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44Y1 - Cooling system using heating pipe - Google Patents
Cooling system using heating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644Y1 KR200481644Y1 KR2020150005838U KR20150005838U KR200481644Y1 KR 200481644 Y1 KR200481644 Y1 KR 200481644Y1 KR 2020150005838 U KR2020150005838 U KR 2020150005838U KR 20150005838 U KR20150005838 U KR 20150005838U KR 200481644 Y1 KR200481644 Y1 KR 20048164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heating pipe
- external refrigerant
- cooling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25B41/04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배관(200)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바닥에 설치된 난방배관(200), 상기 난방배관(200)에 일측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외부냉매를 공급하는 공급배관(P3), 상기 난방배관(2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난방배관(200)을 통과한 상기 외부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배관(P4), 상기 공급배관(P3) 또는 배출배관(P4)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냉매가 열교환기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외부냉매가 상기 난방배관(200)을 통과하도록 하는 순환펌프(150)를 포함하여, 상기 공급배관(P3)으로부터 공급된 외부냉매는 난방배관(200)을 거쳐 배출배관(P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난방배관(200)을 이용하여 냉방을 실시하게 되므로 냉방시스템 구축 비용이 줄어들고, 공기가 아닌 바닥을 냉각시키는 구조이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냉방 중에도 창문을 열어 내기 및 외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내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200) and a cool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200) installed on a floor, a cooling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A discharge pipe P4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ating pipe 200 for discharging the external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ing pipe 200 to the outside, a supply pipe P3 for discharging the external refrigerant to the outside, And a circulation pump (150)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P4) to prevent the external refrigerant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heat exchanger, and a circulation pump (150) for allowing the external refrigerant to pass through the heating pipe (200)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P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P4 through the heating pipe 200. [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l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existing heating pipe 200, the cost for constructing the cooling system is reduced, and the cooling efficiency is improved due to the structure for cooling the floor, not the air. Since the outside air can be circul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tamination of the inside air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이용하여 냉방을 가능하게 하는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ing system that enables cooling using existing installed heating pipes.
일반적으로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사용되는 냉방시스템은 에어컨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공간에 토출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컨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실내를 밀폐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신선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여 실내공기가 쉽게 오염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실내공기가 에어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 등에 서식하는 세균 및 오염물질에 의하여 오염될 우려도 있다. 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a cooling system used in a general house or an apartment is used to cool air using an air conditioner and discharge it to an indoor space. Since the air conditioner circulates the indoor air and cools the air, it is necessary to close the room. As a result, the fresh air tends to be contaminated by the fresh outside air,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by bacteria and pollutants inhabit on the back.
또한, 에어컨의 사용을 위해서는 실내장치 뿐 아니라 실외에도 별도의 실외기를 설치해야하므로 번거롭고, 에어컨 장치가 일반적으로 고가일 뿐 아니라 이를 유지하기 위한 전기세로 인한 유지비 역시 높은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air conditioner, it is troublesome to install a separate outdoor unit not only in an indoor unit but also in an outdoor unit.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expensive and also has a high maintenance cost due to an electricity charge to maintain it.
그리고, 이러한 에어컨은 그 설치공간만 차갑게 할 뿐, 에어컨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실내공간에는 그 냉방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에어컨은 공기만 차갑게 할 뿐이고 실내바닥은 냉방하지 못하므로, 실내에서 신발을 탈의하고 생활하는 한국의 생활문화에 보다 적합한 냉방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has a problem in that the air conditioner is cooled only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cooling effect is greatly reduced in other indoor spaces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not installed. In particular, The cooling system which is more suitable for the living culture of Korea which is getting off the shoes and living is demanded.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기존에 설치된 난방용 배관을 이용하여 실내 바닥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방식의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system in which the temperature of an indoor floor is lowered by using existing heating pip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바닥에 설치된 난방배관, 상기 난방배관에 일측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외부냉매를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난방배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난방배관을 통과한 상기 외부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배관, 상기 공급배관 또는 배출배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냉매가 열교환기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외부냉매가 상기 난방배관을 통과하도록 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여,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외부냉매는 난방배관을 거쳐 배출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ing system comprising a heating pipe installed on a floor, a supply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to supply an external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A backflow prevention valve installed at least at one side of the supply pipe or the discharge pipe to prevent external refrigerant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heat exchanger, And a circulation pump for allowing the refrigerant to pass through the heating pipe, and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via the heating pipe.
