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1486Y1 -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86Y1
KR200471486Y1 KR2020120011438U KR20120011438U KR200471486Y1 KR 200471486 Y1 KR200471486 Y1 KR 200471486Y1 KR 2020120011438 U KR2020120011438 U KR 2020120011438U KR 20120011438 U KR20120011438 U KR 20120011438U KR 200471486 Y1 KR200471486 Y1 KR 200471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protective cover
c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4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종명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2020120011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8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86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고, 카드나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는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탈착 가능한 보호커버에 있어서, 둘레가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벽부를 갖는 제1플레이트와, 제1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되되 둘레가 제1플레이트의 외벽부를 감싸도록 접혀져 부착되는 외피와, 일면이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 부착되되 외피의 접혀진 둘레를 덮으면서 부착되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가지며 타면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과 탈착 가능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accommodate a card or business card.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ective cover detachable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first plate having an outer wall formed by being bent in one direction and the periphery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outer shell is folded and attached to surround the outer wall of one plate, and one side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has a stepped portion formed to be attached while covering the folded circumference of the outer shell and the other side is removable with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plate.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본 고안은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tecting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 등을 비롯한 각종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휴대 전자기기 사용자들은 휴대 전자기기 외에 관련 액세서리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하나의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 중에서도 고가의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스크래치 생기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커버는 필수품목처럼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are widely spreading. In addition, user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e shown considerable interest in portable accessories as well as related accessories, forming a trend. Of these accessories, protective covers are used as essential items to protect expensive electronic equipment from external impacts and prevent scratches or breakage.

휴대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보호케이스는 소위 '범퍼'라 불리우는 상하방이 개구된 프레임 타입이나, 상방만이 개구된 프레임에 뒷판이 부착된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호케이스를 휴대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휴대 전자기기를 보호케이스의 상방 개구부로 밀어넣어 끼워야 했는데, 휴대 전자기기가 잘 끼워지도록 보호케이스의 프레임이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protective case us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ainly a frame type having a top and bottom opening, called a bumper, or a type having a back plate attached to a frame having only a top opening. In order to mount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d to be pushed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protective case, and the frame of the protective case was made of rubber or plastic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as fitted well. Is done.

그런데, 종래 보호케이스에 휴대 전자기기를 끼우는 작업은 쉽게 할 수 있지만, 일단 보호케이스에 끼워진 휴대 전자기기를 다시 분리하는 작업은 쉽지않았다. 즉, 보호케이스를 한쪽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힘을 가하여 프레임과 휴대 전자기기 사이를 벌린 후 손가락 또는 손톱을 사이에 집어넣고 힘을 주어 분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손톱이 손상되거나 부러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By the way,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can be easily, but it was not easy to separ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c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ase. In other words, holding the protective case with one hand and applying force with the other hand to open a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 is a difficulty to separate the finger or nail between the force and force, even if the nail is damaged or broken It often happens.

