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09Y1 -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 Google Patents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8009Y1 KR200488009Y1 KR2020170002227U KR20170002227U KR200488009Y1 KR 200488009 Y1 KR200488009 Y1 KR 200488009Y1 KR 2020170002227 U KR2020170002227 U KR 2020170002227U KR 20170002227 U KR20170002227 U KR 20170002227U KR 200488009 Y1 KR200488009 Y1 KR 2004880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connection
- terminal
- connection port
- connec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는 베이스단자와 접속단자의 연결을 원통형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원통형상의 외주면 접촉으로 인하여 종래의 평면접촉보다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시 유격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for the multi-outlet ground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to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contact area is improved more than the conventional planar contact due to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contact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clearances during prolonged use.
Description
본 고안은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평면접촉보다 접촉면적이 향상되도록 베이스단자와 접속단자의 연결을 원통형상으로 삽입되는 구조의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terminal for a multi-outlet grounding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terminal for a multi-outlet grounding termina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on between a base termi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 a cylindrical shape, .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기구에 구비된 플러그를 끼워 전기를 통하게 하는 장치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전력을 전달하도록 사용되고 있다.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outlet is a device for passing electricity through a plug provided in an electric appliance, and is used to transmit electric power at various places such as a home, an office, or an industrial site.
이러한 콘센트는 단순히 2개의 삽입구만 구비되어 가정이나 사무실등의 건축벽면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들어 원거리의 전기기구에도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멀티 콘센트 즉, 정해진 길이의 연장전선으로 이루어진 콘센트가 개발되었고, 다수의 전기기구가 연결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다공형 콘센트 즉, 멀티 콘센트도 개발되었다.These receptacles are mainly composed of only two insertion ports and are used in a building wall of a home or office. Howeve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transmit electric power to a remote electric appliance, a multi-outlet, A multi-plug outlet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wo or more plug-in ports ar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can be connected.
여기서,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287호가 개시되었다.Her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2287 is disclosed as a technical literature on a conventional outlet.
상기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접지단자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구비된 콘센트본체(2)와, 상기 콘센트본체(2)의 상부에 안착된 연결단자(1)와, 상기 연결단자(1)의 상면에 연결된 접지단자(3)와, 상기 콘센트본체(2)의 상부를 커버하는 콘센트커버(4)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단자(1)는 상기 콘센트본체(2)에 안착되어 그라운드와 연결된 베이스단자(10)와, 상기 베이스단자(10)의 상면에 접속되어 상기 접지단자(3)와 연결된 접속단자(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to the conventional socket-outlet comprises a socket
이때,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접지단자의 연결구조는 상기 베이스단자(10)와 접속단자(20)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단자(10)의 일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시킨 접촉면(10a)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단자(20)의 일면에 상기 접촉면(10a)과 접촉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절곡시킨 접촉구(20a)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호 연결을 하였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to the conventional socket-outlet forms a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접지단자의 연결구조는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접촉면(10a) 또는 접촉구(20a)가 일방향으로 휘어져 접촉부분이 쉽게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to the socket-outlet, when the impact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
또한,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접지단자의 연결구조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 상기 이물질이 상기 접촉면(10a) 또는 접촉구(20a)의 사이에 인입되어 접지기능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to the conventional socket has a problem that when the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foreign matter is drawn between th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단자와 접속단자의 연결을 원통형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원통형상의 외주면 접촉으로 인하여 종래의 평면접촉보다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시 유격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in which a connection between a base termi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to a cylindrical shape, A connection terminal for a multi-outlet ground terminal which can improve a contact area compared to a conventional planar contact and reduce the occurrence of a gap at the time of use for a long ti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는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접지단자를 연결시키는 연결단자로서 상기 콘센트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판형상의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안착편과, 상기 베이스안착편의 일면에 정해진 내경으로 만곡된 다수개의 베이스접속부로 이루어진 베이스단자와; 상기 베이스단자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면이 상기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판형상의 접속편과, 상기 접속편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접속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접속구로 이루어진 접속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terminal for a multi-outlet ground terminal, the connector terminal comprising: a plate-shaped base bod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ocket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ground terminals, A pair of base seating parts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base body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base connection parts curved at an inner diameter determin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eating part;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base terminal and having a plate-like connection piece whose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and a cylindrical connection port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ece and inserted into the base connection portion .
