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08Y1 - Balltap For Water Tank With Height Adjustable Apparatus - Google Patents
Balltap For Water Tank With Height Adjustabl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808Y1 KR200476808Y1 KR20130006007U KR20130006007U KR200476808Y1 KR 200476808 Y1 KR200476808 Y1 KR 200476808Y1 KR 20130006007 U KR20130006007 U KR 20130006007U KR 20130006007 U KR20130006007 U KR 20130006007U KR 200476808 Y1 KR200476808 Y1 KR 2004768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tank
- water storage
- supply pipe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4—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양변기의 저수조에 설치되는 볼탭의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의 규격에 관계없이 볼탭의 설치가 가능하여 볼탭의 설치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은 볼탭의 하부에 저수조의 설치공을 통해 저수조의 외부로 돌출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과 상기 저수조 사이의 수밀 작용을 하는 수밀링; 상기 저수조의 외부로 돌출되는 급수관의 단부에 체결되어서 볼탭을 저수조에 고정하는 너트; 및 상기 저수조 내에서 볼탭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높낮이 조절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구는 저수조 내에서 볼탭의 설치높이를 가변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의 규격에 관계없이 볼탭 설치가 가능하여 볼탭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ball tap installed in a water storage tank of a toilet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ball tap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tandard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of the ball tap can be improved. The ball tab for the reservoir capable of adjusting the ele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ter pipe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water reservoir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reservoir at the bottom of the bolt; A water mill for watertight func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torage tank; A nut fastened to an end of a water supply pipe protruding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fix the ball tap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tubular height adjuster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to adjust a mounting height of the bolt in the water storage tank. The height adjus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olt can be adjusted in the water tank in a variable manner, thereby enabling the installation of the bolt regardless of the standard of the water tank, thereby improving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of the bolt.
Description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저수조에 설치되는 볼탭의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의 규격에 관계없이 볼탭의 설치가 가능하여 볼탭의 설치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 tap for adjustable he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ll tap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ball tap installed in a water tank of a toilet, so that the ball tab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 of the water ta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 tap for a reservoir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는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의 후방에는 상기 변기본체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수된 저수조로 구성된다.Generally, a toilet bowl is composed of a toilet bowl body in which a user sits and looks at the toilet bowl, and a water storage tank in which wash water for washing the toilet bowl body is stor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body.
또한, 상기 저수조에는 상기 저수조 측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볼탭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bolt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한편, 종래의 볼탭 구조를 살펴보면, 세척수 공급관 상측으로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의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 동작시켜 저수조 내로의 세척수 공급을 개폐할 수 있도록 부구가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저수조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부구가 상하 동작하면서 이와 연결되어 있는 로드가 수평방향으로 경사동작하여 물 공급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개폐시켜 저수조 내로 세척수의 공급을 개시 또는 차단한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ball tap structure, an opening / closing valv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an opening is connected to an adjacent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to open / close the opening / closing valve to open / close the washing water supply into the water storage tank. The rod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d is til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thereby opening /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valv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to start or stop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do.