또한, 종래 보호케이스 중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재와, 판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가죽재질의 외피로 구성된 것이 있는데, 판재에 부착된 외피의 둘레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피의 끝단부에 절단면을 깔끔하게 처리하기 위해 소위 '기리매(엣지코트)' 작업을 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 사용시 외피의 끝단부가 벗겨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is composed of a plastic plate and a leather outer ski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late, the perimeter of the outer skin attached to the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clean the cutting surface at the end of the outer skin In addition to the so-called 'giri-mae (edge coat)' work, there is a case that the end of the skin peels off when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또한, 최근에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 예로, 보호케이스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여 교통카드나 명함 등과 같은 소형 소지품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보호케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탈 경우 보호케이스를 리더기에 접촉시켜 수납된 교통카드로 요금을 결제할 수 있고, 미팅시 케이스에 수납된 명함을 바로 꺼내 교환할 수 있는 등 일상 생활에서 여러 가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보호케이스는 수납부가 단순히 밴드형태, 예컨대 케이스의 일면에 밴드를 부착하여 밴드 사이에 카드 등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두께가 얇은 카드 등이 쉽게 빠지거나 훼손될 수 있고, 특히, 밴드가 노후되어 헐거워질 경우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등, 카드 등을 제대로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to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protective case for forming a storage space in a protective case to carry small belongings such as a traffic card or a business card is It is commercially available. According to this, when a user rides a bus or subway in the process of carry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user can contact the protective case with a reader and pay the fee with the stored transportation card, and take out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case immediately during the meeting. It can be exchanged and provide various conveniences in daily life. However,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is simply configured in the band portion, for example, by attaching the band to one side of the case to insert the card between the band, such a configuration, such a thin card can easily be pulled out or damaged, In particular, when the band becomes old and loo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rd cannot be properly stored, for example, it cannot perform its function.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cover tha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피의 끝단부가 벗겨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prevent the peeling of the end of the outer shel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피 끝단부에 기리매(엣지코트) 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does not need to carry out a girimae (edge coat) at the outer end of the shel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나 명함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stored easily and securely card or business card.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탈착 가능한 보호커버에 있어서, 둘레가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벽부를 갖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되되, 둘레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외벽부를 감싸도록 접혀져 부착되는 외피와, 일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 부착되되 상기 외피의 접혀진 둘레를 덮으면서 부착되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가지며, 타면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과 탈착 가능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protective cover detachable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first plate having an outer wall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in one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ce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circumference is An outer skin is folded and attached to surround the outer wall of the first plate, and one side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but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cover while covering the folded circumference of the outer surface,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ne side and a removable second plate.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는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2플레이트가 상기 제1플레이트에 부착되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 사이에 카드 또는 명함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카드 또는 명함이 삽입되어 상기 수납홈부에 수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has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and when the second plate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lternatively, an accommodating groove part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a business card, and a card or a card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part through the opening.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는 표면에 카드 또는 명함이 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플레이트가 상기 제1플레이트에 부착되면 카드 또는 명함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 안착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has an opening formed on the surface to allow the card or business card to penetrate in the surface direction, when the second plate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the card or business card An accommodating groove part may be formed through the opening to be se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상호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대응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x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to prevent mutual flow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 concave portion or a 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는 타면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홈을 가져, 상기 수납홈부에 수납된 카드 또는 명함의 일단부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has a fing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it is possible to lift one end of the card or business car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면에 마련되어 양면이 각각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점착되는 점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plat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면에 점착되는 제1점착층과, 상기 제1점착층에 적층되어 부착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점착될 수 있는 제2점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점착층은 상기 제2점착층 보다 더 큰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which is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cond adhesive layer,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have a greater adhesive force than the second adhesive layer.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점착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부를 가지며, 상기 점착부재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점착층의 표면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has a seating recess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can be seated,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is seated in the seating recess. It can form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other surface of two plates.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제2점착층의 표면에 점착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ape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삭제delete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removabl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의하면, 외피의 둘레가 접혀져서 제1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외피의 접혀진 둘레를 덮도록 제2플레이트가 제1플레이트에 부착됨으로써, 외피의 끝단부에 기리매(엣지코트) 작업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작업공정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외피의 끝단부가 벗겨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shell is folded and attached to the first plate and covers the folded circumference of the outer shell,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falcon (edge coat) work, not only the work process is reduced but also the peeling of the end of the ski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의하면,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카드나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부가 형성되고, 휴대 전자기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드나 명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카드나 명함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card or a business car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card or business card is externally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cause it is not exposed to, you can store cards and business cards safel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의하면, 제1플레이트의 중앙에 소정 면적의 함입부가 형성됨으로써, 바닥에 떨어뜨리더라도 충격이 완화되어 휴대 전자기기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recess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even if dropped on the floor, the impact can be alleviated to prevent damage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의 제2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A-A'부 분해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제2플레이트의 다른 예가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late of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5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plat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in a manner that allow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does not mean anything.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는 휴대 전자기기(200)의 일면에 탈착 가능한 것으로서, 제1플레이트(110), 외피(120), 제2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1 to 6,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able on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the first plate 110, the outer shell 120, the second plate 130 It includes.

제1플레이트(110)는 평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부가 만곡된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둘레가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벽부(112)를 가질 수 있으며, 외벽부(112)는 제1플레이트(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플라스틱을 비롯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110)는 중앙에 함입 형성되는 함입부(115)를 가질 수 있는데, 함입부(115)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바닥에 떨어진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irst plate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having a central portion curved. The first plate 110 may have an outer wall portion 112 formed by bending a circumference in one direction, and the outer wall portion 112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late 110. The first plate 1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plastic,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 first plate 110 may have a recess 115 formed in the center, the recess 115 serves to mitigate the impact whe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lls on the floor, more detailed Th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외피(120)는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가죽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외피(120)는 제1플레이트(110) 보다 약간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그 둘레(122)가 제1플레이트(110)의 외벽부(112)를 감싸도록 접혀져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외피(120)의 둘레(122)의 끝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20)의 둘레(122)가 접혀져 제1플레이트(110)의 외벽부(112)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outer shell 12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be made of leather. In this case, the outer shell 120 may have a slightly wider area than the first plate 110, and the circumference 122 may be folded and attached to surround the outer wall 112 of the first plate 110. This is to prevent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122 of the outer shell 12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outer wall of the first plate 110 is fold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122 of the outer shell 120. It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112).

