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70Y1 - A luminous unit for a drinking glass - Google Patents
A luminous unit for a drinking gla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270Y1 KR200487270Y1 KR2020180000529U KR20180000529U KR200487270Y1 KR 200487270 Y1 KR200487270 Y1 KR 200487270Y1 KR 2020180000529 U KR2020180000529 U KR 2020180000529U KR 20180000529 U KR20180000529 U KR 20180000529U KR 200487270 Y1 KR200487270 Y1 KR 2004872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estal
- luminous ring
- luminous
- beverage container
- wall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06—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3/0309—Illuminat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문건은, 빛을 발산하는 기능을 갖고, 음료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바닥면과 벽면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야광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야광고리는, 상기 몸체에서 탈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술잔에 결합하여, 식당 등에서 이용할 경우, 야광고리의 다양한 색상을 통해, 고객들이 자신의 음료 용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모임의 분위기를 돋울 수 있다.This document discloses a pedestal having a function of emitting light and being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wall surface and having an open top; And a luminous ring provided inside the body, wherein the luminous ring is detachable from the body. When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ombined with a cup and used in a restaurant or the like, customers can easily grasp their beverage containers through various colors of the luminous rings.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illumin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atmosphere of the meeting can be enhanced.
Description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기술은, 음료 용기용 받침대와 관련된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pedestal for a beverage container.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0030호에는, 전원과 램프를 구비하고, 음료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7-0000030 discloses a pedestal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and a lamp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beverage container.
전술한 문헌에 개시된 받침대(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는, 어두운 환경에서 음료 용기의 위치를 확인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여, 실내 환경을 미려하게 바꿔주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전원과 램프를 포함하고 있어서, 세척이 쉽지 않고(실수로 음료를 쏟을 경우, 파손의 위험성이 있고), 무게가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The pedestal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docu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functions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a dark environment.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illumination is performed to change the indoor environment to be beautiful.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includes a power source and a lamp, so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 (there is a risk of breakage if a drink is accidentally spilled), and the weight is heavy.
빛을 발산하는 기능을 갖되, 종래기술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고, 세척이 용이한 음료 용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to provide a pedestal for a beverage container which has a function of emitting light and which is light in weight and easy to clean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로서, 바닥면과 벽면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야광고리;을 포함하고, 상기 야광고리는, 상기 몸체에서 탈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edest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pedesta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wall surface and having an open top; And a luminous ring provided inside the body, wherein the luminous ring is detachable from the body.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야광고리에서 생성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on pl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reflect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uminous ring.
또한, 상기 몸체의 벽면에는, 두 개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incisions may be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body.
또한, 상기 몸체가 상기 음료 용기에 견고하게 결합 되도록, 상기 몸체의 벽면에는 미끄럼방지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non-slip pad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firmly coupled to the beverage container.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로서, 바닥면과 벽면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야광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야광고리는, 상기 몸체에서 탈거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바닥면 상방에는 연질막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과 상기 연질막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pedesta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wall surface and having an open top; And a luminous ring provided inside the body, wherein the luminous ring is detachable from the body, and a soft film is furth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oft film, And an air layer is formed.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기술의 일부 양태(Aspect)에 불과하며, 다른 양태나 특징들은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some aspects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nd other aspects and features a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수명을 다한) 야광고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 야광고리의 색상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음.The pedest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structured so as to be very simple in structure and capable of replacing the luminous ring (lifetime). * The color of the luminous ring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그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가볍고, 생산단가가 낮을 뿐 아니라, 적재 및 세척도 용이하다. 또한, 음료가 스며들더라도 파손될 위험성이 전혀 없다.Accordingly, the pedest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lighter in weight than the conventional art, has a low production cost, and is easy to load and clean. In addition, there is no risk of breakage even if the beverage seeps in.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술잔에 결합하여, 식당 등에서 이용할 경우, 야광고리의 다양한 색상을 통해, 고객들이 자신의 음료 용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모임의 분위기를 돋울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edest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combined with a cup and used in a restaurant or the like, customers can easily grasp their own beverage containers through various colors of the luminous ring.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illumin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atmosphere of the meeting can be enhanced.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야광고리(1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 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는, 소주잔, 맥주잔 등의 다양한 음료 용기(DG)의 하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몸체(110) 및 야광고리(130)를 포함한다.1 and 2, the
