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7873Y1 - Frame for attaching protective material on dipaly panel - Google Patents

Frame for attaching protective material on dipal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873Y1
KR200477873Y1 KR2020130010782U KR20130010782U KR200477873Y1 KR 200477873 Y1 KR200477873 Y1 KR 200477873Y1 KR 2020130010782 U KR2020130010782 U KR 2020130010782U KR 20130010782 U KR20130010782 U KR 20130010782U KR 200477873 Y1 KR200477873 Y1 KR 200477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lay panel
protective
protective material
pro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7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2621U (en
Inventor
채영훈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예스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예스티티 filed Critical (주) 아이예스티티
Priority to KR2020130010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873Y1/en
Publication of KR20150002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62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873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명한 보호재를 쉽게 붙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이 개시된다. 개시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은, 중앙부에 개방된 창이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측의 정위치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테두리, 및 테두리에 형성되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이 전자기기에 올려질 때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된 상태로 보호재의 외측면을 접촉 지지하여 고정시키도록, 창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후크(hook)를 포함한다.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is disclosed that facilitates attaching a transparent protective material to a display panel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The disclosed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is provided with a window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formed at a rim and a rim to be fit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when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is put on the electronic device And a hook which is elastically biased in the window direction so as to support and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on material.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재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Frame for attaching protective material on dipaly pane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attaching a protective material to a display panel,

본 고안은 모바일폰(mobile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C)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재를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창안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designed to easily attach a protective material for protecting a display panel of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근래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PC의 유행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UI(user interface)가 보편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또는 스크래치(scratch)의 위험이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투명한 보호재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명한 보호재를 올바른 위치에 기포 없이 깨끗하게 부착하는 것은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라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8861호의 보호필름 부착용 모듈을 출원한 바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UI (user interface) using a touch screen has become popular due to the trend of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so that the risk of damage or scratch of the display panel increases. The use of transparent protective materials that adhere to the < / RTI >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ttach a transparent protective material to a display panel such as a smart phone without bubbles in a correct position without a skilled technician. Therefore, the applicant filed a protective film attachment modul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08861 There is a bar.

그러나,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모듈은 얇고 플렉서블(flexible)한 보호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데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대략 1mm 정도 두께의 하드(hard)한 보호재인 투명 패널(transparent panel)을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올바른 위치에 부착하는 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However, the module for attaching the protective film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attaching a thin and flexible protective film to a display panel. Therefore, it is still difficult to attach a transparent panel, which is a hard protective material, approximately 1 mm thick, to the correct position on the display panel.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886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8861

본 고안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명한 보호재를 쉽게 붙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for attaching a protective material to easily attach a transparent protective material to a display panel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또한 본 고안은, 플렉서블(flexible)한 보호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드(hard)한 보호 패널(panel)을 부착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that can be used not only when attaching a flexible protective film to a display panel but also when attaching a hard protective panel.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재를 부착할 때 상기 보호재를 접촉 지지한 채 상기 전자기기에 올려지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으로서, 중앙부에 개방된 창이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측의 정위치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테두리, 및 상기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올려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호재의 외측면을 접촉 지지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창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후크(hook)를 포함하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which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protective material being contacted and supported when the protective material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of th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panel, And a frame which is formed on the frame and which is configured to contact and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material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when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is put on the electronic device, There is provided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including a hook which is elastically biased.

본 고안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은, 상기 보호재의 일부의 주변부를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 스틱(stick)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재가 하드(hard)한 패널(panel)로 된 보호재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지지 스틱은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member attachmen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pair of support sticks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rim so as to contact the periphery of a part of the protection member, panel, the at least one pair of support sticks can be configured to be removed.

본 고안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은,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지지된 보호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막는 것으로, 상기 지지 스틱 및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후크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날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rotective member attaching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ve member supported on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is prevented from moving out of the frame by an external force and is provided with at least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fram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upport stick and the at least one pair of hooks A pair of wings can be further provided.