상기 외부냉매는 수돗물이며, 상기 공급배관은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수돗물을 난방배관 측으로 공급한다. The external refrigerant is tap water, and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to supply tap water to the heating pipe side.
상기 난방배관의 입구 일측 및 출구 일측에는 각각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난방배관을 공급되는 외부냉매 및 배출되는 외부냉매의 온도가 측정된다.A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let and one side of the outlet of the heating pipe,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to the heating pipe and the discharged external refrigerant is measured.
또한 온도 센서가 없이 콘트롤 박스에서의 강약 조절만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쓸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control box without a temperature sensor.
상기 공급배관, 난방배관 및 배출배관은 순환배관에 의해 연결된다. The supply pipe, the heating pipe and the discharge pipe are connected by a circulation pipe.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순환배관 일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에 설치된 순환펌프이다. The circulation pump is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a heat exchang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난방배관을 이용하여 냉방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방방법에 있어서, 외부냉매의 열교환기 방향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가 제어되는 밸브제어단계와, 공급배관을 통해 외부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공급단계와, 상기 난방배관을 통과한 외부냉매가 배출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냉매배출단계와, 상기 냉방공간의 온도와 외부냉매의 온도를 비교하여 냉방공간의 온도와 외부냉매의 온도 차이가 기준설정값 이하이면 냉매공급을 중단시키고, 설정치 이상이면 냉매의 공급을 유지시키는 비교연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ling method for cooling a cooling space using a heating pipe, comprising: a valve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 valve for preventing reverse flow of external refrigerant in a heat exchanger; A refrigerant supply step of supplying the external refrigerant through the discharge pipe, a refrigerant discharging step of discharging the external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ing pi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a step of compa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pa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And a comparison operation step of stopping the supply of the coolant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external coola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et value, and maintaining the supply of the coolant when the difference is not less than the set value.
상기 비교연산단계에 있어서, 상기 냉방공간의 온도가 외부냉매의 온도 보다 상위설정값 이상 높을 경우, 밸브를 차단하여 외부냉매가 난방배관 내부에 일정시간 이상 머물도록 하는 지연단계가 더 포함된다. In the comparison operation step,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pace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delaying step of stopping the valve so that the external refrigerant stays in the heating pip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상기 배출배관에는 유량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측정되고, 중앙제어부는 냉방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배출된 냉매의 양이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The discharge pipe is provided with a flow rate sensor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e central control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cooling tim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cooling system using the heating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고안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이용하여 냉방을 실시하게 되므로 냉방시스템 구축 비용이 줄어들고, 공기가 아닌 바닥을 냉각시키는 구조이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냉방 중에도 창문을 열어 내기 및 외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내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oling is performed by using a conventional heating pipe, the cost for constructing the cooling system is reduced, and the cooling efficiency is improved because the structure for cooling the floor is used instead of the air, and the window can be opened and the outside air can be circul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wastewater.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에어컨 없이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이용하여 냉방을 하므로 냉방비용이 줄어들게 되며, 냉매를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탱크가 불필요하여 설치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ls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cooling cost by using the tap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without using any separate air conditioner, and a separate storage tank for storing and supplying the refrigerant is unnecessary,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installation.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냉매인 수돗물과 냉방공간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냉방효율이 떨어질 것이 예상되면 냉방시스템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냉방효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 냉매의 공급/배출을 지연시켜 냉방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tap water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air space in real time. If the cooling efficiency is predicted to decrease, the cooling system is automatically shut off. If the cooling efficiency is expected to be high,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waste of cos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조도.
도 2는 냉방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따라 수돗물이 흐르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구성하는 콘트롤 박스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순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방법에서 지연단계가 구현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ap water flowing along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oling function is selected. FIG.
