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390Y1 - Plug for Motor Control Center - Google Patents
Plug for Motor Control Ce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390Y1 KR200474390Y1 KR2020130002082U KR20130002082U KR200474390Y1 KR 200474390 Y1 KR200474390 Y1 KR 200474390Y1 KR 2020130002082 U KR2020130002082 U KR 2020130002082U KR 20130002082 U KR20130002082 U KR 20130002082U KR 200474390 Y1 KR200474390 Y1 KR 2004743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late
- connection
- power
- n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f conductive member or for holding it in position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기 제어반에서 유닛을 인출 또는 인입 시 전기를 차단 및 공급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는 상판, 하판 및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커넥터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러그는 커넥터의 접속단자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커넥터가 전원단자와 결합 시 휘거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유닛에 전원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적은 수의 체결부품으로 플러그를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for interrupting and supplying electricity when a unit is drawn or drawn from an electric motor control panel.
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nector, the plug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or twisting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contact area can be widened so that power supply to the unit can be smoothly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ug can be assembl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동기 제어반의 커넥터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닛을 인출 또는 인입시 전기를 차단 및 공급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for a connector of an electric motor control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ug for interrupting and supplying electricity when a unit is drawn or drawn.
전동기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MCC)이 사용된다.A motor control center (MCC) is used to manage and control the motor.
전동기 제어반은 회로부품을 수용하는 다수의 유닛과 다수의 유닛을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실이 여러 단을 형성하는 캐비닛 형식으로 되어 있다. 다수의 수용실은 다수의 유닛을 서랍식으로 열고 닫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되어 있다.The motor control panel is of a cabinet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accommodating circuit components 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chambers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units are formed in various stages. A plurality of storage rooms are in a sliding manner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are opened and closed in a drawer manner.
점검 및 회로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유닛을 수용실로부터 인출할 때 유닛 후면에 설치되는 암 커넥터와 전동기 제어반 후면에 설치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수 커넥터와의 결합이 분리된다. 이로서 전원이 유닛에 공급 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또한 인출된 유닛을 수용실에 인입할 때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함으로써 전원이 유닛에 공급된다. 이 때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될 때 전원이 원할히 공급되기 위해서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접촉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When the unit is pulled out from the housing chamber for inspection and mounting of the circuit components, the female connector provided on the rear face of the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le connector provided on the rear face of the motor control panel for supplying electricity. This prevents the power supply from being supplied to the unit. Further, when the drawn-out unit is drawn into the accommodating chamber,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engaged to supply power to the unit. In this case,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mbined,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mus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order for the power to be supplied smoothly.
보통 커넥터는 ‘ㄷ’자 형상의 접속단자를 가지며 플러그는 일자형의 전원단자를 가지고 있어 접속단자와 전원단자가 결합하거나 분리되어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된다.Normally, the connector has a "U" shape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lug has a straight type power terminal,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are coupled or disconnected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그런데 커넥터가 플러그에 결합시 접속단자의 접촉 면적이 넓지 못하고, 접속단자와 전원단자와의 결합시 접속단자의 접촉 강도가 크지 못하여 접속단자가 휘어지는 경향이 있다.However,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plug, the contact area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not wide, and the contact strength of the connection terminal tends not to be larg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upled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상기의 경우 전원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스파크, 열화, 융착이 일어나며 전기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In this case, not only the power can not be uniformly supplied but also sparks, deterioration and fusion occur, which may cause electric fir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984호에 기재된 암수 커넥터는 전원단자가 개별적으로 플러그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전원 단자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볼트 내지 기타 체결기구가 필요하였다. 즉, 체결을 위한 부품이 많아짐에 따라 플러그의 조립 및 분해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각각의 전원단가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disclosed in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57984, power terminal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plugs, and a plurality of bolts or other fastening mechanisms are required to couple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That is, as the number of parts for fastening increases, it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plu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source unit cost is separated due to external shock or vibra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기 제어반의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보강하여 플러그의 전원단자와의 결합을 견고히 함으로써 균일한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ug capable of uniformly supplying power by reinforcing a connection terminal of a connector of a motor control panel to secure a connection with a power terminal of the plug.
