를 기기 삽입홈(120)에 밀어 넣어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기기(D)의 프레임(30)은 기기 삽입홈(120)에 걸리지만 액정화면(L)은 노출된 상태가 된다.
First,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pushed and inserted into the film insertion groove (110), and then the device (D) is pushed into the device insertion groove (120) to fix it. Accordingly, the
다음, 하면이형지(Fb) 중 제거용 테이프(211a)를 이용하여 면적이 작은 보조 하면이형지(Fb-1)를 표면보호필름(F)에서 먼저 떼어 낸다.
Next, the auxiliary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having a small area is first removed fro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by using the
다음, 상기 보조 하면이형지(Fb-1)의 분리로 표면보호필름(F) 저면의 점착층이 노출되면, 노출된 점착층을 기기(D)의 액정화면(L)에 붙인다.
Next, when the adhesive lay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exposed by the separation of the auxiliary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the exposed adhesive layer is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L) of the device (D).
상기한 바와 같이 기기(D)의 액정화면(L)에 표면보호필름(F)의 일부를 먼저 부착한 후에는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G)를 기기(D)에서 분리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a part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first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L of the device D,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G is separated from the device D.
그 후, 제거용 테이프(211b)를 잡고 액정화면(L)에 부착되지 않은 표면보호필름(F)에서 주 하면이형지(Fb-2)를 서서히 떼어낸다.
Then, holding the
상기 주 하면이형지(Fb-2)를 떼어내면서 표면보호필름(F)을 액정화면(L)의 안쪽부터 기기(D)의 가장자리 쪽으로 붙여나가면 표면보호필름(F)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된다.
Whe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 is pasted from the inside of the LCD screen L toward the edge of the device D while the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is remove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 is attached at the correct position.
<실시예 2>
<Example 2>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G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용 테이프(211a, 211b)가 부착되어 있는 하면이형지(Fb)를 저면에 구비한 표면보호필름(F)과, 기기(D)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 고정테이프(500)와, 상기 표면보호필름(F)과 상기 측면 고정테이프(5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용 테이프(502)를 포함한다.
Surface protective film attachment guide (G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e having a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attached to the removal tape (211a, 211b) as shown in Figure 5 and 6 at the bottom Protective film (F), the
상기 하면이형지(Fb)는 표면보호필름(F)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하는 분리용 절취선(4)에 의해 보조 하면이형지(Fb-1)와 주 하면이형지(Fb-2)로 구분된다.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is divided into auxiliary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and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by the separation cut-out line 4 for easy attachment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
상기 측면 고정테이프(500)는 기기(D)의 측면 크기로 형성되며, 기기(D)의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조작버튼(504)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501)이 형성되고, 기기(D)의 프레임(30) 가장자리를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기기(D)의 프레임(30) 두께를 감안하여 접는 선(6)이 구비된다.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라 표면보호필름(F)을 부착하는 경우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ase of attach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표면보호필름(F)을 기기(D)의 액정화면(L) 위에 올려놓은 다음 접는 선(6)을 이용하여 측면 고정테이프(500)을 접는다. 상기 측면 고정테이프(500)는 접는 선(6)을 따라 접혀진 상태로 기기(D)의 측면에 부착하며, 측면 고정테이프(500)의 구멍(501)을 이용하여 기기(D) 측면의 조작버튼(504)을 측면 고정테이프(500)에 삽입시킨다.
First,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placed on the LCD screen L of the device D, and then the
다음, 주 하면이형지(Fb-2)가 붙어있는 표면보호필름(F)을 누른 상태에서 제거용 테이프(211a)를 잡고 보조 하면이형지(Fb-1)를 떼어낸다. 상기 보조 하면이형지(Fb-1)의 분리로 표면보호필름(F) 저면의 점착층이 노출되면, 노출된 점착층을 기기(D)의 액정화면(L)에 붙인다.
Next, while hold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on which the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is attached, grasp the
다음, 다른 제거용 테이프(211b)를 잡고 액정화면(L)에 부착되지 않은 표면보호필름(F)에서 주 하면이형지(Fb-2)를 서서히 떼어낸다.
