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098Y1 - Decorative accessory holder for hats that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 Google Patents
Decorative accessory holder for hats that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3098Y1 KR200493098Y1 KR2020200001697U KR20200001697U KR200493098Y1 KR 200493098 Y1 KR200493098 Y1 KR 200493098Y1 KR 2020200001697 U KR2020200001697 U KR 2020200001697U KR 20200001697 U KR20200001697 U KR 20200001697U KR 200493098 Y1 KR200493098 Y1 KR 2004930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t
- clip
- bent
- dimensional effect
- decorative art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를 일정 형태로 가공 및 절개한 후, 절개 부위를 절곡하여 형성한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100)로서, 모자의 챙 테두리에 끼워 탈부착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하여 구성한 클립부(110)와, 클립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클립부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장식용품을 탈부착시키는 부착부(120)를 포함한다. 이 고안은 클립부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부착부가 모자의 챙에 고정된 상태의 정면이나 측면에서 보더라도 챙의 상면에서 이격된 돌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부착부에 부착되는 장식용품이 보다 입체적으로 모자에서 돌출되어 보기에 때문에, 액세서리의 기능을 더욱 부각시킬 수가 있다.This design is a hat decoration holder 100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ed by processing and cutting a plate of a certain thickness into a certain shape, and then bending the cut part, and provides elasticity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inserting it into the rim of the hat. It includes a clip portion 110 configured to be bent to have, and an attachment portion 120 bent at one side of the clip portion to extend at an acute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clip portion to attach and detach the decorative article. This design has a protruding shape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visor even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the side of the cap with the extension formed by bending at one end of the clip part, the decorative article attached to the attachment part is more Since it protrudes from the hat in three dimensions, the function of the accessory can be further emphasized.
Description
이 고안은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에 착용하여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부각시키도록 하는 다양한 장식용품을 교체하여 고정하되 입체감을 갖도록 고정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장식용품을 입체감을 갖도록 모자에 착용할 수 있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에 관한 것이다. This design relates to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and more specifically, by replacing and fixing various decorative articles that can be worn on a hat to highlight individual tastes and individuality, but having a structure to fix it to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various It relates to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that can be worn on the hat so that the decorative article has a three-dimensional effect.
일반적으로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커버하는 크라운과, 크라운의 하단에 부착되는 챙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모자의 크라운이나 챙의 일측을 로고나 그림, 글씨 등으로 장식하였으며, 이러한 장식은 자수나 아플리케(특정한 모양을 오려내어 붙이는 것) 등의 방법으로 구현하였다.In general, the hat is composed of a crown that covers the user's head and a viso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rown. Conventionally, one side of the crown or visor of the hat was decorated with logos, drawings, and letters, and these decorations were implemented by means of embroidery or applique (cutting out and pasting a specific shap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모자는 대량 생산된 디자인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고르는 방식으로 판매되므로, 개개인의 개성을 살리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점차 다양화되어 가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모자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hat is sold in a manner that the user selects what the user wants from among the mass-produced designs, it is difficult to make use of individual individuality.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variety of hat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at are gradually diversifying.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428839호에는 모자 액세서리에 대해 공개되어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모자 액세서리는 모자의 챙 부분에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하여 구멍을 뚫고 고정수단과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모자챙을 직접적으로 관통하여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모자에 필연적인 훼손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28839 discloses hat accessories, and such conventional hat accessories make holes in order to attach the accessories to the brim of the hat, and to be combined using fixing means and connecting means. Is composed.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method must directly penetrate and fix the hat brim, inevitable damage occurs in the hat.
