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00714A -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714A
KR20050000714A KR20030041204A KR20030041204A KR20050000714A KR 20050000714 A KR20050000714 A KR 20050000714A KR 20030041204 A KR20030041204 A KR 20030041204A KR 20030041204 A KR20030041204 A KR 20030041204A KR 20050000714 A KR20050000714 A KR 2005000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group
user
service
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03004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성
Original Assignee
(주)가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바플러스 filed Critical (주)가바플러스
Priority to KR2003004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0714A/ko
Publication of KR2005000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71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별 통화그룹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관리서버에 호접속하는 제1단계; 상기 관리서버에 호접속된 이용자의 발신자번호(CID)를 검출하는 제2단계; 상기 발신자번호(CID)에 대응하는 통화그룹 정보를 인출하여 이용자 단말기 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그룹의 멤버 단말기측으로 콜링이 수행되는 제4단계; 및 이용자를 비롯하여 상기 콜링에 응한 멤버들 간의 그룹통신을 위한 채널할당과 호처리가 수행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이다.

Description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conference call service by caller identification digit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발신자번호(CID)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출된 발신자번호(CID)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선택 그룹의 멤버 단말기 간에 호(Call)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편리하게 다자간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자간 통화, 즉 그룹통화 서비스는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자간에 회의나 교육, 상담, 공지 등의 업무를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동시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정보의 공유가 중요시되는 최근의 추세에 따라 그 효용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회의통화서비스의 단순한 형태로는, 발신자 톨 프리 접속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에게 회의통화서비스를 사전에 요청하고, 예약된 시점에 운영자의 통제하에 서비스를 제공받는 형태가 있다.
보다 발전된 형태의 회의통화서비스는 가입형 서비스로서, 미리 통지된 회의시점이 되었을 때 가입자별 접속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한 후, 가입자번호와 패스코드를 통해 인증과정을 거침으로써 운영자의 개입없이 회의통화가 이루어지는 서비스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통화서비스는 참가자들에게 미리 회의시점을 알려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참여를 위한 가입자별 접속번호, 가입자번호, 패스코드 등을 사전에 할당받아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시시각각 생성, 변화되는 정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취약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용자에 의해 생성된 통화그룹을 발신자번호(CID)에 기초하여 그룹통화서비스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그룹에 대한 멤버등록을 유도하는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멤버의 등록 및 그룹의 확장이 용이하게 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통화그룹 DB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서비스의 수행과정에 따라 발신자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창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착신자 단말기측에 그룹통화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자 단말기측에 그룹통화를 안내하는 에니메이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부재통화시 콜백서비스를 안내하는 메시지창이 착신자 단말기측에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5...통신시스템 11...CID추적부 12...데이터 입출력 제어부
13...통화그룹 DB 14...다중채널접속부 15...부가서비스 제어부
16...과금처리연동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은, 이용자별 통화그룹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관리서버에 호접속하는 제1단계; 상기 관리서버에 호접속된 이용자의 발신자번호(CID)를 검출하는 제2단계; 상기 발신자번호(CID)에 대응하는 통화그룹 정보를 인출하여 이용자 단말기 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그룹의 멤버 단말기측으로 콜링이 수행되는 제4단계; 및 이용자를 비롯하여 상기 콜링에 응한 멤버들 간의 그룹통신을 위한 채널할당과 호처리가 수행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콜링과 더불어 콜백서비스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전송되고, 그룹통화 서비스 종료후 멤버측의 접속액션에 따라 멤버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리서버로 콜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용자별 통화그룹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호접속된 이용자의 발신자번호(CID)를 검출하는 CID추적부; 상기 발신자번호(CID)에 대응하는 통화그룹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인출하여 이용자 단말기 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인출수단; 및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그룹의 멤버 단말기측으로 콜링을 수행하고, 이용자를 비롯하여 상기 콜링에 응한 멤버들 간의 그룹통화를 위해 채널할당 및 호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채널접속부;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서비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기(1)와 착신자단말기(2)를 포함하는 이용자 단말기와, 통신시스템(5)과 연동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다자간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서버(10)를 통해 구현이 된다.