Next, grab another
상기 주 하면이형지(Fb-2)를 떼어내면서 표면보호필름(F)을 액정화면(L)의 안쪽부터 기기(D)의 가장자리 쪽으로 붙여나가면 표면보호필름(F)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된다.
Whe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 is pasted from the inside of the LCD screen L toward the edge of the device D while the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is remove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 is attached at the correct position.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보호필름(F)을 액정화면(L)에 부착한 후에는 표면보호필름(F)과 측면 고정테이프(500)를 연결하고 있던 연결용 테이프(502)를 떼어낸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L, the
<실시예 3>
<Example 3>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G3)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용 테이프(211)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상면이형지(Ft)와 하면이형지(Fb)가 구비된 표면보호필름(F)과, 상기 표면보호필름(F)의 부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이형지(Ft)에 액정화면(L)의 화면부(L2) 크기로 표시된 부착 안내라인(331)과, 상기 표면보호필름(F)을 기기(D)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이형지(Ft)에 구비되는 고정용 테이프(340)를 포함한다.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G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release paper Ft and a bottom release paper Fb to which the
상기 고정용 테이프(3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D)의 상, 하 가장자리면 또는 좌, 우측 가장자리면 중 필요에 따라 어느 한 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fixing
상기 고정용 테이프(340)는 상기 상면이형지(Ft)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이형지(Ft)는 이를 일부러 벗겨내지 않으면 상기 표면보호필름(F)에서 탈착되지 않으므로 상면이형지(Ft)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 외에 나머지 부분을 기기(D)의 측면에 부착하여 표면보호필름(F)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The fix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라 표면보호필름(F)을 부착하는 경우를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ase of attach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표면보호필름(F)을 액정화면(L)에 올려놓고 투영되는 화면부(L2)에 맞추어 상면이형지(Ft)에 표시된 부착안내라인(331)을 일치시킨다.
First,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plac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L) to match the
다음, 상기 고정용 테이프(340)의 상면이형지(Ft)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 외에 나머지 부분을 기기(D)의 측면에 부착하여 표면보호필름(F)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Next, the surface of the fixing
다음, 상기 고정용 테이프(340)가 부착된 기기(D)의 가장자리를 축으로 하여 표면보호필름(F)을 들어 올린 후 제거용 테이프(211)를 잡고 하면이형지(Fb)를 떼어낸다.
Next,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lifted off the edge of the device (D) to which the fixing tape (340) is attached, and then the release paper (Fb) is removed by holding the removal tape (211).
다음, 하면이형지(Fb)를 일부 떼어낸 부분만 먼저 액정화면(L)에 부착시킨 후 손가락으로 표면보호필름(F)을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Next, attach only a part of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to the LCD screen L first, and then press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with a finger so as not to move.
다음, 하면이형지(Fb)를 떼어내면서 액정화면(L)에 표면보호필름(F)을 부착하는 작업을 계속한다.
Next,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to the LCD screen L while removing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is continued.
상기한 과정을 거쳐 표면보호필름(F)이 완전히 부착된 후에는 상기 상면이형지(Ft)와 고정용 테이프(340)를 떼어낸다.
Afte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completely attach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upper release paper Ft and the fixing
한편, 하면이형지(Fb)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나타낸 절취선(4)을 이용한 분리 방법 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하면이형지(Fb-2) 위에 보조 하면이형지(Fb-1)의 일부를 겹쳐서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separation method using the perforated line 4 shown in Examples 1 to 3,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is supplemented to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as shown in FIG. 11. A part of 1) can be overlapped and formed.
상기 주 하면이형지(Fb-2) 위에 겹쳐진 보조 하면이형지(Fb-1)에는 중첩단(8)이 형성되며, 하면이형지(Fb-2)에 붙지 않도록 상기 중첩단(8)에는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는다.
