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26Y1 - Container For Confectionary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Confectiona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626Y1 KR200485626Y1 KR2020160000953U KR20160000953U KR200485626Y1 KR 200485626 Y1 KR200485626 Y1 KR 200485626Y1 KR 2020160000953 U KR2020160000953 U KR 2020160000953U KR 20160000953 U KR20160000953 U KR 20160000953U KR 200485626 Y1 KR200485626 Y1 KR 2004856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protruding
- main body
- prevention cap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65D2251/026—Grip means made of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and preventing slippage during removal by hand, e.g. band,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과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구되는 뚜껑하부의 일측과, 뚜껑하부를 덮는 뚜껑상부의 일측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뚜껑부, 과자의 흘림을 방지하도록, 뚜껑하부 상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가 복수개 구비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뚜껑하부의 상측을 덮는 흘림방지캡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ectionery container, which compris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confectionery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pening upward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 lid low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 cover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lid which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lid, a plurality of blocking part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lid and protruding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spill prevention cap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lid.
Description
본 고안은 과자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부 내부에 흘림방지캡이 구비되어 유아들이 어려움 없이 과자를 직접 꺼낼 수 있으며 과자를 먹을 때 바닥에 흘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수용부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유아에게 소량의 과자를 덜어줄 수 있으며 보조수용부가 제공되어 무게도 줄어들게되며 유아들이 과자 용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수용부에도 흘림방지캡이 결합되어 활용도가 높은 과자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과자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ectionery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out cap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lid so that the infant can directly take out the confectionery without difficulty, prevents the confection from flowing to the floor when eating the confectionery, If necessary, it can relieve a small amount of confectionery to the infant. Also, it can reduce the weight by providing a supplementary storage unit. In addition to allowing the infant to easily catch the confectionery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e container which can be provided.
과자류를 보관 및 포장하는 방법으로는 공기를 주입한 비닐로 밀봉을 하는 방법, 비닐포장한 후 다시 종이상자에 넣는 방법, 또는 원통형의 몸체와 뚜껑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Methods for storing and packing the confectionery were such as air-sealed plastic sealing, plastic wrapping, and then a cylindrical body and lid.
이들 중 원통형의 몸체와 뚜껑을 이용하는 방법은 그 외관이 우수하며 과자류의 파손방지 효과도 우수하여 고급 과자류의 포장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the method using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lid has excellent appearance and is excellent in the prevention of breakage of confectionery, and thus it is widely used as a packing container of high-grade confectionary.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원통형 과자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such a conventional cylindrical confectionery container.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로 측면(10)인 원통을 형성하고, 그 바닥면(20)은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상기 측면(10)과 바닥면을 부착하여 몸체를 형성하고, 뚜껑(30)으로는 연질의 플라스틱을 사용하였다. As shown in the figure, a cylinder, which is a
그리고 이러한 과자 용기의 경우에는 뚜껑의 개폐가 자유로우므로 별도의 개봉방지 수단이 없을 경우 제품의 개봉여부를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개구부를 비닐이나 종이 등을 사용하여 별도의 내부뚜껑(32)을 밀봉하여서 이러한 내부뚜껑(32)의 부착상태로부터 제품의 개봉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case of such a confectionery container,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is free,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product is opened if there is no separate opening preventing means, and the opening is sealed with a separat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과자 용기의 경우 뚜껑을 개폐해야 과자 용기 내부에 담긴 과자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유아들이 직접 과자를 꺼낼 수 없으며, 과자 용기 내부에 담긴 과자를 먹을 때 과자를 바닥에 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confectionery container, it is necessary to open and close the lid so that the confectionery contained in the confectionery container can be taken out, so that the infant can not take out the confectionery directly. When the confectionery contained in the confectionery container is eate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done.
또한, 종래의 과자 용기는 내부에 과자를 보관하기 위해 크기가 크며, 과자의 양이나 과자 용기의 재질에 따라 무게가 무거워 유아들이 과자 용기를 잡기 어려워하며 손에서 놓쳐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fectionery container has a large size for storing the confectionery therein, and the infant has a heavy weight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confectionery or the material of the confectionery container, making it difficult for the infant to catch the confectionery container,
본 고안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뚜껑부 내부에 흘림방지캡이 구비되어 유아들이 어려움 없이 과자를 직접 꺼낼 수 있으며 과자를 먹을 때 바닥에 흘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과자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onge container which is provided with a spill-resistant cap inside the lid to allow the infant to take out the snack without difficulty and to prevent the snack from being spilled on the floor when eating the snack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보조수용부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유아에게 소량의 과자를 덜어줄 수 있으며 보조수용부가 제공되어 무게도 줄어들게되며 유아들이 과자 용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수용부에도 흘림방지캡이 결합되어 활용도가 높은 과자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provided to relieve a small amount of cookies to the infant according to need,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provided to reduce weight, so that the infant can easily catch the cookie container, and the spil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with high utilization efficiency.
