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647Y1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Holder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647Y1 KR200483647Y1 KR2020160000881U KR20160000881U KR200483647Y1 KR 200483647 Y1 KR200483647 Y1 KR 200483647Y1 KR 2020160000881 U KR2020160000881 U KR 2020160000881U KR 20160000881 U KR20160000881 U KR 20160000881U KR 200483647 Y1 KR200483647 Y1 KR 20048364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portable terminal
- base
- fastening member
- base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과 결합하는 면의 양쪽에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면서 베이스부 상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양쪽 체결홈에 각각 삽입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의 각 삽입공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고리의 분리된 양쪽 끝이 상기 각 삽입공에 각각 그대로 삽입되어 회동하면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며, 베이스부와 회동부 및 지지부가 결합나사와 체결부재의 간단한 구성으로 결합하여 조립작업이 간편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the base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pivot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so as to pivot on both sides of a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fastening member inserted and fastened to both fastening grooves of the rotary part, respectively;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while being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insertion holes and having both ends thereof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espective insertion holes of the fastening member. The base portion, the rotation portion, The coupling screw and the fastening member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a simple structure to simplify the assembling work,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베이스부 상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나사 등으로 결합된 회동부의 결합면 양쪽에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체결하며, 상기 각 체결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지지부의 분리된 양쪽 끝단을 각각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부의 회동시 고정력을 높여주어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coupling surface of a pivotal portion coupled with a coupling screw so as to pivot on the base, And the two ends of the support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respective fastening members to thereby improve the productivity by a simple structure and increase the fixing force when the support portion is rotated by the fastening member to stably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Recently, many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which provide a large amount of data through a video output device, have been introduced.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고 있다. 특히,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더불어,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enables a user to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while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has been getting smaller, slimmer, gripped,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Particularly, as the mobile terminal is moving toward a multimedia environment capable of pursuing a wider variety of functions,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used in a smaller size, lighter weight, multifunctional, and versatile, and is being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internet environments. In addition, mobile terminals have attracted much popularity by add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Vs, movie viewing, and cameras other than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s.
이러한 전자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출력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In order to view data through such an electronic device, the image output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must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angle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image. To do so, the user must hold the device with his / do.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the user has to hold the hand on his / her shoulders and wrists for a long time, and it is very inconvenient to rest against the wall because it is restricted in places.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나 피디에이(PDA) 등의 스마트기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연결고리가 상단 일측에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단부에 고리 또는 장신구가 구비된 줄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휴대용이성을 증대시키고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device such as a PDA, since a connection ring is provided separately on the upper side, a line provided with a ring or an accessory is connected to the end, have.
그러나 최근 휴대전화 중 스마트폰과 같은 기종의 경우에는 단부에 고리 또는 장신구가 구비된 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별도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손에서 미끄러져 낙하하는 경우에는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recently,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since a connection ring for connecting a string provided with a ring or an accessory at the end is not provided separately, it is inconvenient to carry. In addition, when the mobile phone slips, So that breakage or breakdown is frequent.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한 회동가능한 고리형상의 지지부를 갖는 거치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고리형상의 지지부를 회동 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가 결합하는 회동부 내에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별도의 부품으로 인해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조립시간도 많이 걸리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낮고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radle having a rotatable annular support portion described in the patent docu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is used, but in order to fix the annula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most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rotatable cradle support portion, It is often the case that a separate part is provided in the swivel part to which the swivel is coupl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se separate parts and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and high production cost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베이스부 상에서 회동할 수 있는 회동부를 결합나사와 2개의 와셔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면 양쪽에 체결홈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를 각각 삽입하여 체결하며, 상기 각 체결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고리형상의 지지부의 분리된 양쪽을 각각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나사 결합으로 인한 회동부의 견고한 회전 및 체결부재에 의한 결합으로 지지부의 강한 회전을 달성하여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pivotable portion on a base portion with a coupling screw and two washers, And the fastening member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astened by forming the fastening grooves on both sides, and the separated both sides of the annular support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fastening members, respectively, Which is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by achieving a strong rotation of the support unit by the solid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the engagement by the fastening memb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과 결합하는 면의 양쪽에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면서 베이스부 상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양쪽 체결홈에 각각 삽입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의 각 삽입공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고리의 분리된 양쪽 끝이 상기 각 삽입공에 각각 그대로 삽입되어 회동하면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the cradle comprising: a base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pivot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so as to pivot on both sides of a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fastening member inserted and fastened to both fastening grooves of the rotary part, respectively;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insertion holes and rotating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s of the fastening member by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espective insertion holes.