상기 베이스안착편의 외측면에는 상기 콘센트본체의 내측면에 요입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seating member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which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otrude outwardly so as to be caught by an engagement recess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상기 접속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속구의 외측면이 상기 베이스접속부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탄성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lastic cutout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elastically contacts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상기 접속구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접속부의 내측으로 상기 접속구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구의 하부 직경이 상기 베이스접속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삽입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uide portion whose lower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s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por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ase connection por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terminal for the multi-outlet groun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베이스단자와 접속단자의 연결을 원통형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연결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평면접촉보다 원통형상의 외주면으로 인하여 접촉면적을 대폭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시 유격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First, since the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of the bas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hape, the contact area can be remarkably improved due to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planar contact, In addition,
둘째, 베이스단자의 일면에 경사진 걸림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콘센트본체와 베이스단자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사진 걸림돌기로 쉽게 삽입 체결할 수 있으며,Secondly, by forming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of the bas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cket main body and the base terminal from being easily disengaged an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셋째, 접속구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탄성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속구의 외측면이 베이스접속부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호 접촉력을 면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Thirdly, by forming the elastic cutout portion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can elastical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connection portion,
넷째, 접속구의 하부에 베이스접속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삽입유도부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접속부의 내측으로 접속구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립작업이 매우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Fourthly, by providing the insertion guide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s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as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assembling work is greatly facilita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콘센트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지단자와 연결단자의 연결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 (a)는 부분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돌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 도 3b에 도시된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절개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 도3b에 도시된 B분분 확대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삽입유도부의 형상을 나타내 보인 부분 정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ground termi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B,
FIG. 5 is a B-plane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elastic cutou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n in FIG. 3B,
6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는 콘센트본체(2)의 내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접지단자(3)를 연결시키는 연결단자(1)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본체(2)의 상부에 안착된 판형상의 베이스본체(11)와, 상기 베이스본체(11)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안착편(12)과, 상기 베이스안착편(12)의 일면에 정해진 내경으로 만곡된 다수개의 베이스접속부(13)로 이루어진 베이스단자(10)와; 상기 베이스단자(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면이 상기 접지단자(3)와 접촉되는 판형상의 접속편(21)과, 상기 접속편(21)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접속구(22)로 이루어진 접속단자(20);로 구성된다.The connection terminal for the multi-outlet groun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terminal 1 provided inside the socket
한편, 상기 베이스본체(11)의 양끝부분에는 그라운드용 전선과 연결될 수 있는 천공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 perforation (not show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또한, 상기 접속편(21)은 상기 접지단자(3)가 지그재그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콘센트본체(2)에는 상기 베이스단자(10)가 면밀히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단자(1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입된 베이스단자안착홈(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ocket
또한, 상기 베이스안착편(12)의 외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본체(2)의 내측면에 요입된 걸림홈(2a)에 걸리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가 형성된다.4,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걸림홈(2a)은 상기 콘센트본체(2)의 내측 즉, 상기 베이스안착편(12)이 삽입되는 홈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14)와 동일한 형상으로 요입되고, 상기 걸림돌기(14)는 하부방향으로 그 경사면의 높이가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접속구(22)의 외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22)의 외측면이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탄성절개부(23)가 형성된다.5,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접속구(22)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면에 가압되며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탄성절개부(23)로 인하여 삽입시 오므라들며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diameter of the
또한, 상기 접속구(22)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으로 상기 접속구(22)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구(22)의 하부 직경이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삽입유도부(24)가 형성된다.6, a lower diameter of the
한편, 상기 삽입유도부(24)는 상기 탄성절개부(23)의 상부 간격보다 하부 간격을 더 좁게 형성하여 상기 접속구(22)의 외경이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유도부(24)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for the multi-outlet groun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는 콘센트본체(2)의 내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접지단자(3)를 연결시키는 연결단자(1)이다.The connection terminal for the multi-outlet groun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terminal 1 provided inside the socket
즉, 상기 연결단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본체(2)의 상부에 안착되는 베이스단자(10)의 상부에 정해진 내경으로 만곡된 베이스접속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단자(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접속단자(20)의 하부에 상기 베이스접속부(13)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접속구(2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구(22)의 외주면이 상기 베이스접속부(13)에 접촉되는 것으로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2 to 3, the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with a
또한, 상기 베이스안착편(12)의 외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본체(2)의 내측면에 요입된 걸림홈(2a)에 걸리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콘센트본체(2)의 안착된 베이스단자(10)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경사진 걸림돌기(14)로 인하여 쉽게 삽입 체결할 수 있게 된다.4,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접속구(22)의 외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22)의 외측면이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탄성절개부(2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구(22)의 외경을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한 후 삽입시키는 것으로 상호 접촉력을 면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5, the out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접속구(22)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22)의 하부 직경이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삽입유도부(2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으로 상기 접속구(22)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립작업이 매우 수월해진다.6, an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단자 2 : 콘센트본체