상기 지지 스틱은 상기 보호재의 외주 경계로부터 내측으로 2 내지 5mm까지 접촉 지지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The support stick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boundary of the protection member to inwardly contact with 2 to 5 mm.

상기 후크는, 상기 보호재의 외주 경계로부터 내측으로 0.3 내지 1mm까지 접촉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보호재 안착부, 및 상기 테두리와 상기 보호재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 줄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may include a protection member seating portion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boundary of the protection member so as to be contacted by 0.3 to 1 mm inward and a connection stem portion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protection member seating portion.

본 고안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은,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올려질 때 상기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가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테두리로부터 상기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정렬 돌기, 및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올려질 때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보호재의 주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상기 테두리에 형성된 스페이서(spac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member attaching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lignment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frame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fitted and aligned with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whe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ing frame is lifted on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pacer formed on the frame to form a gap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a peripheral portion of the protection material supported o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ment frame whe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ment frame is loaded on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계 바깥의 상기 전자기기의 상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pacer may be configured to be held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outside the boundary of the display panel.

본 고안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이용하면, 플렉서블(flexible)한 필름형 보호재뿐만 아니라, 하드(hard)한 패널(panel)형 보호재도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기포 없이 깨끗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재를 한번에 깨끗이 부착하지 못하여 초래되는 보호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보호재를 부착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크래치 또는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By using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flexible film type protective material but also a hard panel type protective material can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bubbles clean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the protective material caused by not attaching the protective material cleanly at a time, and to prevent scratch or damage of the display panel that may occur due to the absence of the protective materia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보호재, 및 스마트폰(smart phone)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은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필름형 보호재가 탑재된 모습을, 도 4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패널형 보호재가 탑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필름형 보호재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패널형 보호재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a protection member,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the protection-material-attaching frame of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protection-material-attaching frame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m-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m-type protection material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of a smartphone using the protection material-attaching frame of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nel-shaped protection material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of a smartphone using the protection-material-attaching fram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used to properly represent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or operator or custom in the field to which the desig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보호재, 및 스마트폰(smart phone)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의 배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은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필름형 보호재가 탑재된 모습을, 도 4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패널형 보호재가 탑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은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필름(film)형 보호재(10)를 디스플레이 패널(3)이 설치된 스마트폰(1)의 전면(前面)에 부착할 때나, 경도(hardness)가 커서 휘기 어려운 패널(panel)형 보호재(15)를 스마트폰(1)의 전면에 부착할 때 사용된다. 패널형 보호재(15)는 두께가 대략 1mm 정도이고, 예컨대, 강화유리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a protective material,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m-type protecting material is mounted on a protecting material-attaching frame,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nel-type protecting material is mounted on a protecting material-attaching frame. 1 to 4, a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film protective material 10 that can be bent, Shaped protective material 15 which is difficult to be bent when attach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1 or having a large hardness. The panel-shaped protective material 15 is approximately 1 mm in thickness, and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은 합성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품으로, 테두리(21), 한 쌍의 지지 스틱(27), 한 쌍의 날개(25), 한 쌍의 후크(hook)(35), 복수의 정렬 돌기(30), 스페이서(spacer)(28)를 구비한다.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은 스마트폰(1)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대략 사각형의 부재로서, 테두리(21)는 코너(corner)가 곡선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폐곡선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테두리(21)의 중앙부에는 개방된 창(23)이 형성된다.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ment frame 20 is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and has a frame 21, a pair of support sticks 27, a pair of blades 25, a pair of hooks 35, a plurality of alignment protrusions 30, and a spacer 28. The frame 20 for attachment of the protection material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smartphone 1, and the frame 21 is formed by connecting a rectangular closed curve with a corner extending in a curved line. An open window 2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im 21.