전술한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과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구되는 뚜껑하부의 일측과, 뚜껑하부를 덮는 뚜껑상부의 일측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뚜껑부, 과자의 흘림을 방지하도록, 뚜껑하부 상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가 복수개 구비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뚜껑하부의 상측을 덮는 흘림방지캡을 포함하는 과자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ap having a body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rein a confection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opened to the upper side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 lid low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cover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lid which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lid, a plurality of blocking part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lid and protruding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spill-preventing cap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li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부 내부에 흘림방지캡이 구비되어 유아들이 어려움 없이 과자를 직접 꺼낼 수 있으며 과자를 먹을 때 바닥에 흘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has a spill prevention cap inside the lid, so that the infant can directly take out the confection without difficulty and prevents the infant from being poured on the floor when eating the confectionery.
또한, 보조수용부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유아에게 소량의 과자를 덜어줄 수 있으며 보조수용부가 제공되어 무게도 줄어들게되며 유아들이 과자 용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수용부에도 흘림방지캡이 결합되어 활용도가 높은 과자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provided to relieve a small amount of cookies to the infant according to need,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provided to reduce weight, so that the infant can easily catch the cookie container, and the spill- Thereby providing an effective container for sweets.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원통형 과자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를 흘림방지캡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의 뚜껑부의 사시도;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의 보조수용부에 흘림방지캡이 결합된 사시도이다.1 shows this conventional cylindrical confectionery contain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ection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eets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il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d portion of the sweets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container of the sweets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pill-resistant cap attached thereto.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를 흘림방지캡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의 뚜껑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의 보조수용부에 흘림방지캡이 결합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ection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ection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illage prevention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on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pill-resistant cap is coupled to the sponge container.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200)는, 내부에 과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본체부(210), 본체부(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구되는 뚜껑하부(230)와, 뚜껑하부(230)를 덮는 뚜껑상부(250)의 일측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뚜껑부(240), 과자의 흘림을 방지하도록, 뚜껑하부(230) 상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391)가 복수개 구비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뚜껑하부(230)의 상측을 덮는 흘림방지캡(39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본 고안에 의한 과자 용기(200)는 과자를 포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자 용기(200)에 담기는 간식 등이 외부로 흘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과자 용기(200)에 관한 것이다.The
이러한 과자 용기(200)는 상측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과자를 보관하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개구된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흘림방지캡(390)이 결합되는 뚜껑부(240)가 구비되어 있다.The
본체부(2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과자 수용공간이 구비된다.The
이러한 본체부(210)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인해 본체부(210)의 하측은 상측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체부(210)를 한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본체부(210)의 개구된 상측에는 뚜껑부(240)가 결합되어 본체부(210)의 과자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며 본체부(210)의 상측단 외주면에 제1나사부(311)가 형성되고 뚜껑부(240)의 내주면에 제2나사부(338)가 형성되며 제1나사부(311)와 제2나사부(338)의 나사결합으로 본체부(210)에 뚜껑부(240)가 결합된다.The
뚜껑부(240)는 일측이 연결되는 뚜껑하부(230)와 뚜껑상부(250)로 이루어지며, 뚜껑하부(230) 일측과 뚜껑상부(250) 일측의 연결된 부위가 접히면서 뚜껑하부(230)에 뚜껑상부(250)가 결합되고 연결된 부위가 펴지면서 뚜껑하부(230)에서 뚜껑상부(250)가 분리된다.The
이러한 뚜껑하부(23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부(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구된다.The lid
