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704Y1 - A pipe bin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pipe bind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704Y1 KR200478704Y1 KR2020140002965U KR20140002965U KR200478704Y1 KR 200478704 Y1 KR200478704 Y1 KR 200478704Y1 KR 2020140002965 U KR2020140002965 U KR 2020140002965U KR 20140002965 U KR20140002965 U KR 20140002965U KR 200478704 Y1 KR200478704 Y1 KR 20047870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binding
- longitudinal
- transverse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8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n abutting connection of at least one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08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for pipes being in an angl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5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one member being flexible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교차하는 종파이프와 횡파이프의 결속구조를 개선하여 종,횡 파이프의 결속이 가능함과 아울러, 구성이 단순하면서 조립 및 분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속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결속장치는, 하부에 종파이프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측에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전,후로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상,하로 형성되는 결속부와, 결속부의 양측에 연장되어 횡파이프의 외주 일부위와 접촉되도록 원주홈이 형성되고 원주홈의 상,하측에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양측의 플랜지부를 갖는 결속구와; 결속구의 결합공에 양단부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양측의 플랜지부에 각각 결합되고 횡파이프의 외주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 1,2연결부재와; 결속구의 결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횡파이프를 원주홈의 개구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1가압지지부재와; 결속구의 결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종파이프를 원주홈의 개구방향으로 각각 가압 지지하기 위한 제2가압지지부재;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longitudinal pipes and the transverse pip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ipes can be coupled together.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ing operations are simplified, and a strong binding force can be obtained.
The pipe b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an upper end portion of a longitudinal pip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dy portion, And a coupling part having a flange part on both sides of which circumferential grooves ar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verse pipe and which exten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and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coupling members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fitted and coupled to the flanges of both sides and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nsverse pipe; A first pressing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port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transverse pipe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And a second pressure support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port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longitudinal pipe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고안은 파이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 구성의 파이프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종축과 횡축으로 서로 교차되는 종파이프 및 횡파이프의 결속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횡파이프와 종파이프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bin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pipe bind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a binding operation of a longitudinal pipe and a transverse pipe intersecting each other on a longitudinal axis and a transverse axis, To a pipe binding apparatus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as to firmly bind the pipe.
비닐하우스나, 공사장 또는 대차 등의 안전대, 난간대 또는 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 금속 재질의 파이프(pipe)를 사용하여 기초 골격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파이프(이하, 횡관과 종관의 표현을 함께 사용함)의 교차 영역을 단단히 결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파이프 결속장치가 사용된다.In the case of installing safety bases such as plastic houses, construction sites or bogies, railings, or workbenches, a metal base pipe is used to form the foundation skeleton. In this case, pipes (hereinafter, ) Is used as a means for tightly connecting the crossing regions of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es.
파이프 결속장치의 가장 단순한 물품은 소위, 케이블 타이라 불리는 것으로, 이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제작된 띠 형상의 결속장치로서, 횡관과 종관이 상호 교차되는 부분을 묶어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The simplest article of the pipe binding apparatus is a so-called cable tie. This is a band-shaped binding apparatus made of plastic or metal, and is used to bind and fix portions where cross tubes and cross tubes cross each other.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용접을 하거나 노끈이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횡관과 종관의 교차 영역을 결속하기도 한다.In addition, welding is usually carried out, or crossing areas of lateral tubes and longitudinal tubes are connected by using wires or wires.
그러나, 이와 같이 용접을 하거나 케이블 타이나 노끈, 혹은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호 교차되는 횡관과 종관을 결속시키는 경우,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울 수밖에 없으며, 특히 해당 물품을 재사용할 수 없어 비용 손실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transverse pipes and the intersecting pipes which are mutually crossed by welding, using a cable tie, a cord or a wire, the work is inconvenient and troublesome, and in particular, the concerned product can not be reused, There is a problem.