한 쌍의 지지 스틱(stick)(27)은, 직사각형 테두리(21)의 4개의 직선형 변(邊) 중 마주보고 있는 상대적으로 긴 2개의 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필름형 보호재(10)의 일부의 주변부를 접촉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필름형 보호재(10)는 디스플레이 패널(3)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사각형 필름으로, 한 쌍의 지지 스틱(27)은 필름형 보호재(10)의 4개의 모서리 중 마주보고 있는 상대적으로 긴 2개의 모서리 부분을 접촉 지지한다. 지지 스틱(27)은 필름형 보호재(10)의 외주 경계로부터 내측으로 2 내지 5mm까지 접촉 지지한다.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protrude inwardly from two relatively long sides of the four rectilinear edges of the rectangular frame 21 facing each other. Thereby supporting a part of the peripheral portion. In particular, the film-like protection material 10 is a rectangular film having a size capable of covering the display panel 3, and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four opposing corners of the film- Supports two long corners. The support stick 27 is contact-supported by 2 to 5 mm in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boundary of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한 쌍의 후크(35)는 직사각형 테두리(21)의 4개의 직선형 변(邊) 중 마주보고 있는 상대적으로 짧은 2개의 변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으로, 필름형 보호재(10) 또는 패널형 보호재(15)의 다른 일부의 주변부를 접촉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후크(35)는 필름형 보호재(10) 또는 패널형 보호재(15)의 4개의 모서리 중 마주보고 있는 상대적으로 짧은 모서리 부분을 접촉 지지한다. 후크(35)는 보호재(10, 15)의 외주 경계로부터 내측으로 0.3 내지 1mm까지 접촉 지지한다. 하드(hard)한 패널형 보호재(15)의 경우에는 후크(35)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면적이 적지만 한 쌍의 후크(35) 만으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지지될 수 있다. The pair of hooks 35 is formed on one of the four relatively short sides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le rim 21. The film-like protection member 10 or the panel-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th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Specifically, the pair of hooks 35 contact and support relatively short edge portions of the film-type protective material 10 or the four corners of the panel-shaped protective material 15 facing each other. The hook 35 is contact-supported from 0.3 to 1 mm in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boundary of the protective members 10, 15. In the case of a hard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the area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hook 35 is small, but only a pair of hooks 35 can be supported on the frame 20 for attaching the protective member.

그러나, 플렉서블(flexible)한 필름형 보호재(10)의 경우에는 한 쌍의 지지 스틱(27)이 필름형 보호재(10)의 주된 지지 수단의 역할을 담당하고, 한 쌍의 후크(35)는 보조적 지지 수단의 역할을 담당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lexible film-like protection material 10,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serve as the main supporting means of the film-like protection material 10, and the pair of hooks 35 serve as auxiliary And serves as a supporting means.

상기 후크(35)는 상기 보호재의 외주 경계로부터 내측으로 0.3 내지 1mm까지 접촉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보호재 안착부(37)와, 상기 테두리(21)와 상기 보호재 안착부(37)를 연결하는 연결 줄기부(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재 안착부(37)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 줄기부(36)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보호재 안착부(37)의 타단부는 다른 부재에 지지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35)는 자체적으로 테두리(21)로부터 내측으로, 즉 창(23)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며, 이를 통하여 보호재(10, 15)가 끼워지면 상기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보호재(10, 15) 측면을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The hook 35 includes a protective material seating portion 37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boundary of the protective material so as to be contacted by 0.3 to 1 mm inwardly and a hooking portion 37 connecting the frame 21 and the protective material seating portion 37 And includes a stem base 36. Therefore, one end of the protection member seating portion 37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rod base portion 36, and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on member seating portion 37 is not supported by the other member. Accordingly, the hook 35 is elastically biased inwardly from the rim 21,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window 23, and when the protection materials 10 and 15 are fitted, the hooks 35 are elastically biased to the protection materials 10 and 15 The side surface can be supported and fixed.

