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12Y1 - Photoelectric tube using optical devices with different amplification and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hotoelectric tube - Google Patents
Photoelectric tube using optical devices with different amplification and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hotoelectric tub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3212Y1 KR200493212Y1 KR2020190001990U KR20190001990U KR200493212Y1 KR 200493212 Y1 KR200493212 Y1 KR 200493212Y1 KR 2020190001990 U KR2020190001990 U KR 2020190001990U KR 20190001990 U KR20190001990 U KR 20190001990U KR 200493212 Y1 KR200493212 Y1 KR 2004932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electric tube
- boiler
- combustion
- optical
- optical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31/0203—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50—Encapsulations or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 F23N5/085—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 H01L31/0481—
-
- H01L31/10—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H10F19/80—Encapsulations or containers for 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having photovoltaic cells
- H10F19/804—Materials of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0/00—Individual 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radiation controls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s, e.g. photodetectors
- H10F30/20—Individual 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radiation controls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s, e.g. photodetectors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 및 난방기에 적용되어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광소자를 이용하여 연소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광전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소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일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캡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방지막, 상기 캡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복수개의 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일단에 형성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그리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광전관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electric tube applied to a boiler and a heater and configured to detect and determine a combustion state using optical elements having different amplification degrees, and a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a cap embedded in the case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cap, an prevention film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an optical sensor coupled to the cap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elements having different amplification degrees, the optical A photoelectric tube including a junction formed at one end of a sensor, a wire connected to the junction, and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광소자를 이용한 광전관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일러에 적용되어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광소자를 이용하여 연소 상태를 감지 및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광전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소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electric tube using optical device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amplification and a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tube applied to a boiler and configured to detect and determine a combustion state using optical device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amplification, and It relates to a combustion control system.
난방 또는 온수 공급을 위해 가동되는 보일러는 연소기와 연소기에 설치되어 연소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를 구비한다. 즉, 광센서는 가스나 그 외 중유 등의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기 내에서 연소를 하는 보일러에 적용되어, 보일러의 초기 점화 및 연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광센서는 연소기 내에서 일어나는 연소, 과열 등의 정보를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일러의 미연소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보일러 내에서의 폭발이나, 화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 boiler operated for heating or hot water supply has a combustor and an optical sensor installed in the combustor to detect combustion flames. That is, the optical sensor is applied to a boiler that burns in a combustor by supplying fuel such as gas or other heavy oil, and is used to detect whether the initial ignition and combustion of the boiler are normally performed. In addition, the optical sensor can sense information such as combustion and overheating occurring in the combusto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explosion or fire in the boiler that may occur due to unburned boiler.
이러한 광센서는 광전관으로도 불리며, 광전관은 일반적으로 진공 또는 저압 가스를 봉입한 유리관의 내면에 나트륨, 칼륨, 세슘 등의 막을 부착하여 음극으로 하고 관 속의 중앙에 양극을 배치한 구조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광전관 내부의 음극에 빛을 쏘이면 빛의 크기에 따라 광전자를 복사하며 빛의 변화를 전류로 바꿀 수 있도록 광전관이 설계된다. Such an optical sensor is also called a photoelectric tube, and the photoelectric tube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lm such as sodium, potassium, and cesium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a glass tube filled with vacuum or low pressure gas to form a cathode and an anode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tube . Is formed. In addition, when light is emitted to the cathode inside the phototube, photoelectrons are radi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ght, and the phototube is designed so that changes in light can be converted into electric current.
