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0821Y1 -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821Y1
KR200470821Y1 KR2020090010759U KR20090010759U KR200470821Y1 KR 200470821 Y1 KR200470821 Y1 KR 200470821Y1 KR 2020090010759 U KR2020090010759 U KR 2020090010759U KR 20090010759 U KR20090010759 U KR 20090010759U KR 200470821 Y1 KR200470821 Y1 KR 200470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ube
straightening
shaft
upper 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886U (ko
Inventor
임창호
곽태옥
조기조
김진웅
범화원
안희송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0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2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2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21F1/026Straightening and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곡된 튜브를 직선화하여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의 구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부측 롤러 모듈과;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하부측 롤러 모듈을 구비하여, 상부측 롤러 모듈과 하부측 롤러 모듈 사이에 인입되는 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직선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교정 장치가 변형되어 굽어져 있는 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직선으로 교정함으로써 작업 시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튜브, 직선, 교정, 롤러

Description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APPARATUS FOR RECTIFING TUBE}
본 고안은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형되어 굽어져 있는 튜브를 곧게 펼 수 있는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설치되는 원격작동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의 계기류(Instrument) 등 각종 유공압용 튜빙(Tubing) 작업 및 관련 트레이(tray) 작업을 통틀어서 계장(Pneumatic Tubing)이라 한다. 계장용 튜브 중 PVC Coating STS 튜브는 주로 Hydraulic control system, Remote valve control system, Gas detection system 등에 사용한다.
Rig선의 계장 작업 중 PVC coating sus 튜브의 설치 순서는 먼저 대형 드럼에 감겨져 있는 롤 튜브를 풀어서 튜브 트레이가 설치된 방향으로 20 ~ 50 m 를 포설한 후에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다. 이어서 포설된 튜브를 따라가며 튜브 트레이 위에 바인딩하게 되는데 포설 중 많은 부분이 구부러져 다시 직선화하는 교정 작업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변형된 튜브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포설 완료된 튜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튜브 교정 작업을 위한 별도의 공구나 장치가 없기 때 문에 0.8 ~ 1 t 두께의 STS 튜브를 사람이 직접 힘을 가하여 교정함으로써 피로누적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형되어 굽어져 있는 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직선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된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는 절곡된 튜브를 직선화하여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의 구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부측 롤러 모듈과;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하부측 롤러 모듈을 구비하여, 상부측 롤러 모듈과 하부측 롤러 모듈 사이에 인입되는 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직선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은, 동일축 상에 스프로켓, 롤러 및 기어를 갖는 상부측 제 1롤러축과; 상부측 제 1롤러축의 기어에 맞물리는 상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과; 동일축 상에 롤러 및 상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에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상부측 제 2롤러축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측 롤러 모듈은, 상기 상부측 제 1롤러축과 마주보며 동일축 상에 롤러 및 기어를 갖는 하부측 제 1롤러축과; 하부측 제 1롤러축의 기어에 맞물리는 하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과; 상기 상부측 제 2롤러축(143)과 마주보며 동일축 상에 롤러 및 하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에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하부측 제 2롤러축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에는 튜브가 인입될 수 있는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롤러는 우레탄 코팅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부측 롤러 모듈과 하부측 롤러 모듈은, 일측이 힌지로 체결되며, 타측에는 클램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 장치는, 상부측 롤러 모듈과 하부측 롤러 모듈의 선단에, 인입되는 튜브를 1차적으로 직선 교정할 수 있도록 베어링을 더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교정 장치는,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 측에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교정 장치가 변형되어 굽어져 있는 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직선으로 교정함으로써 작업 시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를 펼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를 체결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좌측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우측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체인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는 절곡된 튜브를 편리하게 직선화하여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에어 모터(110), 상기 에어 모터(110)의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워엄 기어인 구동 기어(120), 상기 구동 기어(120)의 구동력을 체인(130)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부측 