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163417호, 316336호, 423762호 등에는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No. 163417, No. 316336, No. 423762, etc. disclose a ball tap for a toilet water storage tank.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ll tap for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은 개폐레버(40)에 결합된 부구(50)가 부력차에 의하여 모멘트를 갖게 되면, 상기 개폐레버(40)가 볼탭덮개(30)에 형성된 유출구(31)를 개폐하여 급수 동작을 개시 또는 차단한다. 도면부호 '1'은 급수관을 도면부호 '3'은 배출관을 나타낸다.1, when the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FIGS. 2 and 3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nother ball tap for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볼탭의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ill state of the ball tab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의 급수관(1) 상에는 다이아프램(25)이 닫힘상태를 유지한다. 저수조에 물이 차있는 평상시에는 급수관(1)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이동판(21)의 유입구(22)를 통해 압력실(9)로 이동한다. 한편, 압력실 유출구(31)는 개폐레버(40)에 의해 막혀져 있으므로, 압력실(9)로 이동된 물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다이아프램(25)에 압력을 가하여 급수관(1)에 밀착시킨다. 한편, 급수관(1)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진 돌기를 구비한 역류방지기(70)가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볼탭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ball tab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을 참조하면, 저수조의 물이 배출되면 부구(미도시)가 아래쪽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개폐레버(40)가 하강하게 되어, 압력실 유출구(31)를 개방한다. 이와 함께, 압력실(9)에 머물던 물은 압력실 유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압력실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으로 떨어지며, 이동판(21)과 다이아프램(25)은 급수관(1)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점차 위쪽으로 이동한다. 급수관(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배출관(3)을 통하여 저수조 또는 림측으로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is discharged, the valve (not shown) is lowered and the opening /
한편, 급수관(1)의 하부에서 물이 공급되면서 수압으로 인하여 역류방지기(70)의 돌기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며, 그로 인하여 생긴 틈으로 물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기(70)는 볼탭으로 공급되던 물이 단수되었을 때, 저수조의 물이 수도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은 배관의 이물질 등으로 볼탭으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ball tab is not smooth due to the foreign material of the pipe.
즉, 종래기술에서는 압력실 유입구(22)는 볼탭덮개에 고정 배치된 유입구핀(23) 사이를 상하 이동하는 구조인데, 그 틈 사이에 약하게 걸려있는 이물질은 상하 이동 운동에 의해 빠져나가게 된다. 하지만, 날카로운 이물질은 그 틈 사이에 끼어 박히면서 이동판(21)과 다이아프램(25)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이다.That is, in the prior art, the
또한, 역류방지기(70)의 구조물 사이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에도 역류방지기가 개방된 상태로 멈춰서 복귀하지 않아 단수시 역류가 발생한다.Also, even when foreign substances are trapped between the structures of the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을 개발하였으며(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3660호),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ball tap for a toilet water tank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3660).
도 4는 실용신안등록제 20-0443660호의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tap for a toilet water storage tank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3660.
도 4를 참조하면, 실용신안등록제 20-0443660호의 볼탭은 급수관(1)과 배출관(3) 및 연결관과 토출구(7) 사이의 급수실(5)로 이루어진 볼탭 몸체(10), 볼탭 몸체(10)의 급수실 상에 배치되어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급수를 개폐하는 급수 개폐부(12), 급수 개폐부(12) 상에 배치되며 볼탭 몸체의 상부와 결합하여 그 사이에 압력실을 형성하는 볼탭덮개(13), 볼탭덮개(13)의 압력실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레버(14) 및 개폐레버(14)와 연결되는 부구(15)가 결합하는 부구조절 막대(16), 및 배출구에 설치된 진공방지기(17)로 구성된다.4, the ball tap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system 20-0443660 includes a
이와 같이 구성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43660호의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은 종래 볼탭에서 발생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였다.The ball tap for the toilet bowl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3660 thus configured solves the structural problem in the conventional ball tap.
그러나, 종래 도 1 내지 도 3의 볼탭과 도 4의 볼탭은 그 본연의 목적만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그 동작관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작동하나, 모두 저수조와의 연결관계에 있어서는 개선해야할 부분이 존재한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operation of the ball tap of FIGS. 1 to 3 and the ball tap of FIG. 4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only the intrinsic purpose thereof. Lt; / RTI >
도 5는 종래 저수조와 볼탭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ater tank and a ball tap.
