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56Y1 - Baby bib for table - Google Patents
Baby bib for t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156Y1 KR200489156Y1 KR2020180005282U KR20180005282U KR200489156Y1 KR 200489156 Y1 KR200489156 Y1 KR 200489156Y1 KR 2020180005282 U KR2020180005282 U KR 2020180005282U KR 20180005282 U KR20180005282 U KR 20180005282U KR 200489156 Y1 KR200489156 Y1 KR 2004891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cover
- hole
- cover portion
- engag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41B13/106—Bibs with fastening means for attachment to tray or 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식탁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유아용 턱받이에 있어서, 유아의 양팔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이 양측으로 절개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식탁의 상면에 포개지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식탁에 포개진 커버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유아의 신체서부터 식탁까지 일체로 덮도록 형성되고 식탁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신체 및 옷은 물론 식탁을 덮어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으며, 관통된 부분에 식기를 고정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ib bearing, comprising: a wearable portion formed on a bib for infant in such a manner that both arms of the infant can be inserted and the rear portion is incised to both sides and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 cov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earer portion and superim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an engaging part disposed behind the cover part and fixing the cover part folded on the tabl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infant body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entire body from the body to the table, and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table portion, so that the infant body and clothes as well as the table can be covered and hygienic food can be consu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stable and hygienic eating effect.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아용 식탁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가 유아용 식탁에 앉아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이 흘러 옷이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식탁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ib,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bib which is used to prevent food from flowing down on the clothes or the floor when the baby is sitting on the baby table and consuming food.
일반적으로, 유아용 식탁 턱받이는 유아가 음식물뿐만 아니라 콧물이나 침이 흘러 옷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방지하여 유아의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건이다.In general, a baby table bib is a thing used to keep a hygienic condition of a baby clean by preventing an infant from getting dirty due to runny nose or saliva as well as food.
기존의 유아용 턱받이는 받침부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끈을 통해 유아의 목이나 신체에 고정시켜 사용되는 구조이다.The existing baby bib is fixed to the neck or the body of the infant through a fastene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art.
하지만, 기존의 유아용 턱받이는 유아의 입에서 떨어지는 음식물이나, 침 또는 콧물이 떨어져 옷에 묻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식탁 상면에 떨어지거나, 식탁과 유아의 사이 공간에 떨어지는 음식물을 받아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aby bib has a problem that the food falling from the mouth of the infant, the saliva or the nasal discharge, is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clothes, but the food falling on the table surface or the food falling in the space between the table and the infant can not be receiv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유아용 턱받이의 받침부가 유아용 식탁의 상면에 씌워져 고정되는 식탁용 턱받이가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유아가 식탁에 앉아 식기에 담아 있는 음식물을 섭취할 때, 유아의 동작에 의해 식기가 쓰러지거나 엎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has been developed a bib for a table in which a pedestal portion of a conventional baby bib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a baby table. However, when a baby is eating food stored in a tablewa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bleware is knocked down or tumbled by the operation.
또한, 기존의 식탁용 턱받이는 흡착패드에 의해 식탁 상면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형 식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ntional bib for a table can not use an adsorbing tableware which is adsorbed and fixed on the table top surface by the adsorption pa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유아가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식기가 쓰러지거나 엎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위생적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ygienic food for infants and prevent the food from falling down or falling down, thereby enabling a more stable and hygienic meal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탁 턱받이는, 유아용 턱받이에 있어서, 유아의 양팔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이 양측으로 절개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식탁의 상면에 포개지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식탁에 포개진 커버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bib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aby bib includes a wearable portion formed to be insertable with both arms of the infant, A cov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earer portion and superim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an engaging part disposed behind the cover part and fixing the cover part folded on the table.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의 단부가 제1 버클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의 단부가 제2 버클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식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engaging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to the other side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ver portion by a first buckle, An elongated second engaging member is formed and the end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over portion by the second buckle to fix the cover portion to the table.