3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box constituting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oling method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implementing a delay step in a cooling method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방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oling system using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 cooling method using the cooling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구조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냉방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따라 수돗물이 흐르는 모습이 개념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 1 shows a structur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structure in which tap water flows along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oling function is selected As shown i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200)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바닥에 이미 설치된 난방배관(200)을 이용하게 된다. 난방배관(200)은 아파트를 비롯한 일반적인 주거용 건물에 대부분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배관 설치 없이 활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oling system using the
상기 바닥에 설치된 난방배관(200)의 일측에는 공급배관(P3)이 연결된다. 상기 공급배관(P3)은 상기 난방배관(200)에 연결되어 외부 공급원(10)으로부터 외부냉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 supply pipe P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여기서 외부냉매는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이다. 즉, 일반적으로 저렴한 요금으로 쉽고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것이며, 특히 수돗물은 비열이 높은 액체이므로 무더운 여름철에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 냉매로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The external refrigerant is tap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That is, tap water which is generally easily and stably supplied at low cost is used as a refrigerant. In particular, since tap water is a liquid having a relatively high heat, it can be used as a refrigerant because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in a hot summer season.
한편 상기 난방배관(200)의 타측에는 배출배관(P4)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배관(P4)은 상기 난방배관(200)을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한 외부냉매를 외부 배출원(80)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냉매를 하수도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로 설치된 저장탱크에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 discharge pipe P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공급배관(P3), 난방배관(200) 및 배출배관(P4)은 순환배관(P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배관(P3)에 연결되는 순환배관(P1) 일측에는 상기 외부냉매가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냉매분배기(20)가 설치된다. The supply pipe P3, the
그리고, 상기 공급배관(P3) 또는 배출배관(P4)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상기 외부냉매가 난방보일러(100) 또는 열교환기(미도시) 방향으로 안내되는 난방배관(20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배관(P3) 측 및 배출배관(P4) 측에 각각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된다. At least one of the supply pipe P3 and the discharge pipe P4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The backflow prevention valve serves to prevent the external refrigerant from moving to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제1차단밸브(V1), 제2차단밸브(V2) 및 제3차단밸브(V5)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차단밸브(V1)는 상기 공급배관(P3)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냉매가 난방배관(20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3차단밸브(V5)는 상기 배출배관(P4)과 인접한 순환배관(P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냉매가 난방보일러(1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미설명부호 V2는 제2차단밸브를 나타내며, 상기 제2차단밸브(V2)는 온수작용 등 부가적인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온수작용은 생략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heck valve is composed of a first shutoff valve V1, a second shutoff valve V2 and a third shutoff valve V5, wherein the first shutoff valve V1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P3 And the third shutoff valve V5 is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pipe P1 adjacent to the discharge pipe P4 so that the external refrigerant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한편 상기 순환배관(P1)의 이동경로 상에는 상기 외부냉매가 상기 난방배관(200)을 통과하도록 하는 순환펌프(150)가 설치된다. 상기 순환펌프(150)는 외부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난방보일러(100, 또는 열교환기)에 구비된 순환펌프(150)이거나 또는 별도로 설치된 순환펌프(150)일 수도 있다. 도 1에는 난방보일러(100)에 설치된 순환펌프(150)를 이용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별도로 설치된 순환펌프(150)가 예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그리고, 상기 순환배관(P1)에는 제어밸브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밸브는 다시 상기 공급배관(P3)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1제어밸브(V3)와 배출배관(P4)에 설치되는 제2제어밸브(V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제어밸브(V3)는 상기 공급배관(P3)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냉매가 난방배관(200)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개폐되며,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냉매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고, 결과적으로 냉방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 val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 valve V3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pply pipe P3 and a second control valve V2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control valve V3 disposed on the discharge pipe P4. And a control valve V4. The first control valve V3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b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P3 to selectively move to the
그리고, 상기 제2제어밸브(V4)는 배출배관(P4)을 통해 외부냉매가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배출배관(P4)이 개방되면 외부냉매가 배출되며, 냉방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출배관(P4)이 차폐되고 상기 제3차단밸브(V5)를 개방하여 난방을 위한 온수가 난방보일러(100) 쪽을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control valve V4 regulates the discharg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through the discharge pipe P4. When the discharge pipe P4 is opened, the external refrigerant is discharged, and the refrigerant is cooled The discharge pipe P4 is shut off and the third shutoff valve V5 is opened so that the hot water for heating can flow into th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역류방지밸브와 제어밸브를 조작하여 냉방을 실시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ystem for performing cooling by operating the check valve and the control val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사용자가 냉방을 실시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밸브(V1), 제2차단밸브(V2) 및 제3차단밸브(V5)가 차단되고, 제1제어밸브(V3) 및 제2제어밸브(V4)가 개방된다. First, when the user performs cooling, the first shutoff valve V1, the second shutoff valve V2 and the third shutoff valve V5 are shut off and the first shutoff valve V3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V4 are opened.