제2플레이트(130)는 일면이 제1플레이트(110)의 타면, 즉 외피(120)가 부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부착된다. 제2플레이트(130)는 제1플레이트(110)의 외벽부(112)에 부착된 외피(120)의 접혀진 둘레(122)를 덮으면서 부착되며, 이에 따라 외피(120)의 둘레(122)의 끝단부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30) 사이에 삽입된 형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외피(120)의 둘레(122)의 끝단부에 소위 '기리매(엣지코트)' 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정수가 감소되며, 또한 오래 사용하더라도 외피(120)의 둘레(122)의 끝단부가 벗겨질 염려가 없다.One side of the second plate 130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outer shell 120 is attached. The second plate 130 is attached while covering the folded circumference 122 of the shell 120 attached to the outer wall portion 112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us, the circumference 122 of the shell 120. Since the end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30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called 'girimae (edge coat) at the end of the circumference 122 of the outer shell 120 The number of processes is reduc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work, and there is no fear that the end of the circumference 122 of the outer shell 120 may be peeled off even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이 경우, 제2플레이트(13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132)를 가질 수 있으며, 단턱부(132)에 제1플레이트(110)의 외벽부(112) 및 외벽부(112)에 부착된 외피(120)의 접혀진 둘레(122)가 밀착되도록, 제2플레이트(130)의 단턱부(132)가 제1플레이트(110)의 외벽부(112)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2플레이트(130)는 제1플레이트(110)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지지되며, 제1플레이트(110)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30)는 플라스틱을 비롯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plate 130 may have a stepped portion 132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and the stepped portion 13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wall portion 112 and the outer wall portion 112 of the first plate 110. The stepped portion 132 of the second plate 1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portion 112 of the first plate 110 so that the folded circumference 122 of the attached shell 120 is in close contact. Accordingly, the second plate 130 may be supported without flowing on the first plate 110, and may be adhered to the first plate 110 by an adhesive. The second plate 13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plastic,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제2플레이트(130)는 그 타면이 휴대 전자기기(200)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를 위해, 제2플레이트(130)는 타면에 점착부재(140)가 마련될 수 있다. 점착부재(140)는 양면이 각각 제2플레이트(130)와 휴대 전자기기(200)에 점착되며, 이에 따라 제2플레이트(130)와 휴대 전자기기(200)의 탈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2플레이트(130)는 점착부재(14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부(138)를 가질 수 있다.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30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To this end, the second plate 130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member 140 on the other surface. Both sides of the adhesive member 140 are adhered to the second plate 130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respectively, and thus the second plate 130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detached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econd plate 130 may have a mounting groove 138 on which the adhesive member 140 may be mounted.

점착부재(140)는 제2플레이트(130)와의 점착을 위한 제1점착층(142)과, 휴대 전자기기(200)와의 점착을 위한 제2점착층(14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점착층(142)은 제2플레이트(130)의 타면에 점착되며, 제2점착층(144)은 휴대 전자기기(200)의 일면에 점착될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140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142 for sticking with the second plate 130,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44 for sticking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The adhesive layer 142 may be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3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44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이 경우, 제1점착층(142)은 제2점착층(144) 보다 더 큰 점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점착부재(140)의 양면에 보호커버의 제2플레이트(130)와 휴대 전자기기(200)가 점착된 상태에서 양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잡고 당긴 경우에 점착부재(140)에서 제2플레이트(130)가 분리되지 않고 휴대 전자기기(200)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first adhesive layer 142 preferably has a greater adhesive force than the second adhesive layer 144, the second plate 130 of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 This is to allow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to be separated without separating the second plate 130 from the adhesive member 140 when the 200 is adhered and pulled to separate both in the adhered state.

