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80Y1 - The vehicle aw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he vehicle aw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580Y1 KR200496580Y1 KR2020200004395U KR20200004395U KR200496580Y1 KR 200496580 Y1 KR200496580 Y1 KR 200496580Y1 KR 2020200004395 U KR2020200004395 U KR 2020200004395U KR 20200004395 U KR20200004395 U KR 20200004395U KR 200496580 Y1 KR200496580 Y1 KR 20049658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eld
- vehicle
- frame
- edge
- scre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내측가장자리와 내측가장자리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궤적을 따라 연장된 외측가장자리에 의해 정의되는 천정 가림막, 외측가장자리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된 외측 가림막, 및 내측가장자리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차량의 측면을 덮는 내측 가림막을 포함하며, 천정 가림막, 외측 가림막 및 내측 가림막은 그 내부에 공간을 정의하여, 내부 공간의 보온성(냉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iling shield defined by an inner edge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vehicle and an outer edge extending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from one end of the inner edge to the other end, an outer shield extending from the outer edge toward the ground, and an inner edge to the ground It extends toward and includes an inner shield covering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ceiling shield, the outer shield, and the inner shield define a space therein to ensure heat retention (cooling) of the interior space.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차양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에 실외와 구별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차량용 차양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nshade device for a vehicle defining an interior space distinguished from the outdoors around a vehicle.
최근 차박, 말 그대로 차에서 숙박하는 여행이 유행이다. 단어의 뜻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캠핑카 혹은 트레일러를 사용하여 제대로 자는 것도 차박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런 경우는 대체로 오토캠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편이다. 차박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경우는 일반적인 캠핑과 달리 설치형 텐트를 사용하지 않고 불 피우기, 낚시, 요리 등의 외부활동과는 무관하게 그저 차 안에서 하룻밤 자는 것을 말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Recently, traveling by car, literally staying in a car, is a trend. If the meaning of the word is applied as it is, sleeping properly using a camper or trailer can be said to be a kind of car park, but in such cases, the term auto-camping is generally used. Unlike general camping, when using the term car camping, most of the cases refer to sleeping overnight in a car, regardless of outdoor activities such as making a fire, fishing, or cooking, without using an installation tent.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박의 편리성, 공간 확보성 등을 위해 차량에 텐트 등을 설치한다. 텐트는 그 크기가 제한적이고, 크기가 클수록 휴대 및 설치 등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tent or the like is installed in a vehicle for the convenience of parking the vehicle, securing space, and the like. The size of the tent is limited, and the larger the size, the more cumbersome to carry and install.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차박의 편의성 및 공간 확보성을 개선한 차량용 차양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unshade device with improved convenience and space security of vehicle park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차양막 장치는, 차량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내측가장자리와 내측가장자리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궤적을 따라 연장된 외측가장자리에 의해 정의되는 천정 가림막, 외측가장자리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된 외측 가림막, 및 내측가장자리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차량의 측면을 덮는 내측 가림막을 포함하며, 천정 가림막, 외측 가림막 및 내측 가림막은 그 내부에 공간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sunsha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an inner edge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vehicle and an outer edge extending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edge It includes a ceiling screen, an outer screen extending from the outer edge toward the ground, and an inner screen extending from the inner edge toward the ground and covering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ceiling screen, outer screen, and inner screen cover space therein characterized by defining
또한, 차량에 배치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프레임은,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천정 가림막을 지지하는 제1보조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천정 가림막을 지지하는 제2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frame disposed in the vehicle, the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one end of the main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frame supporting the ceiling screen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fram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auxiliary frame for supporting the ceiling screen.
또한, 내측 가림막은, 내측 가림막의 상단에 배치된 케더(keder), 및 케더의 내측에 삽입되며,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hielding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keder disposed on top of the inner shielding film, and a connection profile inserted into the keder and connected to the frame.
또한, 천정 가림막은 외측가장자리에 배치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외측 가림막은 연장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iling covering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disposed on an outer edge, and the outer covering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xtension.