종래 종파이프와 횡파이프를 결속시키는 금속소재의 결속구의 경우, 각각의 횡파이프와 종파이프 중 하나에 고정시킨 후에 다른 하나의 파이프를 통과시켜야 하는 조립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binding member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binding a longitudinal pipe and a transverse pip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assembling to pass through another pipe after being fixed to one of the transverse pipe and the longitudinal pipe.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982호 "파이프 결속장치"(등록일자 : 2002.10.31)에는 종래의 케이블 타이나 노끈, 혹은 철사 등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타입의 파이프 결속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파이프 결속장치의 경우, 고정쇠의 내주에 형성된 곡면에 파이프를 밀착하고 상기 고정쇠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고정바로 파이프를 감싸고 고정쇠에 형성된 삽입돌기에 고정바를 삽입하여 너트를 조임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파이프를 결속시키는 조립과정을 가지며, 결속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new type of pipe bind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ipe binding apparatus ")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cable ties,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ipe bind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 the pipe is closely contacted to the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ture, the fixation bar pipe hinged to the fixture is wrapped around the pipe, and the fixing ba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fixture,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pe, and it is known that the binding operation is not easy.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 결속장치가 개발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횡관과 종관을 따로따로 배치한 상태에서 횡관과 종관을 상호 결속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며, 복수의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해야만 고정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Various types of pipe binding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However, in most cases, the horizontal pipe and the secondary pipe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horizontal pipe and the secondary pipe are disposed separately. Such as the use of screws or bolts.
또한, 파이프 결속장치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41762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장치"(등록일자 : 2008.09.01)에 나타난 바와 같이, U자형 몸체의 반원부분 양쪽 끝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횡파이프에 닿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양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횡파이프에 걸리는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횡파이프가 일정 곡률을 갖는 부위에서도 종파이프가 견고히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of the pipe binding apparatus, as shown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1762 entitled " Pipe Connection Device for Green House "(Registered Date: Sep. 1, 2008), the U- The bending portion that is folded inward to form a bent portion contacting the transverse pipe and protrudes inward in both side walls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caught by the transverse pipe so that the longitudinal pipe can be firmly connected even in a region where the transverse pipe has a certain curvature.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은 ㄷ자형 결합구를 타격력으로 종파이프와 체결홈부 사이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조립과정이 다소 어렵고, 또한 억지 끼움 결합시키더라도 종파이프와 횡파이프의 접촉면적이 적고 종파이프와 체결홈부 사이의 공간 유격으로 인해 종파이프와 횡파이프의 유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조립후에 다시 분해 및 재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somewhat difficult to assemble in the process of joining the U-shaped coupling joint between the vertical pipe and the coupling groove with the striking force, and even when the interference fit is mad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vertical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is smal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not only the flow of the vertical pipe and the horizontal pipe occurs due to the space clearance between the grooves but also it is difficult to be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again after assembly.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종파이프와 횡파이프의 결속을 위한 파이프 결속수단의 구성이 단순하면서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해짐과 아울러, 조립시 종파이프와 횡파이프의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pip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longitudinal pipe and a transverse pipe, which simplifies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peration, And to provide a pipe binding apparatus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binding force of the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is firmly maintain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이프 결속장치는 서로 교차하는 종파이프와 횡파이프를 결속시키는 파이프 결속수단을 구비하되,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ipe bi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ngitudinal pipe crossing each other and a pipe binding means for binding the transverse pipe,
상기 파이프 결속수단은 하부에 종파이프의 선단부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전,후로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상,하로 형성되는 결속부와, 결속부의 양측에 연장되어 상기 횡파이프의 외주 일부위와 접촉되도록 원주홈이 형성되고 원주홈의 상,하측에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결속구와;Wherein the pipe binding means comprises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a tip end of the longitudinal pip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bind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a flange portion having a circumferential groov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nsverse pipe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상기 결속구의 결합공에 양단부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횡파이프의 외주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 1,2연결부재와;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coupled to the flanges of the fastening hole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nsverse pipe;
상기 결속구의 결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횡파이프를 원주홈의 개구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1가압지지부재와;A first pressing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port to press and support the transverse pipe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상기 결속구의 결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종파이프를 원주홈의 개구방향으로 각각 가압 지지하기 위한 제2가압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2연결부재는 상기 횡파이프의 외주 일부위를 감싸도록 원호형의 끼움홈이 형성된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의 양측단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pressure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port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longitudinal pipe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include a circular arc portion formed with an arc-shaped fitting groove so as to surround a part of an outer periphery of the transverse pipe, and a connecting pin extending laterally at both side ends of the circular arc portion, And a second electrode.
