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51Y1 - 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 Google Patents
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3551Y1 KR200493551Y1 KR2020170000192U KR20170000192U KR200493551Y1 KR 200493551 Y1 KR200493551 Y1 KR 200493551Y1 KR 2020170000192 U KR2020170000192 U KR 2020170000192U KR 20170000192 U KR20170000192 U KR 20170000192U KR 200493551 Y1 KR200493551 Y1 KR 2004935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safety
- bonding member
- experience
- faci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은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그물 구조물로 체험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그물부재에 이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내려오며 체험활동을 즐길 수 있으며, 그물부재로 인해 체험활동을 하다 추락하여도 다치지 않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눕거나 독서를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이 제공되어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험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각각 그물부재의 신축성에 따라 적절한 텐션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The aerial movement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design is a multi-layered net structure, and by forming a moving part on the net member so that the experiencer can climb up and down, the experiencer can climb or descend to enjoy the experience activ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without being injured even if you fall during an experiential activity, and as a large space is provided, a rest area where you can lie down or enjoy reading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spac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experienced pers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nsion and balance according to the elasticity of each net member, thereby enabling safer experience activities.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수개의 층을 이루는 안전망을 이용하여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며 층과 층 사이에 걸쳐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안전난간이 형성된 출입구 계단부터 최상부까지 형성된 이동통로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중간 중간 형성된 넓은 휴식공간에서 휴식 및 독서 등의 각종 레저활동 및 휴식활동이 가능한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esign uses a safety net consisting of multiple layers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n experienced person can climb or move, and to form a rest area that can rest between floors and floors, from the entrance stairs with safety rails to the top. It is possible to move safely by using the formed movement path, and to a facility for experiencing aerial movement using a safety net that enables various leisure activities such as rest and reading and relaxation activities in a large rest area formed in the middle.
종래의 안전망 시설물은 높은 곳에 위치한 모험활동 시설에서 체험자가 불시에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로프 다음으로 2차적인 안전확보를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경사 및 수직으로 설치된 등반망 시설물의 경우 적정 높이를 기어오르기 위한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듯 상기 대부분의 안전망 시설물은 메인시설물을 체험자가 사용하다가 추락하게 되었을 경우 이를 보호하기 위한 2차적인 안전확보용으로 사용되며, 기어오르는 형태의 등반망 시설물은 체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등반망 시설 상부에 2차적인 안전확보장치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체험자가 지상에서부터 안전확보장치를 자신의 안전장구에 연결한 후에야 등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항상 안전확보장치와 개인용 안전장구를 착용해야만 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거나 또는 오르내릴 수 있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Conventional safety net facilities are used for securing secondary safety after safety rope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an experienced person falls unexpectedly in an adventure activity facility located in a high place, and is a climbing net facility installed in an inclined and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of, it is generally used in the form of climbing an appropriate height.
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safety net facilities are used for secondary safety security to protect the main facility if an experienced person falls while using it.The climbing net facility in the form of climbing is a climbing net to prevent a fall accident by an experienced person. As a secondary safety security device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top of the facility, an experienced person can climb only after connecting the safety security device from the ground to his or her own safety equipment, so that the person must always wear a safety security device and personal safety equipment. Most of them are formed of or are used in a form that can be up and down.