등록특허 제10-1298169호에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428839호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한 모자용 장식구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모자에 착용하여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부각시키도록 하는 액세서리형 장식구에 대한 것으로서, 이러한 장식구는 일측에는 고급스럽거나 독특한 이미지를 창출하도록 하는 장식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장식부를 모자의 챙 부분에 지지 고정시키도록 하는 홀더가 형성된다. 여기서, 홀더는 쐐기(징) 물림식이 아닌 탄성에 의한 압착(조임)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착탈시 모자를 직접적으로 훼손시키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Registered Patent No. 10-1298169 discloses an easily detachable hat ornament that can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8839. This prior art relates to an accessory-type ornament that is worn on a hat to highlight individual tastes and individuality. Such ornaments have a decorative part to create a luxurious or unique image on one side, and a decoration part of the hat on the other side. A holder is formed to support and fix the visor part. Here, the holder is formed in a compression (tightening) fixed type by elasticity rather than a wedge (jing) bite type, and is configured so as not to directly damage the hat when attached or detached.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 제10-1298169호의 장식구는 장식부가 홀더에 고정되어 일체화됨에 따라, 한가지의 장식기능 밖에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식부가 홀더의 표면에 밀착됨에 따라, 장식부가 모자의 챙 표면에 밀착되는 평면 형태로 외부로 노출되어 입체감을 가지지 못해 장식기능이 저감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decorative tool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298169 has a disadvantage that only one decorative function can be performed as the decorative part is fixed to the holder and integrated. In addition, as the decorative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holder, the decorativ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flat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isor surface of the hat, so that the decorative function is reduced because it does not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따라서,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모자에 착용하여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부각시키도록 하는 다양한 장식용품을 교체하여 고정하되 입체감을 갖도록 고정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장식용품을 입체감을 갖도록 모자에 착용할 수 있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is desig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 structure in which various decorative items that are worn on a hat to highlight individual taste and individuality are replaced and fixed, but is fix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that can be worn on a hat so as to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with various decorative articl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은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를 일정 형태로 가공 및 절개한 후, 절개 부위를 절곡하여 형성한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로서, 모자의 챙 테두리에 끼워 탈부착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하여 구성한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클립부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장식용품을 탈부착시키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desig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decorative accessory holder for a hat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ed by processing and cutting a plate of a certain thickness into a certain shape, and then bending the cut part. It is inserted and detached from the rim of the ha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ip portion configured by bending to have an elastic force capable of, and an attachment portion bent at one side of the clip portion to extend at an acute angle in a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clip portion to attach and detach the decorative article.
상기 클립부는 모자의 챙 하면에 밀착되는 제1 클립부와, 모자의 챙 상면에 밀착되는 제2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립부는 상기 부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함에 따라 상기 부착부에 대응하거나 상기 부착부보다 넓은 크기의 빈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clip part includes a first clip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visor of the hat, and a second clip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isor of the hat, and the first clip part corresponds to the attachment part as it is bent to form the attachment part It may have a larger empty space than the attachment part.
상기 제2 클립부는 상기 제1 클립부의 빈공간과 연통하는 빈공간을 더 가질 수도 있다.The second clip part may further have an empty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empty space of the first clip part.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2 클립부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되 상기 제2 클립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곡선으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되 상기 제2 클립부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착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ttachment portion is bent at one end of the second clip portion,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by being bent upward in a curved direction or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lip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lip portion being bent at an end of the extension member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ttachment member that is bent at an acute angle in the direction and extends.
상기 부착부재는 다양한 장식용품의 종류 및 탈부착 방식을 고려한 수용홈을 더 가질 수 있고, 상기 수용홈에는 고무재질을 매립 고정하고 상기 수용홈의 중앙부위에 뱃지의 고정핀을 끼우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거나, 자석을 매립 고정할 수도 있다. The attachment member may further have a receiving groov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types of decorative articles and a detachable method, and a rubber material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hole for inserting a fixing pin of the badg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or , You can also embed and fix the magnet.
상기 제1, 제2 클립부는 'ㄷ(디귿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갖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 클립부의 단부 쪽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lip portions may be bent to have a “c” shape or a “⊂” shape, and may have a shape that is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clip.
또한, 이 고안은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를 일정 형태로 가공 및 절개한 후, 절개 부위를 절곡하여 형성한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으로서, 모자의 챙 테두리에 끼워 탈부착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하여 구성한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클립부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연장 형성되며 불특정의 형상이나 모양을 갖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is design is a decorative item for hats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ed by processing and cutting a plate of a certain thickness into a certain shape, and then bending the cut part. It is bent to have elasticity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inserting it into the rim of the h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ip por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a decorative portion bent at one side of the clip portion to extend at an acute angle in a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clip portion, and having an unspecified shape or shape.
이 고안은 클립부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부착부가 모자의 챙에 고정된 상태의 정면이나 측면에서 보더라도 챙의 상면에서 이격된 돌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부착부에 부착되는 장식용품이 보다 입체적으로 모자에서 돌출되어 보기에 때문에, 액세서리의 기능을 더욱 부각시킬 수가 있다. This design has a protruding shape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visor even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the side of the cap with the extension formed by bending at one end of the clip part, the decorative article attached to the attachment part is more Since it protrudes from the hat in three dimensions, the function of the accessory can be further emphasized.
