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15Y1 - Cover assembly for luminaire - Google Patents
Cover assembly for lumina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615Y1 KR200481615Y1 KR2020150000149U KR20150000149U KR200481615Y1 KR 200481615 Y1 KR200481615 Y1 KR 200481615Y1 KR 2020150000149 U KR2020150000149 U KR 2020150000149U KR 20150000149 U KR20150000149 U KR 20150000149U KR 200481615 Y1 KR200481615 Y1 KR 2004816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housing
- support portion
- coupling member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원을 감싸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측부에 결합되어 상호 분체를 이루는 하우징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하우징과 결합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조립 및 착탈이 간편한 조명기구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각각 굴곡부를 갖고 상호 분체를 이루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로 이루어져 광원을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 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각 커버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assembly for an illuminator which is composed of a housing surrounding a light source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housing to form a mutual powder housing so that the housing and the coupling member are slidably coupled,
And a coupling member which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housing and couples the covers to each other, wherein the coupl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the first and second covers each having a bent portion, A second supporting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end of each cover is inser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명기구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assembly for an illuminator,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을 감싸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측부에 결합되어 상호 분체를 이루는 하우징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하우징과 결합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조립 및 착탈이 간편한 조명기구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ver assembly for an illuminator, which comprises a housing surrounding a light source,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a side of the housing to couple a housing forming a powder to each other, wherein the housing and the coupling member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어두운 실내 공간을 밝게 하기 위한 조명기구, 그러나 현대에 들어 조명기구는 단순한 발광체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분위기 조성, 인테리어로서의 기능 수행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기본적으로 광원, 하우징, 결합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Lighting fixtures for brightening dark interior spaces, but for modern times, lighting fixtures have not only a function as a simple luminous body, but als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creating atmosphere and functioning as an interior. Such a lighting apparatus is basically composed of a light source, a housing, a coupling member, and the like.
조명기구의 하우징(또는 커버, 또는 케이스 등)을 고정하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A conventional technique for fixing a housing (or a cover, a case or the like) of a lighting apparatus is as follows.
먼저 등록특허 제10-1387911호 (2014년04월16일) [조명 커버 고정 클립](종래기술1)이 있는데, 천정등(등기구) 설치 시 체결나사 없이 설치가 용이 하도록 한 것이며 제품의 이물질 제거 및 공구(드라이버, 전동 등)없이 커버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에 제시된 고정수단은 광원의 고장을 점검하거나 광원의 교체 등을 위하여 광원을 노출시키기 위한 커버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강하게 가압하여야 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버의 분리 및 조립이 쉽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Prior Art 1] There is a lighting fixture clip (Prior Art 1)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1387911 (Apr. 16, 2014), which facilitates installation without a fastening screw when installing a ceiling lamp (luminaire) And a fixing means for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ver without a tool (driver, electric motor, etc.). However, in the fixing means disclosed in the prior art 1, when the cover for exposing the light source is separated for checking the failure of the light source or for replacing the light source, the operator must press it strongly by hand to separate the cover. This is not easy.
다음으로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 제20-0436128호 (2007년05월30일) [조명등용 커버 결합구조](종래기술2)가 있는데, 종래기술2에는 제1후크, 제2후크 및 커버 고정수단 등이 구비되어, 커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그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비의 절감과, 조명등의 외관이 복잡하지 않아 깔끔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가 있으며, 커버의 결합작업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는 조명등용 커버 결합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2에 제시된 결합구조에서 광원의 고장 점검, 교체 등을 위해 광원을 노출시키기 위해 커버를 분리하는 경우 회동하는 커버는 장기간 사용 시 회동부위가 헐거워져 고정력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구성요소의 수가 많아 고장 발생 확률이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Next, another prior ar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36128 (May 30, 2007) [Cover Art for Lighting Lamps] (Prior Art 2) Fixing means and the like are provid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over by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ver to simplify the structure thereof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o transmit a clean image because the appearance of the lighting lamp is not complicated And a cover coupling structure for an illumination lamp which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cover is proposed. However, when the cover is detached to expose the light source for checking or replacing the light source in the coupling structure shown in the prior art 2, the rotating cover has a problem that the rotating part is loosened during the long- It has a disadvantage of high probability of failure due to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 제20-0460318호 (2012년05월07일) [조명커버의 결합구조](종래기술3)와 등록실용 제20-0470585호 (2013년12월20일) [조명등 커버의 고정장치](종래기술4)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3 및 4에 제시된 결합구조는 모두 끼움결합 또는 억지끼움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끼움결합구조는 종래기술2에서 지적했던 바와 같이 장기간 사용(반복되는 착탈 결합)에 따른 내구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60318 (May 07, 2012) [Combination structure of illumination cover] (prior art 3) and registration room No. 20-0470585 (December 20, 2013) (Prior Art 4). The joint structure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3 and 4 are characterized in that all of the joint structures are joints or interference-fit joints. However, such a fitting structure has a problem of durability due to long-term use (repeated attachment and detachment), as pointed out in Prior Art 2.