An
상기한 바와 같이, 주 하면이형지(Fb-2) 위에 보조 하면이형지(Fb-1)의 일부를 겹쳐서 형성하게 되면, 주 하면이형지(Fb-2) 위에 겹쳐 있는 중첩단(8)은 미세하게나마 들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주 하면이형지(Fb-2) 위에 겹쳐있는 중첩단(8)을 손가락으로 분리해 잡은 다음 보조 하면이형지(Fb-1)를 당기면 표면보호필름(F)에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part of the auxiliary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is overlapped and formed on the main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the overlapping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은 이를 서로 일부 혼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s 1 to 3 may be carried out by mixing some of them.
4 : 절취선 8 : 중첩단
100 : 몸체부 110 : 필름 삽입홈
120 : 기기 삽입홈 211 : 제거용 테이프
331 : 부착안내라인 340 : 고정용 테이프
500 : 측면 고정테이프 501 : 구멍
502 : 연결테이프 504 : 조작버튼
D : 기기 F : 표면보호필름
Fb : 하면이형지 Fb-1 : 보조 하면이형지
Fb-2 : 주 하면이형지 Ft : 상면이형지
L : 액정화면 L1 : 기능부4: perforation line 8: superposition
100: body 110: film insertion groove
120: instrument insertion groove 211: removal tape
331: attachment guideline 340: fixing tape
500: side fixing tape 501: hole
502: connecting tape 504: operation button
D: Device F: Surface protective film
Fb: Release Release Paper Fb-1: Secondary Release Paper
Fb-2: Main release paper Ft: Top release paper
L: LCD screen L1: With function
Claims (8)
상기 기기 삽입홈(120)은, 기기의 액정화면은 완전히 노출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레임(30) 부분만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필름 삽입홈(110)은 기기 삽입홈(120)의 상측에 기기 삽입홈(120) 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보호필름(F)에는 기기(D)에 부착되는 저면의 점착층을 보호하는 하면이형지(Fb)와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을 보호하는 상면이형지(Ft)가 구비되고, 상기 하면이형지(Fb)는 상기 표면보호필름(F)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하는 분리용 절취선(4)에 의해 보조 하면이형지(Fb-1)와 주 하면이형지(Fb-2)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보호필름 부착가이드. Three-sided body is formed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U-shaped body portion 100 is opened only one side, and the device insertion groove 120 is formed over the inner lower thre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100 to insert a digital device And, it is formed over the inner upper thre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 film insertion groove 110 for insert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The device insertion groove 120, the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device is completely exposed and is formed to a depth that can be inserted only a portion of the frame 30 formed on the edge, the film insertion groove 110 of the device insertion groove 120 The upper side is formed to a depth shallower than the device insertion groove 120,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is provided with a bottom release paper (Fb) for protec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bottom surface attached to the device (D) and a top release paper (Ft) for protecting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the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 ) Is divided into a secondary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1) and a primary lower surface release paper (Fb-2) by the separation cut-out line 4 displayed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 Surface Protection Film Attachment Guid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20001843U KR200469016Y1 (en) | 2012-03-08 | 2012-03-08 | Guide for adhering surface protective fil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20001843U KR200469016Y1 (en) | 2012-03-08 | 2012-03-08 | Guide for adhering surface protective fil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69016Y1 true KR200469016Y1 (en) | 2013-09-11 |
Family
ID=513965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2000184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9016Y1 (en) | 2012-03-08 | 2012-03-08 | Guide for adhering surface protective fil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69016Y1 (en)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918418B2 (en) | 2011-02-18 | 2018-03-13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US9931823B2 (en) | 2011-02-18 | 2018-04-03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US10021818B2 (en) | 2011-02-18 | 2018-07-10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EP3406552A4 (en) * | 2016-01-21 | 2020-01-15 | Crayon International | PROTECTIVE FILM FIXING INSTRUMENT |
| KR20200022656A (en) * | 2018-08-23 | 2020-03-04 | 주식회사 더하기 | Lcd protection film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
| KR102119337B1 (en) * | 2019-01-08 | 2020-06-04 | 김재욱 | structure which attaches the protective film in the smart phone |