몸체(110)는 바닥면(112)과 벽면(114)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몸체(110)의 세부적인 형상은, 음료 용기(DG)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음료 용기(DG)의 하부에 몸체(110)를 결합시키면, 몸체(110)의 바닥면(112)은 음료 용기(DG)의 바닥과 마주하고, 몸체(110)의 벽면(114)의 음료 용기(DG)의 하부 둘레를 감싸게 된다. 몸체(11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The
야광고리(130)는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야광고리(130)의 내부에는 화학 발광을 통해 빛을 내는 물질들이 채워져 있으며, 야광고리(130)는 일회성으로 일정시간 빛을 낸다. 야광고리(130)는 몸체(110)에서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최초 상태[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의 상태]에서 야광고리(130)는 몸체(110)와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사용자는 야광고리(130)에 충격을 가한 뒤, 충격을 받은 야광고리(130)가 빛을 발산하기 시작하면, 이를 몸체(110)의 내부에 부착하면 된다.In the initial state (the state when the
야광고리(130)의 색상은 특정(단일) 색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야광고리(130)를 삼각, 사각 및 별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야광물체로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olor of the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야광고리(130)는 사용자가 도넛 형상으로 구부릴 수 있는 스틱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 개의 야광고리(130)를 하나의 상자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보관성이 향상된다.3, the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벽면(114)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114a)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14a)의 상부는 개방되며 소정 폭을 갖는다. 예컨데, 절개부(114a)는 'V' 형상 또는 'U' 형상 등일 수 있다. 음료 용기(DG)를 몸체(110)에 삽입할 때, 절개부(114a)는 벽면(114)이 용이하게 확장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t least two
한편, 몸체(110)의 벽면(114)에 절개부(114a)가 형성되면, 야광고리(130)에서 발산된 빛이 절개부(114a)로 새어 나와,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조명효과(심미성)이 극대화된다.When the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는, 반사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몸체(110)의 벽면(114)에는 미끄럼방지 패드(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반사판(150)은 몸체(110)의 바닥면(112)에 구비되며, 야광고리(130)에서 생성(발산)되는 빛을 상방(음료 용기의 바닥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반사판(150)은 은박지일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반사판(150)을 빛을 반사시키는 기능이 있는 특수 도료로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미끄럼방지 패드(170)는 몸체(110)의 벽면(114) 내부 둘레에 구비된다. 미끄럼방지 패드(17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이 수 있으며, 몸체(110)가 음료 용기의 하부에 견고하게 결합 되도록 한다. 몸체(110)에 미끄럼방지 패드(170)가 구비되면, 몸체(110)를 플라스틱이 아닌 빛 투과율이 우수한 유리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는 몸체(110), 야광고리(130) 및 연질막(190)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 기준] 연질막(190)은 몸체(110)의 바닥면(112) 상방에 구비되고, 연질막(190)과 바닥면(112) 사이에는 공기층(192)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연질막(190)은 야광고리(130)가 몸체(110)에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연질막(190)의 중앙을 손가락으로 눌렀다 때면, 야광고리(130)와 바닥면(112) 사이에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틈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몸체(110)에서 야광고리(130)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 100')는,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수명을 다한) 야광고리(13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 야광고리(130)의 색상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음.The
그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 100')는,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된 종래기술에 비하여, 가볍고, 생산단가가 낮을 뿐 아니라, 적재 및 세척도 용이하다. 또한, 음료가 스며들더라도 파손될 위험성이 전혀 없다.Accordingly, the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 100')를, 술잔에 결합하여, 식당 등에서 이용할 경우, 야광고리(130)의 다양한 색상을 통해, 고객들이 자신의 음료 용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모임의 분위기를 돋울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앞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 1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따라서,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breadth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broadly construed on the basis of the technical ideas contai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100, 100' : 받침대
110 : 몸체
112 : 바닥면
114 : 벽면
130 : 야광고리
150 : 반사판
170 : 미끄럼방지 패드
190 : 연질막
192 : 공기층
--
DG : 음료 용기100, 100 ': pedestal
110: Body
112: bottom surface
114: wall
130: Glitter ring
150: reflector
170: Non-slip pad
190: soft film
192: air layer
-
DG: Beverage container
Claims (5)
바닥면과 벽면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야광고리;을 포함하고,
상기 야광고리는, 상기 몸체에서 탈거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바닥면 상방에는 연질막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과 상기 연질막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야광고리는 상기 연질막의 가장자리 상방에 위치하되, 상기 연질막의 중앙을 눌렀다 때면, 상기 연질막과 상기 야광고리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1. A pedesta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beverage container,
A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wall surface and having an open top; And
And a luminous ring provided inside the body,
Wherein the luminous ring is detachable from the body,
A soft film is further provid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oft film,
Characterized in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oft film and the luminous ring when the luminous ring is located above the edge of the soft film and when the center of the soft film is pressed.
