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75Y1 - Protector suit for sports player - Google Patents
Protector suit for sports pla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8975Y1 KR200488975Y1 KR2020180005660U KR20180005660U KR200488975Y1 KR 200488975 Y1 KR200488975 Y1 KR 200488975Y1 KR 2020180005660 U KR2020180005660 U KR 2020180005660U KR 20180005660 U KR20180005660 U KR 20180005660U KR 200488975 Y1 KR200488975 Y1 KR 2004889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thlete
- chute body
- detection sensor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경기에서 착용하더라도 활동성 저하를 최소화 하는 가운데 충돌이 예상되는 순간에만 에어포켓의 팽창에 따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착용자의 부상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동선수의 상체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슈트본체(10)와; 상기 슈트본체(10)에 구비되는 에어포켓(20)과; 상기 에어포켓(20)에 고압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연결되는 에어 안내튜브(30)와; 상기 슈트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감지센서(40)와; 상기 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 안내튜브(30)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모터(50)와; 상기 감지센서(40) 및 구동모터(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아두이노(6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hlete's protective suit, which minimizes the deterioration in activity even when worn in a sports game, and enables shock absorp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ir pocket only when a collision is expect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injury of the wearer .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ute body 10 in which an upper body of athlete is worn; An air pocket 20 provided in the chute body 10; An air guide tube (30) connected to guide the high pressure air to the air pocket (20); A sensing sensor 4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hute body 10; A drive motor (50)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guide tube (30) by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40); (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sensor (40) and the driving motor (50).
Description
본 고안은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렬한 운동 중 강한 충격으로 부터 운동선수의 몸을 보호하여 부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hlete protective s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thlete protective suit for protecting an athlete's body from a strong impact during intense exercis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injury.
일반적으로, 미식축구나 아이스하키와 같은 격렬한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는 상대편 선수와의 충돌로부터 선수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체에 착용하는 보호대 형태의 보호슈트를 착용하게 된다.In general, an athlete who performs intense athletic activities such as football or ice hockey wears a protective suit in the form of a protector worn on the upper body as a means of protecting the athlete's body from a collision with the opponent's athlete.
이러한 운동용 보호슈트에 관련된 종래 기술의 일 예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15754호(2003.05.27.등록)에서는 운동용 공기셀 보호구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related to this exercise protective suit,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5754 (registered on May 27, 2003)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a sports air cell protector.
즉,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공기셀을 중심부의 전체에 걸쳐 격자형태로 배열한 복부 보호구와 등 보호구를 벨크로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서 조끼형태로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That is,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 air cells filled with ai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velcro to connect the abdominal protector and the back protector, which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lattice throughout the center, so that they can be worn in a vest form do.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공기셀에 항상 공기가 충진된 상태를 이룸으로서 활동에 제약을 주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ir cells are constantly filled with air,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limiting the activity.
즉, 완충기능을 갖는 공기셀은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순간에만 필요하게 되는데, 외부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항시 공기셀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유지되어지게 됨으로 운동과정에서는 오히려 활동에 불편함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air cell having a buffer function is only needed at the moment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Even when the external impact is not applied, the air cell is always kept filled with air, And the lik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착용하더라도 활동성에 제약을 최소화 하는 가운데 강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에만 공기가 신속하게 충진되어 완충을 위한 공기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보호용 슈트를 제공함으로서 운동중 부상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onstraint on the activity even if it is worn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 air is rapidly filled only when a strong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form an air layer for buffer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juries during exercise by providing a protective suit that can be used to protect the wearer.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는, 운동선수의 상체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슈트본체와; 상기 슈트본체에 구비되는 에어포켓과; 상기 에어포켓에 고압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연결되는 에어 안내튜브와; 상기 슈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 안내튜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감지센서 및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아두이노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thlete protectiv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ute body to be worn on an upper body of an athlete; An air pocket provided in the chute body; An air guide tube connected to guide the high pressure air to the air pocket; A sensing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hute body; A drive motor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guide tube by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And an arduino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driving motor.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주변 접근을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또는 슈트본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sensor may be a distance sensing sensor that senses a proximity approach or an impact sensing sensor that senses an impact transmitted to a suit body.
또한, 상기 에어포켓에 공급된 공기는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모터 동작에 의해 외부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supplied to the air pocket is exhausted to the outside by a driving motor opera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passes.
이러한 본 고안의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는, 운동경기에서 착용하더라도 활동성 저하를 최소화 하는 가운데 충돌이 예상되는 순간에만 에어포켓의 팽창에 따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과격한 운동으로 인한 부상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Such an athlete protective 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eterioration of activity even when worn in a sports game, and absorbs shock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ir pocket only when a collision is anticipate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njury due to intense exercise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용 슈트 정면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 보호용 슈트의 후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 보호용 슈트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 보호용 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보호용 슈트의 착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슈트의 에어포켓 팽창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센서 상세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7의 A부 단면 확대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protective s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structural view of the present protective shoe.