종래의 광전관은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형태의 CDS(Cadmiumsulfide)센서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CDS 센서는 유해한 물질인 황화카드뮴으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phototubes use a CDS (Cadmium sulfide) sensor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However, the CDS sensor has a problem that is formed of cadmium sulfide, which is a harmful material.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일러에 적용 가능하고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광소자를 이용하여 연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광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electric tube capable of determining a combustion state using optical elements applicable to a boiler and having different amplification degrees.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광전관을 이용하여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연소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bustion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using the above-described photoelectric tube.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보일러에 적용 가능한 광전관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일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캡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방지막, 상기 캡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복수개의 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일단에 형성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그리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광전관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otoelectric tube applicable to a boiler, a case, a cap embedded in the case and formed at one end, and an prevention film coupled to the locking part, and coupled to the cap and each other It provides a photoelectric tube including an optical 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device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amplification, a junc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optical sensor, a wire connected to the junction, and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에폭시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formed in the case so as to surround the junction and made of epoxy or urethan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및 헤드부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portion and a head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이한 증폭도를 갖는 제1 광소자 및 제2 광소자를 포함하고, 제1 광소자 및 제2 광소자 중 증폭도가 낮은 광소자가 도통 상태인 경우 정상 연소로 판단하고, 제1 광소자 및 제2 광소자 중 증폭도가 높은 광소자가 도통 상태이고 증폭도가 낮은 광소자가 비도통 상태이면 불안정 연소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ptical sensor includes a first optical device and a second optical device having different amplification degrees, and when an optical device having a low amplification degree among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devices is in a conduction state, it is determined as normal combustion. If, among the first optical device and the second optical device, an optical device having a high amplification degree is in a conducting state and an optical device having a low amplification degree is in a non-conducting state, it may be determined as unstable combus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소자 및 제2 광소자는 각각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ptical device and the second optical device may be formed of a photo transistor or a photodiode,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캡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지막은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formed of plastic or rubber, the cap may be formed of metal, and the prevention film may be formed of glass.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보일러에 적용 가능한 연소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전관, 상기 보일러로 유입되는 가스를 통제하기 위한 가스 밸브, 상기 보일러에 바람을 제공하는 배풍기, 그리고, 상기 광전관이 상기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불안정한 연소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보일러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고 상기 배풍기를 제어하여 상기 보일러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전관이 안정 연소로 판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소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ustion control system applicable to a boiler, the photoelectric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controlling the gas flowing into the boiler. When the gas valve for, an exhaust fan that provides wind to the boiler, and the photoelectric tube determines the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as unstable combustion, the gas valve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amount of gas introduced into the boiler, and the exhaust fan is controlled. It provides a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at the photoelectric tube is stable combustion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boiler.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광소자를 이용하여 광전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광전관은 증폭도가 낮은 광소자가 도통하는 상태를 정상 연소로 판단하고, 증폭도가 높은 소자는 도통하는 상태이고 증폭도가 낮은 소자가 도통되지 않는 상태라면 불안정한 연소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ototubes can be formed using optical devices having different amplification degrees, and these phototubes determine a state in which an optical device with a low amplification degree conducts as normal combustion, and an element with a high amplification degree is in a conducting state and amplification degree If the low element does not conduct, it can be determined as an unstable combustion stat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광전관을 이용하여 불안정한 연소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가스량, 배기팬 및/또는 송풍팬의 회전수 등을 조절하여 연소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bustion state is unstable using the above-described photoelectric tube, the combustion state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ga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exhaust fan and/or the blowing fan.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구성하는 광소자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단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소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configurations of a photoelectr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tic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optical elements constituting an optic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bus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명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shap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the same/similar parts for the entire specification The same/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Suffixes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구비 또는 마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구비 또는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or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or bonded)", but also another member in the middle. It also includes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or bonded)" between them.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equipment or prepare)" a certain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equip or prepare)" other components. Means you ca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분산되어 실시되는 구성요소들은 특별한 제한이 있지 않는 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in the singular include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components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unless there is a specific limita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configurations of a photoelectr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상에서 광전관(100)은 보일러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나, 광전관(100)은 보일러 외에 난방기 등 불꽃 감지, 연소 상태 감지 및 판단이 필요한 모든 장치에 적용되어 해당 장치의 불꽃 감지, 연소 상태 감지 및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hotoelectric tube 100 is described as applicable to a boiler, but the photoelectric tube 100 is applied to all devices requiring flame detection, combustion status detection and determination, such as a heater, in addition to a boiler, and thus detects the flam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detects the combustion state, and Can be used for judgment.