도 5를 참조하면, 저수조(101)의 바닥에는 설치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02)에는 볼탭(103)의 급수관(104)이 삽입된다.5, an
상기 급수관(4)의 외면에는 상기 저수조(101)의 바닥면과 걸림 연결되는 받침대(105)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05)와 저수조(101)의 바닥면 사이에는 수밀링(107)이 개재된다.And a
또한, 상기 설치공(102)을 통과하여 저수조(101)의 하방으로 돌출된 급수관(104)의 단부에는 너트(106)가 체결된다.A
그런데,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의 규격은 이를 제조하는 회사, 양변기의 구조 및 양변기가 설치되는 욕실 또는 화장실의 구조에 따라 다른 치수를 갖도록 제작되지만, 종래 볼탭은 그에 관계없이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된다. 이에 저수조와 볼탭 간의 규격에 차이가 발생하여 볼탭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size of the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is manufactured to have different dimension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company, the structure of the toilet bowl, and the structure of the bathroom or toilet where the toilet bowl is installed. Theref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specifications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bolt, which made it difficult to install the ball tap.
예를 들어 살펴보면, 기존 양변기에 적용되는 저수조의 높이는 상술한 여러 이유로 인해 다양한 높이를 갖게 된다. 이에, 상기 저수조의 높이와 볼탭의 높이가 설치 가능한 비율일 경우에는 볼탭의 설치에 문제가 없으나, 위생 도기 판매점에서 저수조의 규격에 맞추어 볼탭의 구분 판매가 어렵고, 잘못 판매된 경우 현장에서 시공을 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For example, the height of a reservoir applied to a conventional toilet can vary in height due to various reasons described above. If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height of the bolt tab are set, there is no problem in the installation of the bolt.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vide the bolt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of the water tank in the sanitary ware shop, You will have difficulti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급수관(1)과 배출관(3)을 2단으로 분할하고 오링으로 연결하여 일정길이를 겹치도록 하여 볼탭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는 좋으나 급수관이 분할됨에 따른 누수 위험이 커지고 조절된 길이의 고정장치가 제대로 시공되지 않으면 수업에 의해 볼탭 상부가 튀어나갈 수 있다. 또한, 가격이 비싸서 판매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dividing the water supply pipe (1) and the discharge pipe (3) into two stages and connecting them with O-rings and overlapping certain lengths to adjust the overall height of the bolt as shown in FIG. This method is good to adjust the height freely, but the risk of leakage due to the splitting of the water supply pipe increases, and if the fixing device of the adjusted length is not properly installed, the upper part of the ball bolt can protrude by the class. Also, the price is so high that sales are not getting well.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높낮이 조절구를 사용하여 누수의 위험이 없고 경제적인 구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which is free from the risk of leakage by using a height adjuster,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n economical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은 볼탭의 하부에 저수조의 설치공을 통해 저수조의 외부로 돌출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과 상기 저수조 사이의 수밀 작용을 하는 수밀링; 상기 저수조의 외부로 돌출되는 급수관의 단부에 체결되어서 볼탭을 저수조에 고정하는 너트; 및 상기 저수조 내에서 볼탭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높낮이 조절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l tap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water reservoir, comprising: a water supply pipe protruding from an outer side of a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mounting hole of a water storage tank; A water mill for watertight func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torage tank; A nut fastened to an end of a water supply pipe protruding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fix the ball tap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tubular height adjuster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to adjust a mounting height of the bolt in the water storage tank.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상하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lange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에 높낮이 조절구와 수밀링을 삽입한 상태로 급수관의 단부를 저수조의 설치공에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하여 볼탭의 높이를 높이거나,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에 수밀링을 삽입한 상태로 급수관의 단부를 저수조의 설치공에 삽입 위치시키고 높낮이 조절구를 삽입시키고 너트로 고정하여 볼탭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bolt is increased by inserting the end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nto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storage tank with the height adjusting member and water milling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fixing the water supply pipe with the nut, Insert the end of the water pipe into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tank with inserting, inserting the height adjuster, and fixing it with the nut, the height of the bolt can be lowered.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는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은 서로 체결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ipe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may be var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는 저수조 내에서 볼탭의 설치높이를 가변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의 규격에 관계없이 볼탭 설치가 가능하여 볼탭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er of the ball tap for the reservoir can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olt in the reservoir, thereby enabling the installation of the bolt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 of the reservoir, It is effectiv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실용신안등록제 20-0443660호의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저수조와 볼탭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으로 급수관이 분할된 구조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가 볼탭을 높이는 상태로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가 볼탭을 높이는 상태로 조립할 때 설치가 불가능한 저수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서 설치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높이 조절구의 위치를 변경시켜 볼탭을 낮추는 상태로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ll tap for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S. 2 and 3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ball tap for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tap for a toilet water storage tank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3660.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ater tank and a ball tap.