| JP7565112B1 (en) | 2022-10-12 | 2024-10-10 | イフテ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 Smartphone protection film application aid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54957A (en) * | 2004-11-17 | 2006-05-23 | 한종석 | Screen protector guide case of portabl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nd screen protector attaching method using same. |
| KR101103436B1 (en) * | 2011-10-21 | 2012-01-10 | 박재영 | Display Window Protective Film Attachment Tool |
| KR101149573B1 (en) * | 2011-06-30 | 2012-06-14 | 오토커넥터주식회사 | The structure which attaches the protective film in the terminal |
-
2012
- 2012-03-08 KR KR2020120001843U patent/KR20046901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54957A (en) * | 2004-11-17 | 2006-05-23 | 한종석 | Screen protector guide case of portabl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nd screen protector attaching method using same. |
| KR101149573B1 (en) * | 2011-06-30 | 2012-06-14 | 오토커넥터주식회사 | The structure which attaches the protective film in the terminal |
| KR101103436B1 (en) * | 2011-10-21 | 2012-01-10 | 박재영 | Display Window Protective Film Attachment Tool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918418B2 (en) | 2011-02-18 | 2018-03-13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US9931823B2 (en) | 2011-02-18 | 2018-04-03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US10021818B2 (en) | 2011-02-18 | 2018-07-10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US10555445B2 (en) | 2011-02-18 | 2020-02-04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US11155067B2 (en) | 2011-02-18 | 2021-10-26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US11357143B2 (en) | 2011-02-18 | 2022-06-07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
| EP3406552A4 (en) * | 2016-01-21 | 2020-01-15 | Crayon International | PROTECTIVE FILM FIXING INSTRUMENT |
| KR20200022656A (en) * | 2018-08-23 | 2020-03-04 | 주식회사 더하기 | Lcd protection film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
| KR102167877B1 (en) * | 2018-08-23 | 2020-10-20 | 주식회사 더하기 | Lcd protection film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
| KR102119337B1 (en) * | 2019-01-08 | 2020-06-04 | 김재욱 | structure which attaches the protective film in the smart phone |
| JP7565112B1 (en) | 2022-10-12 | 2024-10-10 | イフテ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 Smartphone protection film application ai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69016Y1 (en) | Guide for adhering surface protective film | |
| CN106985487B (en) | protective film attachment device | |
| US9192086B2 (en) | Application device for screen protector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 |
| EP3600830B1 (en) |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otective films | |
| JP6090915B2 (en) | Attaching aid for protective film | |
| US20160043765A1 (en) | Protective film composite | |
| EP3406681B1 (en) | Adhesive tape | |
| JP2014525167A (en) | Protective film attaching device, protective film attach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protective film attaching method using the protective film attaching device | |
| KR20120071195A (en) | Panel protective film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panel using thereof | |
| KR101495075B1 (en) | Protection Film Structure With Functional Film | |
| KR102107745B1 (en) |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on mobile screen | |
| WO2014049813A1 (en) | Protective sheet laminate and protective sheet application method | |
| JP2008070762A (en) | Structure and method for protecting display device | |
| JP6486949B2 (en) | Protective sheet | |
| US10683153B2 (en) | Auto opening cigarette pack outsert | |
| JP5547792B2 (en) | Sheet sticking structure and sticking method for sticking a protective sheet using the sheet sticking structure | |
| KR20190000198U (en) | Lcd protection film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 |
| KR20110107563A (en) | Separation device for seal cover sheet | |
| KR101402313B1 (en) | Double-sided adhesive film package for use i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919319B1 (en) |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film structure | |
| KR20190068120A (en) | The protective flim removing dusts and putting on the smartphone easily. | |
| JP6678537B2 (en) | Display device protection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protection method | |
| KR102376283B1 (en) | Protective Film Assembly For Mobile Device | |
| KR20180126194A (en) | Liquid Crystal Protective Film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lm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 |
| KR102249956B1 (en) | Smart device protective film with improved ease of attach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609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90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