상기 몸체의 벽면에는, 두 개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incisions are form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body.
상기 몸체가 상기 음료 용기에 견고하게 결합 되도록, 상기 몸체의 벽면에는 미끄럼방지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ip pad is further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firmly coupled to the beverage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80000529U KR200487270Y1 (en) | 2018-02-02 | 2018-02-02 | A luminous unit for a drinking gla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80000529U KR200487270Y1 (en) | 2018-02-02 | 2018-02-02 | A luminous unit for a drinking glas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87270Y1 true KR200487270Y1 (en) | 2018-08-29 |
Family
ID=6340560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8000052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7270Y1 (en) | 2018-02-02 | 2018-02-02 | A luminous unit for a drinking glas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87270Y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577483U (en) * | 1978-11-24 | 1980-05-28 | ||
| JPS61196679U (en) * | 1985-05-31 | 1986-12-08 | ||
| JPH05245031A (en) * | 1992-03-03 | 1993-09-24 | Yuasa Corp | Coaster with light emitting function |
| KR20070000090U (en) | 2006-12-06 | 2007-01-17 | 이호형 | Beer mug with lamp |
| KR20100010046U (en) * | 2009-04-04 | 2010-10-13 | 서원상 | Beverage support |
-
2018
- 2018-02-02 KR KR2020180000529U patent/KR20048727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577483U (en) * | 1978-11-24 | 1980-05-28 | ||
| JPS61196679U (en) * | 1985-05-31 | 1986-12-08 | ||
| JPH05245031A (en) * | 1992-03-03 | 1993-09-24 | Yuasa Corp | Coaster with light emitting function |
| KR20070000090U (en) | 2006-12-06 | 2007-01-17 | 이호형 | Beer mug with lamp |
| KR20100010046U (en) * | 2009-04-04 | 2010-10-13 | 서원상 | Beverage suppor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211699A (en) | Lighted drinking glass | |
| US7926966B2 (en) | Illuminable device for accessorizing a vessel | |
| US5711595A (en) | Illuminated serving tray | |
| US8919981B2 (en) | Cup with twinkling light effects | |
| KR100858298B1 (en) | Shelf for depositing a keyboard | |
| US20150064634A1 (en) | Adjustable height candle holder jar | |
| US2359559A (en) | Decorative device | |
| US3705982A (en) | Illuminated serving tray | |
| JP2004105231A (en) | Illuminated container | |
| US20090021956A1 (en) | Illuminated Tray for Containers | |
| US20040212987A1 (en) | Illuminant design device | |
| KR200487270Y1 (en) | A luminous unit for a drinking glass | |
| GB2324077A (en) | Wine bottle with decoration in recessed base | |
| KR200434901Y1 (en) | LED Luminous Pedestal | |
| CN103318552A (en) | Wine box structure | |
| JP3216988U (en) | Container luminous decoration | |
| KR101841720B1 (en) | Illumination device | |
| KR200479529Y1 (en) | Multi-Purpose Lighting Container | |
| JP7125584B2 (en) | Decorative case using lighting equipment and its function | |
| US20030103354A1 (en) | Lamp | |
| KR200430850Y1 (en) | Illuminated pedestal | |
| CN210112706U (en) | Vessel capable of shining | |
| JP3166533U (en) | Opal precious stone like glass container | |
| KR200451237Y1 (en) | Luminaires with reflectors | |
| JP3127579U (en) | Improved coaster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2108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