또 상기 체결홈의 측면은 노출되어 체결홈에 체결된 체결부재의 각 삽입공을 노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is exposed so that each insertion hole of the coupling member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is exposed.
또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는 결합나사와 베이스부 양쪽의 각 와셔에 의한 결합에 의해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ortion and the pivotal portion are pivoted by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screw and the respective washers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또 상기 베이스부의 배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테이프가 부착되고, 보호필름에 의해 덮여져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n attachable / detachable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film.
또 상기 회동부와 지지부는 강도가 있는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are high-strength plastic or stainless steel having strength.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회동부가 결합나사와 2개의 와셔의 간단한 구성으로 결합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종래 리벳 방식이나 압입방식의 회동부 결합에 비해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portion and the rotating portion can be combined by the simple structure of the coupling screw and the two washers,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ive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또 결합나사와 2개의 와셔로 베이스부와 회동부 및 지지부 전체를 결합함으로써 내구성이 좋아지므로 상기 회동부의 360도 회전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base portion,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entire supporting portion are combined by the coupling screw and the two washers, the durability is improv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is robustly performed.
또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부가 회동부와 결합함으로써 내구성이 좋아지므로 상기 지지부의 180도 회전이 강하게 이루어져 원하는 각도에서의 상기 지지부의 고정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supporting portion is coupled with the rotating portion by the fastening member, durability of the supporting portion is improved, so that the supporting portion is strongly rotated by 180 degrees,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f the supporting portion at a desired ang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일방향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타방향에서 본 분리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일방향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타방향에서 본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에 부착하는 베이스부(1), 상기 베이스부(1)와 결합나사(5) 및 2개의 와셔(6a)(6b)로 결합되는 체결홈(2a)이 형성된 회동부(2), 상기 체결홈(2a)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3) 및 상기 체결부재(3)의 삽입공(3a)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지지부(4)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1 to 3,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베이스부(1)는 도면에서 사각의 판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판 형상 등 다양한 판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중심부에 결합나사(5)가 삽입되는 결합공(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으로 접착테이프(8)가 부착되어 있다.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상기 베이스부(1)를 부착하기 전에 접착테이프(8)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테이프(8) 면에는 보호필름(9)이 덮여져 있다.Although the
상기 회동부(2)는 베이스부(1)와 결합되는 결합면이 평면을 이루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면의 중심부에 2개의 와셔(6a)(6b)와 함께 결합나사(5)가 결합되는 나사홈(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면의 양쪽에는 체결홈(2a)을 각각 형성하되 이러한 각 체결홈(2a)의 바깥쪽 면, 즉 체결홈(2a) 위치의 회동부(2) 양측면은 일부 노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2)의 형상은 도면에서 원기둥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 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상기 회동부(2)의 각 체결홈(2a)에는 중심부에 삽입공(3a)이 형성된 체결부재(3)를 각각 삽입하여 체결하며, 이러한 체결홈(2a)의 바깥쪽 측면이 일부 노출되어 있지만 상기 체결홈(2a)의 가로 폭보다는 짧은 폭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재(3)가 체결홈(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각 체결홈(2a)의 바깥쪽 측면이 노출에 따라 상기 체결홈(2a)에 삽입되어 체결된 체결부재(3)의 삽입공(3a)도 자연스럽게 노출된다.A coupling member 3 having an
상기 지지부(4)는 일부가 분리된 고리형상으로 되어 분리된 고리의 한쪽은 한쪽의 체결부재(3)의 노출된 삽입공(3a)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분리된 고리의 다른 쪽은 다른 쪽의 체결부재(3)의 노출된 삽입공(3a)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4)의 분리된 고리의 한쪽 및 다른 쪽 끝의 직경을 상기 삽입공(3a)의 직경보다는 미세하게 작은 직경으로 하여, 상기 분리된 고리의 한쪽 및 다른 쪽 끝이 삽입공(3a)에 타이트하게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한다.The support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조립순서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ing procedure and operation of the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회동부(2)의 양쪽 체결홈(2a)에 체결부재(3)를 각각 체결하되 억지끼움식으로 끼워 넣어 체결함으로써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3)의 바깥쪽 측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3a)에 고리형상 지지부(4)의 분리된 양쪽 끝단을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체결부재(3)와 같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 넣어 결합한다.The fastening member 3 is first fastened to the
