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400Y1 - Multi-function cradle for the monito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cradle for the moni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5400Y1 KR200475400Y1 KR2020140005841U KR20140005841U KR200475400Y1 KR 200475400 Y1 KR200475400 Y1 KR 200475400Y1 KR 2020140005841 U KR2020140005841 U KR 2020140005841U KR 20140005841 U KR20140005841 U KR 20140005841U KR 200475400 Y1 KR200475400 Y1 KR 2004754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monitor
- fixed
- fixing
- rear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의 후면에 거치부가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미니PC, 셋탑박스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한손으로 모니터, TV 등을 손쉽게 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tand for a monitor, and is equipped with a mounting part on the rear side of the monitor, so that mini PCs and set-top boxes of various sizes can be easily and firmly mounted.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heard.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의 후면에 거치부가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미니PC, 셋탑박스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한손으로 모니터, TV 등을 손쉽게 들 수 있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tand for a monitor, and is equipped with a mounting part on the rear side of the monitor, so that mini PCs and set-top boxes of various sizes can be easily and firmly mounted. Furthermore, To a multifunctional stand for monitors.
모니터의 크기가 커지고 TV와 결합된 모니터, 스마트TV, 커브드UHD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컴퓨터는 하드디스크에서 SSD의 반도체 메모리로 전력소모가 작으면서 무게, 성능을 향상시킨 부품이 장착되면서 미니PC등의 소형화 시장이 커지고 있고, 일체형 PC가 출시되고 있다.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monitors, smart TVs, and curved UHDs have been released, and the SSD's semiconductor memory has been replaced by a mini-computer, which consumes less power and has increased weight and performance. The market for miniaturization of PCs is becoming larger, and integrated PCs are being released.
일체형PC는 외관이 심플하고 미려한 장점이 있으나, CPU, 메모리, ODD 등의 확장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어 확장성이 우수한 미니PC등이 여전히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Although the integrated PC has a simple and elegant appearance, it lacks scalability such as CPU, memory, and ODD, so mini PCs with excellent scalability are still popular.
그러나, 미니PC, 셋탑박스 등을 책상 위, 책상 밑 또는 거실장 위에 배치함에 따라 일체형PC에 비하여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로 하고, 연결 케이블 등을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disposing a mini PC, a set-top box, or the like on a desk, under a desk, or a living room requires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as compared to an integrated PC,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to organize connection cables and the like.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니터의 후면에 거치부가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미니PC, 셋탑박스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기때문에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하지 않고, 연결 케이블 등을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한손으로 모니터, TV 등을 손쉽게 들 수 있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unting part on the rear surface of a monitor, so that mini PCs and set-top boxes of various sizes can be easily and firmly mount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tand for a monitor in which a user can easily receive a monitor, a TV, and the like with one ha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니터의 후면에 형성된 베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모니터의 후면에 고정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를 제공한다.
And a mounting part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boss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nitor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by a fixing member.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모니터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bod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by the fixing member; A movable bracket movable up and down on the fixed body; And a bottom plate formed below the fixed body.
또한, 상기 고정몸체의 후면에 가이드슬릿이 상하 연장 형성되고,Further, a guide slit is vertically exten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body,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 전측에 상하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방향에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이동브라켓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와 연결되는 판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guide rail vertically extending in an inner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guide rail so as to be positioned at an inner lower side of the fixed body and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A plate member provided inside the fixing body so as to be position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
더불어, 상기 이동브라켓은 상기 고정몸체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몸체와 함께 상하이동하는 거치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oving bracket includes a movable body coupled to the guide rail of the fixed body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it; And a mounting frame coupled with the moving body and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moving body.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의 상기 가이드슬릿, 상기 가이드레일,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판부재는 복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guide slits, the guide rails, the elastic members, and the plate members of the fixed body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은 복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moving brackets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is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xed body.
또한, 상기 모니터의 후면과 상기 거치부의 고정몸체 전측 사이에 보조고정몸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n auxiliary fixing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and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body of the mounting portion.
아울러, 상기 바닥판 상부면과 상기 이동브라켓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lip prevention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bracket.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거치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oving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crew holes, and the stationary frame is fixed by a fixing member screwed to one of the screw holes of the moving body while passing through the stationary frame.
그리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전측에 수직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전측에 상하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고정판 후측과 상기 하부판 상부 사이에 수직형성되고, 상부에 축공이 형성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의 보강판의 축공을 수평관통하는 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unting frame includes a lower plate; A fixing plate vertic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A guide body extending vertically on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a reinforcing plate vertically form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shaft hole formed thereon, the shaft member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haft hole of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mounting frame; .
