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11984A -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 - Google Patents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984A
KR20050011984A KR1020030051063A KR20030051063A KR20050011984A KR 20050011984 A KR20050011984 A KR 20050011984A KR 1020030051063 A KR1020030051063 A KR 1020030051063A KR 20030051063 A KR20030051063 A KR 20030051063A KR 20050011984 A KR20050011984 A KR 20050011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align
rising
fal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5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1984A/en
Publication of KR20050011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984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3Input synchronization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얼라인하기 위한 폴링얼라인 신호 및 라이징 얼라인 신호의 글리치현상을 제거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얼라인할 수 있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동기되는 라이징 얼라인신호와 폴링얼라인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 및 폴링 얼라인신호에 동기시켜 얼라인시킨 후 메모리 코어영역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부; 및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간동안에만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 및 폴링얼라인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폴링 얼라인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를 구비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nchronous memory device that can align the input data stably by removing the glitch phenomenon of the falling align signal and the rising align signal for aligning the data input from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align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ising align signal and a falling align signal, respectively, synchronized with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input data strobe signal; A data aligning unit which aligns the data continuously in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align signal and the falling align signal and outputs the data to the memory core area;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ata align signal generation unit so that the rising align signal and the falling align signal can be generated and output only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data is input, and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align signal. And a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ng portion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be deactiv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escription

데이터 얼라인 신호의 글리치를 제거할 수 있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

본 발명은 동작클럭에 동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된 데이터의 얼라인(align)을 위한 데이터 얼라인신호의 리플링를 방지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memory device in which data is input and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an operation c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for preventing ripple of a data alignment signal for aligning input data.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집적도의 증가와 더불어 그 동작 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모리칩 외부에서 주어지는 클록과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는 소위 동기식(Synchronous) 메모리 장치가 등장되었다.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integration speed and increasing the operation speed thereof.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ting speed, a so-called synchronous memory device capable of oper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a clock given from a memory chip has been introduced.

처음 제안된 것은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클록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되어 하나의 데이터 핀에서 클록의 한 주기에 걸쳐 하나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이른바 SDR(single data rate) 동기식 메모리 장치이다.The first proposal is a so-called single data rate (SDR) synchronous memory device that inputs and outputs one data over one period of the clock at one data pin in synchronization with a rising edge of the clock from the outside of the memory device.

그러나 SDR 동기식 메모리 장치 역시 고속 동작을 요구하는 시스템의 속도를만족하기에는 불충분하며, 이에 따라 하나의 클록 주기에 두 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인 디디알(DDR,double data rate) 동기식 메모리 장치가 제안되었다.However, an SDR synchronous memory device is also insufficient to satisfy the speed of a system requiring high-speed operation. Accordingly, a double data rate (DDR) synchronous memory device, which processes two data in one clock cycle, has been proposed.

디디알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각 데이터 입출핀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록의 상승 에지(rising edge)와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동기되어 연속적으로 두 개의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바, 클록의 주파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종래의 SDR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 비하여 최소한 두 배 이상의 대역폭(band width)을 구현할 수 있어 그 만큼 고속동작이 구현 가능하다.Each data entry / exit pin of the digital synchronous memory device continuously inputs and outputs two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of an externally input clock. At least twice as much bandwidth as the SDR synchronous memory device can realize high-speed operation.

그런데, 디디알 메모리 장치에서는 두 개의 데이터를 한 클럭 주기에서 내보내거나 또는 입력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SDR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억세스 방식을 사용할 수가 없다.However, since the DL memory device needs to export or receive two data in one clock period, the data access method used in the conventional SDR synchronous memory device cannot be used to effectively perform this.

만약 클럭의 주기(cycle)가 10nsec 정도라면 상승 및 하강시의 시간(약 0.5×4=2)과 그 밖의 스펙을 맞추기 위한 시간 등을 빼면 실질적으로 약 6nsec 이하의 시간동안 두 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처리는 메모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하기에 역부족이다. 따라서 메모리 장치는 외부로 데이터를 내보내거나 입력받을 때만 클럭의 라이징에지 및 폴링에지에서 데이터를 입출력시키고, 실질적으로 메모리 장치 내부에서는 클럭의 한쪽 에지에 동기시켜 처리하게된다.If the clock cycle is about 10 nsec, subtracting the rise and fall time (approximately 0.5 × 4 = 2) and the time to meet other specifications, etc., the two data continuously for about 6 nsec or less. This process is insufficient to be performed inside the memory device. Therefore, the memory device inputs and outputs data at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only when data is sent to or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is processed in synchronization with one edge of the clock in the memory device.