다음에 상기 지지부(4)가 결합된 회동부(2)의 나사홈(10)과 베이스부(1)의 결합공(7)을 일치시켜 밀착시키기 전에, 상기 베이스부(1)의 양쪽에 와셔(6a)(6b)를 각각 배치한 후, 상기 결합공(7)과 나사홈(10) 및 각 와셔(6a)(6b)의 구멍을 통해 결합나사(5)를 삽입하여 상기 회동부(2)가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결합한다. 이때 베이스부(1)에 상기 회동부(2)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부(1)의 일면에 보호필름(9)이 덮여진 접착테이프(8)의 부착한다. 또한 상기 2개의 와셔(6a)(6b)는 결합나사(5)의 회전에 의한 베이스부(1)의 마모방지와 원만한 회전력을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강한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efore the
이와 같이 회동부(2) 전체를 결합나사(5)와 2개의 와셔(6a)(6b)에 의해 베이스부(1)에 강하게 결합함으로써 내구성이 좋아지므로, 상기 회동부(2)는 베이스부(1) 상에서 360도의 회전이 반복되어도 헐거워지지 않고 견고한 결합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리벳 방식이나 압입 방식의 회동부 결합은 물리적으로 상기 회동부를 계속 360도 회전시키다 보면 유격이 발생하여 헐거워지므로 회동부의 고정력이 약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회동부(2)는 결합나사(5)에 의한 간단한 나사조립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부(2)를 360도로 계속 회전시켜도 회동부(2)가 결합되어 있는 힘을 지속적으로 오래 동안 내구성 있게 유지함으로써 360도로 회전하는 회동부(2)의 고정력도 항상 강하게 유지한다.Since the whole of the
또한 상기 지지부(4)는 회동부(2)에 직접 체결되지 않고 상기 회동부(2)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 체결부재(3)를 통해 체결되어 내구성이 좋아지므로, 상기 베이스부(1) 상의 한쪽 바닥에서 다른 쪽 바닥으로 넘어가는 180도의 회전이 빡빡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4)는 180도의 간격 범위로 상기 회동부(2)를 넘나들며 반복적으로 회동하면서 세워지거나 눕혀질 때, 상기 회동부(2)의 360도 회전에 따른 강한 고정력과 함께 상기 지지부(4)도 어떠한 각도에서도 강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부(1)에 부착된 접착테이프(8)를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한 후, 상기 회동부(2)를 회동시키거나 고리형상의 지지부(4)를 회동시키면서 알맞은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부(4)에 의해 지지하여 비스듬히 세워 놓은 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부(4)의 강한 고정력에 의해 지지부(4)가 회동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휴대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upporting
상기 회동부(2)와 지지부(4)는 상기 지지부(4)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도금이나 코팅을 강하게 한 고강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강도 재료의 예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고강도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use a high-strength material having a strong plating or coating strength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of the
상기 베이스부(1)의 접착테이프(8)는 필요에 따라 탈착할 수 있는 테이프이므로 휴대단말기에 자유롭게 탈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Since the adhesive tape 8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 : 베이스부 2 : 회동부
2a : 체결홈 3 : 체결부재
3a :체결홈 4 : 지지부
5 : 결합나사 6a,6b : 와셔
7 : 결합공 8 : 접착테이프
9 : 보호필름 10 : 나사홈1: base portion 2:
2a: fastening groove 3: fastening member
3a: fastening groove 4:
5:
7: bonding hole 8: adhesive tape
9: protective film 10: screw groove
Claims (5)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과 결합하는 결합면의 양쪽에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양쪽 체결홈에 각각 삽입하여 체결되고,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두 개의 체결부재; 및
일부가 분리된 고리 형상을 이루고, 분리된 각 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의 각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회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 상에서 회동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고, 상기 분리된 각 단부의 직경은 상기 체결부재의 각 삽입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공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양쪽에 와셔가 각각 배체되고, 상기 결합공과 상기 각 와셔의 구멍을 통해 결합나사가 삽입하여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의 상기 결합면의 중심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상기 결합나사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 base unit detachab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ase having a coupling hole;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a coupling surface for coupling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coupled to the base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Two fastening member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both fastening grooves of the rotary unit and having insertion hole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Wherein each of the detachable end portion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holes of the fastening member to engage with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rotary portion and supports the portable terminal while pivoting on the rotary portion, Wherein a diameter of each end portion is smaller than a diameter of each insertion hole of the fastening member,
Wherein a washe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with respect to a coupling hole of the base portion, and a coupling screw is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 hole of the coupling hole and the washer,
Wherein a screw groove is formed in a center portion of the mating surface of the turning portion, and the engaging screw is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상기 각 체결홈의 측면이 노출되어 상기 각 체결홈에 체결된 상기 체결부재의 각 삽입공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de surface of each of the coupling grooves is exposed to expose respective insertion holes of the coupling member fastened to the respective coupling grooves.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접착테이프가 보호필름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tachable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dhesive tape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film.