보호재(10, 15)를 접촉 지지하는 면적이 작으므로 한 쌍의 후크(35)는 보호재(10, 15)의 주변부를 지지하지 않는 자세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을 이용하여 패널형 보호재(15)를 스마트폰(1) 전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후술하는 과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pair of hooks 35 are easily elastically deformable in a posture in which the peripheral portions of the protective members 10 and 15 are not supported since the area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protective members 10 and 15 is small. A method of attaching the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15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1 using the protection-material-attaching fram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한 쌍의 날개(25)는, 한 쌍의 지지 스틱(27) 및 한 쌍의 후크(35)보다 높은 위치에서(도 5 및 도 6 참조) 직사각형 테두리(21)의 4개의 직선형 변(邊) 중 마주보고 있는 상대적으로 긴 2개의 변에서 한 쌍의 지지 스틱(27)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보호재(10, 15)가 한 쌍의 지지 스틱(27) 또는 한 쌍의 후크(35)에 지지된 상태에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外力)이 가해지더라도 보호재(10, 15)가 프레임(20) 내의 정위치(正位置)를 벗어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한 쌍의 날개(25)가 보호재(10, 15)가 테두리(21) 밖으로 벗어나지 않게 막아준다. The pair of wings 25 are arranged at four straight sides of the rectangular rim 21 at positions higher than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and the pair of hooks 35 (see Figs. 5 and 6) Protrudes more inward than a pair of support sticks 27 on two relatively long sides facing each other. Even if an unintend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20 in a state where the protective materials 10 and 15 are supported by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or the pair of hooks 35, 10, 15 do not deviate from the correct position in the frame 20. In other words, the pair of blades 25 prevent the protection members 10 and 15 from falling out of the rim 21.

복수의 정렬 돌기(30)는 직사각형 테두리(21)의 4개의 직선형 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이 스마트폰(1)에 올려질 때 상기 복수의 정렬 돌기(30)가 스마트폰(1)의 외주 모서리(2)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1)이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의 직사각형 테두리(21) 내에 정렬되어 끼워진다. The plurality of alignment protrusions 30 protrude inwardly from the four rectilinear edges of the rectangular rim 21 so that the plurality of alignment protrusions 30 are arranged on the smartphone 1 when the protection- And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edge 2 of the pawn 1. Accordingly, the smartphone 1 is fitted and aligned in the rectangular frame 21 of the frame 20 for protection.

스페이서(28)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이 스마트폰(1)에 올려질 때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지지된 보호재(10, 15)의 주변부와 디스플레이 패널(3) 사이에 스페이서(28)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형성한다. 스페이서(28)의 두께는 1 내지 2mm 이다. 스페이서(28)는 테두리(21)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스페이서(28)가 지지 스틱(27)이 테두리(21)에 이어지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두리(21) 상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이 스마트폰(20)에 올려졌을 때 스페이서(28)는 디스플레이 패널(3)의 경계 바깥의 스마트폰(1)의 상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The spacer 28 is provided with a spacer 28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protective material 10 and 15 supported by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20 and the display panel 3 when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20 is put on the smartphone 1. [ As shown in FIG. The thickness of the spacer 28 is 1 to 2 mm. The spacer 28 is formed on the rim 21. 2, the spacer 28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stick 27 extends to the rim 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pacer 28 may be formed at another position on the rim 21. The spacer 28 is hel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martphone 1 outside the boundary of the display panel 3 whe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ing frame 20 is put on the smartphone 20. [

한편, 패널형 보호재(15)를 스마트폰(1)의 전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이 사용되는 때에는, 한 쌍의 후크(35)만으로 패널형 보호재(15)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지지 스틱(27)이 있다면, 상기 패널형 보호재(15)가 상기 지지 스틱(27)과 날개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패널형 보호재(15)가 플렉시블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패널형 보호재(15)를 부착시킬 때, 상기 패널형 보호재(15)가 상기 지지 스틱(27) 아래쪽으로 잘 빠지지 않게 되어서 부착 작업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 스틱(27)은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스틱(27)은 1mm 내지 2mm 두께의 얇은 스틱(stick) 형상으로 되어 있고, 테두리(21)의 한 변과 3지점만 연결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사무용 커터(cutter)로 상기 3지점을 절단선(CL)을 따라 절개하거나, 지지 스틱(27)을 테두리(21)에 대해 위아래로 꺾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테두리(21)에서 분리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ing frame 20 is used to attach the panel type protection material 15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1, the panel type protection material 15 can be supported by only the pair of hooks 35 . In this case, if there is a pair of support sticks 27, the panel-like protection member 15 is sandwiched between the support stick 27 and the wing. In this case, since the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15 is not flexible When the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15 is attached, the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15 does not fall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tick 27, thereby obstructing the attach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are removed from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20. The support stick 27 is in the form of a thin stick having a thickness of 1 mm to 2 mm and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only one side of the rim 21. Therefore, the operator can cut the three points along the cutting line CL with an office cutter or easily remove the support stick 27 from the rim 21 in such a manner that the support stick 27 is fold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rim 21 can do.