도 1을 참조하면, 광전관(100)은 케이스(110), 케이스(110)에 내장되고 일단에 걸림부(121)가 형성된 캡(120), 걸림부(121)에 결합되는 방지막(130), 캡(120)에 결합되는 광센서(140), 광센서(14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접합부(170), 접합부(170)와 연결되는 와이어(150) 및 와이어(150)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hotoelectric tube 100 includes a
또한, 광전관(100)은 접합부(170)를 감싸도록 케이스(110) 내부에 형성되고 에폭시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충진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를 케이스(110) 내부에 채움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광센서(140)와 접합부(170)를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electric tube 100 may further include a
구체적으로, 케이스(110)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111)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의 헤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1)의 직경과 헤드부(112)의 직경은 상이할 수 있으며, 예컨대, 본체부(111)의 직경이 헤드부(112)의 직경보다 크도록 케이스(110)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본체부(111)의 직경과 헤드부(112)의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캡(120)을 헤드부(112)의 내부와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is way, by differentiating the diameter of the body part 111 and the diameter of the
또한, 케이스(11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캡(12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케이스(110)와 캡(120)은 각각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방지막(130)은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지막(130)을 걸림부(121)에 안착시킴으로써, 장시간 광전관(100) 사용시 광전관 내부에 생길 수 있는 이물질, 그을음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방지막(130)을 걸림부(1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얇은 유리층 형태로 구현하면, 상술한 이물질, 그을음 등을 용이하게 닦거나 제거할 수 있고, 광전관(100)의 고장이나 감도 변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와이어(150)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제1와이어(151) 및 제2와이어(152)를 포함할 수 있고, 공통 와이어(15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단자(160)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갖는 제1단자(161), 제2단자(162) 및 제3 단자(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161), 제2단자(162) 및 제3 단자(163)에는 각각 소자의 +단자, -단자, 공통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Next, the wire 150 may include a first wire 151 and a second wire 152 formed in the same or different lengths, may further include a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구성하는 광소자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단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tic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optical elements constituting the optic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광센서(140)는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복수개의 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도는 출력과 입력의 비율을 의미하며, 광소자는 증폭기 형태의 광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광센서(140)는 연소 상태를 감지 및/또는 판단하는 바, 연소 센서로 명명될 수도 있다.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센서(140)는 상이한 증폭도를 갖는 제1 광소자(141) 및 제2 광소자(142)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2개의 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광센서(140)는 2개 이상의 다단 형태로 형성되어 각 단이 복수개의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복수개의 광소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2 and 3, the
또한 제1 광소자(141) 및 제2 광소자(142) 사이에는 공통 접지(GND)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mon ground GND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또한, 제1 광소자(141) 및 제2 광소자(142)는 각각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포토 다이오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소자(141) 및 제2 광소자(142) 각각은 콜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또한, 광센서(140)는 제1 광소자(141)가 형성되는 제1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제2 광소자(142)가 형성되는 제2기판(도시하지 않음), 제1기판에 결합되어 제1 기판과 제1 광소자(141)를 지탱하는 제1지지부(도시하지 않음), 제2 기판에 결합되어 제2 기판과 제2 광소자(142)를 지탱하는 제2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기판과 지지부는 원통 형상,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과 결합하여 특정 형상의 광센서(140)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광센서(14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2개의 광소자인 제1 광소자(141) 및 제2 광소자(142)를 포함하는 광센서(140)가 보일러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든다. 여기서, 제1 광소자(141) 및 제2 광소자(142) 중 증폭도가 낮은 광소자가 도통 상태인 경우 광센서(140)는 해당 보일러가 정상 연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광소자(141) 및 제2 광소자(142) 중 증폭도가 높은 광소자가 도통 상태이고 증폭도가 낮은 광소자가 비도통 상태이면 광센서(140)는 해당 보일러가 불안정 연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n example is a case where the
다시 말해, 제2 광소자(142)의 증폭도가 제1 광소자(141)의 증폭도보다 낮은 경우, 광센서(140)는 증폭도가 낮은 제2 광소자(142)가 도통하는 상태를 광센서(140)가 적용된 보일러의 정상 연소로 판단한다. 만약 제2 광소자(142)보다 증폭도가 높은 제1 광소자(141)가 도통 상태이고 제2 광소자(142)가 도통 상태가 아닌 경우 광센서(140)는 해당 보일러의 불안정한 연소로 판단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econd