따라서 메모리 장치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내부 코어영역으로 전달하거나, 코어영역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데이터 입출력방식이 필요하다.Therefore, a new data input / output method is required to receive data from a memory device and transmit the data to an internal core area or output data transmitted from the core area to the outside.

이를 위하여 디디알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버퍼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된 2비트 또는 4비트의 데이터를 프리패치(prefetch)하고 얼라인한 다음, 이를 메인클럭의 상승에지에 짝수데이터 또는 홀수데이터로 동기시켜 내부 코어영역으로 전달하고 있다.To do this, the data input buffer of the digital memory device prefetches and aligns two or four bits of data synchronized with the rising and falling edges, and then synchronizes the even or odd data with the rising edge of the main clock. To the inner core area.

한편, 데이터 입출력의 정확한 타이밍을 구현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메모리장치 외부의 중앙처리장치(CPU)나 메모리 콘트롤러(controller)에서 데이터신호와 함께 데이터스트로브(data strobe) 신호(이하 DQS라 함)가 함께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data is input to implement accurate timing of data input / output, a data strobe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DQS) together with the data signal from a CPU or a memory controller external to the memory device. Is entered together.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동기식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의한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입력패드(DQ PAD)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데이터 입력버퍼(10)와, 데이터 입력버퍼(10)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래치하는 데이터 입력 래치부(20)와, 데이터 입력 래치부(20)에 래치된 데이터를 2비트 또는 4비트로 얼라인(gio_od0, gio_od1, gio_ev0, gio_ev1)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부(30)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입력패드(DQS pad)를 통해 DQS신호를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DQS신호 입력버퍼(40)와, DQS신호 입력버퍼(40)에서 버퍼링된 DQS신호(DQS_b)를 이용하여 데이터 얼라인부(30)에서 데이터를 얼라인하기 위한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 및 폴링 얼라인신호(dsfz)를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 신호 생성부(50)와, 데이터 얼라인 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디는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 및폴링 얼라인신호(dsfz)의 리플링를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data input buffer 10 for receiving and buffering data input through a data input pad DQ PAD, and data buffered in the data input buffer 10. A data input latch unit 20 for latching the data, and a data alignment unit 30 for aligning the data latched by the data input latch unit 20 with 2 bits or 4 bits and outputting them (gio_od0, gio_od1, gio_ev0, gio_ev1); The data alignment unit (DQS signal input buffer 40) receives and buffers the DQS signal through the data strobe signal input pad (DQS pad) and the DQS signal (DQS_b) buffered in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A data align signal generator 50 for outputting a rising align signal dsrz and a falling align signal dsfz for aligning data at 30), and a rising align output from the data align signal generator. Incoming signal (dsrz) and pole And a data alignment signal anti-ripple prevention unit 60 for preventing the ring alignment signal dsfz from being rippled.

도2는 도1에 도시된 DQS신호 입력버퍼(4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shown in FIG.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DQS신호 입력버퍼(40)는 통상적인 차동증폭기형태로 구성되며, 입력되는 기준전압(Vref)에 대한 DQS신호의 전위를 비교하고 그 비교된 상태에 따라 출력신호(DQS_b)를 출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differential amplifier, compares the potential of the DQS signal with respect to the input reference voltage (Vref) and the output signal (DQS_b) according to the compared state ) Will be printed.

도3은 도1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ion unit 50 shown in FIG. 1.

도3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는 DQS신호 입력버퍼(40)에서 출력되는 신호(DQS_b)를 버퍼링하여 노드(A)로 전달하는 인버터(I1,I2)와, 노드(A)의 신호를 반전하여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로 출력하는 인버터(I3,I4,I5)와, 노드(A)의 신호를 반전하여 전달하되 리플링방지신호(disdsz)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드(B)로 전달하는 인버터(MP3,MP4,MN4,MN5)와, 노드(B)의 신호를 반전하여 폴링 얼라인신호(dsfz)로 출력하는 인버터(I6,7,I8)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 buffers the signal DQS_b output from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to the node A, and the inverters I1 and I2. Inverters I3, I4, and I5 which invert the signal of (A) and output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and inverts and transmits the signal of the node A, but selectively by the anti-ripple signal disdsz. Inverters MP3, MP4, MN4, MN5 delivered to node B, and inverters I6, 7, and I8 that invert the signal of node B and output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도4는 도1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part 60 shown in FIG.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은 데이터 어라인신호 생성부(50)에서 출력되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의 상태를 감지하는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와,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동작클럭을 버퍼링한 클럭신호(clkp4)를 입력받아 리플링방지 신호(disdsz)를 리셋시키는 리플링 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와, 글리이 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과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리플링방지신호(63)를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으로 출력하는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0 may include a data alignment sig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tate of a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output from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 62), an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ler 61 for receiving a clock signal clkp4 buffering the operation clock of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and resetting the anti-ripple signal disdsz, and a gle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ler 61. And a ripple prevention signal output unit 63 for combin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ion unit 62 to output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63 to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ion unit 50.