이렇게 되면, 외부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배관(P3)을 통해 공급된 외부냉매는 냉매분배기(20)를 거쳐 난방배관(200)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난방배관(200)을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된 외부냉매는 배출배관(P4)을 통해 외부 배출원(80)으로 배출되고,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난방배관(200)의 온도가 하강하여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case,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한편, 상기 순환밸브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난방배관(200)의 입구 일측 및 출구 일측에는 각각 제1온도센서 및 제2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난방배관(200)을 공급되는 외부냉매 및 배출되는 외부냉매의 온도가 측정된다. 물론, 상기 난방배관(200)이 설치된 공간에 별도의 제3온도센서가 구비되어 냉방시킬 공간의 현재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The circulation valve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More precisely, a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are provided at one inlet and one outlet of the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이용하여 냉방을 실시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erforming cooling using a cooling system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방법에서 지연단계가 구현되는 과정이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oling method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mplementing a delay step in a cooling method using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사용자가 냉방을 선택하면(S10), 외부냉매의 열교환기 방향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가 제어되는 밸브제어단계(S20)가 이어진다. 상기 밸브제어단계를 통해서, 제1차단밸브(V1), 제2차단밸브(V2) 및 제3차단밸브(V5)가 차단되고, 제1제어밸브(V3) 및 제2제어밸브(V4)가 개방된다. First, when the user selects cooling (S10), a valve control step (S20) is performed in which a valve for controlling the reverse flow of the external refrigerant in the heat exchanger is controlled. The first shutoff valve V1, the second shutoff valve V2 and the third shutoff valve V5 are shut off through the valve control step and the first control valve V3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V4 are closed Is opened.
이렇게 되면, 외부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배관(P3)을 통해 공급된 외부냉매는 냉매분배기(20)를 거쳐 난방배관(200)으로 이동되어 냉매유동단계(S30)가 이루어진다.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그리고 난방배관(200)을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된 외부냉매는 배출배관(P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냉매배출단계가 이어지고,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난방배관(200)의 온도가 하강하여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external refrigerant whose temperature has risen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때, 밸브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는 온도센서를 통한 온도체크를 통해 시스템을 자동제어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 central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system through a temperature check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보다 정확하게는, 냉방이 이루어지는 냉방공간의 온도와 외부냉매의 온도를 체크한 후에(S40), 이를 비교하여 냉방공간의 온도와 외부냉매의 온도 차이가 기준설정값(n) 이하이면 밸브를 제어하여 냉매공급을 중단시키고(S70), 설정치 이상이면 냉매의 공급을 유지(S80)시키는 비교연산단계(S50)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More precisely, after check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pace where the cooling is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S40), the controller compa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pa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The refrigerant supply is interrupted (S70), and if it exceeds the set value, the comparison operation step (S50) of maintaining the supply of the refrigerant (S80) can be performed.