또한, 뚜껑하부(230)의 내주면은 내주면의 직경이 다른 대경부(339)와 소경부(337)로 이루어지며, 대경부(339)에 제2나사부(338)가 형성되어 제2나사부(338)가 제1나사부(311)에 나사결합되고 뚜껑하부(230)가 본체부(210)에 결합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소경부(337)는 사용자의 손이 통과할 수 있으며 본체부(210)의 과자를 꺼낼 수 있고, 대경부(339)에 비해 내경이 작게 형성되며 흘림방지캡(390)이 결합된다.The
이때, 소경부(337)의 내경이 작게 형성됨에 따라 흘림방지캡(390)은 후술할 보조수용부(270)와 소경부(337) 모두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손은 통과하되 본체부(210) 또는 보조수용부(270)의 과자가 외부로 흘려지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이러한 뚜껑하부(230)의 상측면에 뚜껑상부(250)가 결합되어 뚜껑하부(230)를 덮으며 본체부(210)의 과자 수용공간을 밀폐시킨다.The cap
이러한 뚜껑부(240)는, 뚜껑하부(230)의 상측면에 삽입홈부(331)가 함몰 형성되며 뚜껑상부(250)의 하측면에 삽입부(351)가 돌출 형성되어 삽입홈부(331)에 삽입부(351)가 삽입되어 뚜껑하부(230)에 뚜껑상부(250)가 결합된다.The
이러한 삽입홈부(331)는 뚜껑하부(230)의 상측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흘림방지캡(390)과 뚜껑상부(250)의 삽입부(35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삽입홈부(331)는 마주보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흘림방지캡(390)과 뚜껑상부(250)의 삽입부(35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삽입홈부(331)의 외주면에 제1걸림턱(533)이 돌출 형성되며 삽입부(351)의 외주면에 제2걸림턱(353)이 돌출 형성되어 제1걸림턱(533)에 제2걸림턱(353)이 걸려 삽입홈부(331)에 삽입부(351)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며 뚜껑상부(250)가 뚜껑하부(230)에 결합되어 본체부(210)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킨다.A
또한, 뚜껑하부(230)와 뚜껑상부(25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뚜껑상부(250)에는 외주면 일측에서 손잡이돌출부(255)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뚜껑상부(250)를 뚜껑하부(230)로부터 분리시키기 용이해진다.A
또한, 뚜껑하부(230)에는, 뚜껑상부(250)의 손잡이돌출부(255)가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반달 형상의 손잡이홈부(235)가 함몰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잡이홈부(235)에 손가락을 넣어 손잡이돌출부(255)를 상측으로 밀면 뚜껑하부(230)에서 뚜껑상부(250)가 분리되어 사용자가 뚜껑하부(230)와 뚜껑상부(250)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A half-moon-shaped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돌출부(255)를 잡았을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잡이돌출부(255) 끝단의 하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255a)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럼방지부(255a)에 걸리거나 마찰되어 사용자가 뚜껑하부(230)와 뚜껑상부(25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when the user holds the
또한, 과자 용기(200)에는 과자의 흘림을 방지하도록, 뚜껑하부(230)의 상측에는 흘림방지캡(390)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흘림방지캡(390)은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채꼴 형상의 차단부(391)가 형성되며 복수개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뚜껑하부(230)의 상측을 덮는다.The
사용자는 차단부(391)의 이격되는 사이로 손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과자를 꺼낼수 있으며, 이때, 차단부(391)의 이격되는 사이는 과자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과자가 흘려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user can take out the cookies while putting his or her hand into or out of the space between the blocking
또한, 흘림방지캡(390)은 사용자 중에서도 유아들이 차단부(391)를 변형시키면서 손을 넣었다 뺐다 하는 부분이므로 손이 다치지 않도록 재질이 아주 연한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며, 특히 차단부(391)의 돌출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유아들의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흘림방지캡(390)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393)가 형성되어 뚜껑하부(230)의 상측면에 형성된 삽입홈부(33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이러한 삽입홈부(331)에는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끼움턱(334)이 형성되며 흘림방지캡(390)의 결합부(393)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495)가 형성되어 제1끼움턱(334)에 돌출지지부(495)가 걸려 지지되고 뚜껑하부(230)의 상측에서 흘림방지캡(390)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A
또한, 흘림방지캡(390)은 외주면에 걸림부(397)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걸림부(397)를 파지한 상태에서 흘림방지캡(390)을 탈착함에 따라 흘림방지캡(390)의 탈착이 훨씬 수월하며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The
한편, 본체부(210)에는 과자를 일부분 덜어 수용할 수 있는 보조수용부(270)가 더 포함되며 보조수용부(270)는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본체부(21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된다.Meanwhile, the
이러한 보조수용부(270)는 상측단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373)가 형성되며 본체부(2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313)가 형성되어 제1결합돌기(313)에 제2결합돌기(373)가 걸려 지지되어 본체부(210)에서 보조수용부(270)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다.The
이와 같이 보조수용부(270)는 제2결합돌기(373)가 제1결합돌기(313)에 걸려 지지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체부(210)로부터 분리되어 과자를 덜어먹을 수 있게 된다.The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용부(270)의 상측단의 둘레길이는 결합부(393)의 둘레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보조수용부(270)의 개구된 상측에도 흘림방지캡(39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보조수용부(270) 내측에 담긴 과자의 흘림을 방지한다.6,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이러한 과자의 흘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수용부(270)가 구비됨에 따라 유아들에게 작은 크기의 과자 용기(2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무게가 줄어들어 유아들이 과자 용기(200)를 손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Since the