FIG. 6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pipe is divided into a ball tap for a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installation view showing a method for assembling a height-adjusting portion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ball-tab is raised.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ater storage tank in which a height adjust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installed when a ball tap is raised.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installation is not possible in FIG. 9, and the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assembly can be assembled and lowered in a state of lowering the bolt.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height adjust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구를 구비하여 양변기의 저수조 내에 설치되는 볼탭의 설치높이를 시공자 편의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볼탭의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설치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all t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ight adjusting mechanism so that the mounting height of a bolt installed in a water tank of a toile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convenience,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installation of the ball ta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1 실시예)(Embodiment 1)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을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구(100)는 중앙이 통공된 관 형상으로서, 상하단에는 플랜지부(110)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다수의 보강돌부(12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구(100)의 관 형상 내부에는 볼탭의 급수관이 삽입된다.Referring to FIG. 7, the
도 8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100)는 저수조(101) 내에서 볼탭(103)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8 to 9 are installation stat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ight adjusting memb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이용하여 볼탭의 설치높이가 높아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height of a mounting portion of a bolt is increased by us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볼탭(103)의 급수관(104)의 외주면에 높낮이 조절구(100)와 수밀링(107)을 삽입한 상태로 저수조(101)의 설치공(102)에 삽입 위치시킨다. 8, a
높낮이 조절구(100)는 그 상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10)를 통해 그 연결부위가 더욱 긴밀하게 밀착된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구(100)를 설치하면, 그 상단의 플랜지부(110)가 상기 급수관(104)의 외면에 형성된 받침대(105)와 맞닿게 되고, 그 하단의 플랜지부(110)가 수밀링(107)의 윗면에 맞닿게 되고, 수밀링(107)의 아래 경사면이 저수조(110)의 바닥면과 맞닿게 된다.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상기 급수관(104)의 단부는 저수조의 설치공(102)을 통해 저수조(101)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저수조(101)의 외부로 돌출된 급수관(104)의 단부에 너트(106)를 체결하여, 볼탭(103)과 높낮이 조절구(100) 및 수밀링(107)은 상기 너트(106)를 통해 저수조(101) 내에서 견고한 연결관계를 갖게 되고, 수밀링(107)을 통해 급수관(104)과 저수조(101) 사이에 밀결이 이루어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The end of the
한편, 이와 같은 연결구조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100)는 위와 아래에서 눌리는 힘을 받게 되는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100)는 그 외면에 다수의 보강돌부(12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In this connection structure, the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10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연결하면, 상기 볼탭(103)의 설치 높이는 높낮이 조절구(100)의 높이만큼 높아진 상태가 된다.When the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가 볼탭을 높이는 상태로 조립할 때 설치가 불가능한 저수조의 구조를 나타낸다.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ater storage tank in which a height adjust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installed when a ball tap is raised.