또한, 이 고안은 부착부에 다양한 종류의 장식용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부각시키는 액세서리를 모자에 착용해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is design can be used by replacing various types of decorative items on the attachment part, it is possible to use an accessory that emphasizes personal taste and personality on a hat.
도 1은 이 고안에 따른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를 제작하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개도에 따라 절곡하여 완성한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에 뱃지를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뱃지가 고정된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를 모자에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for manufacturing a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this desig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is design completed by bending according to the developed view of FIG. 1,
3 and 4 are rear and side views of the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shown in FIG.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dge is fixed to the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hats shown in Figure 2,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to which the badge shown in FIG. 5 is fixed is worn on a hat.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는 이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that provides a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this desig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is desig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is desig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design is completely limit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1은 이 고안에 따른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를 제작하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개도에 따라 절곡하여 완성한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에 뱃지를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뱃지가 고정된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를 모자에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for manufacturing a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this design, and Fig. 2 is a decoration for a hat that imparts a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is design completed by bending according to the developed view of FIG.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cle holder, FIGS. 3 and 4 are rear and side views of the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dge is fixed to the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shown in FIG.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with the badge shown in FIG. 5 attached to the ha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는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를 일정 형태로 가공, 절개 및 압착한 후, 절개 부위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플레이트의 소재로는 철, 황동 또는 아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철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this design is formed by processing, cutting and pressing a pl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n bending the incision. Here, iron, brass or zinc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plat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n iron materia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100)는 도 1의 전개도의 절개 부위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모자의 챙 테두리에 끼워 탈부착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하여 구성한 클립부(110)와, 클립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클립부(110)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장식용품을 탈부착시키는 부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hat
상기 클립부(110)는 모자의 챙 테두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곡면 형상의 끼움공간을 갖되, 끼움공간에 모자의 챙이 끼워지면 끼워진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클립부(110)는 모자의 챙 하면에 밀착되는 제1 클립부(111)와, 모자의 챙 상면에 밀착되는 제2 클립부(112)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제2 클립부(111, 112)는 'ㄷ(디귿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갖도록 절곡되고, 제1 클립부(111)의 단부 쪽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모자의 챙 테두리에 원활하게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 클립부(111)가 제2 클립부(112)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모자의 챙 하부 쪽이 먼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모자의 챙 테두리에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다. 한편, 제1 클립부(111)에는 부착부(120)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함에 따라 부착부(120)에 대응하거나 부착부(120)보다 넓은 크기의 빈공간(111a)이 형성된다.The
상기 제2 클립부(112)는 모자의 챙 상면에 밀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면적 및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제2 클립부(112)는 후술할 뱃지를 부착부(120)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데 이용되는 빈공간(112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뱃지를 부착부(120)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때에는 뱃지의 고정핀에 캡을 씌우거나 분리해야 하는데, 부착부(120)의 후방에서 제2 클립부(112)의 빈공간(112a)으로 캡을 넣거나 빼내 고정핀에 캡을 씌우거나 분리하면 효율적이다. 이러한 제2 클립부(112)의 빈공간(112a)은 제1 클립부(111)의 빈공간(111a)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뱃지의 캡은 제1, 제2 클립부(111, 112)의 빈공간(111a, 112a)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고정핀에 씌워지거나 분리된다. 이러한 제1, 제2 클립부(111, 112)의 빈공간(111a, 112a)은 부착부(120)와 제2 클립부(112)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의 고정핀에 캡을 씌우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상기 부착부(120)는 제2 클립부(112)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제2 클립부(112)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장식용품을 탈부착시키는 것으로서, 제2 클립부(112)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되, 제2 클립부(112)의 표면에 대해 거의 수직하거나 곡선으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부재(121)와, 연장부재(121)의 단부에서 절곡되되 제2 클립부(112)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착부재(122)를 갖는다.The
상기 연장부재(121)는 제2 클립부(112)의 표면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됨에 따라, 부착부재(122)를 모자의 챙 상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더욱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부착부재(122)에 탈부착되는 장식용품을 모자의 챙 상부방향으로 더욱 노출시켜 입체감을 부여하는데 효과적이다.As the