도5는 도4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63)의 각 블럭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each block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3 shown in FIG.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63)의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는 클럭신호(clkp4)를 입력받아 일정구간마다 출력신호를 로우레벨로 출력하여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의 모스트랜지스터(MP5)를 턴온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스위치(S1,S2,S3,S4)와, 인버터(I11,I12)와 인버터(I13,I14)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의 모스트랜지스터(MP5)를 턴온시키는 구간을 조절하기 위한 옵션으로 사용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5,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 unit 61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3 receives a clock signal clkp4 and outputs an output signal at a low level at every predetermined interval to ripple. It is configured to turn on the MOS transistor MP5 of the prevention signal output section 63. Here, the switches S1, S2, S3, and S4, the inverters I11 and I12, and the inverters I13 and I14 turn on the MOS transistor MP5 of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 using a clock signal. It was used as an option to adjust the interval.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를 입력받아 일정구간마다 출력신호를 하이레벨로 출력하여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의 모스트랜지스터(MN6) 턴온시키도록 구성된다.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ion unit 62 is configured to turn on the MOS transistor MN6 of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 by receiving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at a high level every predetermined period. do.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는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인 경우에는 이를 래치하여 하이레벨로 비활성화시켜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로 출력하고,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인 상태에서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인 경우에는 리플링방지신호(disdsz)를 하이레벨로 활성화시켜 출력하게 구성된다.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 unit 61 is at a low level,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 latches the output signal to a high level to output the data to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and detects the data alignment signal.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 unit 61 is at the high level while the output signal of the unit 62 is at the high level,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disdsz is activated to be output at a high level.

인에이블신호(endinds)는 라이트명령어가 입력되면 생성되어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가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이다.The enable signals are generated when the write command is input to allow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0 to operate.

또한, 제어신호(cl6,cl5)는 고주파에서는 리플링방지신호(disdsz)를 항상 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되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이다. 고주파에서는 데이터 얼라인신호의 리플링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s cl6 and cl5 are signals for disabling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disdsz at a high level and outputting the signal at a high level at all times. This is because ripple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does not occur at high frequencies.

도6은 종래기술에 의한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및 문제점을 살펴본다.6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problem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reinafter, operations an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mor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먼저 DQS 신호가 천이되어 입력되는 시점마다 데이터는 데이터 패드(DQS pad)를 통해 데이터 입력버퍼(10)에 입력되어 버퍼링되고, 데이터 입력래치부(20)에 래치된다.First, at every point in time at which the DQS signal is transitioned and input, the data is input to the data input buffer 10 through the data pad (DQS pad), buffered, and latched by the data input latch unit 20.

DQS 신호 입력버퍼(40)는 입력되는 DQS신호를 기준신호(Vref)와 비교한 다음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로 출력한다.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는 DQS신호 입력버퍼(40)에서 출력되는 신호(DQS_b)의 상승 천이시점에 동기된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와 DQS신호 입력버퍼(40)에서 출력되는 신호(DQS_b)의 하강 천이시점에 동기된 폴링 얼라인신호(dsfz)를 데이터 얼라인부(30)로 출력한다.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compares the input DQS signal with the reference signal Vref and outputs the same to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 outputs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and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synchronized with the rising transition point of the signal DQS_b output from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synchronized with the falling transition point of the DQS_b is output to the data alignment unit 30.

데이터 얼라인부(30)은 데이터 입력래치부(20)에 래치된 데이터를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와 폴링 얼라인신호(dsfz)에 동기시켜 얼라인한 후 동작클럭을 버퍼링한 신호에 동기시킨 후 메모리 코어영역으로 출력한다.The data alignment unit 30 synchronizes the data latched by the data input latch unit 20 with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and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and then synchronizes the operation clock with the buffered signal. Output to the memory core area.