여기서 통신시스템(5)은 신호망 교환기, 가입자 교환기 등을 포함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사업자측의 통상적인 통신장치이다. 통신시스템(5) 내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로 다른 종류의 통신망의 접속을 위하여 게이트웨이(Gateway)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용자 단말기로는 메뉴선택이 용이하도록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10)측에 ARS(Automatic Response System)가 부가적으로 구축될 경우 유선전화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이용자 단말기는 발신 단말기인 동시에 착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나, 편의상 먼저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그룹통화를 요청하는 측을 발신 단말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관리서버(10)는 발신자번호(CID)를 인식하기 위한 CID추적부(11)와, 통화그룹 DB(13)에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제어부(12)와, 다중채널접속부(14), 부가서비스 제어부(15) 및 과금처리연동부(16)를 포함한다.
CID추적부(11)는 상기 통신시스템(5)과 연동하여 CID 정보를 추적, 검출함으로써 관리서버(10)에 호접속된 발신 단말기(1)의 식별번호를 인식하고 이 정보를 데이터 입출력 제어부(12)로 전달한다.
데이터 입출력 제어부(12)는 발신 단말기(1)나 착신 단말기(2)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통화그룹 관련정보를 저장부인 통화그룹 DB(13)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CID추적부(11)로부터 전달되는 CID에 대응되는 통화그룹 정보를 통화그룹 DB(13)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CID 정보에 해당하는 발신 단말기(1) 상에 통화그룹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화그룹 DB(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포함하는 데이터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각 필드는 그룹의 생성자가 자료를 입력하거나 착신자가 그룹의 가입을 승인할 때 등록되는 그룹에 속하는 멤버의 정보 필드에 관한 내용이다.
도 2의 (a)는 멤버 데이터구조로서, Group_Id는 사용자가 그룹을 생성할 때 관리서버(10)에서 부여하는 그룹의 고유 ID를 나타내며, Member_Id는 관리서버(10)에서 각 그룹의 멤버에게 고유하게 부여한 ID(예컨대, 가입자 전화번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Active_Flag는 해당 멤버가 현재 그룹통화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Approw_Flag는 그룹통화 참여를 희망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Member_MIN은 멤버의 단말기 번호에 해당하는 필드를 나타내는데, 멤버가 등록한 단말기가 여러개일 경우 복수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b)는 통화그룹 데이터구조로서, Group_Owner_MIN은 그룹 생성자의 발신자번호(CID), 즉 단말기 번호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Group_Id는 도 2의 (a)와 동일한 것이며, Simple_Id는 통화그룹을 간단히 지칭하도록 예컨대, 1~2 디지트로 구성되는 고유 ID를 나타낸다. 또한, Active_Flag는 해당 통화그룹이 현재 서비스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Priority는 해당 통화그룹의 통화빈도, 통화시간,그룹크기 등으로 결정되는 우선순위값을 나타낸다. Intro_Message는 그룹 생성자가 입력한 자기소개나 그룹소개, 그룹통화 요청멘트를 나타내고, Name_SMS는 그룹통화 요청을 위해 SMS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로서 각 통화그룹을 표현하는 텍스트정보에 해당한다. 아울러, Image_Animation은 그룹통화 요청을 위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그룹을 표현하는 캐릭터 등의 에니메이션 정보필드를 나타낸다. data는 그룹통화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필드로서 그룹통화에 참여하지 못한 이용자를 위해 녹음된 통화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통화그룹 데이터와 멤버 데이터를 상호 연결하는 키(key) 필드로서 Group_Id가 사용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데이터구조로 분리할 수도 있으며, 여타의 다른 필드를 사용하여 데이터구조를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이용자의 관리서버(10) 접속시 이용자 소속 통화그룹의 서비스상태나 정보 등에 대한 자동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채널접속부(14)는 통신시스템(5)과 연동하여 채널할당 및 호처리를 수행한다. 