또한, 플러그를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하여 상판 및 하판의 결합으로 전원 단자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plug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so that the power terminal can be firmly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는 상기 복수의 유닛 각각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 가능한 복수의 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플러그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커넥터와 서로 마주보며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emale connectors which are fixedl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s, And is fixedly mounted on the rear side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respective connectors.
플러그는 도체로 구성되며 전원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단자와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전원단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는 절연케이스를 포함한다.The plug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that are formed of conductors and are connected to a power line, and an insulating cas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ncluding upper and lower plates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커넥터는 도체로 구성되며 유닛측 전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각각이 수용 결합되며,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된 복수의 단자대와 상기 복수의 단자대 각각에 상기 접속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자대의 높이가 상이하고, 상기 암 커넥터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닛의 후면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한 결합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which are formed of conductors and are connected to the unit-side electric wires, a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each of which is accommodated and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nd which is formed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Wherein a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have different heights of the terminal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and one side surface of the female connector has an engagement hole having a fastening hole for engaging with a rear surface of the unit,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는, 접속단자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전원단자와 결합시 휘거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According to the plu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warping or warping and enlarging the contact area when the power terminal is coupled with the power terminal.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는, 상기의 구조에 의해 유닛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Further, 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stable power to the unit b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는, 접속단자의 연결부에 너트와 결합할 수 있는 너트 홈을 형성함으로써 전선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wire connection work by forming a nut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a nut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는, 전원단자가 플러그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적은 수의 체결부품으로 전원단자를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플러그의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the power terminal can be fixed firmly to the plug body and the power terminal can be fixed with a smaller number of fastening parts, hav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및 커넥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및 커넥터의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및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상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단자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단자와 전원선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고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우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and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and a connector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ug and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plu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lu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top plate of a plu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power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upling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of a power source terminal and a power source 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rub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ight side view of a plu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emed unnecessary,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200) 및 커넥터(100)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200) 및 커넥터(100)의 분리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200) 및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200)는 전도성 도체로 구성되며 전원선(4)과 연결되고 접속부(11)의 절개홈(11a)과 결합하는 복수의 전원단자(210)와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복수의 전원단자(210)를 수용하기 위한 절연케이스를 포함한다.The