또한, 프레임은, 연결프로파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 및 레일의 일측을 개구하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ail into which the connection profile is slidably inserted, and a slit that opens one side of the rail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본 고안에 따르면, 천정 가리막으로 햇살, 비 등을 막을 수 있으며, 외측 가림막으로 차량과의 사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측 가림막으로 차량과 외측 가림막 틈새를 막아 실내외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screen can block sunlight and rain, the outer screen can secure a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ner screen blocks the gap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uter screen to define an interior space divided into indoor and outdoor areas. can do.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차양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차양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차양막 장치에서 차량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차양막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프레임에 연결되는 내측 가림막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sunsha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sunshade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s removed from the vehicle sunshade device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unshade device shown in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frame shown in FIG. 1 .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ame shown in FIG. 1 .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ner shield connected to the frame shown in FIGS. 5 and 6 .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차양막 장치(1)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차양막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차양막 장치(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차양막 장치(1)에서 차량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차양막 장치(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차양막 장치(1)는 천정 가림막(10), 외측 가림막(20) 및 내측 가림막(30)을 포함한다. 천정 가림막(10)은 차량(2)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내측가장자리(11)와 내측가장자리(1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의 궤적을 따라 연장된 외측가장자리(12)에 의해 정의된다. 내측가장자리(11)와 외측가장자리(12)는 평면상 폐루프를 형성한다. 내측가장자리(11)와 외측가장자리(12)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가장자리(11)는 평면상 차량의 후방 가장자리와 차량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접할 수 있다. 1 to 4, a
외측 가림막(20)은 외측가장자리(12)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내측 가림막(30)은 내측가장자리(11)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내측 가림막(30)은 차량(2)의 측면(차량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배치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천정 가림막(10), 외측 가림막(20) 및 내측 가림막(30)은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에 공간을 정의한다. 천정 가림막(10), 외측 가림막(20) 및 내측 가림막(30)에 의한 내부 공간이 안락하게 조성될 수 있다. 특히, 내측 가림막(30)은 차량(2)과 외측 가림막(20)의 틈새 또는 차량(2)과 지면의 틈새를 차폐하여, 내부 보온성 또는 냉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외측 가림막(20)과 내측 가림막(30)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측 가림막(20)은 복수로 분할되어, 제1외측가림막(21), 제2외측가림막(22), 제3외측가림막(23) 및 제4외측가림막(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외측가림막 내지 제4외측가림막(21 내지 24)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측 가림막(30)은 복수로 분할되어 차량측면가림막(31) 및 차량후면가림막(3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측면가림막(31)과 차량후면가림막(32)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탈부착 수단은 벨크로 또는 지퍼를 포함한다. 벨크로 또는 지퍼는 외측 가림막(20) 및 내측 가림막(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outer covering
한편, 천정 가림막(30)은 연장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는 외측가장자리(12) 및 내측가장자리(1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연장부(13)는 외측가장자리(12)에 배치된다. 외측 가림막(20)은 연장부(13)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측 가림막(20)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다. 특히, 연장부(13)는 외측가장자리(12)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연장부(13)는 외측가장자리(12)를 따라 연장된다. 연장부(13)는 외측 가림막(20)의 상단 외측면을 덮는다. 즉, 외측 가림막(20)의 외측면은 연장부(13)의 내측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비가 오는 등에 의한 유체가 연장부(13)를 거쳐 외측 가림막(20)을 따라 흘러내린다. 즉, 연장부(13)는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외측 가림막(20)과 연장부(13)의 결합으로,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탈부착이 용이하다. Meanwhile, th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40)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40)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도 2, 5 및 6을 참조하면, 프레임(40)은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40)의 천정 가림막(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40)은 메인프레임(41)과 보조프레임(42, 4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41)은 차량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은 제1보조프레임(42)과 제2보조프레임(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프레임(42)은 메인프레임(41)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천정 가림막(1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보조프레임(43)은 메인프레임(4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천정 가림막(10)을 지지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42, 43)은 회동에 의해 메인 프레임(41)과 나란하게 접히거나, 메인 프레임(41)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5 and 6, the
도 5는 메인프레임(41)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보조프레임(42, 43)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embodiment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프레임(42, 43)은 메인프레임(41)에 힌지(H)로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41)은 레일(44) 및 슬릿(45)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44)은 후술하는 연결프로파일(3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슬릿(45)은 레일(44)의 일측을 개구하며, 프레임(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에 의해, 내측 가림막(30)을 프레임(4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auxiliary frames 42 and 43 may be connected to the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프레임(40)에 연결되는 내측 가림막(3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내측 가림막(30)은 케더(33)와 연결프로파일(34)을 포함한다. 케더(33)는 내측 가림막(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연결프로파일(34)이 케더(33)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프로파일(34)은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프로파일(34)과 결합된 케더(33)가 레일(44)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내측 가림막(30)은 슬릿(45)을 관통한 채로 레일(44)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가림막(30)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다. 또한, 연결프로파일(34)이 레일(4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차랴용 차양막 장치
2 : 차량
10 : 천정 가림막
11 : 내측가장자리
12 : 외측가장자리
13 : 연장부
20 : 외측 가림막
30 : 내측 가림막
31 : 차량측면가림막
32 : 차량후면가림막
33 : 케더
34 : 연결프로파일
40 : 프레임
41 : 메인프레임
42 : 제1보조프레임
43 : 제2보조프레임
44 : 레일
45 : 슬릿1: Shading device for Charya
2: vehicle
10: ceiling screen
11: inner edge
12: outer edge
13: extension
20: outer shield
30: inner shield
31: vehicle side shield
32: vehicle rear shield
33 : Kether
34: connection profile
40: frame
41: mainframe
42: first auxiliary frame
43: second auxiliary frame
44: rail
45: slit
Claims (5)
외측가장자리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된 외측 가림막; 및
내측가장자리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차량의 측면을 덮는 내측 가림막을 포함하며,
천정 가림막, 외측 가림막 및 내측 가림막은 그 내부에 공간을 정의하고,
차량에 배치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프레임은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연결된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보조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천정 가림막을 지지하는 제1보조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천정 가림막을 지지하는 제2보조프레임을 포함하고,
내측 가림막은 복수로 분할되어 차량측면가림막 및 차량후면가림막을 포함하며,
외측 가림막과 내측 가림막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측면가림막과 차량후면가림막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량측면가림막은 적어도 메인프레임에 연결되고,
차량후면가림막은 제1보조프레임 및 제2보조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차량용 차양막 장치.a ceiling shield defined by an inner edge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vehicle and an outer edge extending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edge;
an outer shield extending from the outer edge toward the ground; and
It extends from the inner edge toward the ground and includes an inner shield covering the side of the vehicle,
The ceiling screen, the outer screen and the inner screen define a space inside,
Further comprising a frame disposed in the vehicle,
The frame includes a main frame and auxiliary frame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uxiliary frame,
A first auxiliary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frame and supporting the ceiling screen; and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frame and includes a second auxiliary frame supporting the ceiling screen,
The inner shiel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includes a vehicle side shield and a vehicle rear shield,
The outer shield and the inner shiel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vehicle side shield and the vehicle rear shiel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vehicle side shield is connected to at least the main frame,
The vehicle rear shield is a vehicle sunshade devic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auxiliary frame and the second auxiliary frame.