한편, DQS 신호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안만 클럭킹되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입력패드(DQS pad)를 통해 입력되는데,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고 나서는 일정한 레벨을 유지해야 한다.Meanwhile, the DQS signal is clocked only while data is input and input through the data strobe signal input pad (DQS pad). The DQS signal should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after the data input is completed.

그러나, 메모리 모쥴(module)의 터미네이션(termination) 저항등으로 인해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고 나서도 DQS신호가 리플링되어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However, the DQS signal may be rippled and input even after the data input is completed due to termination of the memory module.

데이터의 입력이 끝난 상태이후에도 DQS신호가 리플링되면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에서 원하지 않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 또는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등이 리플링 현상이 생겨서 데이터 얼라인부(20)로 출력하게 된다. 원하지 않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 또는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등으로 인한 데이터얼라인부(30)에서는 에러가 유발될 수 있다.If the DQS signal is rippled even after the data is inputted, an unwanted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or a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occurs in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ion unit 50, causing the data alignment unit to ripple. Output to (20). An error may occur in the data alignment unit 30 due to an undesired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or a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모리 장치에서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간동안만 폴링얼라인신호(dsfz) 또는 라이징얼라인 신호(dsrz)가 데이터얼라인부로 입력되도록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60)를 두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in the memory device,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0 is provided such that the polling alignment signal dsfz or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is input to the data alignment unit only during a data input period. have.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는 DQS신호 입력버퍼(40)에서 출력되는 신호(DQS_b)를 이용하여 폴링얼라인신호(dsfz)를 생성하여 데이터 얼라인부로 출력하되, 리플링방지신호(disdsz)가 로우레벨로 활성화되어 입력되면 폴링얼라인신호(dsfz)를 더이상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 generates a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using the signal DQS_b output from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and outputs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to the data alignment unit. When the anti-ripple signal disdsz is activated at a low level and input, the polling alignment signal dsfz is no longer output.

계속해서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의 동작을 살펴본다. 리플링 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는 클럭신호(clkp4)가 로우레벨로 천이될 때마다 출력신호를 하이레벨로 활성화시킨다. 또한,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가 로우레벨로 천이될 때마다 출력신호를 하이레벨로 활성화시킨다.4 and 5, the operation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will be described.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 unit 61 activates the output signal to the high level whenever the clock signal clkp4 transitions to the low level. In addition,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or 62 activates the output signal at a high level whenever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transitions to a low level.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는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의 출력신호와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의 출력신호가 모두 하이레벨로 활성화되면 리플링방지신호(disdsz)를 로우레벨로 활성화시켜 출력한다.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 outputs the anti-ripple signal disdsz when both the output signal of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 unit 61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ion unit 62 are activated to a high level. Output at low level.

또한,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는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되면 리플링방지신호(disdsz)를 하이레벨로 비활성화시켜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 unit 61 is deactivated to a low level,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 deactivates the anti-ripple signal disdsz to a high level and outputs the anti-ripple signal.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를 구성하게 되면,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에서 출력되는 리플링방지신호(disdsz)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리치현상이 생기게 된다.(도6의 X,Y 참조)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0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6 to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disdsz) output from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0 Glitch occurs like this (see X, Y in Fig. 6).

이는 리플링방지신호(disdsz)가 로우레벨로 리셋이된 이후에는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50)의 모스트랜지스터(MN5)가 턴온상태에서,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가 하이레벨로 있는 구간에서는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50)의 모스트랜지스터(MP3)가 턴온상태가 되어폴링 얼라인신호(dsfz)에 글리치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This is a period in which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is at a high level when the morph transistor MN5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 is turned on after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disdsz is reset to a low level. In this case, the morph transistor MP3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ion unit 50 is turned on to cause a glitch phenomenon in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폴링 얼라인신호(dsfz)가 글리치현상이 생기게되면, 폴링 얼라인신호(dsfz)에 의해 얼라인되어야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타이밍이 줄어들게 되어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얼라인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동작상의 에러가 생기게 된다.When the polling alignment signal dsfz causes a glitch, the timing of processing the data to be aligned by the polling alignment signal dsfz is reduced,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align the data stably. There is an error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얼라인하기 위한 폴링얼라인 신호 또는 라이징 얼라인 신호의 글리치현상을 제거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얼라인할 수 있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align the input data by eliminating the glitch of the falling align signal or the rising align signal for aligning the data input from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nchronous memory device.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동기식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도1에 도시된 DQS 신호 입력버퍼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QS signal input buffer shown in FIG.