Fig. 3 is a side view of the protective shoe shown in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ion chute.
5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ing chute.
Fig. 6 is a view showing an air pocket inflating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hute. Fig.
7 is a detailed structural view of a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해당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and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the known technology and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that are judged to be unnecessarily blur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n athlete's protective chu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rough FIG.
본 실시 예에서의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는, 운동선수의 상체에 착용하여 어깨와 가슴 및 등부위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는 슈트본체(10)와, 상기 슈트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에어포켓(20)과, 에어포켓(20)에 고압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연결되는 에어 안내튜브(30)와, 슈트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감지센서(40)와, 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 안내튜브(30)로 공기를 급속 공급하기 위한 구동모터(50)와, 상기 감지센서(40) 및 구동모터(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아두이노(60)로 구성된다.The athlete protectiv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 예에서의 감지센서(40)는 지지플레이트(40a)에 의해 목부위에 구비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감지센서(40)는 주변 접근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슈트본체(10)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The
상기 아두이노(60)는 기판 형태로 장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각 센서 및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전달에 따른 동작제어를 실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Arduino 60 is mounted in the form of a substr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s and components to perform an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signal transmission.
또한, 구동모터(50)는 벨크로테이프 등에 의해 슈트본체(10)에 장착되어짐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허리부위에 고정을 위한 허리벨트이고, 70은 감지센서(40)와 구동모터(50) 및 아두이노(6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되는 배터리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의 착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ear of the athlete's protective suit.
본 실시 예에서의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는 미식축구나 아이스하키 등과 같은 운동선수가 도 5에서와 같이 착용함으로서 운동경기중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 athlete's protective suit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ble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athlete such as the American football, the ice hockey, etc. on the body during the athletic competition by wearing as shown in FIG.
즉, 본 고안의 슈트본체(10)를 운동선수가 착용한 상태 초기에는 에어포켓(20)에 공기 충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에어포켓(20)이 착용자의 신체와 밀착되지 않아서 착용자의 움직임 활동에 제약이 최소화 되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이러한 상태에서 운동 경기 중 다른 운동선수의 접근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를 감지센서(40)가 감지하게 되고, 이때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아두이노(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50)가 동작되어짐으로서 에어포켓(20)으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ther athlete approaches to the athletic competition, the
따라서, 구동모터(50)의 구동에 따른 펌핑동작으로 인해 도 6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형태로 에어포켓(20)의 순간팽창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슈트본체(10)에 가해지는 외부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어 운동선수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due to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driving
또한, 에어포켓(20)에 공기 충진이 이루어지고 일정시간(5~10초)가 경과되어지면, 아두이노(6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50)의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서 에어포켓(20)에 충진된 공기의 배출동작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운동 활동에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감지센서(40)는 슈트본체(10)의 목부위에 지지플레이트(40a)에 의해 지지되어지되, 상기 감지센서(40)에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에 따른 부상 방지를 위한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의 보호패드(41)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패드(41)에는 내구성 보강을 위한 지지철망(42)이 내부에 구비된다.7 and 8 show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또한, 상기 지지철망(4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3)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urther, it can be seen that an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감지센서(40)가 지지플레이트(40a)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목부위와 접촉에 따른 불편함 및 부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discomfort and injury caused by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wearer during the process of being supported by the
즉, 격렬한 운동과정에서 목부위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탄성 재질의 보호패드(41)가 구비됨으로서 보다 안전한 운동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특히 보호패드(41) 내에는 지지철망(42) 및 탄성스프링(43)이 내장 구비됨으로서 외부 충격으로 인한 보호패드(41)의 파손 내지는 변형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thlete protective chu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var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면, 슈트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에어포켓(20)의 구성 위치는 보다 신속한 공기 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어깨부위 또는 전면측 가슴부위 등과 같은 특정 위치에만 선택적으로 구비되어질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position of the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슈트본체 11 : 허리벨트
20 : 에어포켓 30 : 안내튜브
40 : 감지센서 50 : 구동모터
60 : 아두이노 70 : 배터리10: Suit body 11: Waist belt
20: air pocket 30: guide tube
40: detection sensor 50: drive motor
60: Arduino 70: Battery
Claims (5)
상기 슈트본체(10)에 구비되는 에어포켓(20)과;
상기 에어포켓(20)에 고압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연결되는 에어 안내튜브(30)와;
상기 슈트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슈트본체(10)의 목부위에 지지플레이트(40a)에 의해 지지되어지되,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에 따른 부상 방지를 위한 탄성재질의 보호패드(41)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패드(41)에는 내구성 보강을 위한 지지철망(42) 및 상기 지지철망(4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3)이 내부에 구비된 감지센서(40)와;
상기 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 안내튜브(30)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모터(50)와;
상기 감지센서(40) 및 구동모터(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아두이노(6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A suit body 10 in which an upper body of the athlete is worn;
An air pocket 20 provided in the chute body 10;
An air guide tube (30) connected to guide the high pressure air to the air pocket (20);
The chute body 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hute body 10 and is supported by a support plate 40a on the neck of the chute body 10. The elastic body protection pad And a detection sensor 40 having an elastic spring 43 for resiliently supporting the support wire net 42 is provided on the protection pad 41. The support wire net 42 is provided on the protection pad 41, ;
A drive motor (50)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guide tube (30) by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40);
An arduino 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40 and the driving motor 50;
Wherein the athlete's protective shoe comprises:
상기 감지센서(40)는 주변 접근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40) is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roximity approach.