이러한 보조수용부(270)에는 상측단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2끼움턱(271)이 형성되며 흘림방지캡(390)의 결합부(393)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지지부(495)가 제2끼움턱(271)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보조수용부(270) 상측단에서 흘림방지캡(390)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다.A second
따라서 본 발명의 과자 용기(20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보조수용부(270)에 과자를 덜어먹을 수 있으며, 본체부(210)와 보조수용부(270)에 모두 결합될 수 있는 흘림방지캡(390)이 구비되어 과자가 바닥에 흘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고 과자 용기(200)의 활용도가 높다.Therefore,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부 내부에 흘림방지캡이 구비되어 유아들이 어려움 없이 과자를 직접 꺼낼 수 있으며 과자를 먹을 때 바닥에 흘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nd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spill prevention cap is provided in the lid part so that the infant can take out the confectionery without difficulty, and the infa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oured on the floor when eating the confectionery.
또한, 보조수용부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유아에게 소량의 과자를 덜어줄 수 있으며 보조수용부가 제공되어 무게도 줄어들게되며 유아들이 과자 용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수용부에도 흘림방지캡이 결합되어 활용도가 높은 과자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provided to relieve a small amount of cookies to the infant according to need,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provided to reduce weight, so that the infant can easily catch the cookie container, and the spill- Thereby providing an effective container for sweets.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s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combined in one operation.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art.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과자 용기 210: 본체부
230: 뚜껑하부 240: 뚜껑부
250: 뚜껑상부 255: 손잡이돌출부
255a: 미끄럼방지부 270: 보조수용부
271: 제2끼움턱 311: 제1나사부
313: 제1결합돌기 331: 삽입홈부
334: 제1끼움턱 337: 소경부
338: 제2나사부 339: 대경부
351: 삽입부 353: 제2걸림턱
373: 제2결합돌기 391: 차단부
393: 결합부 397: 걸림부
495: 돌출지지부 533: 제1걸림턱200: confectionery container 210:
230: lid lower part 240: lid part
250: upper part of lid 255: handle protrusion
255a: non-slip portion 270: auxiliary receiving portion
271: second fitting jaw 311: first threaded portion
313: first engaging projection 331: insertion groove
334: first fitting jaw 337: small neck portion
338: second screw portion 339: large-diameter portion
351: inserting portion 353: second stopping jaw
373: second engaging projection 391:
393: engaging portion 397:
495: projecting support portion 533: first stopping jaw
Claims (13)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구되는 뚜껑하부의 일측과, 상기 뚜껑하부를 덮는 뚜껑상부의 일측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뚜껑부; 및
상기 과자의 흘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뚜껑하부 상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가 복수개 구비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뚜껑하부의 상측을 덮는 흘림방지캡;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외주면 하단부를 감싸며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보조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경우 내부 측면과 내부 바닥면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저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과자 용기.A main body part having a confection receiving space therein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pening upward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 lid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a lower part of the lid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and opened upward and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lid which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lid, And
A spill preventing cap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d and has a plurality of block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center direction so as to prevent the spilling of the confection, and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d, And
And an auxiliary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formed to open upward and surround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are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뚜껑하부의 상측면에 함몰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상부의 하측면에 돌출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흘림방지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rein the spill prevention cap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삽입홈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끼움턱이 형성되며, 상기 흘림방지캡의 결합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턱에 상기 돌출지지부가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in an engaging portion of the spill prevention cap so that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hooked o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Sweets container.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수용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에 상기 제2결합돌기가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Cookie containers.