또한, 상기 이동몸체의 후측에 가이드홈이 상하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동몸체의 전측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복수 형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가이드몸체는 상기 이동몸체의 가이드홈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측에 복수의 나사홈이 상하 복수 형성되고,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과 상기 가이드몸체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screw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body. The guide body of the mounting frame is fixed to the movable body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are vertic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guide groove and a fixing member to be engaged with the screw hole of the moving body and the screw groove of the guide body.
본 고안은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의 후면에 거치부가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미니PC, 셋탑박스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한손으로 모니터, TV 등을 손쉽게 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tand for a monitor, and is equipped with a mounting part on the rear side of the monitor, so that mini PCs and set-top boxes of various sizes can be easily and firmly mounted.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hear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선에 따른 분리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1은 거치부에 거치시키고자 하는 대상물이 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stand for a monitor,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e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left side view of Fig. 1,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8,
Fig. 10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bject to be placed on the mounting part is mount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FIG.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stand for a monitor,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10)의 후면에 고정되는 거치부(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ultifunctional stand for monitors,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먼저, 상기 모니터(10)의 후면에 베사홀(12)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First, a plurality of
상기 베사홀(12)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거치부(40) 부위에는 복수의 관통공(20)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 are formed in a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0) corresponding to the bossa hole (12).
상기 거치부(40)는 상기 모니터(10)의 후면에 고정부재(30)에 의해 고정된다.The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관통공(20)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베사홀(12)에 나사 결합 되는 볼트, 접시나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다음으로, 상기 거치부(40)는 크게 고정몸체(410), 이동브라켓(420) 및 바닥판(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상기 고정몸체(410)는 상기 고정부재(30)에 의해 상기 모니터(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상기 이동브라켓(420)은 상기 고정몸체(41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바닥판(430)은 상기 고정몸체(410)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몸체(410)의 후방 방향으로 수평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다음으로, 상기 고정몸체(410)는 크게 가이드슬릿(412), 가이드레일(414), 탄성부재(416) 및 판부재(418)가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상기 가이드슬릿(412)은 상기 고정몸체(410)의 후면에 상하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레일(414)은 상기 고정몸체(410)의 내부 전측에 상하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재(416)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내부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재(416)는 상기 가이드레일(414)의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재(416)의 상부는 상기 이동브라켓(420)의 후술할 이동몸체(422) 하부면에 일체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탄성부재(416)는 테이퍼 코일 스프링 등 복원력이 저하되지 않는 스프링을 적용하여 상기 거치부(40)에 거치시키고자 하는 대상물(도 8의 80)의 장착성이 용이하도록 하는것이 좋다.The
상기 판부재(418)는 상기 탄성부재(416)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410)의 내부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판부재(418)는 상기 탄성부재(416)의 하부와 일체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다음으로, 상기 이동브라켓(420)은 크게 이동몸체(422)와 거치프레임(4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moving
상기 이동몸체(422)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가이드레일(414)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슬릿(412)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거치프레임(424)은 상기 이동몸체(422)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몸체(422)와 함께 상하 이동할 수 있다.The
상기 이동몸체(422)에는 복수의 나사공(426)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crew holes 426 may be formed in the
상기 거치프레임(424)은 상기 거치프레임(424)의 전측 상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이동몸체(422)의 나사공(426)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30)에 의해 상하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The mountin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e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다음으로,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기 가이드슬릿(412), 상기 가이드레일(414), 상기 탄성부재(416) 및 상기 판부재(418)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복수 구비될 수 있다.2 and 6, the guide slit 412, the
또한, 상기 이동브라켓(420)은 상기 고정몸체(41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복수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moving
복수의 상기 이동브라켓(420)의 상하위치는 상기 대상물(도 8의 80)의 상부면 높낮이 변화에 따라 상하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될 수도 있다.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moving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a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50)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10)와 함께 상기 거치부(40)를 손쉽게 들 수 있다.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mounting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10)의 후면과 상기 거치부(40)의 고정몸체(410) 전측 사이에 보조고정몸체(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an
상기 보조고정몸체(60)로 인해 사용자는 손잡이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The auxiliary securing body (60) allows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handle.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조고정몸체(60)에도 상기 고정부재(30)가 관통하는 상기 관통공(20)이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hrough-
도 7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7 is a left side view of Fig.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430) 상부면과 상기 이동브라켓(420) 하부면에 각각 미끄럼방지부(7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상기 바닥판(430)의 상부면에는 1개 또는 1개 이상의 상기 미끄럼방지부(70)가 상기 바닥판(4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 구비될 수 있다.One or more
상기 미끄럼방지부(70)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선에 따른 분리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 단면도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and FIG. 10 is a coupled sectional view of FIG.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프레임(424)은 하부판(424a), 고정판(424b), 가이드몸체(424c), 보강판(424d) 및 축부재(424f)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8, the mounting