롤러 모듈(140),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하부측 롤러 모듈(15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는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하부측 롤러 모듈(150) 사이에 인입되는 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직선으로 교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모터(110)는 동력원으로 에어를 사용함으로써 과부하시에도 모터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은, 동일축 상에 스프로켓(141a), 롤러(141b) 및 기어(141c)를 갖는 상부측 제 1롤러축(141), 상부측 제 1롤러축(141)의 기어(141c)에 맞물리는 상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142), 동일축 상에 롤러(143a) 및 상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142)에 맞물리는 기어(143b)를 갖는 상부측 제 2롤러축(143), 상부측 제 2롤러축(143)의 기어(143b)에 맞물리는 상부측 제 2동력 전달 기어축(144), 동일축 상에 롤러(145a) 및 상부측 제 2동력 전달 기어축(144)에 맞물리는 기어(145b)를 갖는 상부측 제 3롤러축(145), 상부측 제 3롤러축(145)의 기어(145b)에 맞물리는 상부측 제 3동력 전달 기어축(146), 동일축 상에 롤러(147a) 및 상부측 제 3동력 전달 기어축(146)에 맞물리는 기어(147b)를 갖는 상부측 제 4 롤러축(147)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측 롤러 모듈(150)은, 상기 상부측 제 1롤러축(141)과 마주보며 동일축 상에 롤러(151a) 및 기어(151b)를 갖는 하부측 제 1롤러축(151), 하부측 제 1롤러축(151)의 기어(151b)에 맞물리는 하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152), 상기 상부측 제 2롤러축(143)과 마주보며 동일축 상에 롤러(153a) 및 하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152)에 맞물리는 기어(153b)를 갖는 하부측 제 2롤러축(153), 하부측 제 2롤러축(153)의 기어(153b)에 맞물리는 하부측 제 2동력 전달 기어축(154), 상기 상부측 제 3롤러축(145)과 마주보며 동일축 상에 롤러(155a) 및 하부측 제 2동력 전달 기어축(154)에 맞물리는 기어(155b)를 갖는 하부측 제 3롤러축(155), 하부측 제 3롤러축(155)의 기어(155b)에 맞물리는 하부측 제 3동력 전달 기어축(156), 상기 상부측 제 4롤러축(147)과 마주보며 동일축 상에 롤러(157a) 및 하부측 제 3동력 전달 기어축(156)에 맞물리는 기어(157b)를 갖는 하부측 제 4롤러축(157)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는 상기 상·하부측 롤러 모듈(140),(150)에 각각 4개의 롤러(141b),(143a),(145a),(147a),(151a),(153a),(155a),(157a)를 배열하여 튜브를 따라 이동하는 기능과 튜브의 변형을 교정하는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에어 모터(110)가 작동함에 따라 구동 기어(120)의 구동력을 체인(130)으로 전달받은 상부측 제 1롤러축(141)이 회전하면 나머지 롤러축(143)(145),(147),(151),(153),(155),(157)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 부측 제 1,2,3동력 전달 기어축(142),(144),(146) 및 하부측 제 1,2,3동력 전달 기어축(152),(154),(156)은 롤러의 회전 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롤러(141b),(143a),(145a),(147a),(151a),(153a),(155a),(157a)는 튜브가 인입될 수 있는 형상의 요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141b),(143a),(145a),(147a),(151a),(153a),(155a),(157a)는 알루미늄 소재로서 마찰력을 크게 하여 미끄러짐이 없이 튜브를 따라 양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표면을 우레탄 코팅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하부측 롤러 모듈(150)은, 일측이 힌지(160)로 체결되며, 타측에는 원터치 클램프(170)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는 튜브의 끝단부나 중간부에서 원터치 클램프(170)를 이용하여 튜브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는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하부측 롤러 모듈(150)의 선단에, 인입되는 튜브를 1차적으로 직선 교정할 수 있도록 베어링(18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는,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 측에 손잡이(19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의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하부측 롤러 모듈(150)을 펼친 상태에서, 변형되어 굽어져 있는 튜브(1)의 부분이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하부측 롤러 모듈(150)의 사이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한 다음에 원터치 클램프(170)를 체결한다.
이어서, 에어 밸브를 열어 에어 모터(110)를 작동시켜 상부측 제 1롤러축(141)을 회전시키면 교정 장치(100)가 튜브(1)를 따라 이동하면서, 1차적으로는 베어링(180) 사이를 통과하면서 튜브(1)가 직선으로 펴지게 되고, 2차적으로는 우레탄 롤러(141b),(143a),(145a),(147a),(151a),(153a),(155a),(157a) 사이를 통과하면서 튜브(1)가 직선으로 펴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는 변형되어 굽어져 있는 튜브(1)를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1)를 직선으로 교정함으로써 작업 시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품질 향상을 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100)는 필요한 장소로 자유롭게 들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변형된 튜브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포설 완료된 튜브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를 펼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를 체결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좌측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우측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체인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정 장치 110 : 모터
120 : 구동 기어 130 : 체인
140 : 상부측 롤러 모듈 141 : 상부측 제 1롤러축
142 : 상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 143 : 상부측 제 2롤러축
144 : 상부측 제 2동력 전달 기어축 145 : 상부측 제 3롤러축
146 : 상부측 제 3동력 전달 기어축 147 : 상부측 제 4롤러축
150 : 하부측 롤러 모듈 151 : 하부측 제 1롤러축
152 : 하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 153 : 하부측 제 2롤러축
154 : 하부측 제 2동력 전달 기어축 155 : 하부측 제 3롤러축
156 : 하부측 제 3동력 전달 기어축 157 : 하부측 제 4롤러축
160 : 힌지 170 : 클램프
180 : 베어링 190 : 손잡이

Claims (7)