또한, 상기 커버부의 중앙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가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식기가 상기 식탁에 놓여지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part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through so as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cover part, the perimeter of the through hole being variable so that the tableware is placed and fixed on the table through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식기를 탄성으로 고정시키는 탄성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fixing the tableware is formed.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공의 전후방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링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각각의 회전축들을 중심으로 둘레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 둘레방향 내측에서 둘레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원호형의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고정링 중 전방 고정링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운동하며, 일면에 상기 각각의 날개의 가이드홈 내측으로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작동돌기들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동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링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날개들이 회동되며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fixing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and behind the through hole; A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fixing rings; And an arc-shaped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out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in the housing; A plurality of operating protrusion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stationary ring of the stationary ring and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being individu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of the respective blades, And the wings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vable ring to adjust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에 따르면, 유아의 신체서부터 식탁까지 일체로 덮도록 형성되고 식탁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신체 및 옷은 물론 식탁을 덮어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으며, 관통된 부분에 식기를 고정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is formed so as to cover all the body from the body to the table,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table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hygienically eat food by covering the infant's body and clothes as well as the table,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stable and hygienic eating effect.
또한, 관통공의 둘레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둘레의 식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perimeter of the through-hole to be adjustabl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dishes around various peripheries can be fixed.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탁 턱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동작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bib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rear view of Fig.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4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유아용 식탁 턱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baby table bib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탁 턱받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배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bib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탁 턱받이는 유아의 신체 및 옷은 물론 식탁까지 덮어 보다 위생적이고, 식기를 고정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baby table bi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hygienic by covering the body and clothing of the infant as well as the table, and can fix the tableware, so that the user can eat more stably.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탁 턱받이(100)는 착용부(110), 커버부(120), 결합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The
상기 착용부(110)는 유아의 양팔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이 양측으로 절개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부(110)는 전방에 유아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대략 "T"자 형태로 형성되며, 긴팔, 반팔 또는 민소매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착용부(110)의 후방은 양측이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절개된 각 단부에 절개편(11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portion of the
상기 절개편(111)은 서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고,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예컨대, 상기 절개편(111)은 벨크로, 똑딱이 단추와 같은 체결부재(112)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착용부(110)는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방수 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wearing
나아가, 상기 착용부(110)의 하부에는 유아의 허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허리고정벨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waist fixing bel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허리고정벨트는 상기 착용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ist fixing belt may be removably attachable to the wearing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착용부(110)의 하단에서부터 연장 형성되고 유아용 식탁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착용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120)는 유아용 식탁의 측면까지 덮을 수 있도록 양단 및 하단이 각각 연장 형성된다.Although not shown, both ends of the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커버부(120)를 유아용 식탁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1 결합부재(131) 및 제2 결합부재(133)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1 결합부재(131)는 상기 커버부(1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131)의 단부가 제1 버클(132)에 의해 상기 커버부(120) 타측에 결합된다.The first
상기 제2 결합부재(133)는 상기 커버부(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133)의 단부가 제2 버클(134)에 의해 상기 커버부(120) 하단에 결합된다.The second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재(131) 및 제2 결합부재(133)는 유아용 식탁의 하면에 배치되어, 유아용 식탁의 상면에 상기 커버부(120)를 고정시킨다.The first
이때, 상기 제1 결합부재(131) 및 제2 결합부재(133)는 각각 끈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또한, 상기 제1 버클(132) 및 제2 버클(134)은 버클 형태에 한정 하지 아니하고, 벨크로나 똑딱이 단추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결합부(1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상기 고정부(140)는 유아용 식탁의 상면에 놓여지는 식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120)의 전후 방향 중앙에 형성된다.The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커버부(12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1) 사이로 식기가 배치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관통공(141)은 다양한 직경의 식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둘레가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유아의 경우 손동작이나 힘 조절이 어려워 식탁에 놓여진 식기를 쉽게 쓰러트리거나 엎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fants,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hand or force, and the tableware placed on the table can be easily overturned or overturned.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식기 하단에 흡착패드가 부착된 흡착형 식기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 adsorbent type dish having a suction pad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onventional tableware has been developed.