이하에서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을 이용하여 필름형 보호재(10)를 스마트폰(1)의 전면에 부착하는 방법과, 패널형 보호재(15)를 스마트폰(1)의 전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필름형 보호재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패널형 보호재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A method of attaching the film type protective member 1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1 using the protection film attaching frame 20 and a method of attaching the panel type protective member 15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phone 1 Will be explained sequentially.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m-type protection material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of a smartphone using the protection material-attaching frame of FIG. 1, FIG. 6 is a cross- Shaped protective member is attached.

도 3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필름형 보호재(10)를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의 아래에서 위로 올려 한 쌍의 지지 스틱(27)으로 필름형 보호재(10)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후크(35)가 필름형 보호재(10)를 지지하는 보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하면, 필름형 보호재(10)는 한 쌍의 날개(25)와 한 쌍의 지지 스틱(27) 사이에 끼워진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필름형 보호재(10)는 점착제가 도포된 저면을 보호하기 위해 저면 커버가 부착되어 있는데 필름형 보호재(10)를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지지하고 상기 저면 커버를 벗겨내 점착면, 즉 저면을 노출시킨다. 3 and 5, the film-like protection member 10 is supported by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by raising the film-like protection film 10 from below the protection film-attaching frame 20. At this time, the pair of hooks 35 may serve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m-type protective member 10. [ Then, the film-like protection material 10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vanes 25 and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 Although not shown, the film-type protecting material 10 is provided with a bottom cover for protecting the bottom surface coated with the adhesive, and the film-type protecting material 10 is supported on the protecting material attaching frame 20, and the bottom cover is peeled off, That is, the bottom surface.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3)이 위를 향하도록 스마트폰(1)을 바닥에 놓고 그 위에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을 올린다. 그리하면, 복수의 정렬 돌기(30)가 스마트폰(1)의 외주 모서리(2)에 접촉하여 스마트폰(1)이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대해 정렬된다. 그리고, 스페이서(28)와 한 쌍의 지지 스틱(27)에 의해 필름형 보호재(10)와 디스플레이 패널(3)이 이격되므로, 필름형 보호재(10)의 점착면이 디스플레이 패널(3)에 붙지는 않는다. Then, the smartphone 1 is placed on the floor so that the display panel 3 faces upward, and the frame 20 for attaching the protection material is placed thereon. Then, a plurality of alignment protrusions 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edge 2 of the smartphone 1, so that the smartphone 1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protecting material attaching frame 20.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and the display panel 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pacer 28 and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adheres to the display panel 3 .

다음으로,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개방된 창(23)을 통해 필름형 보호재(10)의 중앙부를 디스플레이 패널(3) 측으로 가압하여,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형 보호재(10)의 중앙부를 디스플레이 패널(3)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필름형 보호재(10)를 스마트폰(1)을 향해 아래로 누르고 있는 상태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을 들어올려 필름형 보호재(10)와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을 분리한다. 필름형 보호재(10)는 점착면의 중앙부가 디스플레이 패널(3)에 점착되어 있으므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과 분리되어도 디스플레이 패널(3)에 대한 위치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5,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is pressed toward the display panel 3 through the opened window 23,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m-shaped protective material 10, as shown by the two-dot chain line, To the display panel (3). Then, the frame 20 is lifted with the film-like protection material 10 pressed down toward the smartphone 1 to separate the film-like protection material 10 and the protection-material-attaching frame 20 from each other.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adhesive surface is adhered to the display panel 3,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is not misalign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3 even when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material-attaching frame 20. [