따라서 광원의 고장 점검, 교체 등을 위해 커버의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에 흠결이 없는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is easy to separate the cover for inspection and replacement of the light source, and has no defect in durability.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각 커버가 상호 분체를 이루는 하우징과 각 커버의 결합을 지지하는 결합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커버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내구성이 탁월한 조명기구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ver assembly for an illuminator that is easy to separate and assemble the cover and does not have any separate means and is excellent in durability, by slidingly coupling the housing in which the covers are mutually powder- and,
또한 결합부재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지지부의 특수 구조를 통해, 결합유지력을 더욱 강화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커버의 이탈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방열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Further, through the special structure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constituting the coupling member, the coupling holding force is further strengthened so as to prevent the problem of deviation of the cover from being used for a long time and to provide a heat radiating effect,
아울러 판상부재를 도입하여 일체감 형성 및 미감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d a plate-like member is introduced so that a sense of unity and an aesthetic improvement can be achie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각각 굴곡부를 갖고 상호 분체를 이루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로 이루어져 광원을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 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각 커버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a coupling member which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housing and couples the covers to each other, wherein the coupl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the first and second covers each having a bent portion, A second supporting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end of each cover is inserted.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와 이어지고, 내측에 구비된 공간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단부를 갖는 제3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의 접촉위치는 상기 각 커버의 굴곡부가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space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ide and a support end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ontact position with the outer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bent portion of each cover is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아울러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각 커버의 내면과 이격되고 단부가 상기 각 커버와 접촉되는 호형(弧形)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 상부, 상기 제3지지부의 측부 및 개구부로 둘러싸인 리세스(Recess)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의 내측 면에는 판상(板狀)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n arcuate plate portion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covers and having an end contacted with each of the covers. The engagement member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ide portion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reces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to which a plate member is coupled.
나아가 장착공을 갖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having a mounting hole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member, and a cap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to prevent the coupl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각 커버가 상호 분체를 이루는 하우징과 각 커버의 결합을 지지하는 결합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커버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내구성이 탁월하고,The housing in which the covers are mutually powdered and the coupl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coupling of the respective covers are slidingly coupled to each other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assembly of the cover,
또한 결합부재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지지부의 특수 구조를 통해, 결합유지력을 더욱 강화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커버의 이탈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방열효과를 갖고,Further, through the special structure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constituting the coupling member, the coupling holding force is further strengthened so as to prevent the problem of deviation of the cover from being used for a long period of use,
아울러 판상부재를 도입하여 일체감 형성 및 미감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by introducing the plate-shaped member, the sense of un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aesthetics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결합부재의 상세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of a coupling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econd, thir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from one another,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엄밀하지 않은 대략적이 방향을 특정하면,If we first specify a rough direction that is not rigorous before we explain this scheme,
도 1을 기준으로 상, 하를 나누고, 일반적인 상식선에서 내측 또는 외측을 나누어 설명하고,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As shown in FIG. 1,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divided and the inner or outer side is divided into a general sense line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same applie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range".
또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연결'이라는 표현은 분체로 구성된 두 구성을 결합하는 것은 물론, 일체로 이루어진 두 구성 간의 상호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해석은 도면을 참고하면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쓰였음을 밝힌다.