절연케이스는 상판(230) 및 하판(220)으로 구성된다.The insulating case is composed of an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상판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a top plate of a plu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판(230)은 베이스 판을 이루는 배면판(235)을 포함한다.The
상판(230)은 절연격판(231)을 더 포함하며, 절연격판(231)은 배면판(235)에 수직하며, 서로 이웃하여 복수의 절연격판(231)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로 위치한다. 또한, 상판(230)은 복수의 절연격판(231) 사이 및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234) 및 배면판(236)에 상기 전원단자(210)을 고정하기 위하여 배면판(236)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볼트공(2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판(230)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가이드부(239)를 포함한다.The
복수의 가이드부(239)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판(230)의 배면판(235)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239a), 수직부(239a)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 수평부(239b) 및 수평부(239b)의 단부에 형성되며 단자관통공(224)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239c)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자관통공(224)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기 때문에 가이드부(239) 또한 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39)는 전원단자(21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분 이외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하판(220) 및 전원단자(210)의 형상에 의해 그 형상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돌기(239c)는 하판(220) 및 상판(230)의 결합시 단자관통공(224)에 삽입된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하판(220)은 베이스 판을 이루는 배면판(225) 및 배면판(225)에 수직하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판(226)을 포함한다.The
측판(226) 사이에 상기 전원단자(210)가 수납될 수 있는 절연홈(222)이 형성되도록 상하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판(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226)과 배면판(225)이 서로 연결되어 하판(220)의 일 측면을 이루는 연결판(227)을 형성한다.A plurality of
또한 하판(220)은 연결판(227)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구(223) 및 복수의 돌출구(223)에 상기 전원단자(210)가 통과되도록 관통되어진 복수의 단자관통공(224)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구(223)는 서로 이웃하는 돌출구(223)의 높이가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좁은 공간에서 외부 전원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복수의 돌출구(223)가 형성된 상기 연결판(227)과 마주보는 타측이 개방되어 있다.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상판(230) 및 하판(220) 사이에 상기 전원단자(2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판(230) 및 하판(220)에 각각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230) 및 하판(220)에 형성된 볼트공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볼트로 상판(230)과 하판(220)이 고정 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방식으로 인하여 전원단자(210)를 간단하게 상판(230)과 하판(220)에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 즉, 플러그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A bolt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절연케이스는 단자대(20)와 같이 강화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절연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케이스는 하판(220)의 배면판(225)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전동기 제어반의 뒷판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sulating case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reinforced plastic, such as the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200)의 우측면도이다.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돌출구(233)는 전원단자(210)와 전원선(4)과의 결합시 전원선(4)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돌출구(223)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projections 23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단자(210)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원단자(210) 각각은 일단이 접속단자(10)의 접속부(11)를 향해 절곡되어 결합부(210a)를 형성하며, 타단이 상판(230)의 돌출구(233)에 형성된 각각의 복수의 단자관통공(23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전원단자(210)의 몸체에는 상기 절연케이스 및 전원선(4)과 결합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볼트공(2108)이 형성되고, 전원단자(210)들은 결합부(210a)와 접속부(11)의 절개홈(11a)이 결합하도록 접속단자(10)의 배열 위치에 맞게 대응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전원단자(210)는 일정 두께의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절연홈(222)에 수납되며, 절연홈(2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판(227)에 형성된 단자관통공(234a)으로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The
또한, 전원단자(210)에 형성된 볼트공(218)과 상판(230) 및 하판(220)의 볼트공들을 통해 볼트(30)들로 고정됨으로써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비록 체결도구로 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위해 리벳 등 다양한 체결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전원단자(210)는 일단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타단은 돌출구(233)의 단자관통공(233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여러 각도로 절곡될 수 있고, 타단에 형성된 관통된 볼트공(210c)을 통해 전원선(4)을 볼트(31)와 너트(41)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너트(41)는 단자대(20)의 너트 돌출편(40a)과 같은 너트 돌출편(41a)이 형성되어 볼트공(210c)에 고정할 수 있어 접속단자(10)의 경우와 같이 결선 작업시 편리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전원단자(210)는 구리와 같은 통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와 같이, 접속단자(10)와 전원단자(210)는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며 결합시 접속부(11)의 절개홈(11a)에 정확히 전원단자(210)의 결합부(210a)가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단자(10)의 뒤틀림이나 스파크, 열화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e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돌출구(233)들의 상부면에 외부전원 공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전원이 3상 4선이면 순서대로 R, S, T, N으로 표시할 수 있어 전원 연결시 혼동없이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전원이 3상 4선식이면 4개의 전원단자(210)와 연결되며 3상 3선식이면 3개의 전원단자, 2상이면 2개의 전원단자(210)와 연결되고, 전원단자(210)와 연결되는 접속단자(10)들은 상기의 전원단자(210) 개수와 동일하게 하여 구성될 수 있다.8, information on the external power supply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s 233.