연결 단자(16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제1단자(161)와 제2단자(162)의 크기 및 형상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예로써, 제1단자(161)와 제2단자(1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원형 형태로 제1단자(161)와 제2단자(162)를 표시하였으나, 제1단자(161)와 제2단자(16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4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소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bus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광센서(502)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전관(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광전관(100)의 설명으로 대체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연소 제어 시스템(500)은 보일러(501) 및/또는 난방기와 같은 연소가 필요한 난방 장치에 적용되어 해당 장치의 연소 상태를 판단 및 제어할 수 있다. The
도 5를 참조하면, 연소 제어 시스템(500)은 보일러(501)의 연소 상태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광센서(502), 보일러(501)로 유입되는 가스를 통제하기 위한 가스 밸브(507), 보일러(501)에 바람을 제공하는 배풍기(506), 그리고, 광센서(502)가 보일러(501)의 연소 상태를 불안정한 연소로 판단한 경우, 가스 밸브(507)를 제어하여 보일러(501)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고 배풍기(506)를 제어하여 보일러(501)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광센서(502)가 보일러(501)의 연소 상태를 안정 연소로 판단하도록 하는 제어부(5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또한, 연소 제어 시스템(500)은 보일러(501)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503), 보일러(501)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504),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부(509), 펌프(508) 등의 보일러(501)에 적용되는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연소 제어 시스템(500)은 LPG, LNG 등의 가스 종류와 보일러의 조건 변화에 따라 최적의 연소 상태고 되도록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orm it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광전관 110 : 케이스
111 : 본체부 112 : 헤드부
113 : 충진재 120 : 캡
121 : 걸림부 130 : 방지막
140 : 광센서
141 : 제1 광소자 142 : 제2 광소자
143 : 공통(GND)
150 : 와이어
151 : 제1와이어 152 : 제2와이어
153 : 공통(GND) 와이어
160 : 연결 단자
161 : 제1단자 162 : 제2단자
163 : 제 3단자100: photoelectric tube 110: case
111: main body 112: head
113: filler 120: cap
121: locking portion 130: prevention film
140: optical sensor
141: first optical element 142: second optical element
143: Common (GND)
150: wire
151: first wire 152: second wire
153: common (GND) wire
160: connection terminal
161: first terminal 162: second terminal
163: 3rd terminal
Claims (7)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형성된 케이스,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일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캡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며 유리로 형성된 방지막, 상기 캡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증폭도를 갖는 제1 광소자 및 제2 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일단에 형성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그리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광소자는 상기 제1 광소자보다 증폭도가 낮아 정상 연소 연소에서는 도통 상태가 되고 불완전 연소에서는 비도통 상태가 되며,
상기 제1 광소자는 상기 제1 광소자보다 증폭도가 낮아 불완전 연소에서는 도통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관.
In the photoelectric tube applicable to the boiler,
A case made of plastic or rubber, a cap formed of metal, embedded in the case, a cap having a locking part at one end, a prevention film formed of glass, a first optical element coupled to the cap and having different amplification degrees, and a second An optical sensor including an optical element, a junc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optical sensor, a wire connected to the junction, and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
The second optical device has a lower amplification degree than that of the first optical device, and becomes conductive in normal combustion combustion and non-conductive in incomplete combustion,
The photoelectric tube, wherein the first optical device has a lower amplification degree than that of the first optical device and is in a conductive state in incomplete combustion.
상기 접합부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에폭시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관.
The method of claim 1,
A photoelectric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ller formed in the case to surround the junction and made of epoxy or urethane.
상기 케이스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및 헤드부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관.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portion and a head portion, wherein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is a photoelectric tube, characterized in tha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상기 제1 광소자 및 제2 광소자는 각각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관.