삭제delete
이러한 상기의 안전망 시설물은 체험자에게 개인별 안전장구나 안전확보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2차적인 보조수단으로 사용하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체험자의 이동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자유로운 체험활동에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These safety net facilities are used as secondary auxiliary means in the state of having individual safety equipment and safety security devices for the experienced person, and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experiencers is limited, which leads to a limit to free experience activities.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체험자에게 안전장구나 안전확보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자유로운 체험활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Therefore, while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need for an aerial mobility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new structured safety net to provide a free experiential activity space to the experienced person without using safety equipment or safety security devices. .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망을 2차적인 안전보조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메인 이동수단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체험자에게 개인별 안전장구나 안전확보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고 자유로운 체험활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more detail, the safety net is not used as a secondary safety assistance means, but is provided as the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use personal safety equipment or safety security devices to the experienced person. Its purpose is to provide facilities for aerial mobility experience activities using safety nets to enable safe and free experience activiti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 및 수평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전망이 층을 형성하며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걸어 다닐 수 있는 통로 및 휴식 공간이 형성되어지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로서, 상기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은, 지면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개의 종방향 골조부재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 골조부재와, 상기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내부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형설되어 지면과 수평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복수개의 횡방향 골조부재, 및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의 상측 말단부에 결합되어져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붕 골조부재로 이루어진 골조부재와;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의 외부에 형성되어지는 외부 그물부재와,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부에 장착되어지고, 수평으로 상하를 맞추어 여러겹으로 형성된 내부 그물부재로 이루어진 그물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층에 형성된 상기 내부 그물부재를 서로 당겨서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체결되어지도록 하는 접합부재; 및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의 양측 단부를 종방향 골조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결속시키는 제 1 장력조정부와, 상기 내부 그물부재에 체결된 상기 접합부재를 지면과 결속시키는 제 2 장력조정부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접합부재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는 하부 접합부재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와 하부 접합부재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접합부재와 하부 접합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합부재와 하부 접합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내부 그물부재가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져 개재되어진 후에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진 체결부재에 의해 결속고정되어짐으로써, 상기 내부 그물부재가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진 채로 안전인장력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장력조정부는 상기 골조부재의 최상부 골조와 최하부 골조에 각각 체결되되, 일측단부가 종방향 메인 골조부재의 소정의 높이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는 횡방향 골조부재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 2 장력조정부는 일측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는 내부 그물부재가 하부방향으로 당겨진 후 결속고정되어지는 접합부재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케이블과 결속됨에 따라, 외부 그물부재의 신축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수준의 장력이 유지되어지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in which a plurality of safety nets form a layer at vertical and horizontal intervals, and a passage and a rest space for the experiencer to climb or walk are formed. An aerial movement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wherein the aerial movement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includ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frame members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foundation concrete formed on the ground, an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 members.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 members to be arranged,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frames formed in the air movement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member to be formed in a horizontal or diagonal direction with the ground A frame member comprising a member, and a plurality of roof frame members for forming a roof by being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member; A net member comprising an external net member formed outside the transverse frame member, and an inner net member moun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transverse frame member and vertically aligned in multiple layers; A joining member which pulls the inner net members formed on the plurality of layers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predetermined positions to be fastened; And a first tension adjustment unit for binding both ends of the transverse frame membe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member, and a second tension adjustment unit for binding the joint member fastened to the inner net member to the ground. Includes; The bonding member includes an upper bonding member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 lower bon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upper bonding member;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bonding members are vertically penetr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fasten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fastening hol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fastening the upper bonding member and the lower bonding member, wherein the plurality of interiors between the upper bonding member and the lower bonding member The net member is pulled up and down or inter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fixedly fixed by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so that the inner net member is pulled up and down or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maintain a safety tensile force; The first tension adjustment unit is fastened to the uppermost frame and the lowermost frame of the frame member, respectively, one end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ongitudinal main frame member,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ransverse frame member; One end of the second tension adjustment unit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bound with a cable extending from the joining member to be bound and fixed after the inner net member is pulled downward,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outer net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usted to maintain the required safety level of ten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disclosed technology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삭제delete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the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은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그물 구조물로 체험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그물부재에 이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내려오며 체험활동을 즐길 수 있으며, 그물부재로 인해 체험활동을 하다 추락하여도 다치지 않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눕거나 독서를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이 제공되어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aerial movement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design is a multi-layered net structure, and by forming a moving part on the net member so that the experiencer can climb up and down, the experiencer can climb or descend to enjoy the experience activ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without being injured even if you fall during an experiential activity, and as a large space is provided, a rest area where you can lie down or enjoy reading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space.