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three-phase, four-wire, R, S, T, and N can be displayed in order.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a three-phase four-wire type, four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단자(210) 각각의 타단측에서 하판(220)과 주름 형상의 절연고무(240)가 결합될 수 있다.The
주름 형상의 절연고무(222)는 감전 방지를 위해 전원 단자(220) 각각의 타단에 삽입되어 돌출구(233)의 단자관통공(233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절연고무(222)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으며 절연성 재질인 합성고무, PVC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rrugated insulating
절연고구(240)는 결합돌기(241)을 포함한다. 결합돌기(241)는 돌출구(223)에 형성된 결합홈(223a)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이 보다 두꺼게 형성되어 있다. 결함홈(223a)은 결합돌기(241)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과 결합돌기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구성된 연속적인 구멍형상이다. 결합돌기(241)를 결합홈(223a)에 삽입한 다음에 절연고무(240)를 회전시키면, 절연고무(240)은 돌출구(223)의 결합홈(223a)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절연고무(240)를 잡아당기더라도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The insulating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단자와 전원선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11 is a coupling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of a power source terminal and a power source 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고무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rub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우측면도이다.13 is a right side view of a plu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전원단자(210)에 전원선(4)이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연결방법은 전원단자(210)의 상하에 2개의 전원선(4)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전원선(4)과 전원단자(210)가 이루는 두께는 두꺼워지며, A-A면의 두께는 전원선(4)을 1개 연결하는 경우보다 두꺼워진다. 이러한 두게 변화로 인하여, 절연고무(240)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절연고무(250)가 도출되었다. 절연고무(250)는 폐곡으로 형성된 결합면(251)을 포함하고 있으며,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결합면(251)의 단부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기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251)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는 하판에 형성된 돌출구(223b)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Referring to FIG. 11, a plurality of
결합면(251)의 꼭지점이 곡면 처리된 정사각형의 형상에서 각 모서리가 곡률을 가지고 정사각형의 중심으로 함몰된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And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rner has a curvature and is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square in the shape of a square in which the vertex of the
결합면(251)의 상하면에 형성된 내곡면부(251a)는 측면부에 형성된 내곡면부(251b)에 비하여 곡률이 더 작은 원의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결합면(251)의 상하면에 형성된 내곡면부(251a)는 좀 더 함몰된 형상이다. 절연고무(25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므로, 도 11의 A-A면이 두꺼워지더라도 절연고무(250)의 내부에 전원단자(210)와 전원선(4)의 결합체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면(251)의 상하면에 형성된 내곡면부(251a)는 적절한 힘에 의해 각각 상하로 꺽일수 있고, 이때 형성된 공간으로 전원단자(210)와 전원선(4)의 결합체를 쉽게 통과 시킬 수 있다. The
도 13를 참조하면, 하판(220a) 형성된 돌출구(223b)는 결합면(251)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13, the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10)의 저면 사시도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커넥터(100)는 유닛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닛의 이동과 함께 이동 가능하며, 플러그(200)는 전원을 공급하며, 커넥터(100)의 후방의 전동기 제어반의 뒤판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유닛의 인출에 의해 상기 플러그(200)와 분리되며, 상기 유닛의 인입에 의해 상기 플러그(200)와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전도성을 가진 도체로 구성되며 유닛측 전선(3)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10)와 복수의 접속단자(10) 각각이 수용 결합되며,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된 복수의 단자대(20)와 복수의 단자대(20) 각각에 접속단자(10)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볼트(30) 및 너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자대(20)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자대(20)의 높이가 상이하고, 상기 암 커넥터(100)의 일측면에는 유닛의 후면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50a)을 구비한 결합구(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커넥터(100)는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구(50)의 체결공(50a)을 통해 회로 부품을 수용하는 유닛의 후면에 볼트, 나사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며, 플러그(200)는 커넥터(100)와 마주보며, 유닛을 수용하는 유닛 수용실의 후방에 위치한 전동기 제어반 뒤판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100)는 단자대(20)를 통해 유닛에서 인출된 유닛측 전선(3)과 연결되며 플러그(200)는 전원단자(210)에 의해 외부의 전원선(4)과 연결되어 커넥터(100)와 접촉시 전원을 유닛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커넥터(100)와 플러그(200)는 유닛 수용실로부터 유닛을 인출시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되며, 인입시 접촉되어 커넥터(100)를 통해 유닛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00)와 