상기 제1,2가압지지부재는 상기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채용하여서, 상기 제1,2가압지지부재와 체결공의 체결시 상기 제1,2가압지지부재의 단부가 상기 횡파이프를 원주홈의 개구방향인 외측으로 밀어서 가압 지지하도록 된 것이다.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support members each have a fastening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so that whe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support members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So as to press and support it by pushing it outwardly, which i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삭제delete
상기 수용공은 상부에 상기 종파이프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다.The receiving hole is formed with a catching protrusion for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pipe.
본 고안의 파이프 결속장치는 서로 교차하는 종파이프와 횡파이프를 구속하기 위한 파이프 결속수단의 구성이 단순하고, 결속을 위한 조립과정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제 1,2연결부재의 끼움 결합 후 제1,2가압지지부재의 체결작업으로 횡파이프 및 종파이프를 서로 교차되도록 결속할 수 있으므로 결속작업이 간편해지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The pipe bi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of a longitudinal pipe intersecting each other and a pipe binding means for restraining a transverse pipe so that not only the assembling process for binding is simplified but also the post- Since the transverse pipe and the longitudinal pipe can be boun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1,2 pressure supporting member,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is simplified.
또한, 본 고안은 결속작업시 횡파이프가 제1가압지지부재와 제 1,2연결부재에 면접촉되도록 밀착되어 견고한 결속력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ful advantage in that the transverse pip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ressure supporting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in face-to-face contact during a binding operation, thereby obtaining a strong binding for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결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파이프 결속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결속구의 절개 사시도.
도 4a,4b,4c,4d는 본 고안 파이프 결속장치의 결속작업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몸체부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b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design pipe binding apparatus from another angle; Fig.
Fig. 3 is an inci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4A, 4B, 4C, and 4D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sequentially showing the binding operation of the present design pipe binding apparatus.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ody.
본 고안은 서로 교차하는 종파이프와 횡파이프의 결속구조를 개선하여 종,횡 파이프의 결속이 가능함과 아울러, 구성이 단순하면서 조립 및 분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속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longitudinal pipes and the transverse pip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ipes can be coupled together.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ing operations are simplified, and a strong binding force can be obtained.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결속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에 종파이프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수용공(150)이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상측에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전,후로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공(130)이 상,하로 형성되는 결속부(104)와, 결속부(104)의 양측에 연장되어 상기 횡파이프(20)의 외주 일부위와 접촉되도록 원주홈(110)이 형성되고 원주홈(110)의 상,하측에 결합공(120)이 각각 형성된 양측의 플랜지부(105)를 갖는 결속구(100)와; 결속구(100)의 결합공(120)에 양단부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105)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횡파이프(20)의 