3 : 접지단자 2a : 걸림홈
10 : 베이스단자 11 : 베이스본체
12 : 베이스안착편 13 : 베이스접속부
14 : 걸림돌기 20 : 접속단자
21 : 접속편 22 : 접속구
23 : 탄성절개부 24 : 삽입유도부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Connection terminal 2: Outlet body
3:
10: base terminal 11: base body
12: Base seating piece 13: Base connection part
14: Locking device 20: Connection terminal
21: Connection Part 22: Connection Port
23: elastic incision part 24: insertion guide part
Claims (4)
상기 콘센트본체(2)의 상부에 안착된 판형상의 베이스본체(11)와, 상기 베이스본체(11)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안착편(12)과, 상기 베이스안착편(12)의 일면에 정해진 내경으로 만곡된 다수개의 베이스접속부(13)로 이루어진 베이스단자(10)와;
상기 베이스단자(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면이 상기 접지단자(3)와 접촉되는 판형상의 접속편(21)과, 상기 접속편(21)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접속구(22)로 이루어진 접속단자(2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안착편(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콘센트본체(2)의 내측면에 요입된 걸림홈(2a)에 걸리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속구(22)의 외측면이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탄성절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구(22)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측으로 상기 접속구(22)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구(22)의 하부 직경이 상기 베이스접속부(1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삽입유도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 A connection terminal (1) provided in the socket main body (2)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ground terminals (3)
A pair of base seating pieces 12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base body 1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ase terminal 10 having a plurality of base connection portions 13 curved at an inner diameter determined on one surface of the seat member 12;
Shaped connecting pieces 21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terminal 10 and whose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3 and a connecting portion 21 extending downwardly of the connecting piece 21, And a connection terminal 20 made up of a cylindrical connection port 22 to be inserted inwar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seat piece 12 is form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14 which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otrude outward so as to be caught by a latching groove 2a formed i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ocket main body 2;
An elastic cutout portion 2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22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22 elastically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connection portion 13;
A low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ort 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base connection portion 13 so that the connection port 22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ase connection portion 13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 22. [ 24)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ulti-outlet ground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70002227U KR200488009Y1 (en) | 2017-05-04 | 2017-05-04 |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70002227U KR200488009Y1 (en) | 2017-05-04 | 2017-05-04 |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03211U KR20180003211U (en) | 2018-11-14 |
| KR200488009Y1 true KR200488009Y1 (en) | 2018-12-03 |
Family
ID=643276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70002227U Active KR200488009Y1 (en) | 2017-05-04 | 2017-05-04 |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88009Y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56729B1 (en) | 2019-12-19 | 2021-05-27 | 한을수 | Multi-socketed outlet with incision divice of wire |
| KR20230032080A (en) * | 2021-08-30 | 2023-03-07 | 주식회사 일신전기 | 220 Volt Outlet's Ground Terminal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49980B1 (en) | 2019-01-10 | 2020-08-31 | 정회욱 | Multi groundimg outlet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59567A (en) | 2003-02-25 | 2004-09-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xposed plug outlet |
| KR100771505B1 (en) * | 2006-12-28 | 2007-10-30 | (주)펄스일렉트로닉스 | Coupling structure of 220V outlet |
| KR101463751B1 (en) * | 2014-04-04 | 2014-11-21 | 김군성 | Folding typ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95872A (en) * | 2009-02-23 | 2010-09-01 | 정안묵 | A multi-tap improved |
-
2017
- 2017-05-04 KR KR2020170002227U patent/KR200488009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59567A (en) | 2003-02-25 | 2004-09-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xposed plug outlet |
| KR100771505B1 (en) * | 2006-12-28 | 2007-10-30 | (주)펄스일렉트로닉스 | Coupling structure of 220V outlet |
| KR101463751B1 (en) * | 2014-04-04 | 2014-11-21 | 김군성 | Folding type terminal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56729B1 (en) | 2019-12-19 | 2021-05-27 | 한을수 | Multi-socketed outlet with incision divice of wire |
| KR20230032080A (en) * | 2021-08-30 | 2023-03-07 | 주식회사 일신전기 | 220 Volt Outlet's Ground Terminal Structure |
| KR102531982B1 (en) * | 2021-08-30 | 2023-06-12 | 주식회사 일신전기 | 220 Volt Outlet's Ground Terminal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03211U (en) | 2018-11-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00403336A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u-shaped contact part with two contacting portions inclined relative to each other for drawing in a complementary connector during mating | |
| US8100709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 members | |
| US8215976B2 (en) | Power adapter with replaceable plug | |
| US5232381A (en) | Multi-way multiple plug | |
| CN201440525U (en) | Electric connector | |
| CA2863676C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push-in type contact | |
| TW201820709A (en) | Receptacle connector | |
| KR200488009Y1 (en) |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 |
| JP2013247110A (en) | Electric connector | |
| US8491332B1 (en) | Slim C5/C6 coupler | |
| US11108182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arms and locking planes | |
| JP2004247304A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 JP2013045767A (en) | Electric connector | |
| US9306347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insulative housing | |
| TW201608767A (en) |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and assembly of the same | |
| KR200482014Y1 (en) | Multi-socket and plug | |
| CN211655114U (en) |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 |
| KR200460350Y1 (en) | Concentic plug with pressure tool | |
| CN206850140U (en) | A board-to-board connector | |
| US7892044B2 (en) | Terminal module for electrical connector | |
| US6270370B1 (en) | Anti-loose midway electric receptacle | |
| JP6857599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6622841B2 (en) | Branch connector, extension connector with cord, and plug connector for wiring | |
| KR200313692Y1 (en) | Earth structure of a four-holed plug receptacle in concealed form | |
| KR102149980B1 (en) | Multi groundimg outle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504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504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11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1128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