다음으로, 필름형 보호재(10)를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필름형 보호재(10)의 전(全) 영역을 스마트폰(1)의 전면에 부착한다.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밀면서 필름형 보호재(10)를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3)과 필름형 보호재(10) 사이의 공기가 필름형 보호재(10)의 외주변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3)과 필름형 보호재(10) 사이에 기포 형성이 억제된다.Next, the entire region of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1 by extending the pressing range of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peripheral portion. The air between the display panel 3 and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because the film-shaped protective material 10 is pressed while being pushed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peripheral portion. Therefore, bubble forma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3 and the film-like protective material 10 is suppressed.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패널형 보호재(15)를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지지시킬 때 한 쌍의 지지 스틱(27)은 방해가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스틱(27)은 제거된다. 그리고, 패널형 보호재(15)를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의 아래에서 위로 정렬하여 올리면 한 쌍의 후크(35)에 의해 패널형 보호재(15)가 지지된다. 패널형 보호재(15)는 경도가 커서 굽어지지 않으므로 한 쌍의 후크(35)만으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지지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패널형 보호재(15)에도 점착제가 도포된 저면을 보호하기 위해 저면 커버가 부착되어 있는데 패널형 보호재(15)를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지지하고 상기 저면 커버를 벗겨내 점착면, 즉 저면을 노출시킨다. 4 and 6, when the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15 is supported on the protection-material-attaching frame 20,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are disturbed, so that the pair of support sticks 27 are removed. When the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15 is aligned and raised below the protection-material-attaching frame 20, the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15 is supported by the pair of hooks 35.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is not bent because the hardness is large, so that it can be supported by the pair of hooks 35 only on the frame 20 for attaching the protective member. Although not shown, the panel-shaped protection material 15 is also provided with a bottom cover for protecting the bottom surface coated with the adhesive. The panel-shaped protection material 15 is supported on the protection material-attaching frame 20, and the bottom cover is peeled off, That is, the bottom surface.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3)이 위를 향하도록 스마트폰(1)을 바닥에 놓고 그 위에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을 올린다. 그리하면, 복수의 정렬 돌기(30)가 스마트폰(1)의 외주 모서리(2)에 접촉하여 스마트폰(1)이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 대해 정렬된다. 그리고, 스페이서(28)에 의해 패널형 보호재(15)와 디스플레이 패널(3)이 이격되므로, 패널형 보호재(15)의 점착면이 디스플레이 패널(3)에 붙지는 않는다. Then, the smartphone 1 is placed on the floor so that the display panel 3 faces upward, and the frame 20 for attaching the protection material is placed thereon. Then, a plurality of alignment protrusions 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edge 2 of the smartphone 1, so that the smartphone 1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protecting material attaching frame 20. Since the panel-shaped protection material 15 and the display panel 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pacer 28,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anel-shaped protective material 15 does not adhere to the display panel 3.

다음으로,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개방된 창(23)을 통해 패널형 보호재(15)의 중앙부를 디스플레이 패널(3) 측으로 가압하여,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형 보호재(15)의 중앙부를 디스플레이 패널(3)에 부착시킨다. 패널형 보호재(15)도 국지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완만하게 굽어지므로 그 중앙부가 주변부보다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3)에 부착된ㅁ다. 6,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nel-shaped protective material 15 is pressed to the display panel 3 side through the opened window 23,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nel-shaped protective material 15 To the display panel (3). Since the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15 is also bent gently by the force applied locally, its central portion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3 before the peripheral portion.