도3은 도1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ion unit shown in FIG. 1; FIG.

도4는 도1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ng portion shown in FIG.

도5는 도4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의 각 블럭을 나타내는 회로도.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each block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ng portion shown in Fig. 4;

도6은 종래기술에 의한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파형도.Fig. 6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problem of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블럭구성도.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도7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ng portion shown in FIG.

도9는 도8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의 각 블럭을 나타내는 회로도.FIG. 9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each block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ng portion shown in FIG. 8; FIG.

도10은 도7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FIG. 10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I1 ~ I47 : 인버터I1 ~ I47: Inverter

NOR1 ~ NOR4 : 노어게이트NOR1 ~ NOR4: NORGATE

ND1 ~ ND3 : 낸드게이트ND1 to ND3: NAND Gate

T1 ~T2 : 전송게이트T1 ~ T2: Transmission Gate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동기되는 라이징 얼라인신호와 폴링얼라인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 및 폴링 얼라인신호에 동기시켜 얼라인시킨 후 메모리 코어영역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부; 및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간동안에만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 및 폴링얼라인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폴링 얼라인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를 구비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align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ising align signal and a falling align signal, respectively, synchronized with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of an input data strobe signal; A data aligning unit which aligns the data continuously in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align signal and the falling align signal and outputs the data to the memory core area;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ata align signal generation unit so that the rising align signal and the falling align signal can be generated and output only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data is input, and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align signal. And a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ng portion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be deactiv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alignment signal.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입력패드(DQS pad)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DQS)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동기되는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와 폴링얼라인신호(dsfz)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500)와,데이터 입력패드(DQS pad)를 통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 및 폴링 얼라인신호(dsfz)에 동기시켜 얼라인시킨 후 메모리 코어영역으로 출력(gio_od0, gio_od1, gio_ev0, gio_ev1)하는 데이터 얼라인부(300)와,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간동안에만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 및 폴링 얼라인신호(dsfz)가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500)를 제어시키는 제어신호(disdsz)를 출력하되, 폴링 얼라인신호(dsfz)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synchronized to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of the data strobe signal DQS input through a data strobe signal input pad DQS pad. ) And a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respectively, and a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and polling of data continuously inputted through a data input pad DQS pad. The data aligning unit 300 align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lignment signal dsfz and outputs to the memory core area (gio_od0, gio_od1, gio_ev0, gio_ev1), and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only during the data input period.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disdsz for controlling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ion unit 500 so that the polling alignment signal dsfz is generated and outputted, and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polling alignment signal dsfz. And a ranging alignment signal (dsrz) data alignment signal rippling prevention unit 600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so that in response to a disable.

여기서 데이터 입력버퍼(100) 및 데이터 입력 래치부(200)는 각각 데이터 입력패드(DQ pad)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래치하여 데이터 얼라인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블럭이다. 또한, DQS 신호 입력버퍼(400)은 DQS 입력패드(DQ pad)를 통해 입력되는 DQS 신호(DQS)를 기준신호(Vref)와 비교한 후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0)로 전달하기 위한 블럭이다.The data input buffer 100 and the data input latch unit 200 are blocks for buffering, latching, and transmitting the data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pad DQ pad to the data alignment unit 300. In addition,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0 is a block for comparing the DQS signal DQS inputted through the DQS input pad DQ pad with the reference signal Vref and then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0. to be.

도8은 도7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illustrated in FIG. 7.

도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600)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의 활성화시에 응답하여 제어신호(disdsz)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0)와,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의 활성화시에 응답하여 제어신호(disdsz)가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리플링 방지신호 리셋 제어부(610)와,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0)와 리플링 방지신호 리셋 제어부(610)의 제어에 응답하여 제어신호(disdsz)를 출력하는 리플링방지 신호 출력부(6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8,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00 controls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ion unit to control the control signal disdsz to be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620, a rippl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ler 61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disdsz to be deactivated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and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ion unit 620. And an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0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disdsz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ler 610.

도9는 도8에 도시된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의 각 블럭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each block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shown in FIG. 8.