즉,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외부냉매와 냉방공간의 온도차가 크지 않을 경우에는 냉방효율이 떨어지므로 비교연산을 통해 이를 자동제어하는 것인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설정값(n)은 10℃로 설정된다. 이때, 밸브를 차단하여 냉매공급을 중단시킬 경우, 소리나 디스플레이 표시를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S70)That is,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and the cooling space is not large, the cooling efficiency is lowered, so that 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comparison opera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set value n is set to 10 ° C . At this time, if the refrigerant supply is interrupted by shutting off the valve,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refrigerant supply through sound or display (S70)
물론,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트롤 박스를 이용하여 냉방의 강약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온도제어를 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cooling by using a control box as shown in FIG. 4 without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또한,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비교연산단계에 있어서, 상기 냉방공간의 온도와 외부냉매의 온도를 비교하여(S150), 그 차이가 일정 이상일 때 지연단계(S170)가 더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방공간의 온도가 외부냉매의 온도 보다 상위설정값(N) 이상 높을 경우, 밸브를 차단하여(S160) 외부냉매가 난방배관(200) 내부에 일정시간 이상 머물도록 하는 지연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는 온도 차이가 클 경우에 외부냉매를 바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난방배관(200) 내부에서 일정 시간 머물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부냉매의 낭비를 막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in the comparison operation step,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pace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S150), and the delay step S170 may be further performed when the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More precisely, in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pace is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N of the external refrigerant, the valve is shut off (S160) to allow the external refrigerant to stay in the
정리하면, '냉방공간의 온도(A)-외부냉매의 온도(B)'를 A라 할 경우에, In summary, when the temperature (A) of the cooling space and the temperature (B) of the external refrigerant are A,
(1) A<n 이면, 냉방효율이 떨어지므로 냉방을 중지하고, (1) If A < n, the cooling efficiency is lowered, so cooling is stopped,
(2) n≤A<N 이면, 냉방을 실시하며,(2) If n? A < N, cooling is performed,
(3) N≤A 이면, 지연단계를 포함시켜 냉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3) If N &le; A, the delaying step is included to allow cooling to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한편, 상기 배출배관(P4)에는 유량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배관(P4)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냉방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배출된 냉매의 양이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A flow rate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P4 to measure a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P4. The central control unit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during the cooling The amount can be calcula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되고 있는 외부냉매(수돗물)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적절하게 이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usage amount of the external refrigerant (tap water) being used in real time and control it appropriately.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본 고안은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이용하여 냉방을 가능하게 하는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이용하여 냉방을 실시하게 되므로 냉방시스템 구축 비용이 줄어들고, 공기가 아닌 바닥을 냉각시키는 구조이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냉방 중에도 창문을 열어 내기 및 외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내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ing system that enables cooling using existing installed heating pipe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oling is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heating pipe, Since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and the floor is cooled rather than the air, the cooling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window can be opened even i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outside air can be circulated.
10: 외부 공급원 20: 냉매분배기
30,40,60: 온도센서 80: 외부배출원
100: 난방보일러 110: 보일러부
150: 순환펌프10: external source 20: refrigerant distributor
30, 40, 60: Temperature sensor 80: External emission source
100: heating boiler 110: boiler part
150: circulation pump
Claims (5)
상기 난방배관에 일측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외부냉매를 공급하는 공급배관과;
제2제어밸브(V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난방배관을 통과한 상기 외부냉매를 상기 제2제어밸브(V2)의 개폐에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배관과;
상기 공급배관 또는 배출배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냉매가 열교환기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외부냉매가 상기 난방배관을 통과하도록 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배관 상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난방배관의 설치 공간상에 설치되는 제3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외부냉매는 난방배관을 거쳐 배출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외부냉매는 수돗물이며, 상기 공급배관은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수돗물을 난방배관 측으로 공급하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제3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냉방공간의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외부냉매의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냉방공간의 온도와 외부냉매의 온도 차이가, 기준설정값 미만이면 냉매공급을 중단시키고, 상기 기준설정값 이상이면 냉매의 공급을 유지시키는 비교연산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비교연산단계는,
상기 냉방공간의 온도가 외부냉매의 온도보다 상위설정값 이상 높은 경우, 밸브를 차단하여 외부냉매가 난방 배관에 일정시간 이상 머물도록 하는 지연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배출배관에 구비된 유량센서는,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A heating pipe installed on the floor;
A supply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to supply external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ating pip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external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ing pipe to the outside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control valve V2, ;
A backflow prevention valve installed at least at one side of the supply pipe or the discharge pipe to prevent the external refrigerant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heat exchanger;
A circulation pump for allowing the external refrigerant to pass through the heating pipe;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heating pipe; And
And a thir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eating pipe,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heating pipe,
Wherein the external refrigerant is tap water and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to supply tap water to the heating pipe side: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controller compa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pace measured by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with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stops the supply of the refrigerant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oling space and the external refrigera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set value And performing a comparison operation step of maintaining the supply of the coolant if the reference set value is not less than the reference set value;
Wherein the comparison operation step comprises:
And a delaying step of shutting off the valve so that the external refrigerant stays in the heating pip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pace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by at least a predetermined value,
Wherein the flow rate sensor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measures a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ransmits the measured flow rate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outputs the measured value to the user.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난방배관의 입구 일측 및 출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난방배관에 공급되는 외부냉매 및 배출되는 외부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 및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nd a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let of the heating pipe and one side of the outle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refrigerant supplied to the heating pipe and the discharged external refrigerant, Cooling system.