따라서, 이러한 식기 및 흡착형 식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141)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through-
나아가, 흡착형 식기의 경우 흡착패드에 의해 식탁에 흡착 고정되나, 기존 식기의 경우 쉽게 쓰러지거나 엎어질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adsorption type dish, it is adsorbed and fixed to the table by the adsorption pad, bu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ype dish, it can easily collapse or fall down.
따라서, 기존의 식기가 쓰러지거나 엎어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140)의 둘레에 탄성체(142)가 형성되어, 기존의 식기를 탄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body 142 is formed around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아의 위생적인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식탁의 오염을 방지하고, 식기가 엎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vide a hygienic meal for infants, but also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table and to prevent the tableware from being tilted.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동작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4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탁 턱받이(100)는 착용부(110), 커버부(120), 결합부(130) 및 고정부(240)를 포함한다.The
상기 고정부(240)는 유아용 식탁의 상면에 놓여지는 식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120)의 전후 방향 중앙에 형성된다.The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커버부(12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사이로 식기가 배치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관통공은 다양한 직경의 식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둘레가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ations are formed so that the peripheries thereof are variable so that the tableware having various diameters can be disposed.
상기 고정부(240)는 한 쌍의 고정링(241)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241)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축(242)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24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2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날개(243)와, 상기 고정링(241) 중 전방 고정링(241)의 외측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링(247)을 포함한다.The
상기 한 쌍의 고정링(241)들은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링(241)들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상기 고정링(241)들이 이격 거리는 상기 날개(243)의 두께와 동일하다.The pair of fixing
상기 한 쌍의 고정링(241)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242)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날개(243)의 일측 끝단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축삽입홀(244) 내측으로 삽입된다.The
상기 날개(243)는 상기 관통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링(241)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242)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243)들은 서로 연접하는 2개의 테두리(246)가 곡선형인 부채꼴 형태를 갖는다. 상기 날개(243)의 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원호형의 가이드홈(245)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날개(243)들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2개의 테두리(246)들이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겹치지 않고 맞닿으면서 상기 관통공을 완전 폐쇄하거나, 회전에 의해 상기 관통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wings (243) have two curved edges (246)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wings (243) can contact each other without overlapping to completely close the through holes or adjust the size of the through holes by rotation.
상기 가동링(247)은 상기 전방 고정링(241)의 외측에 배치되는데, 상기 가동링(247)은 그 내경이 상기 고정링(241)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고정링(241)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게 된다.The
상기 가동링(247)의 일면에는 상기 날개(243)의 가이드홈(245) 내측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작동돌기(248)가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돌기(248)는 가동링(247)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A plurality of operating protrusions 248 inserted into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가동링(24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날개(243)들이 회동되며 상기 관통공(141)의 둘레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식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관통공(141)의 둘레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12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또한, 상기 커버부(120)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주름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세척의 곤란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wrinkle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에 따르면, 유아의 신체서부터 식탁까지 일체로 덮도록 형성되고 식탁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신체 및 옷은 물론 식탁을 덮어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으며, 관통된 부분에 식기를 고정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is formed so as to cover all the body from the body to the table,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table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hygienically eat food by covering the infant's body and clothes as well as the table,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stable and hygienic eating effect.