또한 체험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각각 그물부재의 신축성에 따라 적절한 텐션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experienced pers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nsion and balance according to the elasticity of each net member, thereby enabling safer experience activiti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정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측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그물부재를 제거한 정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그물부재를 제거한 측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그물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체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체결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출입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장력조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장력조정부를 확대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ront part of an aerial mobility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ide part of an aerial mobility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air movement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net member remove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ide portion of the network member removed from the aerial movement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net member of the aerial mobility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6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member of an aerial movement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fastening member of an aerial movement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entrance of the aerial mobile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tension adjustment unit of an aerial mobility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view of a tension adjustment unit of an aerial movement experience facility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전망이 층을 형성하며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걸어 다닐 수 있는 통로 및 휴식 공간이 형성되어지는 체험활동 시설물(B)에 있어서,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은 지면(G)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종방향 골조부재(111) 및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1)의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체험자의 체험활동 및 휴식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하는 횡방향 골조부재(121)로 이루어지는 골조부재(100)와, 상기 골조부재(100)의 외부에 형성되어지는 외부 그물부재(220) 및 체험자의 체험활동 및 휴식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상기 골조부재(100)의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그물부재(210)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그물부재(200)와, 상기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내부 그물부재를 서로 당겨서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접합되어지도록 하는 접합부재(300)와,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1)의 양측 단부를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1)의 소정의 위치에 결속시키는 제 1 장력조정부(410) 및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에 체결된 상기 접합부재(300)를 지면과 결속시키는 제 2 장력조정부(420)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정부(400)를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1 to 2 are views showing aerial mobility experience facilities using a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periential activity facility (B) in which a plurality of safety nets form a layer at vertical and horizontal interv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 pathway and a rest space for an experienced person to climb or walk, are formed, The experiential activity facility is formed inside th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와이어와 상기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물부재(200)를 제외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먼저 골조부재(100)는 체험활동 시설물(B)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원형강관 또는 각관 또는 H빔 등의 스틸 골조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소재의 골조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3 to 4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excluding the net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상기 골조부재(100)는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지는 종방향 골조부재(111)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1)와 수평 또는 사선으로 형성되어지는 횡방향 골조부재(121)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1)는 체험활동 시설물(B)의 각 모서리 지점에 형성된 메인 골조부재인데,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1)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등간격 배치되는 보조 골조부재(112)가 형성되어진다.The
상기의 종방향 골조부재(111)는 복수개로 형성되어지며, 각각의 종방향 골조부재(111) 사이에는 메쉬철망(W)이 형성되어있어,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 내부에서 체험활동을 하는 체험자가 외부로 추락하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The
다음으로,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1)는 체험활동 시설물(B)의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종방향 골조부재(111)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지면과 수평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내부 골조부재이다.Next, the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1)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 내부에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지도록 종방향 골조부재(111)의 소정의 높이에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어지며, 체험자가 상층 또는 하층에서 체험활동 및 휴식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1)의 상측 말단부와 결합되어지는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1)가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지붕 골조부재(122)가 되게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에서는 골조부재(100)의 일반적인 형상의 설치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설치 장소의 지역 여건에 따라 수평, 수직, 경사 등의 다양한 형상의 조합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the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shape of the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 그물부재(210)와 접합부재(300)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부에 장착되어지며,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는 수평으로 상하로 맞추어 여러겹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홀(330)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 가운데의 지점 및 이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등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상기 하부 접합부재(320) 사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내부 그물부재(210) 각각의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복수개 개재될 수 있다. Next, Figures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inner
6, the
다음으로,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된 횡방향 골조부재(121)의 둘레부분을 감싸도록 외부 그물부재(220)가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외부 그물부재(220)로 인해 체험자는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을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outer
또한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230)가 형성되어 체험자가 위아래층으로 이동하여 체험활동 시설물(B)을 즐길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230)가 형성되어지는 위치에 따라 체험자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된 횡방향 골조부재(121)를 지그재그로 이동하거나 상하로 이동하는 등의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각 층별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그물부재(210)는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진 후 접합부재(300)에 의해 결속고정되어 안전인장력을 유지시켜주며, 다수개의 복합적인 통로 모양을 형성하며 중간중간에는 넓은 그물망 공간을 추가로 형성하여 휴식, 독서 등의 여가 활동이 추가로 가능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internal
상기 접합부재(3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The
또한, 상기 접합부재(300)는 그물부재(200)와 접합하게 될 때 한쪽이 밀리거나 체결부위가 훼손되지 않도록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홈이 추가로 형성되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상기 접합부재(30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접합부재(310)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는 하부 접합부재(320)가 포함되어지며,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가 결합되어지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체결홀(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33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며 상하로 체결되어지는 체결부재(340)가 추가로 포함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내부 그물부재(210)가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져 개재되어진 후에 상기 체결홀(330)에 삽입되어진 체결부재(340)에 의해 결속고정되어짐으로써,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가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진 채로 안전인장력을 유지한다.Meanwhile, the joining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의 각 골조부재(100) 및 그물부재(200)에 소정의 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장력조정부(410)와 제 2 장력조정부(420)로 이루어진 장력조정부(400)가 추가로 형성되어진다.Next, as shown in Figs. 9 to 10, in order to form a predetermined tension in each
상기 제 1 장력조정부(410)는 일측단부가 종방향 메인 골조부재(111)의 소정의 높이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는 횡방향 골조부재(121)와 결합되어진다.The first
또한 제 2 장력조정부(420)는 일측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는 내부 그물부재(210)가 하부방향으로 당겨진 후 결속고정되어지는 접합부재(30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케이블(C)과 결속됨에 따라, 외부 그물부재(220)의 신축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수준의 장력이 유지되어지도록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한편 제 1 장력조정부(410)는 상기 골조부재(100)의 최상부 골조와 최하부 골조에 각각 체결되어 케이블로 연결되어지며, 그물부재(200)의 균형이 유지되고 소정의 장력이 형성되어지도록 안전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로 구성되어진다.Meanwhile, the first
한편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의 소정의 위치에는 체험자가 내부 시설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입출입이 가능한 개폐식 출입부(113)가 추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개폐식 출입부(113)는 시건장치가 추가로 포함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B), an ope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험활동 시설물(B)을 이용하는 체험자는 그물부재(200)로 인해 불시에 추락하여도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개인용 안전장구 착용이 없어도 언제나 안전한 체험활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n experienced person using the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B)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nsure safety even if unexpectedly falls due to the net member 200,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erience safe experience at any time without wearing additional personal safety equipment.