상기 부착부재(122)는 장식용품을 탈부착하기 위한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장식용품의 종류 및 탈부착 방식을 고려하여 수용홈(122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용홈(122a)은 단조 등으로 압착하여 형성하면 된다. 한편, 수용홈(122a)에는 고무 또는 자석을 매립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그 상태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The
예를 들어, 장식용품이 뱃지일 경우에는 수용홈(122a)에 고무를 매립 고정하고, 수용홈(122a)의 중앙부위에 뱃지의 고정핀을 끼우기 위한 구멍(122b)을 형성하면 된다. 한편, 뱃지의 경우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핀의 옆에 조그마한 형태로 돌출된 보조핀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핀에 의해 뱃지가 회전하지 않고 처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용홈(122a)에 매립 고정된 고무는 보조핀을 고정하여 뱃지가 처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decorative article is a badge, rubber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한편, 장식용품이 배면이 평탄하면서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재질일 경우에는 수용홈(122a)에 자석을 매립 고정함으로써, 자력을 이용해 장식용품을 부착부(120)의 부착부재(122)에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ecorative article is of a metal material that is attached to the magnet while the back is flat, by embedding and fixing the magnet in the receiving groove (122a), the decorative article is conveniently attached to the
또한, 장식용품이 배면에 자석을 갖는 제품일 경우에는 수용홈(122a) 그 자체를 이용하되, 수용홈(122a) 내에 장식용품의 자석을 위치시킴으로써, 자력을 이용해 장식용품을 부착부(120)의 부착부재(122)에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이 실시예의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100)의 재질이 자석에 붙는 철 재질을 이용해야 한다.In addition, if the decorative article is a product having a magnet on the back, the receiving
상기와 같은 부착부(120)의 부착부재(122)에는 다양한 종류의 장식용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탈부착 방식의 장식용품을 탈부착할 수가 있다. The
한편, 부착부재(122)는 연장부재(121)의 단부에서 절곡되되 제2 클립부(112)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에 따라, 모자의 챙에 고정된 상태의 정면이나 측면에서 보더라도 챙의 상면에서 이격된 돌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부착부재(122)에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식용품을 부착할 경우 보다 입체적으로 모자에서 돌출되어 보기에 때문에, 액세서리의 기능을 더욱 부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부착부재(122)에 다양한 종류의 장식용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가 있어서,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부각시키는 액세서리를 모자에 착용해 사용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이 실시예의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는 상기와 같은 부착부(120) 대신에 불특정의 형상이나 모양을 갖는 장식부로 대체함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이때, 장식부는 상기와 같은 클립부(110)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클립부(110)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hats that imparts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is embodiment can be used as a decorative article for a hat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replacing the
이상에서 이 고안의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고안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hats that imparts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is desig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design. Therefore, this desig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modification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is design. Examples or modification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is invention.
100 :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110 : 클립부
111 : 제1 클립부 111a : 빈공간
112 : 제2 클립부 112a : 빈공간
120 : 부착부 121 : 연장부재
122 : 부착부재 122a : 수용홈
122b : 구멍100: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110: clip portion
111:
112:
120: attachment portion 121: extension member
122:
122b: hole
Claims (9)
모자의 챙 테두리에 끼워 탈부착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하여 구성한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클립부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장식용품을 탈부착시키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모자의 챙 하면에 밀착되는 제1 클립부와, 모자의 챙 상면에 밀착되는 제2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립부는 상기 부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함에 따라 상기 부착부에 대응하거나 상기 부착부보다 넓은 크기의 빈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As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hats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ed by processing and cutting a plate of a certain thickness into a certain shape and then bending the cut part,
A clip part constructed by bending to have an elastic forc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rim of the hat,
It is bent at one side of the clip portion and extends at an acute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clip portion and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ecorative article,
The clip part includes a first clip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isor of the hat, and a second clip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isor of the hat,
As the first clip portion is bent to form the attachment portion, it corresponds to the attachment portion or has a larger empty space than the attachment portion.
상기 제2 클립부는 상기 제1 클립부의 빈공간과 연통하는 빈공간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clip portion hat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impar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having an empty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empty space of the first clip portion.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2 클립부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되 상기 제2 클립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곡선으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되 상기 제2 클립부의 타측 방향으로 예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착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attachment portion is bent at one end of the second clip portion,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by being bent upward in a curved direction or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lip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lip portion being bent at an end of the extension member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that provides a three-dimensional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ttachment member that is bent at an acute angle in the direction and extends.