도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600)의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0)는 클럭신호(clkp4)를 입력받아 일정구간마다 출력신호를 하이레벨로 출력하여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0)의 모스트랜지스터(MN8)를 턴온시키도록 하고, 한편으로는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를 입력받아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가 하이레벨로 천이되는 시점마다 모스트랜지스터(MP8)를 턴온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스위치(S9,S10,S11,S12)와, 인버터(I31,I32)와 인버터(I35,I36)는 메모리 장치의 동작클럭으로 사용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0)의 모스트랜지스터(MP8,MN8)를 턴온시키는 구간을 조절하기 위한 옵션으로 사용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9,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 unit 610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00 receives a clock signal clkp4 and outputs an output signal at a high leve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ripple. The MOS transistor MN8 of the prevention signal output unit 630 is turned on, an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ising align signal dsrz transitions to a high level by receiving the rising align signal dsrz, the MOS transistor (MN8) is turned on. MP8) is turned on. Here, the switches S9, S10, S11, and S12, the inverters I31, I32, and the inverters I35, I36 are connected to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0 by using a clock signal used as an operation clock of the memory device. It is used as an option to adjust the section to turn on the MOS transistor (MP8, MN8).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0)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를 입력받아 일정구간마다 출력신호를 하이레벨로 출력하여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0)의 모스트랜지스터(MN9)를 턴온시키도록 구성된다.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or 620 receives the polling alignment signal dsfz and outputs an output signal at a high level every predetermined period to turn on the MOS transistor MN9 of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0. It is composed.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0)는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0)의 출력신호에 의해 모스트랜지스터(MP8)가 턴온되는 경우에는 이를 래치하여 하이레벨의 리플링방지신호(disdsz)를 출력하고,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0) 및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0)의 출력신호에 의해 모스트랜지서터(MN8,MN9)가 턴온되는 경우에는 리플링방지신호(disdsz)를 로우레벨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morph transistor MP8 is turned on by the output signal of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 unit 610,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0 outputs a high level anti-ripple signal disdsz by latching it. When the morph transistors MN8 and MN9 are turned on by the output signals of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ler 610 and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or 620, the anti-ripple signal disdsz is output at a low level. It is configured to.

도10은 도7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도7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FIG. 10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illustrated in FIG. 7.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먼저 DQS 신호(DQS)가 천이되어 입력되는 시점마다 데이터는 데이터 패드(DQS pad)를 통해 데이터 입력버퍼(100)에 입력되어 버퍼링되고, 데이터 입력래치부(20)에 래치된다.First, at every point in time when the DQS signal DQS is transitioned and input, the data is input to the data input buffer 100 through the data pad DQS pad, buffered, and latched by the data input latch unit 20.

한편, DQS 신호 입력버퍼(400)는 입력되는 DQS 신호(DQS)를 기준신호(Vref)와 비교한 다음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0)로 출력한다.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0)는 DQS 신호 입력버퍼(400)에서 출력되는 신호(DQS_b)의 상승 천이시점에 동기된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와 DQS신호 입력버퍼(40)에서 출력되는 신호(DQS_b)의 하강 천이시점에 동기된 폴링 얼라인신호(dsfz)를 생성하여 데이터 얼라인부(30)로 출력한다.Meanwhile,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0 compares the input DQS signal DQS with the reference signal Vref and outputs the same to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0.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0 outputs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and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 synchronized with the rising transition point of the signal DQS_b output from the DQS signal input buffer 400.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synchronized with the falling transition point of the DQS_b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data alignment unit 30.

데이터 얼라인부(300)는 데이터 입력래치부(200)에 래치된 데이터를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와 폴링 얼라인신호(dsfz)에 동기시켜 얼라인 한 후 메모리 코어영역으로 출력(gio_od0, gio_od1, gio_ev0, gio_ev1)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 코어영역으로 출력되는 신호(gio_od0, gio_od1, gio_ev0, gio_ev1)는 메모리 장치의 동작클럭을 버퍼링한 클럭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게 된다.The data alignment unit 300 aligns the data latched by the data input latch unit 2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and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and then outputs the data to the memory core area (gio_od0, gio_od1). , gio_ev0, gio_ev1). Although not shown, the signals gio_od0, gio_od1, gio_ev0, and gio_ev1 output to the memory core region ar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signal buffered in the operation clock of the memory device.

한편, DQS 신호(DQS)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안만 클럭킹되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입력패드(DQS pad)를 통해 입력되는데,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고 나서는 일정한 레벨을 유지해야 한다.Meanwhile, the DQS signal DQS is clocked only while data is input and input through the data strobe signal input pad DQS pad. The DQS signal DQS should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after the data input is completed.