도 9를 참조하면, 저수조의 뚜껑 부위 형태가 달라서 제1 실시예로 설치시 간섭이 발생되어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의 예이다.Referring to FIG. 9, the shape of the lid portion of the water reservoir is different, which i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interference can not be established due to install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이용하여 볼탭의 설치높이가 도 8 보다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ight of a bolt is lowered than that of FIG. 8 by us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볼탭(103)의 급수관(104)의 외주면에 수밀링(107)을 삽입한 상태로 저수조(101)의 설치공(102)에 삽입 위치시킨다. 10, a
상기 급수관(104)의 단부는 저수조의 설치공(102)을 통해 저수조(101)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급수관(104)의 외주면에 높낮이 조절구(100)를 삽입한 상태에서 급수관(104)의 단부에 너트(106)를 체결한다.The end of the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10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연결하면, 상기 볼탭(103)의 설치 높이는 도 8에 비해 높낮이 조절구(100)의 높이만큼 낮아진 상태가 된다.Accordingly, when the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100)는 저수조(101) 내에서 볼탭(103)의 설치높이를 가변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의 규격에 관계없이 볼탭의 설치가 가능하여 볼탭의 설치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As a result,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height adjust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용 볼탭의 높낮이 조절구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 height adjuster of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umbar sec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200)는 제1 연결관(210)과 제2 연결관(220)으로 구성된다.11 and 12, the
이때, 상기 제1 연결관(210)은 그 하부에 연장관(213)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장관(213)의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n
또한, 상기 제2 연결관(220)은 그 내측에 상기 연장관(213)이 체결되는 결속홀(22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200)는 상기 결속홀(221)에 체결되는 연장관(213)의 체결 깊이에 따라 상기 높낮이 조절구(200)의 높이에 대한 미세조절이 가능하다.The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200)는 저수조(1) 내에서 설치되는 볼탭(3)의 설치높이에 대한 미세조절이 가능하여 볼탭의 설치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constructions described herein,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급수관 3: 배출관
5: 급수실 7: 토출구
9: 압력실 10: 볼탭 몸체
12: 급수 개폐부 13, 30: 볼탭 덮개
14,40: 개폐 레버 15: 부구
16: 부구조절막대 17: 진공방지기
21: 이동판 22: 압력실 유입구
23: 유입구 핀 25: 다이아프램
31: 압력실 유출구 40: 개폐레버
50: 부구 70: 역류방지기
101: 저수조 102: 설치공
103: 볼탭 104: 급수관
105: 받침대 106: 너트
107: 수밀링 100, 200 : 높낮이 조절구
110 : 플랜지부 120 : 보강돌부
210 : 제1 연결관 213 : 연장관
220 : 제2 연결관 221 : 결속홀1: water supply pipe 3: discharge pipe
5: water supply chamber 7: discharge port
9: pressure chamber 10: bolt body
12: water supply opening / closing
14, 40: opening / closing lever 15:
16: Bucket adjustment rod 17: Vacuum protector
21: moving plate 22: pressure chamber inlet
23: inlet pin 25: diaphragm
31: pressure chamber outlet 40: opening / closing lever
50: Bug 70: Backflow prevention
101: Water tank 102: Installation ball
103: Ball tap 104: Water supply pipe
105: pedestal 106: nut
107: Water milling 100, 200: Height adjuster
110: flange portion 120: reinforcing projection portion
210: first connector 213: extension tube
220: Second connection pipe 221: Coupling hole
Claims (4)
상기 볼탭의 하부에 저수조의 설치공을 통해 저수조의 외부로 돌출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과 상기 저수조 사이의 수밀 작용을 하는 수밀링;
상기 저수조의 외부로 돌출되는 급수관의 단부에 체결되어서 볼탭을 저수조에 고정하는 너트; 및
상기 저수조 내에서 볼탭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높낮이 조절구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상하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에 높낮이 조절구와 수밀링을 삽입한 상태로 급수관의 단부를 저수조의 설치공에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하여 볼탭의 높이를 높이거나,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에 수밀링을 삽입한 상태로 급수관의 단부를 저수조의 설치공에 삽입 위치시키고, 상기 급수관의 단부는 저수조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급수관의 외주면에 높낮이 조절구를 삽입시키고 너트로 고정하여 볼탭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In a ball tap for a water storage tank that opens and closes water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A water supply pipe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an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storage tank at a lower portion of the ball tap;
A water mill for watertight func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torage tank;
A nut fastened to an end of a water supply pipe protruding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fix the ball tap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And a tubular height adjuster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to adjust a mounting height of the bolt in the water storage tank,