그리고, 패널형 보호재(15)를 스마트폰(1)을 향해 아래로 누르고 있는 상태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을 들어올려 패널형 보호재(15)와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을 분리한다. 이때 후크(35)는 패널형 보호재(15)의 주변부를 지지하지 않는 자세로 탄성 변형되고, 패널형 보호재(15)가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에서 분리된 후에 원래 자세로 탄성 복원된다. 후크(35)가 패널형 보호재(10) 주변부를 접촉 지지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후크(35)의 탄성 한계를 넘지 않는 미세한 자세 변형만으로도 후크(35)가 패널형 보호재(15)에 대해 미끄러져 패널형 보호재(15)를 지지하지 않는 자세가 된다. 한편, 패널형 보호재(15)는 점착면의 중앙부가 디스플레이 패널(3)에 점착되어 있으므로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20)과 분리되어도 디스플레이 패널(3)에 대한 위치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Then, the panel-shaped protection material 15 is lifted up with the protection-material-attaching frame 20 being pulled down while pushing the panel-shaped protection material 15 downward toward the smartphone 1, thereby separating the panel- At this time, the hook 35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posture that does not support the periphery of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and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is resilient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ture after being detached from the protective- The hook 35 is slid with respect to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by only a slight posture deformation that does not exceed the elastic limit of the hook 35 because the hook 35 has a small area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panel- Shaped protection member 15 is not supported.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adhesive surface is adhered to the display panel 3, the panel-shaped protective material 15 is not misalign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3 even when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material-attaching frame 20. [

다음으로, 패널형 보호재(15)를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패널형 보호재(15)의 전(全) 영역을 스마트폰(1)의 전면에 부착한다.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밀면서 패널형 보호재(15)를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3)과 패널형 보호재(15) 사이의 공기가 패널형 보호재(15)의 외주변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3)과 패널형 보호재(15) 사이에 기포 형성이 억제된다.Next, the entire area of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1 by expanding the pressure range of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peripheral portion. The air between the display panel 3 and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by pushing the panel-shaped protective member 15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peripheral portion. Therefore, bubble formation is suppres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3 and the panel-shaped protective material 15. [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scope.

1: 스마트폰 10: 필름형 보호재
15: 패널형 보호재 20: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21: 테두리 25: 날개
27: 지지 스틱 30: 정렬 돌기
28: 스페이서 35: 후크(hook)
1: Smartphone 10: Film type protection material
15: Panel-shaped protection member 20: Protection member-attached frame
21: rim 25: wing
27: support stick 30: alignment protrusion
28: Spacer 35: Hook

Claims (7)

삭제delete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재를 부착할 때 상기 보호재를 접촉 지지한 채 상기 전자기기에 올려지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으로서,
중앙부에 개방된 창이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측의 정위치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테두리;
상기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올려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호재의 외측면을 접촉 지지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창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후크(hook); 및
상기 보호재의 일부의 주변부를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 스틱(stick);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재가 하드(hard)한 패널(panel)로 된 보호재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지지 스틱은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1. A protective member mounting frame which is mounted on a display panel of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isplay panel, the protective member being mounted on the electronic apparatus while the protective member is held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A frame provided with a window open at a central portion and fit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panel;
A hook which is formed in the rim and is elastically biased in the direction of the window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material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when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is lifted by the electronic device, ; And
And at least one pair of support sticks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rim to contact and support the periphery of a portion of the protection material,
Wherein the at least one pair of support sticks are configured to be removed when the protective member is a hard panel memb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지지된 보호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막는 것으로, 상기 지지 스틱 및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후크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날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t least a pair of wings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rim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upport stick and the at least one pair of hooks so that the protective material supported o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ing frame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the rim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frame is a fram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틱은 상기 보호재의 외주 경계로부터 내측으로 2 내지 5mm까지 접촉 지지하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stick is protruded so as to be contact-supported by 2 to 5 mm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boundary of the protective memb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보호재의 외주 경계로부터 내측으로 0.3 내지 1mm까지 접촉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보호재 안착부; 및,
상기 테두리와 상기 보호재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 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ok includes:
A protective material seating portion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boundary of the protective material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from 0.3 to 1 mm; And
And a connecting rod base connecting the rim and the protecting material receiving portion.
제2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올려질 때 상기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가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테두리로부터 상기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정렬 돌기; 및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올려질 때 상기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보호재의 주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상기 테두리에 형성된 스페이서(spac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A plurality of alignment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rim such that an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fitted and aligned with the protective material attaching frame whe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ing frame is raised on the electronic device; And
And a spacer formed on the frame to form a gap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a peripheral portion of the protection material supported o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ment frame when the protection material attachment frame is loaded on the electronic device.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계 바깥의 상기 전자기기의 상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부착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pacer is configured to be contactably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outside the boundary of the display panel.
KR2020130010782U 2013-12-26 2013-12-26 Frame for attaching protective material on dipaly panel Expired - Fee Related KR2004778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782U KR200477873Y1 (en) 2013-12-26 2013-12-26 Frame for attaching protective material on dipal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782U KR200477873Y1 (en) 2013-12-26 2013-12-26 Frame for attaching protective material on dipaly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621U KR20150002621U (en) 2015-07-06
KR200477873Y1 true KR200477873Y1 (en) 2015-07-31