즉, 발신 단말기(1) 이용자가 통화그룹을 선택했을 때, 그 통화그룹 멤버에 해당하는 각 착신 단말기(2)측으로 콜링(Calling)을 수행하고, 이에 응한 각각의 착신 단말기(2)와 발신 단말기(1) 간에 채널을 할당하여 그룹통화가 가능하도록 호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그룹통화를 위한 채널할당이나 호처리 기술은 예컨대, 종래의 방법 및 기타의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어부(15)는 본 발명의 다자간 통화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안내정보 전송, 통화내용 녹음, 콜백(Call back)서비스 등 그룹등록을 유도하거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부(15)에는, 콜링시 멤버 단말기측으로 전송되어 그룹통화 서비스를 안내하게 되는 사운드를 생성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음성멘트를 입력받아 음성메시지를 생성하는 오디오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콜링시 멤버 단말기측으로 전송되어 그룹통화 서비스를 안내하게 되는 안내창으로서, 문자메시지, 에니메이션, 통화그룹식별자 혹은 과금정보 안내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내창을 생성하는 안내창 생성부가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부(15)에 포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부(15)는 데이터 입출력 제어부(12)와 연동하면서, 검출된 CID에 대응하는 통화그룹 정보의 인출시 통화그룹의 활성화(Active) 시점, 활성화 빈도, 그룹크기 등과 같은 활성화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통화빈도가 높은 그룹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통화그룹 DB(13)로부터 읽어와서 발신 단말기(1)측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가서비스 제어부(15)는 그룹통화에 참여하지 못한 멤버에게 콜백(callback) 서비스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룹통화가 완료된 이후에도 멤버는 관리서버(10)로 접속하여 녹음된 통화내용을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과금처리연동부(16)는 통신사업자측의 과금처리 시스템과 연동하면서 서비스이용에 따른 과금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과금부과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과금처리연동부(16)는 그룹의 크기나, 그룹통화 시간대 혹은 개인별접속시간을 인자로 하여 과금형태나 과금율(Rate)을 그룹 혹은 개인마다 달리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발신 단말기(1)측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먼저, 본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는 발신 단말기(1) 상에, 예컨대 도 4의 ①과 같이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 시스템, 즉 관리서버(10)에 접속한다(단계 S10). 이때, 대안으로는 발신 단말기(1)에 구비되는 전용버튼이나, 예컨대 **SEND와 같은 단축키를 누르는 방식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하면 관리서버(10)의 CID추적부(11)에서는 통신시스템(5)과 연동하여 발신자번호(CID)를 추적하여 인식한다(단계 S12).
이용자의 서비스 접속후에는 도 4의 ②와 같이 통화그룹 생성이나 멤버추가 등을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되고(단계 S15), 최초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통화그룹을 등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멤버로 가입시키고자 하는 착신자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친다(단계 S20).
관리서버(10)의 부가서비스 제어부(15)에서는 상기 입력된 착신자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단말기(2)로 그룹통화를 안내하는 정보를 비롯하여 그룹멤버 등록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5). 이에 따라, 착신 단말기(2) 측에는 그룹통화를 안내하는 음성멘트나 사운드가 전송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그룹통화를 안내하는 문자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6과 같이 통화그룹을 표현하는 에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정보에는 발신자나 발신그룹명이 함께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비스이용에 따른 과금형태, 과금율 등의 정보가 부가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단계 S30에서, 착신자가 그룹통화를 승인하여 예컨대, '확인'버튼을 누르는 선택액션을 취함으로써 승인사항을 관리서버(10)로 전송하면, 관리서버(10)의 데이터 입출력 제어부(12)를 통해 통화그룹 DB(13)에 멤버등록이 이루어진다(단계 S35).