또한 수직으로 형성된 그물부재(200)로 인해 등반체험 및 다양한 놀이활동이 가능하며, 접합부재(300)로 인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독서 및 휴식 등 다양한 여가활동 체험이 가능하여 다목적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climbing and various play activities due to the vertically formed net member 200, and to experience various leisure activities such as reading and rest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be able to fulfill what you can do.
B : 체험활동 시설물 W : 철망부재
100 : 골조부재 200 : 그물부재
300 : 접합부재 400 : 장력조정부B: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W: Wire mesh member
100: frame member 200: net member
300: joint member 400: tension adjustment unit
Claims (10)
상기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B)은,
지면(G)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개의 종방향 골조부재(111) 및 지면과 수평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복수개의 횡방향 골조부재(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종방향 골조부재(111) 사이에는 메쉬철망(W)이 형성되어진 골조부재(100)와;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1)의 외부에 형성되어지는 외부 그물부재(220)와,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1)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부에 장착되어지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와이어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내부 그물부재(210)로 이루어진 그물부재(200)와;
다수개의 층에 형성된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를 서로 당겨서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체결되어지도록 하는 접합부재(300); 및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1)를 종방향 골조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결속시키는제 1 장력조정부(410)와,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에 체결된 상기 접합부재(300)를지면과 결속시키는 제 2 장력조정부(420)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정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재(30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접합부재(310)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는 하부 접합부재(320)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체결홀(330); 및
상기 체결홀(33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체결홀(330)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34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내부그물부재(210)가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져 개재되어진 후에 상기 체결홀(330)에 삽입되어진 체결부재(340)에 의해 결속고정되어짐으로써,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가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진 채로 안전인장력을 유지하며;
상기 체결홀(330)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 가운데의 지점 및 이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등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상기 하부 접합부재(320)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내부 그물부재(210) 각각의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복수개 개재되고,
상기 접합부재(300)에는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장력조정부(420)는 일측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는내부 그물부재(210)가 하부방향으로 당겨진 후 결속고정되어지는 접합부재(300)를 결속함에 따라, 내부 그물부재(210)의 신축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수준의 장력이 유지되어지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As a public mobility experience activity facility (B) using a safety net where a number of safety nets form a layer at vertical and horizontal intervals, and a passage and a rest area for the experiencer to climb or walk,
Aerial movement experience facility (B) using the safety n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ongitudinal framing members 111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oundation concrete formed on the ground (G)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framing members 121 formed in a horizontal or diagonal direction with the ground, the plurality of A frame member 100 in which a mesh wire mesh (W)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 members 111;
An external net member 220 formed outside the transverse frame member 121,
A plurality of first wires moun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ransverse frame member 121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wir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re provided. A net member 200 made of an inner net member 210 configured to include;
A bonding member 300 which pulls the inner net members 210 formed on a plurality of layers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be fastened; And
The first tension adjustment unit 410 for binding the transverse frame member 121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member, and the bonding member 300 fastened to the inner net member 210 with the ground. Includes; a tension adjustment unit 400 consisting of a second tension adjustment unit 420;
The bonding member 300,
An upper bonding member 310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 lower bonding member 3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upper bonding member 310;
A fastening hole 330 through which the upper bonding member 310 and the lower bonding member 320 penetrate vertically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fastening hole 33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30,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340 for fastening the upper bonding member 310 and the lower bonding member 320,
In the fastening member 34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30 after the plurality of inner net members 210 are pulled up and down or horizontally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bonding member 310 and the lower bonding member 320. By being bound and fixed by, the inner net member 210 maintains a safety tensile force while being pulled up and down o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astening hole 330 is formed at a point in the middle of the upper joining member 310 and the lower joining member 320 and at a plurality of points 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round the upper joining member 310 and the upper joining member 310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wi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ner net members 210 ar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bonding member 320,
Round grooves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bonding member 300,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 420 has one end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has the inner net member 210 pulled downward and then binds the bonding member 300 which is fixed and bound, the inner net member An aerial mobility experience facility using a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of the safety level required according to the new construction of (210) is adjusted to be maintained.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1)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지도록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1)의 소정에 높이에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verse frame member 121 is formed in a shape of a square frame, and is zigzagly coup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ongitudinal frame member 111 so as to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Aerial mobility experience facility.