상기 하부판(424a)의 전측에 상기 고정판(424b)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상기 가이드몸체(424c)는 상기 고정판(424b) 전측에 상하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몸체(424c)의 전측에 복수의 나사홈(424g)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9, a plurality of
상기 보강판(424d)은 상기 고정판(424b) 후측과 상기 하부판(424a) 상부 사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상기 보강판(424d)의 상부에 축공(424e)이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보강판(424d)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고정판(424b) 후측과 상기 하부판(424a)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보조보강판(424h)이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reinforcing
상기 보강판(424d) 및 상기 보조보강판(424h)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16)의 장력에 의한 상기 거치프레임(424)의 틀어짐 및 젖혀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vision of the reinforcing
상기 축부재(424f)는 상기 거치프레임(424)의 보강판(424d)의 축공(424e)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The
특히, 복수 형성된 상기 거치프레임(424)의 보강판(424d)의 축공(424e) 각각에 상기 축부재(424f)를 관통시켜, 복수의 상기 거치프레임(424) 모두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Particularly, the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422)의 후측에 가이드홈(422a)이 상하 연장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9 and 10, a
상기 이동몸체(422)의 전측에 상기 가이드홈(422a)과 연통되는 나사공(426)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복수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crew holes 426 communicating with the
상기 거치프레임(424)의 가이드몸체(424c)는 상기 이동몸체(422)의 가이드홈(422a)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The
상기 가이드몸체(424c)의 전측에 복수의 나사홈(424g)이 상하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이동몸체(422)의 나사공(426)과 상기 가이드몸체(424c)의 나사홈(424g)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A fixing
또한, 상기 고정몸체(410)의 전면에도 상기 가이드슬릿(412)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이동몸체(422)의 나사공(426)과 상기 가이드몸체(424c)의 나사홈(424g)에 상기 고정부재(30)를 원활히 결합하기 위함이다.
The guide slit 41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도 11은 거치부에 거치시키고자 하는 대상물이 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bject to be placed on the mounting part is mounted.
상기 거치부(40)의 거치프레임(424) 하부와 상기 바닥판(430)의 상부 사이에 거치시키고자 하는 대상물(80)은 미니PC, 베어본PC, 셋탑박스, 스마트박스 등 다양한 제품이 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이동브라켓(420)의 거치프레임(424)이 상하 이동하여 상기 대상물(80)의 상부면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416)의 당김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80)의 상부면에 상기 거치프레임(424)이 보다 더욱 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는 모니터(10)의 후면에 거치부(40)가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미니PC, 셋탑박스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기때문에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하지 않고, 연결 케이블 등을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한손으로 모니터, TV 등을 손쉽게 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ultifunctional stand for moni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ounting
10; 모니터, 40; 거치부.10; Monitor, 40; Mounting area.
Claims (12)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모니터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몸체의 후면에 가이드슬릿이 상하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 전측에 상하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방향에 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이동브라켓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와 연결되는 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A mounting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vesa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nitor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by a fixing member; , ≪ / RTI >
A fixing body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monitor by the fixing member;
A movable bracket movable up and down on the fixed body;
And a bottom plat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body,
A guide slit is formed vertical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body,
A guide rail vertically extending in an inner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guide rail so as to be positioned at an inner lower side of the fixed body and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A plate member provided inside the fixing body so as to be position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Wherein the multi-functional cradle for a monitor is provided.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모니터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몸체의 후면에 가이드슬릿이 상하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 전측에 가이드레일이 상하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동브라켓은 상기 고정몸체의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몸체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거치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A mounting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vesa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nitor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by a fixing member; , ≪ / RTI >
A fixing body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monitor by the fixing member;
A movable bracket movable up and down on the fixed body;
And a bottom plat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body,
A guide slit is formed vertical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body,
A guide rail is vertically extend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The moving bracket being coupled to the guide rail of the fixed body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it;
And a mounting frame coupled to the moving body to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moving body.
상기 고정몸체의 상기 가이드슬릿, 상기 가이드레일,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판부재는 복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slits, the guide rails, the elastic members, and the plate members of the fixed body are provided.
상기 이동브라켓은 복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the moving brackets are provided.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handle is further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fixed body.
상기 모니터의 후면과 상기 거치부의 고정몸체 전측 사이에 보조고정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auxiliary fixing body is provided between a rear surface of the monitor and a front side of a fixing body of the mounting portion.
상기 바닥판 상부면과 상기 이동브라켓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non-slip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bracket.
상기 이동몸체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거치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screw holes are formed in the moving body, and the stationary frame is fixed by a fixing member screwed into any one of the screw holes of the moving body while passing through the stationary frame. holder.