플러그(200)는 유닛 수용실 1개당 한 쌍씩 유닛 수용실의 개수만큼 그 개수에 맞게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커넥터(100)와 플러그(2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커넥터(100)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대(20)의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서 단자대(20)에 수용 결합되는 접속단자(10) 간의 간섭 및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닛측 전선(3)을 접속단자(10)와 연결시 유닛측 전선(3) 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1 to 6, the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접속단자(10)는 플러그(2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접속부(11)와 접속부(11)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볼트(30)와 상기 유닛측 전선(3)이 결합되는 연결부(12)와 접속부(1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접속부(11)에 수용 결합되는 탄성체(13)로 구성될 수 있다.3 and 4, the
접속단자(10)는 일정 두께의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단단한 강도와 탄력을 가진 인청동으로 구성되며, 접속단자(10)의 표면에는 은(Ag) 도금층이 형성되어 전도성을 높일 수 있다.The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10)의 접속부(11)는 가운데가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11a)과 일면에 상기 절개홈(11a)을 사이에 두고 탄성체(13)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된 탄성체 수용홈(11b)과 타면에 접속부(11)를 보강하기 위해 탄성체(13)의 형상이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 돌출구(11c)와 접속부(11)가 걸리도록 접속부(11)의 하단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1d)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접속단자(10)의 접속부(11)는 후술되는 전원단자(210)와 결합시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판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강한 강성(Rigidity)을 가질 수 있다.The
탄성체(13)는 판상의 형상이며, 접속부(11)의 일면에 탄성체(13)의 형상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만든 탄성체 수용홈(11b)에 수용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체(13)의 U자형의 개구된 쪽의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돌기(13a)가 접속부(11)에 대응되어 형성된 돌기체결공(11e)에 끼움 결합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3)는 탄성이 강한 강철로 구성되며 U자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3)는 접속부(11)가 후술되는 전원단자(210)와 결합시 강한 탄성을 부여해 강한 결합을 할 수 있게 한다. 탄성체(13)는 스냅링 또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The
접속부(11)의 타면에 탄성체(13)의 형상을 돌출 형성시킨 보강 돌출구(11c)는 더욱 접속부(11)를 보강하여 뒤틀림이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그리고 접속부(11)에 형성된 절개홈(11a)의 크기는 전원단자(210)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하되 헐겁지 않도록 한다.The size of the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는 일측에 유닛측 전선(3)을 고정하기 위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공(12a)과 너트(4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너트 돌출편(40a)을 수용하도록 볼트공(12a)에 형성된 돌출편 수용홈(12b)과 너트 돌출편(40a)을 안내하기 위해 하단에 형성된 돌출편 가이드 홈(12c)을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여기서 너트(4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너트(40) 제조시 너트(40)에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너트 돌출편(40a)을 연결부(12)의 볼트공(12a)의 상/하단에 너트 돌출편(40a)을 수용하는 돌출편 수용홈(12b)을 형성시켜 너트(40)를 연결부(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유닛측 전선(3)을 연결부(12)에 결합시 너트(40)가 연결부(12)에 고정됨으로써 볼트(30)를 너트(40)에 쉽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너트(40)와 볼트(30)를 맞추어 결합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결선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3 to 5, when the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볼트공(12a)의 하단의 돌출편 수용홈(12b)에서 연결부(12)의 끝단까지 형성된 돌출편 가이드 홈(12c)의 형성은 후술되는 너트 수용홈(24)에 너트(40)를 삽입할 시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에 너트 돌출편(40a)이 걸려 삽입되지 않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4, the protruding piece guide
한편, 유닛측 전선(3)은 볼트(30)와 결합하여 연결부(12)에 형성된 볼트공(12a)을 통해 너트(40)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12)에 고정될 수 있다.The unit-side
도 3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자대(20) 각각은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가 삽입되도록 전면에서 후면까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개구부(21)와 가이드 개구부(21)의 중간 부위 양측에 접속부(11)의 걸림턱(11d)이 걸려지도록 형성된 돌출턱(22)과 가이드 개구부(21)의 하부에 너트(4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너트 수용홈(24)과 너트 수용홈(24)의 하부에 볼트(30)의 나사봉(30a)을 수용하도록 너트 수용홈(24)의 하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봉 수용홈(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자대(20) 각각은 볼트(30)와 유닛측 전선(3)이 연결부(12)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너트(40)가 후면을 통해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개구부(21)의 상부와 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단자대(20)의 가이드 개구부(21)에 접속단자(10)를 삽입시 외부에 연결부(12)를 노출시켜 유닛측 전선(3)과 고정 결합하기 위함이다.3 and 5 to 6,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20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rear surface so that the