내측 가림막은,
내측 가림막의 상단에 배치된 케더(keder); 및
케더의 내측에 삽입되며,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양막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shield,
Keder (keder) disposed on top of the inner screen; and
A sunshade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ddy and includes a connection profile connected to the frame.
천정 가림막은 외측가장자리에 배치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외측 가림막은 연장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차량용 차양막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eiling shield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disposed on an outer edge,
The outer shield is a vehicle sunshade devic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xtension.
프레임은,
연결프로파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 및
레일의 일측을 개구하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양막 장치.According to claim 3,
frame,
A rail into which the connection profile is slidably inserted; and
A vehicle sunshade device comprising a slit opening at one side of a rail and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200004395U KR200496580Y1 (en) | 2020-12-01 | 2020-12-01 | The vehicle aw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200004395U KR200496580Y1 (en) | 2020-12-01 | 2020-12-01 | The vehicle aw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01331U KR20220001331U (en) | 2022-06-08 |
| KR200496580Y1 true KR200496580Y1 (en) | 2023-03-02 |
Family
ID=819799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200004395U Active KR200496580Y1 (en) | 2020-12-01 | 2020-12-01 | The vehicle aw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96580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FR3147824A1 (en) * | 2023-04-14 | 2024-10-18 | Application Des Gaz | VEHICLE AWNING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60289996A1 (en) * | 2015-03-31 | 2016-10-06 | Chad Kendrick | Vehicle roof-top tent |
| KR101976327B1 (en) * | 2018-09-12 | 2019-05-07 | 홍성철 | Large shading device for vehicles with rotation function and expansion function |
-
2020
- 2020-12-01 KR KR2020200004395U patent/KR200496580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60289996A1 (en) * | 2015-03-31 | 2016-10-06 | Chad Kendrick | Vehicle roof-top tent |
| KR101976327B1 (en) * | 2018-09-12 | 2019-05-07 | 홍성철 | Large shading device for vehicles with rotation function and expansion funct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01331U (en) | 2022-06-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3880459A (en) | Tent enclosure | |
| US7137660B2 (en) | Convertible top for an all-terrain vehicle | |
| US5979533A (en) | Adjustable screen apparatus for a window air conditioner | |
| US7354092B2 (en) | Golf cart enclosure | |
| KR101120294B1 (en) | Automatic Multi-Functional Shelter for Vehicle | |
| US5226689A (en) | Collapsible portable tent apparatus for tailgate-type vehicles | |
| US7137428B1 (en) | Car screen and window | |
| KR101853891B1 (en) | Automatic covering device for vehicle | |
| US7337793B2 (en) | Sun shade apparatus for a vehicle | |
| US6199932B1 (en) | Vehicle sun shade | |
| KR102116841B1 (en) | car tent | |
| KR200496580Y1 (en) | The vehicle awning apparatus | |
| US6705381B2 (en) | Adjustable shade unfoldable in multiple directions | |
| US20020163221A1 (en) | Shelter attachment for trucks | |
| KR101262648B1 (en) | Motor driven type Car outdoor cover with Elastic roll blind and Expansion angle control arm | |
| US7066526B2 (en) | Convertible top for ATV | |
| KR101461613B1 (en) | Awning assembly | |
| KR200470393Y1 (en) | Detachable vestibule tent | |
| US10718131B2 (en) | Vehicle tent | |
| US5199230A (en) | Venetian blind storage assembly | |
| KR101662094B1 (en) | All weather type roll screen appratus for front glass of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 |
| CN220909305U (en) | Inflatable tail tent | |
| KR102558689B1 (en) | Detachable windbreak and insect screen for vehicle | |
| KR200150202Y1 (en) | Automotive versatile cover | |
| KR200479724Y1 (en) | Vehicle with Retractable Awn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1201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20428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22103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1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302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30227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