상기 거치프레임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전측에 수직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전측에 상하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고정판 후측과 상기 하부판 상부 사이에 수직형성되고, 상부에 축공이 형성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의 보강판의 축공을 수평관통하는 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nting frame includes a bottom plate;
A fixing plate vertic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A guide body extending vertically on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a reinforcing plate vertically form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shaft hole formed thereon,
A shaft member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haft hole of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mounting frame; Wherein the multi-functional cradle for a monitor is provided.
상기 이동몸체의 후측에 가이드홈이 상하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동몸체의 전측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복수 형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가이드몸체는 상기 이동몸체의 가이드홈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측에 복수의 나사홈이 상하 복수 형성되고,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과 상기 가이드몸체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기능 거치대.
10. The method of claim 9,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ovable body,
A plurality of screw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body,
Wherein a guide body of the stationary frame is accommodated in a guide groove of the movable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are vertic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body,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crew hole of the moving body and the screw groove of the guide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40005841U KR200475400Y1 (en) | 2014-08-04 | 2014-08-04 | Multi-function cradle for the moni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40005841U KR200475400Y1 (en) | 2014-08-04 | 2014-08-04 | Multi-function cradle for the moni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75400Y1 true KR200475400Y1 (en) | 2014-12-01 |
Family
ID=5353791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400058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5400Y1 (en) | 2014-08-04 | 2014-08-04 | Multi-function cradle for the moni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75400Y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76679B1 (en) * | 2015-12-01 | 2016-11-17 | 유한회사 셋토퍼 | Frame-mounted set-top box |
| KR101823085B1 (en) | 2016-07-28 | 2018-01-31 | 동오정밀 주식회사 | The wall mount for a radio router or set-up box |
| KR200487732Y1 (en) | 2017-08-11 | 2018-10-29 | 유한회사 셋토퍼 | Cradle of built-in set-top box with speaker |
| KR200492757Y1 (en) * | 2020-04-13 | 2020-12-04 |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북부 | TV set top box hanger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107229A (en) * | 2004-05-08 | 2005-11-11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Elevator device for thin type television |
| JP2007300199A (en) * | 2006-04-27 | 2007-11-15 | Funai Electric Co Ltd | Television receiver |
-
2014
- 2014-08-04 KR KR2020140005841U patent/KR20047540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107229A (en) * | 2004-05-08 | 2005-11-11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Elevator device for thin type television |
| JP2007300199A (en) * | 2006-04-27 | 2007-11-15 | Funai Electric Co Ltd | Television receiver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76679B1 (en) * | 2015-12-01 | 2016-11-17 | 유한회사 셋토퍼 | Frame-mounted set-top box |
| KR101823085B1 (en) | 2016-07-28 | 2018-01-31 | 동오정밀 주식회사 | The wall mount for a radio router or set-up box |
| KR200487732Y1 (en) | 2017-08-11 | 2018-10-29 | 유한회사 셋토퍼 | Cradle of built-in set-top box with speaker |
| KR200492757Y1 (en) * | 2020-04-13 | 2020-12-04 |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북부 | TV set top box hang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75400Y1 (en) | Multi-function cradle for the monitor | |
| US8469325B2 (en) | Musical instrument stand with an angle adjustment function | |
| US8136775B2 (en) | Rack assembly | |
| US9638354B1 (en) | Cable organizing assembly | |
| US8028965B2 (en) | Adjustable bracket for a slide assembly | |
| US8203854B2 (en) | Display suspending frame device, and assembly of the display suspending frame device, a display, and an electronic device | |
| US8408504B1 (en) | Television support assembly | |
| KR101697709B1 (en) | Hight adjustable book shelf | |
| US8297560B2 (en) | Line-management assembly | |
| US20220263281A1 (en) | Power rail system | |
| US11278119B2 (en) | Flat panel television mount | |
| KR20230162915A (en) | Rack for supporting electric cables | |
| US9887525B2 (en) | Electrical gang box assembly | |
| KR101689756B1 (en) | Assembling holder for arrangement cable | |
| KR101558303B1 (en) | A partition | |
| CN101192077A (en) | computer case holder | |
| CN102494228B (en) | Fixing device for dual-purpose flat television | |
| EP2520198A1 (en) | Auxiliary support for a piece of furniture to be fixed to a wall | |
| KR101852380B1 (en) | A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
| US20070234936A1 (en) | Appliance stand with subsidiary member | |
| CN203953108U (en) | Working position screen | |
| US20170343024A1 (en) | Automatically Adjustable Connection Structure | |
| KR200498633Y1 (en) | Storage shelf device attached to wall-mounted video equipment | |
| CN205621977U (en) |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power cord integrated form spooler | |
| CN100379329C (en) | Display with wire arrangement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201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