외주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 1,2연결부재(200A,200B)와; 결속구(100)의 결속부(10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횡파이프(20)를 원주홈(110)의 개구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1가압지지부재(300A)와; 결속구(100)의 결속부(10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종파이프(10)를 원주홈(110)의 개구방향으로 각각 가압 지지하기 위한 제2가압지지부재(300B);로 구성된다.1 to 4, the pipe b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결속구(100)는 몸체부(102)와 결속부(104) 및 양측의 플랜지부(105)로 구성되고, 플랜지부(105)는 몸체(102)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1 and 2, the
몸체부(102)는 하부에 개구된 수용공(150)이 형성되고, 플랜지부(105)에는 외측으로 개구된 원주홈(110)이 형성되어 있다.The
결속구(100)는 종파이프(10)의 상단부가 수용공(150)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횡파이프(20)가 수평으로 끼워지도록 원호 형태의 원주홈(11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즉, 종파이프(10)와 횡파이프(20)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용공(150)과 원주홈(11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That is, the
또한, 수용공(150)은 상부에 상기 종파이프(10)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55)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걸림턱(155)은 종파이프(10)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종파이프(10)의 상단부가 걸림턱(155)에 걸려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그리고 몸체부(102)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30)이 복수개 상,하로 형성된다.The
상측의 체결공(130)에는 횡파이프(20)를 지지하도록 제1가압지지부재(300A)가 체결되고, 하측의 체결공(130)에는 종파이프(10)를 지지하도록 제2가압지지부재(300B)가 체결된다.The first pressing
제1,2가압지지부재(300A,300B)는 체결공(130)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볼트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결볼트인 제1,2가압지지부재(300A,300B)가 체결공(130)에 체결될 경우 상기 제1가압지지부재(300A)의 단부가 횡파이프(20)를 외측으로 밀어서 가압 지지하고, 제2가압지지부재(300B)의 단부가 종파이프(10)를 밀어서 수용공(150) 내에 고정되도록 가압 지지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제 1,2연결부재(200A,200B)는 상기 횡파이프(20)의 외주 일부위를 감싸도록 원호형의 끼움홈(212)이 형성된 원호부(210)와, 상기 원호부(210)의 양측단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20)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핀부(220)로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원호부(210)는 일측이 개구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핀부(220)는 양측벽(105)의 외측에서 결합공(120)측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핀형태로 형성된다.The
즉, 제 1,2연결부재(200A,20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05)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고, 플랜지부(105)의 외측에서 연결핀부(220)가 측방향으로 결합공(120)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로 인해 원호부(210)가 원주홈(110)의 외측을 마감하는 구조로 결합된다.3,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상기 연결핀부(220)와 상기 결합공(120)은 사각단면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각단면으로 형성된 연결핀부(220)가 사각단면으로 형성된 결합공(120)에 끼워지게 되면, 연결핀부(220)와 결합공(120) 간의 접촉면은 면접촉되게 된다. 연결핀부(220)와 결합공(120) 간의 면접촉에 의해 상호간에 접지력이 크게 되어 연결핀부(220)는 결합공(120) 내측으로 견고하게 결속되며, 이로 인해 제 1,2연결부재(200A,200B)는 회전되면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 파이프 결속장치의 결합과정은 도 4a,4b,4c,4d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joining process of the present design pipe binding apparat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s. 4A, 4B, 4C, 4D and Fig.
도 4a를 참조하면, 종파이프(10)의 상단부를 몸체부(102)의 수용공(150) 내에 수용되도록 끼움 결합시킨 후에, 도 4b에서와 같이 종파이프(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횡파이프(20)를 원주홈(110) 내에 밀착시킨다.4A, after the upper end of the
이어서, 제 1,2연결부재(200A,200B)의 연결핀부(220)를 플랜지부(105)의 결합공(120)에 관통되도록 끼움 결합시켜 제 1,2연결부재(200A,200B) 중 하나를 양측의 플랜지부(105)중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시켜 선조립한 후에, 도 4c에서와 같이 나머지 제 1,2연결부재(200A,200B)의 연결핀부(220)를 나머지 결합공(120)에 끼움 결합시키면 제 1,2연결부재(200A,200B)가 횡파이프(2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된다.Next, the