또한, 관통공의 둘레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둘레의 식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perimeter of the through-hole to be adjustabl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dishes around various peripheries can be fixed.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utility model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100: 턱받이 110: 착용부
111: 절개편 112: 체결부재
120: 커버부 130: 결합부
131: 제1 결합부재 132: 제1 버클
133: 제2 결합부재 134: 제2 버클
140: 고정부 141: 관통공
142: 탄성체100: bib 110: worn portion
111: REPLACEMENT 112: CONNECTION MEMBER
120: cover part 130:
131: first engagement member 132: first buckle
133: second engagement member 134: second buckle
140: fixing part 141: penetrating hole
142: elastomer
Claims (5)
유아의 양팔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이 양측으로 절개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식탁의 상면에 포개지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식탁에 포개진 커버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의 단부가 제1 버클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의 단부가 제2 버클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를 상기 식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 턱받이.
In the baby bib,
A wearer which is formed such that both arms of the infant are insertable and the rear portion is incised to both sides and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 cov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earer portion and superim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And an engaging portion disposed behind the cover portion and fixing the cover portion folded on the dining table,
The coupling portion
A first engaging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to the other side is formed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ver portion by a first buckle,
A second engag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is formed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ver portion by a second buckle,
And the cover portion is fixed to the dining table.
상기 커버부의 중앙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가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식기가 상기 식탁에 놓여지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 턱받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xing part form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a center of the cover part is penetrated,
Wherein a perimeter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so as to be variable, and the tableware is placed and fixed on the table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식기를 탄성으로 고정시키는 탄성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 턱받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fixing the tableware.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공의 전후방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링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각각의 회전축들을 중심으로 둘레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 둘레방향 내측에서 둘레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원호형의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고정링 중 전방 고정링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운동하며, 일면에 상기 각각의 날개의 가이드홈 내측으로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작동돌기들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동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링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날개들이 회동되며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탁 턱받이.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unit includes:
A pair of retaining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and behind the through hole;
A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fixing rings;
And an arc-shaped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out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in the housing;
A plurality of operating protrusion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stationary ring of the stationary ring and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being individu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of the respective blades, Wherein the movable ring includes a movable ring,
And the wings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vable ring to adjust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80005282U KR200489156Y1 (en) | 2018-11-16 | 2018-11-16 | Baby bib for table |
| PCT/KR2019/015546 WO2020101391A1 (en) | 2018-11-16 | 2019-11-14 | Table bib for childr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80005282U KR200489156Y1 (en) | 2018-11-16 | 2018-11-16 | Baby bib for tab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89156Y1 true KR200489156Y1 (en) | 2019-05-10 |
Family