상기 부착부재는 다양한 장식용품의 종류 및 탈부착 방식을 고려한 수용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The method of claim 4,
The attachment member is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receiving groov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types of decorative articles and a detachable method.
상기 수용홈에는 고무재질을 매립 고정하고 상기 수용홈의 중앙부위에 뱃지의 고정핀을 끼우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The method of claim 5,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hats that imparts a three-dimensional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a rubber material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a hole for inserting a fixing pin of the badg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수용홈에는 자석이 매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The method of claim 5,
A decorative article holder for a hat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제1, 제2 클립부는 'ㄷ(디귿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갖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 클립부의 단부 쪽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first and second clip portions are bent to have a'c' shape or a'⊂' shape, and have a shape that is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clip portion for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Decoration hold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200001697U KR200493098Y1 (en) | 2020-05-20 | 2020-05-20 | Decorative accessory holder for hats that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200001697U KR200493098Y1 (en) | 2020-05-20 | 2020-05-20 | Decorative accessory holder for hats that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93098Y1 true KR200493098Y1 (en) | 2021-02-01 |
Family
ID=7456221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20000169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93098Y1 (en) | 2020-05-20 | 2020-05-20 | Decorative accessory holder for hats that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93098Y1 (en)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34998B1 (en) * | 1995-03-02 | 1998-04-18 | 변건호 | Personal ornaments |
| US20060010557A1 (en) * | 2003-08-21 | 2006-01-19 | Rogers James R | Removable hat accessory |
| KR200428839Y1 (en) | 2006-07-26 | 2006-10-13 | 이강일 | Hat accessories |
| KR20090030764A (en) * | 2007-09-21 | 2009-03-25 | 홍 대 박 | Cellphone ring clip |
| KR101298169B1 (en) | 2013-04-19 | 2013-08-20 | 강대은 | Accessory for cap |
| KR200475055Y1 (en) * | 2014-02-18 | 2014-11-03 | 강대은 | Accessory for cap |
-
2020
- 2020-05-20 KR KR2020200001697U patent/KR20049309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34998B1 (en) * | 1995-03-02 | 1998-04-18 | 변건호 | Personal ornaments |
| US20060010557A1 (en) * | 2003-08-21 | 2006-01-19 | Rogers James R | Removable hat accessory |
| KR200428839Y1 (en) | 2006-07-26 | 2006-10-13 | 이강일 | Hat accessories |
| KR20090030764A (en) * | 2007-09-21 | 2009-03-25 | 홍 대 박 | Cellphone ring clip |
| KR101298169B1 (en) | 2013-04-19 | 2013-08-20 | 강대은 | Accessory for cap |
| KR200475055Y1 (en) * | 2014-02-18 | 2014-11-03 | 강대은 | Accessory for cap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677721B2 (en) | Interchangeable decorative arrangement for spectacles | |
| CN110177479B (en) | Decorative parts and articles provided with the same | |
| KR20180049014A (en) | Decorative fashion jewelery including flat lining in contact with cutting part of metal plate | |
| US9285607B2 (en) | Eyewear retainer | |
| EP2522242A2 (en) | Decorative clip assembly | |
| US20080099035A1 (en) | Hair accessory | |
| US20100325780A1 (en) | Headwear and clothing jewelry device | |
| KR200493098Y1 (en) | Decorative accessory holder for hats that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 |
| KR101298169B1 (en) | Accessory for cap | |
| US7069745B1 (en) | Ear adornment | |
| KR101232285B1 (en) | Multipurpose accessory | |
| WO2009041756A1 (en) | Portable accessory with replaceable exterior frame | |
| KR20180035558A (en) | Handbag with detaching and attaching structure of accessory | |
| US4198733A (en) | Fabric covered button | |
| KR200475055Y1 (en) | Accessory for cap | |
| KR20110100994A (en) | Earrings Back | |
| JP3194060U (en) | Decoration | |
| KR20110007460U (en) | Backside decorating element for earring | |
| KR100919130B1 (en) | Vehicle steering wheel cover with cross ornament | |
| JP4846487B2 (en)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bag components | |
| CN214759532U (en) | Corsage convenient to install | |
| JP7688453B1 (en) | Accessories and additional parts for accessories | |
| KR101161986B1 (en) | Beads for hair decoration and method thereof | |
| CN210563831U (en) | Inserted decorative key | |
| KR200494922Y1 (en) | Package for packing accessor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24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