상기 그물부재(200)는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고, 위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관통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The method of claim 1,
The net member 20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net member 210, and the air using a safety 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rough portion 230 that is penetrated up and down so as to move to the upper and lower layers. Facilities for mobile experience activiti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70000192U KR200493551Y1 (en) | 2017-01-10 | 2017-01-10 | 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70000192U KR200493551Y1 (en) | 2017-01-10 | 2017-01-10 | 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03807A Division KR20170007512A (en) | 2017-01-10 | 2017-01-10 | 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00388U KR20170000388U (en) | 2017-01-25 |
| KR200493551Y1 true KR200493551Y1 (en) | 2021-04-20 |
Family
ID=579640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70000192U Active KR200493551Y1 (en) | 2017-01-10 | 2017-01-10 | 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93551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14973A1 (en) * | 2023-07-10 | 2025-01-16 | Universal City Studios Llc | Zippered loose article netting |
| KR102769683B1 (en) * | 2024-11-11 | 2025-02-19 | 주식회사 지에스웹 | Net playing facilities supported by surface coupling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72321A (en) * | 2001-12-10 | 2003-06-20 | Daifuku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054792U (en) * | 1998-06-09 | 1998-12-18 | 東 間 掬 子 | Play net |
| KR20120075735A (en) * | 2010-12-29 | 2012-07-09 | 강다정 | Structure of playground |
-
2017
- 2017-01-10 KR KR2020170000192U patent/KR200493551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72321A (en) * | 2001-12-10 | 2003-06-20 | Daifuku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00388U (en) | 2017-01-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329781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 |
| US20140339018A1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 |
| US9340993B2 (en) | Self-bracing shelter | |
| KR101546304B1 (en) | A bridge having truss structure assembling handrail and girder | |
| JP5647514B2 (en) | Stadium with auditorium | |
| KR200493551Y1 (en) | 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 |
| EA030097B1 (en) | Tower structure | |
| KR20170007512A (en) | 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 |
| KR200477531Y1 (en) | Safety parapet for construction work | |
| JP2015081413A (en) | Protective fence | |
| CN109610807B (en) | Folding guardrail and contain its overhead working platform | |
| US20230151625A1 (en) | Assembly for erecting and dismantling a common tower adjacent a build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erecting and dismantling the same | |
| JP4844913B2 (en) | Evacuation device from tsunami | |
| KR102372270B1 (en) | Bridge pier safety check passage | |
| KR200480362Y1 (en) | Folding safety net assembly of gang form | |
| KR200311928Y1 (en) | Fireproof shutter with extensible rail post | |
| JP6866557B1 (en) | Partitioning method for indoor space and partitioning method for indoor space | |
| EP4441306B1 (en) | Roofing structure | |
| CN204283201U (en) | Tower room integrated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Anti-drop ladder thereof | |
| JP7485350B2 (en) | Temporary support device for rope descent | |
| KR20230096684A (en) | Climbing structure | |
| KR200438874Y1 (en) | Tower Crane Protective Shelves | |
| JP6295478B2 (en) | Evacuation device | |
| KR102154094B1 (en) | Composite net adventure structure | |
| JP2018071143A (en) | Handrail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5 |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110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003807 Filing date: 20170110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5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0 Patent event code: UA02011R05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7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0415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