그러나, 메모리 모쥴(module)의 터미네이션(termination) 저항등으로 인해 데이터의 입력이 끝나고 나서도 DQS신호가 리플링되어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 또는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등으로 인한 데이터얼라인부(30)에서는 에러가 유발될 수 있다.However, the DQS signal may be rippled and input even after the data input is completed due to termination of the memory module. As a result, an error may occur in the data alignment unit 30 due to an unwanted polling alignment signal dsfz or a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장치에서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간동안만 폴링얼라인신호(dsfz) 또는 라이징얼라인 신호(dsrz)가 데이터얼라인부(300)로 입력되도록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600)를 두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in the memory device,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s such that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or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is input to the data alignment unit 300 only during a data input period. The prevention part 600 is provided.

데이터 얼라인 신호 생성부(500)는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 방지부(6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폴링얼라인신호(dsfz)와 라이징얼라인 신호(dsrz)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0 is configured to output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and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ng unit 600.

계속해서 도8와 도9를 참조하여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리플링 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0)는 동작클럭을 버퍼링한 클럭신호(clkp4)가 로우레벨로 천이될 때마다 리플링 방지 신호 출력부(630)의 모스트랜지스터(MN8)을 턴온시키고, 한편으로는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가 로우레벨로 천이될 때마다 리플링 방지 신호 출력부(630)의 모스트랜지스터(MP8)을 턴온시킨다.8 and 9, the operation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600 will be described.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ler 610 turns on the MOS transistor MN8 of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output unit 630 whenever the clock signal clkp4 buffering the operation clock transitions to a low level. Each time the rising align signal dsrz transitions to a low level, the MOS transistor MP8 of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0 is turned on.

또한,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0)는 폴링 얼라인신호(dsfz)가 로우레벨로 천이될 때마다 출력신호를 하이레벨로 활성화시켜 리플링 방지 신호 출력부(630)의 모스트랜지스터(MN9)을 턴온시킨다.In addition,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ing unit 620 activates the output signal to a high level whenever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transitions to a low level so that the morph transistor MN9 of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0 is activated. Turn on.

리플링방지신호 출력부(630)는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0)의 출력신호에 의해 모스트랜지스터(MP8)가 턴온되는 경우에는 이를 래치하여 비활성화된 하이레벨의 리플링방지신호(disdsz)를 출력하고, 리플링방지신호 리셋제어부(610) 및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620)의 출력신호에 의해 모스트랜지스터(MN8,MN9)가 턴온되는 경우에는 리플링방지신호(disdsz)를 로우레벨로 활성화시켜 출력한다. 결국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6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클럭신호(clkp4)에 동기시켜 출력하게 된다.When the morph transistor MP8 is turned on by the output signal of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 unit 610,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0 latches the high level anti-ripple signal disdsz. Outputs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disdsz to a low level when the MOS transistors MN8 and MN9 are turned on by the output signals of the rippl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ler 610 and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or 620. Enable it and print it out. As a result,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part 600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signal clkp4.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리플링 방지신호 리셋 제어부(610)에서는 클럭신호(clkp4)뿐만 아니라 라이징 얼라인신호(dsrz)의 천이시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리플링 방지 신호 출력부(630)는 이를 이용하여 제어신호(disdsz)를 하이레벨로 출력하기 된다.(도10의 Z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ler 610 outputs not only the clock signal clkp4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transition time of the rising alignment signal dsrz, and the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630. ) Outputs the control signal disdsz at a high level using this (see Z in FIG. 10).

그러므로 종래기술과는 달리 제어신호가 로우로 리셋된 상태에서 일정한 구간동안을 유지하다가 하이레벨로 되고, 이로 인해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500)에서 출력되는 폴링 얼라인 신호(dsfz)의 글리치는 생기지 않게 된다.(도10의 Z참조)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the control signal is kept low for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being reset to high level, and thus the glitches of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output from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500 are changed. It does not occur (see Z in Fig. 10).

폴링 얼라인 신호(dsfz)의 글리치는 생기지 않게 되면, 입력되는 데이터를 얼라인하여 메모리 코어로 출력하는 동작에 오류가 생기지 않게 되어 안정적인 메모리 장치의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glitch of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dsfz does not occur, the operation of aligning the input data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memory core does not cause an error,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해서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얼라인 하기 위한 데이터얼라인 신호의 글리치현상이 제거되어, 글리치현상에 의한 오동작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데이터 얼라인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litch phenomenon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for aligning the data input from the synchronous memory device is eliminated,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due to the glitch phenomenon, thereby enabling stable data alignment.