이후에,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압지지부재(300B)를 체결공(130)에 체결시키면, 제2가압지지부재(300B)의 단부가 체결공(130)을 통해 몸체부(102)를 관통하여 수용공(150) 내에 결합된 종파이프(10)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종파이프(10)를 밀게 되어 종파이프(10)를 가압지지하게 된다.4D, when the second pressing
또한, 제1가압지지부재(300A)를 상측의 체결공(130)에 체결시키면, 제1가압지지부재(300A)의 단부가 체결공(130)을 통해 결속부(104)를 관통하여 제 1,2연결부재에 결속된 횡파이프(20)를 외측으로 밀면서 가압지지하게 된다.When the first pressing
이로 인해, 제1가압지지부재(300A)는 횡파이프(20)를 밀어서 가압시킴에 따라 제 1,2연결부재(200A,200B)의 끼움홈(212)에 횡파이프(20)가 밀착되어 지지된 상태로 제1가압지지부재(300A)(300)의 가압력이 전달되므로, 횡파이프(20)를 원호부(210)의 끼움홈(212)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시킨 상태로 제 1,2연결부재(200A,200B)에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요약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결속구(100)의 수용공(150)에 종파이프(10)를 끼움 결합시키고, 원주홈(110)에 횡파이프(20)를 종파이프(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밀착시킨 후에, 제 1,2연결부재(200A,200B)를 양측 플랜지부(105)에 각각 끼움 결합시킨 다음에 제1,2가압지지부재(300A,300B)를 각각의 체결공(130)에 체결하면 조립과정이 완료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한편, 도 5는 본 고안 몸체부(102)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수용공(150)의 상부가 개구되지 않고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고 수용공(150)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종파이프(10)가 결합되도록 된 것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이로 인해 종파이프(10)의 단부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지만, 위의 선 실시예와 같이 종파이프(1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55)의 성형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는 이점을 갖는다.The end position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서로 교차하는 종파이프(10)와 횡파이프(20)의 결속을 위한 구성이 단순하고, 조립과정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결속시 종파이프(10)와 횡파이프(20)가 제1,2가압지지부재(300A,300B)와 제 1,2연결부재(200A,200B)에 의해 면접촉되도록 밀착되어 견고한 결속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a simple structure for binding the
10 : 종파이프 20 : 횡파이프
100 : 결속구 102 : 몸체
104 : 결속부 105 : 플랜지부
110 : 원호홈 120 : 결합공
130 : 체결공 150 : 수용공
155 : 걸림턱 200A,200B : 제 1,2연결부재
210 : 원호부 212 : 끼움홈
220 : 연결핀부 300A,300B : 제1,2가압지지부재10: longitudinal pipe 20: transverse pipe
100: coupling unit 102: body
104: coupling portion 105: flange portion
110: arc groove 120: engaging hole
130: fastening ball 150: receiving ball
155: latching
210: arc portion 212: fitting groove
220:
Claims (4)
상기 파이프 결속수단은 하부에 종파이프(10)의 선단부가 수용되는 수용공(150)이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에 마련되고 전,후로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공(130)이 상,하로 형성되는 결속부(104)와, 결속부(104)의 양측에 연장되어 상기 횡파이프(20)의 외주 일부위와 접촉되도록 원주홈(110)이 형성되고 원주홈(110)의 상,하측에 결합공(120)이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105)를 갖는 결속구(100)와;
상기 결속구(100)의 결합공(120)에 양단부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플랜지부(105)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횡파이프(20)의 외주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 1,2연결부재(200A,200B)와;
상기 결속구(100)의 결속부(10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횡파이프(20)를 원주홈(110)의 개구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제1가압지지부재(300A)와;
상기 결속구(100)의 결속부(10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종파이프(10)를 원주홈(110)의 개구방향으로 각각 가압 지지하기 위한 제2가압지지부재(300B);를 구비하며,
상기 제 1,2연결부재(200A,200B)는 상기 횡파이프(20)의 외주 일부위가 면접촉되도록 원호형의 끼움홈(212)이 형성된 원호부(210)와, 상기 원호부(210)의 양측단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20)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핀부(2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속장치.