In addition, the expression 'connec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can be used not only to combine two components composed of powder but also to describe mutual position relation between two compon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terpretation is us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fully understood and reaso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고안은 광원을 감싸는 하우징(10), 이 하우징(10)의 측부에 결합되어 상호 분체를 이루는 하우징(10)을 결합하는 결합부재(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과 결합부재(2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조립 및 착탈이 간편한 조명기구용 커버 어셈블리(A)에 관한 것이다.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용 커버 어셈블리(A)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ver assembly A for a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커버 어셈블리(A)는 광원을 감싸는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10)은 각각 굴곡부(11)를 갖고 상호 분체를 이루는 제1커버(10A) 및 제2커버(10B)로 이루어진다.First, the cover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고안에서 제1커버(10A)와 제2커버(10B)는 동일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커버(10A)의 구조를 설명하고, 생략된 제2커버(10B)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한 이해는 제1커버(10A)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방향성은 없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을 제1커버(10A), 하측을 제2커버(10B)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Since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1)는 아치(Arch)형으로 이루어진 제1커버(10A)의 단부 측에 형성되어 제1커버(10A)의 단부(이하 결합단부(13))가 결합부재(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굴곡부(11)의 곡률(곡선 또는 곡면의 휨 정도를 나타내는 변화율)은 아치형 제1커버(10A)의 곡률보다 커서 도 2 및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결합단부(13)의 형성 방향은 마치 '수직'인 것처럼 보인다.(제1커버(10A) 및 제2커버(10B)의 길이방향을 수평으로 설정함)
2, the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커버 어셈블리(A)는 상기한 하우징(10)의 측부에 구비되어 각 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cover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러한 결합부재(20)는 알루미늄 합금, 철 합금,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를 이루어 동일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제1커버(10A)와 제2커버(10B) 각각의 결합단부(13)를 수용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한편, 본 고안의 핵심 특징을 이루는 결합부재(20)에 대해 이하 첨부된 도면(특히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joining
먼저 결합부재(20)는 하우징(10)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지지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제1커버(10A) 및 제2커버(10B)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보다 명확하게는 '하우징(10)의 외면'이라 함은 '제1커버(10A)의 외면 및 제2커버(10B)의 외면'으로 해석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1)는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우징(10), 특히 결합단부(13)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는 구성이다.First, the
아울러 결합부재(20)는 하우징(10)의 내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2지지부(22)를 더 포함하는데, 역시 하우징(10)은 제1커버(10A) 및 제2커버(10B)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2지지부(22)는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우징(10), 특히 결합단부(13)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는 구성이다.The
또한 결합부재(20)는 제1지지부(21)와 제2지지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4)는 일 단부는 제1지지부(21)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제2지지부(22)와 연결되어 있는데, 제1 및 제2지지부(21)(22)가 수직으로 배열된 것을 기준으로 하면 연결부(24)는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또한 결합부재(20)는 각 커버의 단부(결합단부(13))가 삽입되는 수용부(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수용부(25)는 내측 제1지지부(21), 외측 제2지지부(22), 둘을 연결하는 연결부(24) 및 제1커버(10A)의 결합단부(13)가 삽입되는 개방부(251)로 구성되어 제1커버(10A)의 결합단부(13)가 수용된다. 또한 수용부(25) 내에 결합단부(13)가 삽입된 상태로 제1커버(10A)는 수용부(25)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데, 이는 결합부재(20)와 하우징(10)간의 결합에서 결합부재(20)를 밀어 넣는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결합은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커버의 분해 및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아울러 결합부재(20)는 제1지지부(21)의 단부와 이어진 제3지지부(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명확하게 제3지지부(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1)의 측벽면(이하 수직벽부(211))에 이어져 제1커버(10A)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The
또한 제3지지부(23)는 내측에 구비된 공간부(231)를 갖고, 아울러 하우징(10)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단부(2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231)는 제3지지부(23)의 내측공간으로, 제1지지부(21)의 수직벽부(211)와 접촉단부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The
한편, 본 고안의 핵심 특징은 지지단부(233)와 하우징(10)의 외면과의 접촉위치(c233)는 각 커버의 굴곡부(11)가 공간부(231)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인데, 이러한 특성을 통해 결합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결합안정성'을 통해 내구성의 확보도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tact position c233 between the
상기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커버(10A)는 전 방향으로 이탈방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받는데, 먼저 내측방향으로의 이탈방지는 제2지지부(22)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외측방향으로의 이탈방지는 제1지지부(2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측방향으로의 이탈방지는 제3지지부(2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하측방향으로의 이탈방지는 연결부(2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2커버(10B)의 이탈방지 역시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4방향 이탈방지구조는 '결합안정성'을 제공하는 주요 특성으로 기인한다.