Claims (4)

동작클럭에 동기되어 데이터를 입출력시키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A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an operation clock,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동기되는 라이징 얼라인신호와 폴링얼라인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A data alig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ising align signal and a falling align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input data strobe signal;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 및 폴링 얼라인신호에 동기시켜 얼라인시킨 후 메모리 코어영역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부; 및A data aligning unit which aligns the data continuously in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align signal and the falling align signal and outputs the data to the memory core area; And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간동안에만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 및 폴링얼라인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얼라인 신호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폴링 얼라인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ata align signal generation unit so that the rising align signal and the falling align signal can be generated and output only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data is input, and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align signal.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be deactiv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alignment signal 를 구비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A synchronous memory device hav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는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part 상기 폴링 얼라인신호의 활성화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A data alignment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rol signal to be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falling alignment signal; 상기 라이징 얼라인신호의 활성화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될수 있도록 제어하는 리플링 방지신호 리셋 제어부; 및A ripple prevention signal reset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to be deactivated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rising alignment signal; And 상기 데이터 얼라인신호 감지부와 리플링 방지신호 리셋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리플링방지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And an anti-ripple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enabl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data alignment signal detector and the anti-ripple signal reset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얼라인신호 리플링방지부는The data alignment signal ripple prevention part 상기 동작클럭에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동작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peration cloc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신호를 입력받아 버퍼링한 후 상기 데이터 얼라인신호 생성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입력버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And a data strobe signal input buffer configured to receive and buffer the data strobe signal and output the buffered data strobe signal to the data alignment signal generator.
KR1020030051063A 2003-07-24 2003-07-24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 Withdrawn KR200500119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063A KR20050011984A (en) 2003-07-24 2003-07-24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063A KR20050011984A (en) 2003-07-24 2003-07-24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984A true KR20050011984A (en) 2005-01-31

Family

ID=3722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063A Withdrawn KR20050011984A (en) 2003-07-24 2003-07-24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198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56B1 (en) * 2005-06-09 2007-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72716B1 (en) * 2006-08-31 2007-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51600B1 (en) * 2007-06-12 2008-08-12 현대로템 주식회사 Electric car ventilation system
KR100865829B1 (en) * 2007-03-29 2008-10-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Noise Reduction Circuit of Memory Devices
KR100929845B1 (en) * 2007-09-28 2009-12-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715252B2 (en) 2007-09-28 2010-05-11 Hynix Semiconductor, Inc.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56B1 (en) * 2005-06-09 2007-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349290B2 (en) 2005-06-09 2008-03-25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72716B1 (en) * 2006-08-31 2007-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773709B2 (en) 2006-08-31 2010-08-10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865829B1 (en) * 2007-03-29 2008-10-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Noise Reduction Circuit of Memory Devices
US7548475B2 (en) 2007-03-29 2009-06-16 Hynix Semiconductor Inc. Apparatus of processing a signal in a memory device and a circuit of removing noise in the same
KR100851600B1 (en) * 2007-06-12 2008-08-12 현대로템 주식회사 Electric car ventilation system
KR100929845B1 (en) * 2007-09-28 2009-12-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715252B2 (en) 2007-09-28 2010-05-11 Hynix Semiconductor, Inc.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539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current consumed by input buffer circuit is reduced
US60160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litch protection for input buffers in a source-synchronous environment
KR100533965B1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preventing error operation by dqs ripple
KR100518608B1 (en) Data strobe input buffer and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US653895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providing address access time and data access time at a high speed
KR20030054053A (en) Pipe-latch control circuit in synchronous memory
KR100956772B1 (en) Ringing prevention device
KR20050064036A (en) Data strobe circuit using clk signal
KR20050011984A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deleting glitch of data align signal
KR100636930B1 (en) Data strobe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48461B1 (en) Data input circuit and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1004888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read method thereof
US6594190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output latch circuit outputting complementary data at high speed
KR20010004957A (en) A data strobe buffer in synchronous DRAM
KR100575860B1 (en) Data input control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296919B1 (en) Data strobe signal output buffers in memory device
KR100476381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900772B1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373348B1 (en) Data input device of DDR SDRAM
KR100670656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327191B1 (en) Address signal generator in a semiconductor memory
KR10063333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ata input of DI SDRAM
KR100738579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21187B1 (en) Buffer Circuit for Register Delay Synchronous Loop
KR100596837B1 (en) Data output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