상기 회동부와 상기 지지부는 강도가 있는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vot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are high-strength plastic or stainless steel having strength.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60000881U KR200483647Y1 (en) | 2016-02-19 | 2016-02-19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60000881U KR200483647Y1 (en) | 2016-02-19 | 2016-02-19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83647Y1 true KR200483647Y1 (en) | 2017-06-08 |
Family
ID=5909384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6000088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3647Y1 (en) | 2016-02-19 | 2016-02-19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83647Y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4626B1 (en) | 2017-08-08 | 2019-01-31 | 이진우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KR101963517B1 (en) * | 2017-11-29 | 2019-03-28 | 한진환 | Finger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JP2020182062A (en) * | 2019-04-24 | 2020-11-05 | 株式会社ギャレリ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support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16363B1 (en) | 2012-04-03 | 2013-10-08 | 김범진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KR101316210B1 (en) | 2012-07-09 | 2013-10-08 | 김범진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2016
- 2016-02-19 KR KR2020160000881U patent/KR20048364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16363B1 (en) | 2012-04-03 | 2013-10-08 | 김범진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KR101316210B1 (en) | 2012-07-09 | 2013-10-08 | 김범진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4626B1 (en) | 2017-08-08 | 2019-01-31 | 이진우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KR101963517B1 (en) * | 2017-11-29 | 2019-03-28 | 한진환 | Finger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JP2020182062A (en) * | 2019-04-24 | 2020-11-05 | 株式会社ギャレリ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suppor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16363B1 (en)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 JP6425105B2 (en) | Portable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accessories | |
| KR101316210B1 (en)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 KR101062570B1 (en) | Finger ring for mobile terminal | |
| US8908858B2 (en) | Rota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 |
| US10500699B2 (en) | Hands-free dual clamp device | |
| KR200483647Y1 (en)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 KR200466549Y1 (en) | Finger holder for mobile device | |
| KR101753520B1 (en) | A smartphone cradle | |
| KR20160063599A (en) | Finger support ring for portable terminal | |
| KR101880109B1 (en) | R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of multiple rotating structure | |
| US20100103610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KR200493555Y1 (en) | Mobile phone holder with carrying and mounting functions and mobile phone case having the same | |
| CN207897009U (en) | A kind of finger ring holder and the mobile phone shell with the holder | |
| KR20170111404A (en) | A smartphone cradle | |
| KR101726179B1 (en) | Support ring for portable terminal | |
| KR101663817B1 (en)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
| KR20180026850A (en) | R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of multiple rotating structure | |
| CN113623498B (en) | Portable equipment supporting device and wireless charger | |
| CN214197836U (en) | Portable stand and electronic product support components | |
| KR101744788B1 (en) | Apparatus of hinge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 CN210958433U (en) | Ring support | |
| KR101692961B1 (en) | Holder for portable apparatus | |
| US20060208441A1 (en) | Mobile device | |
| EP3306171B1 (en) | Hands-free dual clamp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2306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