참고로, 제1점착층(142)과 제2점착층(144)은 제1점착층(142)의 점착력보다 더 큰 부착력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부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점착층(142)과 제2점착층(144)은 일체를 이루게 되고 제2플레이트(130)와 휴대 전자기기(200)의 탈착 과정에서 제1점착층(142)과 제2점착층(144)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For reference, the first adhesive layer 14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44 may attach an adhesive forc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42 with an adhesive or an adhesive, and through this, the first adhesive layer 142. )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4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4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4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ring the desorption process of the second plate 130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The phenomenon does not occur.

그리고 점착부재(140)는 제1점착층(142)을 통해 제2플레이트(130)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휴대 전자기기(200)와의 잦은 탈착으로 인해 점착부재(140)의 제2점착층(144)의 점착력이 약해진 경우에는 점착부재(140)를 제2플레이트(130)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점착부재를 점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And since the adhesive member 140 is adhered to the second plate 130 through the first adhesive layer 142, if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adhesive member 140 due to frequent detachment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adhesive force of 144 is weakened, the adhesive member 14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plate 130, and new adhesive members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한편, 점착부재(140)는 제2점착층(144)의 표면에 점착되는 이형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부재(140)는 제2점착층(144)에 이형지(146)가 점착된 형태로 제2플레이트(130)에 점착되며, 이형지(146)를 벗겨낸 후 휴대 전자기기(200)를 점착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adhesive member 140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aper 146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44. In this case, the adhesive member 140 is adhered to the second plate 130 in a form in which the release paper 146 is adhered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144, and after peeling off the release paper 146,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Can be adhered.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30)는 점착부재(14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부(138)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점착부재(140)가 안착홈부(138)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점착층(144)의 표면은 제2플레이트(130)의 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되며, 그에 따라 점착부재(140)로 인한 제2플레이트(130)와 휴대 전자기기(200) 사이의 갭 발생은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late 130 may have a mounting groove 138 on which the adhesive member 140 may be mounted. In this case, in the state where the adhesive member 14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38, the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44 forms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30, and thus the adhesive member 140.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second plate 130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due to) is prevented.

한편,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30)는 상호 유동이 방지되도록 요철결합의 형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1플레이트(110)는 타면에 돌출형성되는 볼록부(116)를 가질 수 있고, 제2플레이트(130)는 제1플레이트(110)의 볼록부(116)에 대응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36)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플레이트(110)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130)에 볼록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30 may be coupled in the form of concave-convex coupling to prevent mutual flow, for this purpose, the first plate 110 is a convex portion 116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 And the second plate 130 may have a concave portion 136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 116 of the first plate 110.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a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110 and a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late 13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는 제2플레이트(130)가 제1플레이트(110)에 부착되었을 때, 카드 또는 명함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플레이트(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34)를 가질 수 있는데, 제2플레이트(130)의 개구부(134)는 그 폭이 카드 또는 명함의 폭보다 약간 크게, 그 면적은 카드 또는 명함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플레이트(130)가 제1플레이트(110)에 부착되면 제1플레이트(110)의 타면과 제2플레이트(130)의 일면 사이에 카드 또는 명함의 수납홈부(114)가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130)의 개구부(134)를 통해 카드 또는 명함이 삽입되어 수납홈부(114)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에 함입부(115)가 형성된 경우에는 수납홈부(114)에 안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의 하방에 소정의 공간(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제1플레이트(110)의 함입부(115)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제1플레이트(110)의 함입부(115)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므로 휴대 전자기기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eceiving means for storing a card or a business card when the second plate 130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110. To this end, the second plate 130 may have an opening 134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opening 134 of the second plate 130 has a width of a card. Or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usiness card, the area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card or business card. Therefore, when the second plate 130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110, the receiving groove 114 of the card or business card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30, A card or a business card may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34 of the two plates 130 to be stor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14. At this time, when the recess 115 is formed in the first plate 110 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space (not shown) is formed below the card or business card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4. Since the space is formed, the recess 115 of the first plate 110 has elasticity to mitigate the impact. Therefore, even i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lls on the floor, the impact is alleviated by the recess 115 of the first plate 110,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6에서 본 고안의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100)에 카드(300)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제2플레이트(130)의 개구부(134)에 인접하는 표면(135), 즉 수납홈부(114)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130)의 표면(135)은 수납홈부(114)에 수납된 카드(300) 또는 명함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100)에 카드(300) 또는 명함이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전자기기가 부착되면 카드(300) 또는 명함이 이탈될 염려는 없다.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ard 300 is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cover 1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surface 135 adjacent to the opening 134 of the second plate 130, that is, the surface 135 of the second plate 130 located above the receiving groove 114, is the receiving groove 114. The card 300 or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serves to prevent the departure of. Of cours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attached to the protective cover 100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 state where the card 300 or the business card is accommodated, there is no fear that the card 300 or the business card may be separated.