A flange portion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evation control means,
A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a water mill ar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fixed with a nut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bol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water storage tank while the water mill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height control memb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jected water supply pipe, To reduce the height of the bol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06007U KR200476808Y1 (en) | 2013-07-19 | 2013-07-19 | Balltap For Water Tank With Height Adjustabl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06007U KR200476808Y1 (en) | 2013-07-19 | 2013-07-19 | Balltap For Water Tank With Height Adjustable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0443U KR20150000443U (en) | 2015-01-28 |
| KR200476808Y1 true KR200476808Y1 (en) | 2015-04-07 |
Family
ID=5248278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30006007U Expired - Lifetime KR200476808Y1 (en) | 2013-07-19 | 2013-07-19 | Balltap For Water Tank With Height Adjustabl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76808Y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10277U (en) * | 1998-11-18 | 2000-06-15 | 이재우 | Toilet water supply |
| US6155288A (en) * | 1997-11-19 | 2000-12-05 | American Standard Inc. | Fill valve |
| JP2001507415A (en) | 1996-10-02 | 2001-06-05 | ハンター・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Adjustable injection valve assembly |
| KR200443660Y1 (en) | 2008-04-24 | 2009-03-06 | 이수인 (주) | Ball tap for toilet bowl |
-
2013
- 2013-07-19 KR KR20130006007U patent/KR200476808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507415A (en) | 1996-10-02 | 2001-06-05 | ハンター・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Adjustable injection valve assembly |
| US6155288A (en) * | 1997-11-19 | 2000-12-05 | American Standard Inc. | Fill valve |
| KR20000010277U (en) * | 1998-11-18 | 2000-06-15 | 이재우 | Toilet water supply |
| KR200443660Y1 (en) | 2008-04-24 | 2009-03-06 | 이수인 (주) | Ball tap for toilet bow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0443U (en) | 2015-01-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655318B2 (en) | Adjustable injection valve assembly | |
| US7895684B2 (en) | Canister flush valve | |
| RU2499101C2 (en) | Toilet flush valve with reducing cross section of valve seat | |
| US6260574B1 (en) | Toilet tank fill valve connectable to riser with pre-selected height | |
| CN109944309A (en) | Closestool connector | |
| JP4109921B2 (en) | Timing lock device for faucet | |
| JPH02285117A (en) | Handle assembly for flushing-valve | |
| TW201434427A (en) | Vacuum breaker, automatic flushing system for toilet, and electronic bidet toilet having the same | |
| US9499964B2 (en) | Flush water supply device, flush water tank assembly with flush water supply device, and flush toilet with flush water tank assembly | |
| CA2400135C (en) | Bypass orifice and filter for diaphragm type flush valve | |
| JP7434790B2 (en) | drain valve device | |
| KR200488209Y1 (en) | Adjustable seat fixation device for toilet | |
| KR200476808Y1 (en) | Balltap For Water Tank With Height Adjustable Apparatus | |
| WO2014201282A1 (en) | Water tank with free-floating valve member | |
| GB2270528A (en) | Dual-flush facility for syphonic flushing cistern | |
| US4283802A (en) | Toilet tanks with built-in water supply valve | |
| US3414005A (en) | Unified plastic ballcock and silencer | |
| US8590066B2 (en) | Offset outlet flush valve | |
| JP2020029738A (en) | Drain tap device | |
| EP0967337B1 (en) | Siphon assemblies | |
| KR102032988B1 (en) |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 |
| JP5831703B2 (en) | Wash water supply device, wash water tank device provided with this wash water supply device, and flush toilet equipped with this wash water tank device | |
| KR200330363Y1 (en) | A bed smell removal device of drain pipe for washbowl | |
| JP2006266276A (en) | Self-closing valve | |
| CA1048705A (en) | Portable toilet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719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929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330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