한편, 발신자가 추가적인 통화그룹 생성없이 그룹통화를 희망할 경우에는 데이터 입출력 제어부(12)를 통해, 통화그룹 DB(13)로부터 상기 단계 S12에서 추적된 CID정보에 대응하는 통화그룹 정보들이 인출되어 예컨대, 도 4의 ③과 같이 그룹선택 메뉴가 발신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통화그룹 선택과정을 거치게 된다(단계 S40). 이때, 발신 단말기(1)에 표시되는 그룹의 항목은,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그룹이 우선순위로 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멤버의 수(괄호의 숫자 참조)를 부가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신자에 의해 통화그룹이 선택되면 다중채널접속부(14)를 통해 해당 통화그룹의 전 멤버 단말기측으로 콜링이 수행되며(단계 S45), 발신측 단말기에는 도 4의 ④와 같이 콜링 수행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다중채널접속부(14)에서는 호연결(Call Connection) 성공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0). 이에 따라, 연결이 실패한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는 다시 통신장애가 원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5), 통신장애나 통화중일 경우 재발신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때 재발신의 반복회수를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단계 S60).
연결실패의 원인이 통신장애가 아닐 경우, 상기 다중채널접속부(14)는 착신 단말기(2)측으로부터 그룹통화 거부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65), 착신자가 거부했을 경우 그 사항을 발신자에게 통보한 후 해당 멤버에 대한 발신을 종료한다.
반면에, 통화거부의 이벤트없이 연결이 안된 경우에는 예컨대, 도 7과 같은 부재중 통화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70). 이때, 부재중 통화 메시지에는 콜백서비스를 안내하는 정보가 더 포함되어, 추후에 착신자가 콜백 서비스를 통해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통화그룹 DB(13)에 저장되어 있는 그룹통화 내용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콜백 서비스 안내 메시지는 반드시 부재중 통화시에 전송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콜링시 모든 멤버들에게 전송하여 서비스 종료후 편리하게 재접속하여 저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의 ⑤와 같이 성공적으로 호연결이 이루어진 참가자, 즉 발신자와 콜링에 응한 멤버들측으로는 연결상태가 통보되고(단계 S80), 다중채널접속부(14)를 통해 동시통화를 위한 채널할당과 호처리가 수행되어 그룹통화가 진행된다(단계 S85).
또한, 이상과 같이 통화그룹 생성자가 그룹통화를 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그룹의 모든 멤버도 구성되어 있는 통화그룹 DB(13)를 사용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그룹의 멤버들과 그룹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0)의 통화그룹 DB(13) 내에 저장된 Member_Id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그룹이 존재할 경우 그 그룹에 속한 멤버들에게 그룹통화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서비스는, 그룹통화 시점을 사전에 예약할 필요없이 이용자의 선택 혹은 승인에 따라 언제든지 통화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다자간에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그룹통화를 개시하는 발신자의 CID를 인식하여 통화그룹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게 되므로 그룹통화를 위한 번거로운 고유번호 할당이나 인증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그룹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나, 음성멘트, 사운드, 에니메이션 등을 착신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통화그룹의 생성 및 확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이용자별 통화그룹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관리서버에 호접속하는 제1단계;
    상기 관리서버에 호접속된 이용자의 발신자번호(CID)를 검출하는 제2단계;
    상기 발신자번호(CID)에 대응하는 통화그룹 정보를 인출하여 이용자 단말기 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그룹의 멤버 단말기측으로 콜링이 수행되는 제4단계; 및
    이용자를 비롯하여 상기 콜링에 응한 멤버들 간의 그룹통신을 위한 채널할당과 호처리가 수행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통화그룹 정보 인출시, 통화그룹의 활성화 시점, 활성화 빈도, 그룹크기 등을 포함하는 활성화 정보에 따라 통화그룹 정보 인출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콜링과 더불어 멤버 단말기측으로 그룹통화 안내를 위한 오디오, 음성, 문자 또는 영상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링과 더불어 콜백서비스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전송되고,
    그룹통화 서비스 종료후 멤버측의 접속액션에 따라 멤버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리서버로 콜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5. 이용자별 통화그룹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호접속된 이용자의 발신자번호(CID)를 검출하는 CID추적부;
    상기 발신자번호(CID)에 대응하는 통화그룹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인출하여 이용자 단말기 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인출수단; 및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그룹의 멤버 단말기측으로 콜링을 수행하고, 이용자를 비롯하여 상기 콜링에 응한 멤버들 간의 그룹통화를 위해 채널할당 및 호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채널접속부;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통신사업자 측의 과금 시스템과 연동하여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과금처리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콜링시 멤버 단말기측으로 전송되어 그룹통화 서비스를 안내하게 되는 음성멘트 혹은 사운드를 생성하는 오디오정보 생성부; 및
    상기 콜링시 멤버 단말기측으로 전송되어 그룹통화 서비스를 안내하게 되는 안내창으로서, 문자메시지, 에니메이션, 통화그룹식별자 혹은 과금정보 안내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내창을 생성하는 안내창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서비스 시스템.