수납홈부(114)에 수납된 카드(300) 또는 명함을 용이하게 꺼내기 위해, 제1플레이트(110)의 타면에 손가락 삽입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 삽입홈(118)에 손가락이나 손톱을 집어넣어 수납홈부(114)에 수납된 카드(300) 또는 명함의 일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카드(300) 또는 명함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A finger insertion groove 118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o easily take out the card 300 or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14. Accordingly, the card 300 or the business card can be easily taken out by inserting a finger or a nail into the finger insertion groove 118 to lift one end of the card 300 or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14.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30)는 표면에 카드 또는 명함이 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플레이트(130)가 제1플레이트(110)에 부착되면 제1플레이트(110)의 타면에 수납홈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며 카드 또는 명함을 제2플레이트(130)의 개구부 사이의 제1플레이트(110)에 안착 수납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2플레이트(130)와의 차이는 카드 또는 명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표면(135)이 없다는 점인데, 제2플레이트(130)에 휴대 전자기기(200)를 부착시키면 카드 또는 명함이 이탈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plate 130 may have an opening (not shown) having a size through which a card or a business card can penetrate in the surface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second plate 130. When the plate 130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110,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and a card or business card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s of the second plate 130. It can be seated and accommodated in one plate (110). The difference from the second plate 130 shown in Figure 1 is that there is no surface 135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card or business car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is attached to the second plate 130, the card or business card Since there is no fear of devia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in this form.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의 조립과정 및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는 외피(120), 제1플레이트(110), 제2플레이트(130), 점착부재(140)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는데, 외피(120),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30)가 적층 부착되고, 제2플레이트(130)의 안착홈부(138)에 점착부재(140)가 점착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러한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ssembly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 2,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the outer shell 120, the first plate 110, the second plate 130, and the adhesive member 140, respectively, the outer shell 120. As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30 are laminated and attached, and the adhesive member 140 is adhered to the seating groove 138 of the second plate 130, the portable electromagnetic as illustrated in FIG. 1. Assembly of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aircraft is completed, can be distributed in this state.

휴대 전자기기에 보호커버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부재(140)의 이형지(146)를 벗겨내고 점착부재(140)가 휴대 전자기기(200)의 일면에 부착되도록 하면 되고, 필요시에 휴대 전자기기(200)에서 보호커버를 분리할 수 있다.In order to attach the protective cover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release paper 146 of the adhesive member 140 may be peeled off as shown in FIG. 1, and the adhesive member 14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If necessary, the protective cover may be remov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한편,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또는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부(114)를 가지며, 제2플레이트(130)의 개구부(134)를 통해 카드(300)를 삽입시켜 수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100)에 카드(300)가 수납될 수 있으며, 카드(300)가 수납된 상태로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100)의 이형지(146)를 벗겨낸 후 휴대 전자기기를 부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Figure 1 has a receiving groove 114 for storing a card or a business card, the card 300 through the opening 134 of the second plate 130 Can be stored by inserting. As shown in FIG. 6, the card 300 may be stored in the protective cover 100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lease paper 146 of the protective cover 100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peeled off while the card 300 is accommodated. You can atta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fter it is released.

이 경우,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100)에 수납된 신용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 전자기기(200)에서 보호커버(100)를 분리한 후 신용카드를 수납홈부(114)에서 꺼내어 사용하고, 다시 수납홈부(114)에 집어넣고 휴대 전자기기(200)에 보호커버(100)를 부착시키면 된다. 교통카드인 경우에는 별도로 휴대 전자기기(200)에서 보호커버(100)를 분리할 필요없이 사용하면 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use the credit card stored in the protective cover 100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fter removing the protective cover 100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the credit card is removed from the storage groove 114, and used. The protective cover 100 may be attached to the receiving groove 114 and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In the case of a traffic card, the protective cover 100 may be used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the protective cover 100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00 :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110 : 제1플레이트
112 : 외벽부 114 : 수납홈부
115 : 함입부 116 : 볼록부
118 : 손가락 삽입홈 120 : 외피
130 : 제2플레이트 132 : 단턱부
134 : 개구부 136 : 오목부
138 : 안착홈부 140 : 점착부재
142 : 제1점착층 144 : 제2점착층
146 : 이형지
100: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110: the first plate
112: outer wall portion 114: receiving groove portion
115: recessed part 116: convex part
118: finger insertion groove 120: shell
130: second plate 132: step
134: opening 136: recess
138: mounting groove 140: adhesive member
142: first adhesive layer 144: second adhesive layer
146: Release paper