ID=6653510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80005282U Active KR200489156Y1 (en) | 2018-11-16 | 2018-11-16 | Baby bib for tabl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89156Y1 (en) |
| WO (1) | WO2020101391A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101391A1 (en) * | 2018-11-16 | 2020-05-22 | 최미경 | Table bib for children |
| KR102223859B1 (en) * | 2019-11-12 | 2021-03-04 | 이하나 | Baby bib |
| KR20210084408A (en) * | 2021-02-26 | 2021-07-07 | 이하나 | Baby bib |
| KR102437793B1 (en) | 2022-02-03 | 2022-08-29 | 이승재 | Bib |
| KR102613376B1 (en) * | 2022-10-27 | 2023-12-13 | 최수정 | Baby bib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20232904A1 (en) * | 2021-01-25 | 2022-07-28 | Hemal Patel | Protective bib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30003674Y1 (en) | 1989-12-23 | 1993-06-21 | 삼성전관 주식회사 | Device poured liquid crystal |
| KR20070073735A (en) | 2004-07-22 | 2007-07-10 | 소프트맥스 인코퍼레이티드 | Headset for separation of language signals in noisy environments |
| KR20170000767U (en) | 2015-08-21 | 2017-03-02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Insulating cover for water meter |
| KR200483956Y1 (en) * | 2017-02-15 | 2017-07-14 | 배수연 | Waterproof bib for baby tabl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36104A (en) * | 1997-07-09 | 1999-02-09 | Tomoko Yoshioka | Bib provided with belt for seating |
| KR200379708Y1 (en) * | 2004-12-15 | 2005-03-23 | (주)인이엔에스 | The table |
| KR101911547B1 (en) * | 2016-04-01 | 2018-10-24 | 이하나 | A cover for a babychair table |
| KR200489156Y1 (en) * | 2018-11-16 | 2019-05-10 | 최미경 | Baby bib for table |
-
2018
- 2018-11-16 KR KR2020180005282U patent/KR200489156Y1/en active Active
-
2019
- 2019-11-14 WO PCT/KR2019/015546 patent/WO2020101391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30003674Y1 (en) | 1989-12-23 | 1993-06-21 | 삼성전관 주식회사 | Device poured liquid crystal |
| KR20070073735A (en) | 2004-07-22 | 2007-07-10 | 소프트맥스 인코퍼레이티드 | Headset for separation of language signals in noisy environments |
| KR20170000767U (en) | 2015-08-21 | 2017-03-02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Insulating cover for water meter |
| KR200483956Y1 (en) * | 2017-02-15 | 2017-07-14 | 배수연 | Waterproof bib for baby table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101391A1 (en) * | 2018-11-16 | 2020-05-22 | 최미경 | Table bib for children |
| KR102223859B1 (en) * | 2019-11-12 | 2021-03-04 | 이하나 | Baby bib |
| WO2021096198A1 (en) * | 2019-11-12 | 2021-05-20 | 이하나 | Baby bib |
| KR20210057706A (en) * | 2019-11-12 | 2021-05-21 | 이하나 | Baby bib |
| KR102274947B1 (en) * | 2019-11-12 | 2021-07-07 | 이하나 | Baby bib |
| JP2023502181A (en) * | 2019-11-12 | 2023-01-20 | ニュー ベッセ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toddler bib |
| JP7307283B2 (en) | 2019-11-12 | 2023-07-11 | ニュー ベッセ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toddler bib |
| KR20210084408A (en) * | 2021-02-26 | 2021-07-07 | 이하나 | Baby bib |
| KR102469155B1 (en) * | 2021-02-26 | 2022-11-22 | 주식회사 뉴베슬 | Baby bib |
| KR102437793B1 (en) | 2022-02-03 | 2022-08-29 | 이승재 | Bib |
| KR102613376B1 (en) * | 2022-10-27 | 2023-12-13 | 최수정 | Baby bib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0101391A1 (en) | 2020-05-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89156Y1 (en) | Baby bib for table | |
| US10172394B2 (en) | Bib toy teething device | |
| US20080250541A1 (en) | Intergrated, coordinated protective article and garment for continuous use | |
| US20090163952A1 (en) | Combination pacifier and hand cover | |
| US1758740A (en) | Garment | |
| US20090048550A1 (en) | Knee pads for children and method of manufacture | |
| US20150351462A1 (en) | Modifed baby bib having enhanced neckband | |
| KR200486170Y1 (en) | Waterproof bib for table | |
| US2905943A (en) | Combined bib and apron | |
| US20190343192A1 (en) | Water proof bib for infant dining table | |
| US7555789B2 (en) | Protection system | |
| US20230042373A1 (en) | Combined bib and highchair cover with tableware inlets | |
| US6427240B1 (en) | Clothing protector | |
| US9320304B1 (en) | Food apron | |
| KR200179001Y1 (en) | Underwear covering cloth for short skirt | |
| KR102437793B1 (en) | Bib | |
| KR101926150B1 (en) | Shoulder pad for protecting head of newborn | |
| KR20190077643A (en) | Sanitary apron | |
| JP3233797U (en) | Bib integrated table cover | |
| JP2010265555A (en) | Men's brief | |
| JP3757244B1 (en) | Wheelchair user clothing | |
| KR20170098419A (en) | food crumbs catching band | |
| CN211721953U (en) | Oversleeve | |
| KR200373412Y1 (en) | Trousers of infant | |
| JP3215307U (en) | Custom socks using tights etc.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1116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905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503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