The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은 각 지지부의 구조인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각 지지부와 관련한 특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ructure of each support portion, and the features related to each support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각 지지부와 관련한 특징으로, 제2지지부(22)는 각 커버의 내면과 이격되고 단부가 각 커버와 접촉되는 호형(弧形)판부(2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판부(221)는 내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단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호형판부(221)의 구조를 통해 이격공간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려주어 방열효과를 가질 수 있고, 접촉된 단부는 자체적으로 스토핑 기능을 강화하여 내측으로의 이탈방지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First, each of the supporting portio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pporting
또 다른 각 지지부와 관련한 특징으로, 결합부재(20)는 제1지지부(21) 상부, 제3지지부(23)의 측부(또는 수직벽부(211)) 및 개구부(263)로 둘러싸인 리세스(26)(Reces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6)는 측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내측 방향으로 움푹 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리세스(26)는 광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려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자재절감을 통한 제조비용 절감을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engaging
또 다른 각 지지부와 관련한 특징으로, 리세스(26)의 내측 면에는 판상(板狀)부재(30)가 결합되는 결합홈(26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6)의 내측 면, 즉 수직벽부(211)에는 결합홈(261)이 구비되어 있고, 결합홈(261)에는 판상부재(3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왕복운동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이러한 결합홈(261) 및 판상부재(30)의 도입은 몇 가지 효과를 갖는데, 먼저 판상부재(30)를 제1커버(10A) 및 제2커버(10B)와의 동일 소재로 구비하여 결합부재(20)를 도입함에 있어 하우징(10)과의 일체감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판상부재(30)의 외면을 디자인처리 하여 미감 향상이라는 기술적 과제의 해결 역시 가능하다.
The introduction of the
이상에서는 상기한 결합부재(20)와 하우징(10)의 결합에 있어서, 제1커버(10A) 및 제2커버(10B)의 이탈방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결합부재(20)와 하우징(10)의 결합에 있어, 결합부재(20)의 이탈방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결합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부재(20)가 하우징(10)의 측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먼저 장착공(41)을 갖고 상기 결합부재(20)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 및 결합부재(20)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캡(50)을 더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0)의 일 단부는 연결부재(40)가 결합되고, 타 단부에는 캡(50)이 결합되는데, 연결부재(40)는 장착공(41)을 가지고 있어 또 다른 구성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하여 일반적인 경우 천장에 조명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체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만약 설치체와의 결합이 다른 구조를 통해 이루어진다면 양 단부 모두 캡(50)을 결합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양 단부 모두가 설치체와 결합해야 한다면 양 단부 모두 연결부재(40)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연결부재(40)와 캡(50)은 실시자의 선택사항에 불과한 것이며, 이러한 연결부재(40) 및 캡(50)의 결합은 체결공(h)을 통해 나사 결합되는 것인데, 도 3 쇄선 원 영역 내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체결공(h)은 리세스(26) 내측, 즉 제1지지부(21)의 수직벽부(21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vention of disengagement of the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조명기구용 커버 어셈블리(A)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suggest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odific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커버 어셈블리 h: 체결공
10: 하우징 10A, 10B: 제1 및 제2커버
11: 굴곡부
20: 결합부재 21: 제1지지부
22: 제2지지부 221: 호형판부
23: 제3지지부 231: 공간부
233: 지지단부 24: 연결부
25: 수용부 26: 리세스
261: 결합홈 263: 개구부
30: 판상부재 40: 연결부재
50: 캡A: Cover assembly h: Fastening hole
10:
11: Bend
20: coupling member 21: first support portion
22: second support portion 221: arched plate portion
23: third support portion 231:
233: support end 24:
25: receptacle 26: recess
261: coupling groove 263: opening
30: plate-shaped member 40: connecting member
50: cap
Claims (4)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 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와 이어지고, 내측에 구비된 공간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단부를 갖는 제3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의 접촉위치는 상기 각 커버의 굴곡부가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각 커버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각 커버의 내면과 이격되고 단부가 상기 각 커버와 접촉되는 호형(弧形)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 상부, 상기 제3지지부의 측부 및 개구부로 둘러싸인 리세스(Recess)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의 내측 면에는 판상(板狀)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어셈블리.