상기 감지센서(40)는 슈트본체(10)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sensor (40) is an impact sensor for sensing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chute body (10).
상기 에어포켓(20)에 공급된 공기는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모터(50) 동작에 의해 외부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선수 보호용 슈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ied to the air pocket (2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50)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80004926 | 2018-10-31 | ||
| KR20180004926 | 2018-10-31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88975Y1 true KR200488975Y1 (en) | 2019-04-12 |
Family
ID=6610362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8000566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8975Y1 (en) | 2018-10-31 | 2018-12-07 | Protector suit for sports play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88975Y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71719A (en) * | 2023-11-15 | 2025-05-22 | 세이프웨어(주) | Human body protection device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49573B1 (en) | 1992-10-29 | 2000-04-01 | 클라우스 포스 | Non-return valve |
| KR100289622B1 (en) | 1998-04-28 | 2001-05-02 | 조수웅 | Lab Board Fixture |
| KR100315754B1 (en) | 1999-11-15 | 2001-12-12 | 신영건 | Expandable Logic Analys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0941945B1 (en) * | 2009-07-16 | 2010-02-1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User-tailored smart wear system with air tunnel controlled by external factors |
| KR20140119529A (en) * | 2013-04-01 | 2014-10-10 | (주)아이엠테크놀로지 | Human body protection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
| KR101686063B1 (en) * | 2015-12-04 | 2016-12-13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Street tree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mount of fine dust,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KR101830003B1 (en) * | 2016-10-12 | 2018-02-19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Danger situation alert system based on u-healthcare, and method thereof |
-
2018
- 2018-12-07 KR KR2020180005660U patent/KR200488975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49573B1 (en) | 1992-10-29 | 2000-04-01 | 클라우스 포스 | Non-return valve |
| KR100289622B1 (en) | 1998-04-28 | 2001-05-02 | 조수웅 | Lab Board Fixture |
| KR100315754B1 (en) | 1999-11-15 | 2001-12-12 | 신영건 | Expandable Logic Analys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0941945B1 (en) * | 2009-07-16 | 2010-02-1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User-tailored smart wear system with air tunnel controlled by external factors |
| KR20140119529A (en) * | 2013-04-01 | 2014-10-10 | (주)아이엠테크놀로지 | Human body protection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
| KR101686063B1 (en) * | 2015-12-04 | 2016-12-13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Street tree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mount of fine dust,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KR101830003B1 (en) * | 2016-10-12 | 2018-02-19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Danger situation alert system based on u-healthcare, and method thereof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71719A (en) * | 2023-11-15 | 2025-05-22 | 세이프웨어(주) | Human body protection device |
| WO2025105571A1 (en) * | 2023-11-15 | 2025-05-22 | 세이프웨어(주) | Human body protection device |
| KR102849548B1 (en) * | 2023-11-15 | 2025-08-22 | 세이프웨어(주) | Human body prote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121083B2 (en) | Standalone wearable protector and protective clothing assembly | |
| US10791785B2 (en) | Inflatable neck support for contact sports helmets | |
| US20110016617A1 (en) | Energy absorbing apparatus for sporting goods | |
| KR20120102434A (en) | The air vest which uses the acceleration sensor | |
| KR200488975Y1 (en) | Protector suit for sports player | |
| US6789274B1 (en) | Enhanced chest protector | |
| US6161226A (en) | Baseball chest protector | |
| EP3482646B1 (en) | Knee protection device | |
| US8276217B1 (en) | Personal roll bar | |
| US7503080B2 (en) | Chest wall protector | |
| US4333179A (en) | Protective guard for the throat area | |
| US3017639A (en) | Protective armor for athletic use | |
| US20200101366A1 (en) | Airbag pad for sports clothing and equipment system and method | |
| KR20080093430A (en) | Male genital protection device | |
| WO2017075671A1 (en) | Protective equipment with impact absorbing structure | |
| CN219537591U (en) | Ankle protection component and sports shoes | |
| JP2000167098A (en) | Vest-type protector for sports | |
| CN220587555U (en) | Sports knee protector | |
| KR200307940Y1 (en) | Athletic Protector | |
| KR100660405B1 (en) | Martial arts torso protector | |
| CN213527403U (en) | Air bag type sports leg protector | |
| WO2004110571A3 (en) | Takraw padding | |
| KR200400767Y1 (en) | Safeguard for Sports | |
| CN212971733U (en) | Leg guard board for hockey | |
| CN101099894A (en) | Leggings for football match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2204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