단자대(20)는 강화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절연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대(20)에 접속단자(10) 및 유닛측 전선(3)과의 결합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를 단자대(20)의 전면의 가이드 개구부(21)를 통해 삽입하면 단자대(20)의 돌출턱(22)과 접속부(11)의 걸림턱(11d)이 만나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그리고 개방된 후면을 통해 너트 수용홈(24)에 너트(4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너트(40)는 너트 수용홈(24)에 연결부(12)의 돌출편 가이드 홈(12c)을 따라 삽입되어 너트 돌출편(40a)이 연결부(12)의 돌출편 수용홈(12b)에 안착됨으로써 연결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너트(40)를 먼저 너트 수용홈(24)에 삽입한 후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를 가이드 개구부(21)에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그 후 가이드 개구부(21)의 상부로 노출된 연결부(12)의 볼트공(12a)에 유닛측 전선(3)과 결합된 볼트(30)를 관통시켜 너트(40)와 결합함으로써 단자대(20)에 접속단자(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접속단자(10)를 유닛측 전선(3)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단자대(20)에 유닛측 전선(3)을 필요에 따라 연결할 수 있다.
The
전술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접속단자 11: 접속부 12: 연결부
13: 탄성체 20: 단자대 30: 볼트
40: 너트 50: 결합구
100: 커넥터 200: 플러그
210: 전원단자 220: 하판 230: 상판
218 볼트공
221 가이드판 222 절연홈 223 돌출구
224 단자관통공 225 배면판 226 측판
227: 연결판
231: 절연격판 234: 고정편 235: 배면판
238: 볼트공 239: 가이드부
240, 250: 절연고무10: connection terminal 11: connection part 12: connection part
13: Elastic body 20: Terminal block 30: Bolt
40: nut 50:
100: connector 200: plug
210: power terminal 220: lower plate 230: upper plate
218 volts ball
221
224 terminal through hole 225
227: Connection plate
231: Insulating partition plate 234: Fixing piece 235:
238: bolt hole 239: guide portion
240, 250: Insulated rubber
Claims (12)
상기 플러그는,
도체로 구성되며 전원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단자; 및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전원단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는 절연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은,
상기 상판의 베이스 판을 이루는 배면판;
상기 배면판에 수직하며 서로 이웃하고,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로 형성된 복수의 절연격판;
상기 복수의 절연격판 사이 및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 및
상기 배면판에 상기 전원단자 및 상기 절연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배면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볼트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A plug movable in a fixed manner on a motor control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its for receiving circuit components for motor control and a plurality of unit accommodation chambers for receiving the plurality of units in a drawer manner,
The plug
A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formed of conductors and connected to power lines; And
And an insulating cas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for receiving the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The above-
A back plate constituting a base plate of the upper plate;
A plurality of insulating diodes perpendicular to the back plate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vertically formed to form a storage space therebetween;
At least one fixing piec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partition plates and outside; And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formed through the back plate to fix the power terminal and the insulating case to the back plate.
상기 하판은,
상기 하판의 베이스 판을 이루는 배면판;
상기 배면판에 수직하며 서로 이웃하는 측판;
상기 측판 사이에 상기 전원단자가 수납될 수 있는 절연홈이 형성되도록 상하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판;
상기 측판 및 배면판에 연결되어 상기 하판의 일 측면을 이루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구; 및
상기 복수의 돌출구에 상기 전원단자가 통과되도록 관통되어진 복수의 단자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구가 형성된 상기 연결판과 마주보는 타측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plate,
A back plate constituting a base plate of the lower plate;
A side plate perpendicular to the back plate and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guide plates disposed between the side plates so as to form insulat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power terminals;
A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side plate and the back plate to form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And
And a plurality of terminal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allow the power source terminal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connecting plate on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s opened.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상기 전원단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 및 하판에 각각 볼트공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된 볼트공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The method of claim 3,
A bolt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fix the power terminal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bolt holes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복수의 돌출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돌출구의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have different heights of the protrusion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상판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판의 배면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pper plate is protruded from one sid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neighboring guide portions,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portion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uide portions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vertically formed on the back plate of the upper plate;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terminal through-hole.