A housing including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each having a bent portion and forming a powder of each other and surrounding the light source; And
A coupling member provided at a side of the housing to couple the covers to each other;
, ≪ / RTI >
The coupl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third support portion having a space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ide and a support end portion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third support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Wherein a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support en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bent portion of each cover is positioned in the space,
A first support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end portion of each cover is inserted Lt; / RTI >
Where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comprises an arcuate plate portion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covers and an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covers,
The engag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recess surround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side portion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the opening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reces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to which a plate member is coupled.
장착공을 갖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upling member having a mounting hole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member; And
And a cap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Wherein the engagement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50000149U KR200481615Y1 (en) | 2015-01-08 | 2015-01-08 | Cover assembly for luminai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50000149U KR200481615Y1 (en) | 2015-01-08 | 2015-01-08 | Cover assembly for luminai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0528U KR20150000528U (en) | 2015-02-03 |
| KR200481615Y1 true KR200481615Y1 (en) | 2016-10-25 |
Family
ID=5248900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5000014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1615Y1 (en) | 2015-01-08 | 2015-01-08 | Cover assembly for luminai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81615Y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4973B1 (en) | 2007-09-12 | 2008-06-03 | (주)이지스테크 | LED Landscape Lighting |
| KR200469911Y1 (en) | 2012-02-27 | 2013-11-18 | 주식회사 세정라이프 | post of advertisement sign board fix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1961Y1 (en) * | 2010-10-21 | 2012-08-16 | 최문진 | Light fixture |
-
2015
- 2015-01-08 KR KR2020150000149U patent/KR200481615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4973B1 (en) | 2007-09-12 | 2008-06-03 | (주)이지스테크 | LED Landscape Lighting |
| KR200469911Y1 (en) | 2012-02-27 | 2013-11-18 | 주식회사 세정라이프 | post of advertisement sign board fix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0528U (en) | 2015-02-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287160B2 (en) | LED light assembly | |
| CN102052645B (en) | Lamp and detachable installing structure thereof | |
| US20050248937A1 (en) | Fluorescent bulb retaining spring | |
| CN202032487U (en) | Lamp assembl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and embedded lamp | |
| WO2016179871A1 (en) | Downlight | |
| KR200460318Y1 (en) | Union structure of lamp cover | |
| KR101398387B1 (en) | Mounting device for lighting lamp | |
| KR200481615Y1 (en) | Cover assembly for luminaire | |
| KR20160002823U (en) | Lamp cover | |
| US9803838B1 (en) | Support brackets for lamp sockets | |
| KR102082928B1 (en) | Filling type lighting | |
| KR101783106B1 (en) | Apparatus mounting for lighting lamp | |
| KR20110081424A (en) | LED fluorescent lamp assembly | |
| JP5419800B2 (en) | lighting equipment | |
| KR200470585Y1 (en) | Fixture for lamp cover | |
| CN105318213B (en) | LED lamp structure | |
| JP5294412B2 (en) | lighting equipment | |
| CN204513127U (en) | Bright fitted tube lamp | |
| KR200347302Y1 (en) | The ceiling hold lights | |
| KR101325019B1 (en) | Mounting device for lighting lamp | |
| CN219889427U (en) | Educational lamp free of screw assembly | |
| JP6160203B2 (en) | Downlight | |
| CN108071977B (en) | LED tube spotlight | |
| KR101554426B1 (en) | Frame assembly for lighting apparatus | |
| KR200398726Y1 (en) | Mounting structure of frame for light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910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