The method of claim 1,
The photoelectric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ptical device and the second optical device are each composed of a photo transistor or a photodiode.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광전관;
상기 보일러로 유입되는 가스를 통제하기 위한 가스 밸브;
상기 보일러에 바람을 제공하는 배풍기; 그리고
상기 제2 광소자가 도통 상태이면 정상 연소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광소자가 비도통 상태이고 제1 광소자가 도통 상태이면 불완전 연소로 판단하고, 상기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불안정한 연소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보일러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고 상기 배풍기를 제어하여 상기 보일러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전관이 안정 연소로 판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제어 시스템.As a combustion control system applicable to a boiler,
The photoelectric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A gas valve for controlling gas flowing into the boiler;
An exhaust fan providing wind to the boiler; And
When the second optical element is in a conducting state, it is determined as normal combustion, when the second optical element is in a non-conducting state and the first optical element is in a conducting state, it is determined as incomplete combustion, and when the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is determined as unstable combustion, the ga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gas flowing into the boiler by controlling a valve and controlling the exhaust fan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boiler so that the photoelectric tube determines stable combus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90001990U KR200493212Y1 (en) | 2019-05-16 | 2019-05-16 | Photoelectric tube using optical devices with different amplification and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hotoelectric tub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90001990U KR200493212Y1 (en) | 2019-05-16 | 2019-05-16 | Photoelectric tube using optical devices with different amplification and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hotoelectric tub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2551U KR20200002551U (en) | 2020-11-25 |
| KR200493212Y1 true KR200493212Y1 (en) | 2021-02-18 |
Family
ID=735722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90001990U Active KR200493212Y1 (en) | 2019-05-16 | 2019-05-16 | Photoelectric tube using optical devices with different amplification and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hotoelectric tub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93212Y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514512A (en) | 2008-02-15 | 2011-05-0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 Non-toxic photoelectric tube and optical sensor having the same |
| JP2011095083A (en) | 2009-10-29 | 2011-05-12 | Toshiba Corp | Flame detecting device |
| JP2017020794A (en) | 2015-07-07 | 2017-01-26 | 三浦工業株式会社 | Flame detection device and boiler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891672B2 (en) * | 1997-12-02 | 2007-03-14 | 高圧ガス保安協会 | Incomplete combustion prevention device |
-
2019
- 2019-05-16 KR KR2020190001990U patent/KR200493212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514512A (en) | 2008-02-15 | 2011-05-0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 Non-toxic photoelectric tube and optical sensor having the same |
| JP2011095083A (en) | 2009-10-29 | 2011-05-12 | Toshiba Corp | Flame detecting device |
| JP2017020794A (en) | 2015-07-07 | 2017-01-26 | 三浦工業株式会社 | Flame detection device and boil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2551U (en) | 2020-11-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1288484B (en) | Flame monitor | |
| CN103376160B (en) | Flame sensor | |
| KR200493212Y1 (en) | Photoelectric tube using optical devices with different amplification and combus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hotoelectric tube | |
| KR101807330B1 (en) | Wind resistant heater | |
| KR101547716B1 (en) | Burner | |
| CA2556242C (en) | Gas heating device control | |
| JP5280655B2 (en) | Dimming sensor | |
| KR101811798B1 (en) | Off-gas flare | |
| CN116538532A (en) | Laser ignition device and laser ignition control method | |
| JP5145885B2 (en) | Combustion equipment | |
| US20060199124A1 (en) | Low NOx pilot burner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 |
| KR200489272Y1 (en) | Photoelectric tube having bipolarity | |
| US11619550B2 (en) | Flame detector | |
| US2007029835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Igniting and Monitoring a Burner | |
| JPS62276420A (en) | Flame detector | |
| JP5350549B1 (en) | Burner flame detector | |
| JP2007093065A (en) | Flame detecting device for oil burning water heater | |
| JPH09152126A (en) | Flame detector | |
| JP2006329474A (en) | Flame detecting device in combustor | |
| ES2993543T3 (en) | Method for monitoring the ignition of a burner flame | |
| EP0818656B1 (en) | Safety device for the control of carbon oxide produced in burners | |
| JP4982278B2 (en) | Dimming sensor | |
| TWI580905B (en) | Combustion device and its flame sensing unit | |
| JP2019196871A (en) | Thermocouple for detecting combustion flame | |
| CN108224467A (en) | A kind of combustion air and the mass flow linear scale control device of combustion ga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516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4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10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0215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