The coo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pply pipe, the heating pipe, and the discharge pipe are connected by a circulation pipe.
The coo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lation pump is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a heat exchang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50005838U KR200481644Y1 (en) | 2015-09-01 | 2015-09-01 | Cooling system using heating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50005838U KR200481644Y1 (en) | 2015-09-01 | 2015-09-01 | Cooling system using heating pip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29811 Division | 2014-03-13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3764U KR20150003764U (en) | 2015-10-14 |
| KR200481644Y1 true KR200481644Y1 (en) | 2016-10-27 |
Family
ID=543422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50005838U Expired - Lifetime KR200481644Y1 (en) | 2015-09-01 | 2015-09-01 | Cooling system using heating pip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81644Y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124319A1 (en) * | 2022-12-15 | 2024-06-20 | Avelar Sergio Henrique | System for mixing cold and hot water from cold and hot tanks, incorporated into water outlet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94661B1 (en) | 2016-09-27 | 2017-01-09 | 주식회사 반도건설 | Each household cooling system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42049Y1 (en) | 2003-11-20 | 2004-02-14 | 지에이취피코리아 주식회사 | Heating Apparatus Using Exhaust Condensate Water of Gas Heat Pump Air Conditioner |
| KR200370067Y1 (en) | 2004-09-30 | 2004-12-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Floor cooling and heating panel |
| KR101265970B1 (en) | 2013-01-29 | 2013-05-22 | 주식회사 지아이엠씨오 | Heat exchanger module for both regional or central cooling/heating and hot water for the individual household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24639B1 (en) * | 2007-11-05 | 2009-11-02 | 김정술 | Air conditioning system |
-
2015
- 2015-09-01 KR KR2020150005838U patent/KR200481644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42049Y1 (en) | 2003-11-20 | 2004-02-14 | 지에이취피코리아 주식회사 | Heating Apparatus Using Exhaust Condensate Water of Gas Heat Pump Air Conditioner |
| KR200370067Y1 (en) | 2004-09-30 | 2004-12-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Floor cooling and heating panel |
| KR101265970B1 (en) | 2013-01-29 | 2013-05-22 | 주식회사 지아이엠씨오 | Heat exchanger module for both regional or central cooling/heating and hot water for the individual household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124319A1 (en) * | 2022-12-15 | 2024-06-20 | Avelar Sergio Henrique | System for mixing cold and hot water from cold and hot tanks, incorporated into water outlet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3764U (en) | 2015-10-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bdulkhaev et al. | Control of heat transfer ability of radiators using thermovalve | |
| EP3412985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ter-heating system, and water-heating system | |
| JP5971149B2 (en) | Water heater | |
| US20090084329A1 (en) | Malfunction detection device for hot water supplier | |
| WO2015114839A1 (en) | Cooling device and heat source equipment | |
| KR200481644Y1 (en) | Cooling system using heating pipe | |
| KR101582203B1 (en) | Flow control system for integrated piping system | |
| KR101147829B1 (en) | Hybrid Control Device and Hybrid Control Method for Heating and Cooling with Measured Data from Heat Meter | |
| KR102160305B1 (en) | Hot water heating integrated piping system using hot water as a heat source | |
| WO2019211905A1 (en) | Air conditioning device | |
| JP5129972B2 (en) | Water heater with heat recovery path | |
| JP4933177B2 (en) | Water heater | |
| KR101706146B1 (en) |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apparatus applying for regional or central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2012247099A (en) | Hot water storage type water heater | |
| CN104728980A (en) | A cold and hot water supply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 KR20110097430A (en) | Boiler system | |
| KR101604418B1 (en) | Heat pump type cooling and heating system having hot water supplying function | |
| JP6201768B2 (en) | Liquid circuit device | |
| KR101548468B1 (en) | cooling and heating system | |
| KR20140067412A (en) | Radiant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individual house | |
| KR101435176B1 (en) | cooling and heating system | |
| KR20200048110A (en) | A water supply system of a heating supply unit using hot water as a heat source | |
| JP5326890B2 (en) | Thermal storage system | |
| JP4046587B2 (en) | Hot water storage hot water source | |
| JP2009109094A (en) | Water hea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5 |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029811 Filing date: 20140313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1102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8 |
|
| X70R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AMND | Amendment | ||
| U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719 |
|
| AMND | Amendment |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 U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9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2016102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