Family

ID=5379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78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7873Y1 (en) 2013-12-26 2013-12-26 Frame for attaching protective material on dipal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873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8418B2 (en) 2011-02-18 2018-03-1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931823B2 (en) 2011-02-18 2018-04-0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0021818B2 (en) 2011-02-18 2018-07-10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436B1 (en) * 2011-10-21 2012-01-10 박재영 Display Window Protective Film Attachment Tool
KR101135144B1 (en) * 2011-10-18 2012-04-16 박광준 Adhering apparatus for protection film used in cell phone
KR20130007112A (en) * 2011-06-29 2013-01-18 채영훈 Apparatus for adhering protection film and adhering method thereof
KR20130008861A (en) * 2011-07-13 2013-01-23 채영훈 Module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on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112A (en) * 2011-06-29 2013-01-18 채영훈 Apparatus for adhering protection film and adhering method thereof
KR20130008861A (en) * 2011-07-13 2013-01-23 채영훈 Module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on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1135144B1 (en) * 2011-10-18 2012-04-16 박광준 Adhering apparatus for protection film used in cell phone
KR101103436B1 (en) * 2011-10-21 2012-01-10 박재영 Display Window Protective Film Attachment Too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8418B2 (en) 2011-02-18 2018-03-1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931823B2 (en) 2011-02-18 2018-04-0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0021818B2 (en) 2011-02-18 2018-07-10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0555445B2 (en) 2011-02-18 2020-02-04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1155067B2 (en) 2011-02-18 2021-10-26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1357143B2 (en) 2011-02-18 2022-06-07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621U (en)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0857B1 (en) Screen protector film paste tool
US11186032B2 (en) Mobile phone screen protector device
KR200475419Y1 (en) Display protection film attatching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0475420Y1 (en) Liding type display protection film attatching case for mobile terminal
US10067581B2 (en) Glass touch screen protector
KR101838482B1 (en) A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attaching guide jig set for mobile electronic products with curved display panel and protection film attaching method using the same
US9061542B1 (en) Glass touch screen protector
KR200477873Y1 (en) Frame for attaching protective material on dipaly panel
KR101341865B1 (en) Module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KR20160022665A (en) Sliding type display protection film attatching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160022755A (en) Protector attatching case for mobile terminal
JP2015097109A5 (en)
KR101718084B1 (en) LCD Screen Protective Film Adhesion Devices
EP3343275A1 (en) Display device
KR101341869B1 (en) Device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module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using the device
WO2014167433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placing over the screen of a portable device a layer of protective foil
HK1248186A1 (en) Device for sticking film on a display screen
KR101462266B1 (en) Screen protective film attaching method using by application
US20130141355A1 (en) Touch sensitiv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7710102A (en) A kind of part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20030300A (en) Transparent film for portable terminal
JP2014078831A (en) Protector for electronic equipment
CN204223463U (en) Display panel protective film
JP3193806U7 (en)
KR101261806B1 (en) Apparatus for adhering protection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807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