  1. 삭제
  2. 절곡된 튜브를 직선화하여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0)와;
    상기 모터(110)의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어(120)와;
    상기 구동 기어(120)의 구동력을 체인(130)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하부측 롤러 모듈(150)을 구비하여,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하부측 롤러 모듈(150)의 사이에 인입되는 튜브를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직선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은, 동일축 상에 스프로켓(141a), 롤러(141b) 및 기어(141c)를 갖는 상부측 제 1롤러축(141)과; 상부측 제 1롤러축(141)의 기어(141c)에 맞물리는 상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142)과; 동일축 상에 롤러(143a) 및 상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142)에 맞물리는 기어(143b)를 갖는 상부측 제 2롤러축(143)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측 롤러 모듈(150)은, 상기 상부측 제 1롤러축(141)과 마주보며 동일축 상에 롤러(151a) 및 기어(151b)를 갖는 하부측 제 1롤러축(151)과; 하부측 제 1롤러축(151)의 기어(151b)에 맞물리는 하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152)과; 상기 상부측 제 2롤러축(143)과 마주보며 동일축 상에 롤러(153a) 및 하부측 제 1동력 전달 기어축(152)에 맞물리는 기어(153b)를 갖는 하부측 제 2롤러축(153)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141b),(143a),(151a),(153a)에는 튜브가 인입될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141b),(143a),(151a),(153a)는 우레탄 코팅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하부측 롤러 모듈(150)은, 일측이 힌지(160)로 체결되며, 타측에는 클램프(170)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과 하부측 롤러 모듈(150)의 선단에, 인입되는 튜브를 1차적으로 직선 교정할 수 있도록 베어링(180)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롤러 모듈(140) 측에 손잡이(190)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110)는 에어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KR2020090010759U 2009-08-18 2009-08-18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70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59U KR200470821Y1 (ko) 2009-08-18 2009-08-18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59U KR200470821Y1 (ko) 2009-08-18 2009-08-18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86U KR20110001886U (ko) 2011-02-24
KR200470821Y1 true KR200470821Y1 (ko) 2014-01-13

Family

ID=4420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75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0821Y1 (ko) 2009-08-18 2009-08-18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571B1 (ko) * 2014-11-26 2017-02-02 현대제철 주식회사 단조품 교정 장치
KR200495825Y1 (ko) * 2020-11-30 2022-08-30 주식회사 오엔 튜브 직선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9801A (en) * 1986-11-03 1989-05-16 Mcraine Lance W Cable straightening apparatus
US5676010A (en) * 1996-09-20 1997-10-14 The Whitaker Corporation Wire straightening device
KR20040016241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랭크 다이
KR200397883Y1 (ko) 2005-07-05 2005-10-10 세진공업 주식회사 선박접안용 로프 가이드용 유니버셜 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9801A (en) * 1986-11-03 1989-05-16 Mcraine Lance W Cable straightening apparatus
US5676010A (en) * 1996-09-20 1997-10-14 The Whitaker Corporation Wire straightening device
KR20040016241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랭크 다이
KR200397883Y1 (ko) 2005-07-05 2005-10-10 세진공업 주식회사 선박접안용 로프 가이드용 유니버셜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86U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3795C (en) Tubing straightener
KR200470821Y1 (ko) 튜브 직선화 교정 장치
KR20070042945A (ko) 무맨드렐 파이프 벤딩기
KR2019001080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JP2008131723A (ja) 防護管挿入機
KR20140120701A (ko) 배관의 테이핑 장치
CN104308446A (zh) 链式外对口装置及其方法
CN219866124U (zh) 一种整纬器弯辊角度调整与传动装置
CN209935596U (zh) 一种小口径厚壁卷板设备
CN209407138U (zh) 一种轧辊宽度能够调节的冷弯成型机
JP3512752B2 (ja) 巻取紙の駆動装置
CN208712563U (zh) 钢管矫直机
CN108480515A (zh) 一种电力施工用钢筋框的加工方法
US20150314348A1 (en) Apparatus for Working Tubes, Bars, Sections and Similar Blank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chines Arranged in Line
KR100489932B1 (ko) 봉강재의 벤딩장치
KR100953938B1 (ko) 이축 드라이버
KR20080102586A (ko) 유자형 금속판넬 구조물 성형용 밴딩기
KR101466209B1 (ko) 강연선 삽입장치
CN116677754A (zh) 一种整纬器弯辊角度调整与传动装置
CN204819298U (zh) 一种异形扳手
CN217995595U (zh) 一种滚涂线转弯机
CN221087898U (zh) 一种用于风管连接的弹簧卡紧固工装
JP2007260846A (ja) 既設配管のライニング用配管部材の挿入装置
CN222535982U (zh) 一种制动油管弯形装置
CN110666008A (zh) 一种带导向装置的卷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801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10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