And a pipe binding means for binding the longitudinal pipe (10) and the lateral pipe (20) crossing each other,
The pipe binding means includes a body portion 102 having a receiving hole 150 for receiving the tip of the longitudinal pipe 10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end portio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2, A circumferential groove 110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verse pipe 20 and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binding portion 104, (100) having flanges (105) each having a coupling hole (12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110);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120 and 12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20 of the binding port 100 and are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105, (200A, 200B);
A first pressing support member 300A detachably coupled to the binding portion 104 of the binding port 100 to press and support the transverse pipe 20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110;
And a second pressing and supporting member 300B detachably coupled to the binding portion 104 of the binding port 100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longitudinal pipe 10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110, ,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200A and 200B include a circular arc portion 210 having an arc-shaped fitting groove 212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nsverse pipe 20, And a connection pin portion (220) extending laterally from both ends of the coupling hole (120) to be fitted to the coupling hole (120).
상기 제1,2가압지지부재(300A,300B)는 상기 체결공(130)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채용하여서,
상기 제1,2가압지지부재(300A,300B)와 체결공(130)의 체결시 상기 제1,2가압지지부재(300A,300B)의 단부가 상기 횡파이프(20) 및 종파이프(10)를 원주홈(110)의 개구방향인 외측으로 밀어서 가압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support members 300A and 300B employ fastening bolt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130, respectively,
Whe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support members 300A and 300B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130 an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support members 300A and 300B are fastened to the transverse pipe 20 and the longitudinal pipe 10, Is pushed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110) so as to support the pipe.
상기 수용공(150)은 상부에 상기 종파이프(10)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속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hole (150) is formed with a catching protrusion (155) for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vertical pipe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40002965U KR200478704Y1 (en) | 2014-04-14 | 2014-04-14 | A pipe bind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40002965U KR200478704Y1 (en) | 2014-04-14 | 2014-04-14 | A pipe bind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3868U KR20150003868U (en) | 2015-10-23 |
| KR200478704Y1 true KR200478704Y1 (en) | 2015-11-06 |
Family
ID=5443125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40002965U Expired - Lifetime KR200478704Y1 (en) | 2014-04-14 | 2014-04-14 | A pipe bind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78704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97168B1 (en) * | 2016-08-11 | 2019-07-08 | 배응섭 | Pipe connecting device for vinyl house |
| KR20220065175A (en) | 2020-11-13 | 2022-05-20 | (주)다락 | Pipe connection structure |
-
2014
- 2014-04-14 KR KR2020140002965U patent/KR200478704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3868U (en) | 2015-10-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16344B1 (en) | Pipe connecting device | |
| US2764438A (en) | Tube clamps | |
| CN106639160B (en) | Steel bar sleeve | |
| US8012065B2 (en) | Coupler | |
| KR101856706B1 (en) | One touch rebar coupler | |
| KR101508659B1 (en) | A device for tightening joint of pipe | |
| KR200478704Y1 (en) | A pipe binding apparatus | |
| KR101134992B1 (en) | Clamp type non-welding pipe joint using flare processing | |
| KR101423425B1 (en) | A pipe binding apparatus | |
| KR200469561Y1 (en) | Scaffolding frame scaffolding poles connected devices | |
| JP4693872B2 (en) | Fixing equipment such as piping | |
| KR101877247B1 (en) | Groove joints having a variable function | |
| CN110219453A (en) | The adjustable frame body of construction | |
| KR101279933B1 (en) | Clamp for plastic pipe | |
| KR101992938B1 (en) | Connecting Apparatus for Rod Type Member | |
| KR101213066B1 (en) | Connecting component of water pipes to be earthquake-resistant | |
| KR101008966B1 (en) | Pipe joint | |
| KR101562465B1 (en) | an assembly system for a flexible joint | |
| KR101451426B1 (en) | Clamp | |
| KR20140070728A (en) | Structure for fixing flange to rib- steel pipe | |
| KR100497305B1 (en) | A reinforced rod connector | |
| KR20190064239A (en) | Coupling for Reinforcement | |
| CN209860522U (en) | Quick iron pipe connector | |
| KR20120052702A (en) | Pipe Fitting Flange | |
| KR20090010908U (en) | Tee clamp for vinyl house frame join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414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326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102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