상기 복수의 전원단자 각각은 일단이 절곡되어 결합부를 형성하며, 타단이 상기 하판의 단자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단자의 몸체에는 상기 절연케이스 및 상기 전원선과 결합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terminals has one end folded to form a coupl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of the lower plate,
Wherein the body of the power terminal has a plurality of bolt holes penetrating the insulating case and the power line.
상기 전원단자 각각의 타단측에서 상기 하판과 주름 형상의 절연고무가 결합되며,
상기 절연고무는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돌출구의 결합홈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wer plate and the corrugated insulating rub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other end side of each of the power supply terminals,
Wherein the insulating rubber is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protrusion by a protruding and formed coupling protrusion.
상기 전원단자 각각의 타단측에서 상기 하판과 주름 형상의 절연고무가 결합되며,
상기 절연고무는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면에 의해 상기 돌출구의 결합홈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면에는 내부로 함몰된 형상의 내곡면부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wer plate and the corrugated insulating rub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other end side of each of the power supply terminals,
The insulating rubber may be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protrusion by a protruding coupling surface,
Wherein the coupling surface further includes a recessed surface portion that is recessed inwardly.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전원단자에 서로 마주보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도체로 구성되며 유닛측 전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각각이 수용 결합되며,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된 복수의 단자대; 및
상기 복수의 단자대 각각에 상기 접속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자대의 높이가 상이하고, 상기 커넥터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닛의 후면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한 결합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9,
Wherein the plug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which is opposed to and joined to or separated from the power terminal,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constituted by conductors and connected to unit-side electric wires;
A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nd formed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nd
And a pair of bolts and a nut for fixing the connection termina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Wherein the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have a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adjacent terminal blocks, and one side of the connector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upling hole having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rear side of the unit.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전원단자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볼트와 상기 유닛측 전선이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접속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접속부에 수용 결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가운데가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
일면에 상기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체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된 탄성체 수용홈;
타면에 상기 접속부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형상이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 돌출구; 및
상기 접속부가 걸리도록 상기 접속부의 하단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측에 상기 유닛측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공;
상기 너트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너트 돌출편을 수용하도록 볼트공에 형성된 돌출편 수용홈; 및
상기 너트의 돌출편을 안내하기 위해 하단에 형성된 돌출편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A connection unit coupl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 connection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bolt and the unit-side electric wire; And
And an elastic body that is received in and coupl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to secure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cutting groove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center;
An elastic body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cutout groove to receive the elastic body therein;
A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o reinforce the connection part; And
And engaging jaw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engage the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A bolt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to fix the unit-side electric wire to one side;
A protruding piec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lt hole to receive a pair of nut projecting pieces formed integrally with the nut; And
And a protruding piece guide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to guide the protruding piece of the nut.