상기 뚜껑하부의 상측면에 함몰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상부의 하측면에 돌출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고,
상기 흘림방지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보조수용부의 상측단의 둘레길이는 상기 결합부의 둘레길이와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The spill prevention cap is formed with a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Wherein a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is equal to a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보조수용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2끼움턱이 형성되며 상기 흘림방지캡의 결합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끼움턱에 상기 돌출지지부가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in a coupling portion of the spill prevention cap so that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hooked on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Vessel.
상기 뚜껑상부에는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d has a handle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손잡이돌출부의 하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slip prevention par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andle protrusion so as to prevent a user's hand from slipping.
상기 삽입홈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제1걸림턱에 상기 제2걸림턱이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latch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having a first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so that the second latching jaw is engaged with the first latching jaw. Sweets container.
상기 차단부의 돌출된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end of the blocking portion is rounded.
상기 흘림방지캡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흘림방지캡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ill prevention cap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spill prevention cap.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60000953U KR200485626Y1 (en) | 2016-02-22 | 2016-02-22 | Container For Confectiona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60000953U KR200485626Y1 (en) | 2016-02-22 | 2016-02-22 | Container For Confectionar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03053U KR20170003053U (en) | 2017-08-30 |
| KR200485626Y1 true KR200485626Y1 (en) | 2018-02-02 |
Family
ID=6062854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6000095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5626Y1 (en) | 2016-02-22 | 2016-02-22 | Container For Confectionar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85626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858688B2 (en) | 2019-09-23 | 2024-01-02 | Camelbak Products, Llc | Multi-vessel drink containers |
| USD973441S1 (en) | 2019-09-23 | 2022-12-27 | Camelbak Products, Llc | Beverage container |
| CN218807756U (en) * | 2022-12-16 | 2023-04-07 | 青岛山海家居用品有限公司 | Seasoning bottle cap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306452A (en) * | 2004-04-23 | 2005-11-04 | Meiji Seika Kaisha Ltd | Food containers |
| KR200443675Y1 (en) * | 2007-11-06 | 2009-03-06 | 명송식 | Confectionery Container |
| KR101475277B1 (en) * | 2013-08-22 | 2014-12-22 | 박보환 | Snack containers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09093U (en) * | 2008-03-06 | 2009-09-10 | 유승석 | Combined structure of separation vessel and cap |
-
2016
- 2016-02-22 KR KR2020160000953U patent/KR20048562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306452A (en) * | 2004-04-23 | 2005-11-04 | Meiji Seika Kaisha Ltd | Food containers |
| KR200443675Y1 (en) * | 2007-11-06 | 2009-03-06 | 명송식 | Confectionery Container |
| KR101475277B1 (en) * | 2013-08-22 | 2014-12-22 | 박보환 | Snack container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03053U (en) | 2017-08-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7150855B (en) | Sealed liquid container and lid assembly and lid for liquid container | |
| CA2793000C (en) | Bottle closure with integrated flip top handle | |
| KR101742891B1 (en) | Stackable container system | |
| US9254929B2 (en) |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 |
| US10556724B2 (en) | Container | |
| ES2926910T3 (en) | Accessory for a flexible container | |
| USRE45935E1 (en) | Container for holding foods and drinks | |
| US20080110922A1 (en) | Elevating lift dispenser and container for foodstuffs | |
| KR200485626Y1 (en) | Container For Confectionary | |
| US20160007805A1 (en) | Spill proof container | |
| US20150344178A1 (en) | Container system | |
| US10435210B1 (en) | Scoop dock and use methods | |
| EP1712480B1 (en) |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 |
| KR200483275Y1 (en) | A complex packag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 |
| RU2594858C2 (en) | Batching device | |
| KR200472764Y1 (en) | A Ice Cream Container | |
| US7398892B2 (en) | Cup and lid combination | |
| KR200439424Y1 (en) | Ice cream containers | |
| JP7000146B2 (en) |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 |
| KR200403823Y1 (en) | Structure of container | |
| KR200481323Y1 (en) | A Storaging Container | |
| KR102096907B1 (en) | Bottle cap with handle assembled into the cap | |
| KR101930833B1 (en) | Container Cap having Tool Fixing Structure | |
| JPH057509A (en) | Container with variable capacity | |
| KR200487134Y1 (en) | Lid of food container with integral spo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23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