KR20030041204A 2003-06-24 2003-06-24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Ceased KR20050000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1204A KR20050000714A (ko) 2003-06-24 2003-06-24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1204A KR20050000714A (ko) 2003-06-24 2003-06-24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14A true KR20050000714A (ko) 2005-01-06

Family

ID=3721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1204A Ceased KR20050000714A (ko) 2003-06-24 2003-06-24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071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82B1 (ko) * 2006-06-06 2010-01-2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그룹 통신 서버
CN101835105A (zh) * 2010-05-24 2010-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集群系统及其实现群组呼叫的方法
KR101122317B1 (ko) * 2006-01-16 2012-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그룹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5580A (ko) * 2010-10-06 2012-04-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단말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437161B1 (ko) * 2007-08-01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 통화 방법과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90104228A (ko) 2017-03-28 2019-09-06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입 타이어, 공기입 타이어의 금형, 이차원 코드의 각인의 검사 방법, 및 공기입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317B1 (ko) * 2006-01-16 2012-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그룹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39182B1 (ko) * 2006-06-06 2010-01-2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그룹 통신 서버
US8068866B2 (en) 2006-06-06 2011-11-29 Ntt Docomo, Inc. Group communication server
KR101437161B1 (ko) * 2007-08-01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 통화 방법과 이동 통신 단말기
CN101835105A (zh) * 2010-05-24 2010-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集群系统及其实现群组呼叫的方法
KR20120035580A (ko) * 2010-10-06 2012-04-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단말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90104228A (ko) 2017-03-28 2019-09-06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입 타이어, 공기입 타이어의 금형, 이차원 코드의 각인의 검사 방법, 및 공기입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7110B2 (ja) 電話会議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5119877B (zh) 语音验证方法、装置以及系统
US73305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ference communication
US20050031110A1 (en) System and method of an improved conference call service featur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2694665A (zh) 通知参与者会议开始
US200300558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p conference call
CN101540870A (zh) 视频通话业务的实现方法
JP4444271B2 (ja) PoCグループ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CN101448195B (zh) 一种电话会议的呼叫方法及终端
KR20050000714A (ko)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101112707B1 (ko)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120525B (zh) 一种建立通信连接的方法和电子设备
TWI248749B (en) Method of controlling multiple calls of communication device
KR100578335B1 (ko) 개인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4763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회의/채팅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4371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 통화 방법과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89438B1 (ko)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US8929527B2 (en) Method allowing an exchange of context information within a group of users sharing one and the same identifier
KR1009307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CN111132017B (zh) 一种通信终端的通信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838154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JP4377607B2 (ja) Ip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電話会議自動生成方法
KR100598338B1 (ko) 인터넷과 전화를 동시에 이용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704401B1 (ko) 통화 중 단축키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CN107786756A (zh) 留言信息管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0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5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