상기 복수의 단자대 각각은,
상기 접속단자의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전면에서 후면까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개구부;
상기 가이드 개구부의 중간 부위 양측에 상기 접속부의 걸림턱이 걸려지도록 형성된 돌출턱;
상기 가이드 개구부의 하부에 상기 너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너트 수용홈; 및
상기 너트 수용홈의 하부에 상기 볼트의 나사봉을 수용하도록 상기 너트 수용홈의 하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봉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볼트와 상기 유닛측 전선이 상기 연결부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가 상기 후면을 통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개구부의 상부와 상기 후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includes:
A guide opening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body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A protruding jaw formed on both sides of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guide opening to engage with the engaging jaws of the connecting portions;
A nut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opening to receive the nut; And
And a screw thread receiving groove formed vertically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nut receiving groove to receive the threaded bar of the bolt at a lower portion of the nut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bolt and the unit side electric wire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upper and the rear of the guide opening are open so that the nu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rear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30002082U KR200474390Y1 (en) | 2013-03-20 | 2013-03-20 | Plug for Motor Control Ce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30002082U KR200474390Y1 (en) | 2013-03-20 | 2013-03-20 | Plug for Motor Control Cent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74390Y1 true KR200474390Y1 (en) | 2014-11-03 |
Family
ID=5228848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3000208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4390Y1 (en) | 2013-03-20 | 2013-03-20 | Plug for Motor Control Cen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74390Y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04359U (en) * | 2014-05-27 | 2015-12-07 | 김진왕 | Female and male connector formotor controlcenter |
| KR101615602B1 (en) | 2014-12-17 | 2016-04-26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Secondary connector of bucket of distribution panel |
| CN106208741A (en) * | 2016-08-30 | 2016-12-07 | 常州博瑞电力自动化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soft straight module of separate type based on Mume flower contact |
| KR20230016371A (en) * | 2021-07-26 | 2023-02-02 | 코리아알프스(주) | Electric Connector for MCC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92354A (en) * | 1995-09-28 | 1997-04-04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Crimping joint connector |
| KR100795609B1 (en) * | 2006-12-22 | 2008-01-21 | 차경완 | Cable connector for semiconductor inspec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100003516U (en) * | 2008-09-23 | 2010-04-01 | 홍긴표 | Wire connection terminal |
| KR20110005812U (en) * | 2009-12-04 | 2011-06-10 | 김진왕 | Male and female connectors |
-
2013
- 2013-03-20 KR KR2020130002082U patent/KR20047439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92354A (en) * | 1995-09-28 | 1997-04-04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Crimping joint connector |
| KR100795609B1 (en) * | 2006-12-22 | 2008-01-21 | 차경완 | Cable connector for semiconductor inspec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100003516U (en) * | 2008-09-23 | 2010-04-01 | 홍긴표 | Wire connection terminal |
| KR20110005812U (en) * | 2009-12-04 | 2011-06-10 | 김진왕 | Male and female connectors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04359U (en) * | 2014-05-27 | 2015-12-07 | 김진왕 | Female and male connector formotor controlcenter |
| KR200479262Y1 (en) | 2014-05-27 | 2016-01-08 | 김진왕 | Female and male connector formotor controlcenter |
| KR101615602B1 (en) | 2014-12-17 | 2016-04-26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Secondary connector of bucket of distribution panel |
| CN106208741A (en) * | 2016-08-30 | 2016-12-07 | 常州博瑞电力自动化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soft straight module of separate type based on Mume flower contact |
| KR20230016371A (en) * | 2021-07-26 | 2023-02-02 | 코리아알프스(주) | Electric Connector for MCC |
| KR102606958B1 (en) * | 2021-07-26 | 2023-11-29 | 코리아알프스(주) | Electric Connector for MCC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923663B2 (en) | Triplex receptacle | |
| US7740484B1 (en) | Rotatable receptacle | |
| KR100910100B1 (en) | Terminal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 |
| CN108551140B (en) | Bus foundation unit structure | |
| KR200474390Y1 (en) | Plug for Motor Control Center | |
| JP2011040219A (en) | Dc outlet | |
| JP2014154802A (en) | USB outlet | |
| US20100130042A1 (en) |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 |
| KR200457984Y1 (en) | Male and female connectors | |
| US20120171891A1 (en) | Plug | |
| JP2019135769A (en) | USB outlet | |
| JP2024174083A (en) | USB outlet | |
| JP2017224832A (en) | Usb receptacle | |
| KR200479262Y1 (en) | Female and male connector formotor controlcenter | |
| CN111480267A (en) | Terminal block and air conditioner | |
| JP5330948B2 (en) | Plug | |
| JP5330949B2 (en) | Plug | |
| KR101768080B1 (en) | A terminal block with improved function | |
| US10468791B1 (en) | Terminal block | |
| JP2010027248A (en) | Direct current receptacle | |
| JP5351697B2 (en) | Wiring device | |
| KR102102588B1 (en) |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 |
| JP2014154474A (en) | Usb receptacle | |
| JP2018129151A (en) | Display device | |
| JP4001128B2 (en) | Outle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U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909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