Claims (10)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탈착 가능한 보호커버에 있어서,
둘레가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벽부를 갖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되되, 둘레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외벽부를 감싸도록 접혀져 부착되는 외피;
일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 부착되되 상기 외피의 접혀진 둘레를 덮으면서 부착되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가지며, 타면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과 탈착 가능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In the protective cover removable on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first plate having an outer wall portion formed around the bend of one circumference;
An outer shell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outer shell being folded and attached to surround the outer wall of the first plate;
One side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has a stepped portion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to be attached while covering the folded circumference of the outer shell, the other side is a protec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econd plate detachable with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2플레이트가 상기 제1플레이트에 부착되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 사이에 카드 또는 명함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카드 또는 명함이 삽입되어 상기 수납홈부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late has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and when the second plate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the card or business card can be stor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The groove is formed,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d or business card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can be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표면에 카드 또는 명함이 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플레이트가 상기 제1플레이트에 부착되면 카드 또는 명함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 안착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late has an opening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o allow the card or business card to penetrate in the surface direction, and when the second plate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the card or the business card penetrates the opening to provid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that can be seated on the other side.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상호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대응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nvex portions or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to prevent mutual flow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conca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s or concave portions of the first plate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or convex portion is formed.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타면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홈을 가져, 상기 수납홈부에 수납된 카드 또는 명함의 일단부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first plate has a fing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lift one end of the card or business card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with a finger.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면에 마련되어 양면이 각각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점착되는 점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plat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면에 점착되는 제1점착층과, 상기 제1점착층에 적층되어 부착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면에 점착될 수 있는 제2점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점착층은 상기 제2점착층 보다 더 큰 점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of claim 6,
The adhesive member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a second adhesive layer laminated and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first adhesive layer has a greater adhesive force than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점착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부를 가지며, 상기 점착부재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점착층의 표면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plate has a seating recess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can be seated,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forms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whi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rests on the seating recess.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제2점착층의 표면에 점착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adhesiv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ape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삭제delete
KR2020120011438U 2012-12-06 2012-12-06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2004714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438U KR200471486Y1 (en) 2012-12-06 2012-12-06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438U KR200471486Y1 (en) 2012-12-06 2012-12-06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486Y1 true KR200471486Y1 (en) 2014-03-03

Family

ID=5148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43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1486Y1 (en) 2012-12-06 2012-12-06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86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82Y1 (en) 2011-01-19 2011-08-2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ortable electronics case
KR101084548B1 (en) * 2011-08-24 2011-11-17 이명호 Shield cas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82Y1 (en) 2011-01-19 2011-08-2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ortable electronics case
KR101084548B1 (en) * 2011-08-24 2011-11-17 이명호 Shield cas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8690B1 (en) A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card
US8596449B2 (en)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KR101422194B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US20120247989A1 (en) Tablet computer utility structure
US20140091689A1 (en) Cover Having Wallet Feature for Electronic Devices
JP2008541253A (en) Adhesive format adapter for memory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
EP2892381B1 (en)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KR200471599Y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taining card
KR200471486Y1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32073B2 (en) Housing-protect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00403U (en)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KR200476087Y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128667B2 (en) Protective cover for slot and screen of mobile terminal
KR200473933Y1 (en)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s
WO201406557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KR101620780B1 (en)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KR101422196B1 (en)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KR20130087954A (en) The cellular phone case
KR20180034843A (en) Mobile Phone Case With Storage Pad
KR200358751Y1 (en) A case for safekeeping smartcard chip
KR200468570Y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89987A (en) Smartphone Case Covering Upper Side with Protection Film Bonded
KR101442351B1 (en) Case for mobile terminals that the desorption of the cover is possible
KR20130005135U (en) Case for tetminal portable
KR20110041015A (en) Card border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U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702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22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