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34887A -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887A
KR20050034887A KR1020030070646A KR20030070646A KR20050034887A KR 20050034887 A KR20050034887 A KR 20050034887A KR 1020030070646 A KR1020030070646 A KR 1020030070646A KR 20030070646 A KR20030070646 A KR 20030070646A KR 20050034887 A KR20050034887 A KR 2005003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supply
square wave
supply voltage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4887A/ko
Priority to US10/921,996 priority patent/US20050078975A1/en
Priority to JP2004298066A priority patent/JP2005122170A/ja
Publication of KR2005003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8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에서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로 조정하고, 조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전압 조정부;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로부터 입력한 크기 조정된 신호를 소정 위상 시프트하고,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시프트부; 및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로부터 입력한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부로부터 입력한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전압의 크기 및 주파수 변동에 무관하게 항상 교류 전원의 피크에서 전원전압 동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정착기의 트라이액이나 SCR을 효과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정착기 구동회로의 역률 개선 및 플리커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순시적인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power source voltage synchronizing signal}
본 발명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에서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는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하여 고열을 필요로 한다. 고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교류전원을 이용한다. 교류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정착기에 높은 전류가 흘러 플리커 특성을 열악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플리커 특성이란, 주변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을 일시적으로 미약하게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플리커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은 "Flicker suppression device in electronic equipment"라는 제목의 미국특허번호 제6,240,263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및 정착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정착기(10), 정착기 제어부(20), 메인 제어부(30) 및 전원 입력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정착기 제어부(20)는 트라이액(Triac) 구동부(22), 트라이액 스위칭부(24) 및 제어신호 수신부(26)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정착기 온도를 검출하고 정착기 온도 상승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상기 정착기 제어부(2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26)는 상기 메인 제어부(30)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트라이액 스위칭부(24)는 상기 트라이액 구동부(22)를 통해 전원 입력부(40)로부터 교류 전원을 정착기(10)에 공급하도록 스위칭한다.
상기 트라이액 구동부(22)는 역률 개선 및 스파이크성 전류 감소를 위하여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 시점에서 트라이액을 턴온(Turn ON)한다. 그러나, 이때 전원전압의 위상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불규칙하게 턴온될 수 있고, 따라서 플리커 특성을 개선할 수 없다. 또한, 전력사용 변화율에 의해 규제를 받는 플리커 규격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순시적인 정착기의 전력제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순시적인 전력제어를 구현하기 위해서도 전원전압의 위상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더욱이, 고속 대용량급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는 정착기의 열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므로, 순시적인 전력제어를 통한 전력 사용 변동치를 최소화하지 않을 경우 플리커 규정을 통과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크기(110 볼트 또는 220 볼트) 및 주파수(50Hz또는 60Hz)에 관계없이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전압의 크기 및 주파수 변동에 무관하게 전원전압의 피크에서 정착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전압의 크기 및 주파수 변동에 무관하게 전원전압의 피크에서 정착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에서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로 조정하고, 조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전압 조정부;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로부터 입력한 크기 조정된 신호를 소정 위상 시프트하고,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시프트부; 및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로부터 입력한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부로부터 입력한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에서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로 조정하고, 조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전압 조정 단계;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소정 위상 시프트하고,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시프트 단계; 및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정착기(110), 정착기 제어부(120), 메인 제어부(130), 전원 입력부(140) 및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200)는 입력전압 조정부(210), 위상 시프트부(220) 및 동기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신호 생성부(230)는 구형파신호 생성부(232), 클램핑부(234) 및 논리회로부(2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200)는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에서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210)는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이내로 조정하고, 조정된 신호를 상기 위상 시프트부(2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크기 이내의 전압은 연산 증폭기(OP Amp)나 논리회로등 제어회로에 입력으로 인가 가능한 전압으로서, 예를 들어 18 볼트(V)이다. 상기 위상 시프트부(220)는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로부터 입력한 크기 조정된 신호를 소정 위상 시프트하고,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상기 동기신호 생성부(23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상 시프트부(220)는 연산 증폭기(OP-Amp; operational amplifier)를 이용한 미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분회로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90° 지연한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위상 시프트부(220)는 상기 미분회로 대신에 적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분회로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90° 선행하는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동기신호 생성부(230)는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로부터 입력한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부로부터 입력한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착기(1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형파신호 생성부(232)는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각각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를 상기 클램핑부(234)로 출력한다. 상기 구형파신호 생성부(232)는 제1 및 제2 비교기(X3, X4 ; 도 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교기(X3)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제1 구형파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비교기(X4)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제2 구형파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클램핑부(234)는 상기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의 음(negative)의 전압을 클램핑하여 제1 및 제2 양(positive)의 구형파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클램핑부(234)는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 ; 도 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D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형파신호를 클램핑하여 제1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D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구형파신호를 클램핑하여 제2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논리회로부(236)는 하나 이상의 논리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부(234)로부터 입력한 제1 및 제2 양의 구형파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는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신호이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동기신호로서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동기신호는 상기 정착기 제어부(120)에서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 소자로서 사이리스터(Thyristor),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트라이액(Triac),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가 사용된다. 즉,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트라이액과 같은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는 경우, 원하는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 시점에 턴온(Turn ON)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상 시프트부(220)가 미분회로를 포함하는 경우, 논리회로부(236)는 3개의 논리회로를 포함한다. 3개의 논리회로는 논리곱(AND) 회로, 부정 논리합(NOR) 회로 및 논리합(OR) 회로이다. 상기 AND 회로 및 NOR 회로에는 상기 제1 양의 구형파신호 및 제2 양의 구형파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AND 회로 및 NOR 회로의 출력은 상기 OR 회로에 입력되고 상기 OR 회로의 출력이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신호가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위상 시프트부(220)가 적분회로를 포함하는 경우, 논리회로부(236)는 배타적 논리합(XOR; exclusive OR)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OR 회로의 출력이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신호가 된다.
도 3의 회로도에 대한 추가 설명은 간략함을 위해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입력되는 전원전압이 220 볼트(V)인 경우 도 3의 회로도의 전압 파형들을 도시하고, 도 5a 내지 도 5f는 입력되는 전원전압이 110 볼트(V)인 경우 도 3의 회로도의 전압 파형들을 도시한다. 여기서, X 축은 시간(초)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압(V)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5a에는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210)에 입력되는 전원전압 신호 파형(V_in; 도 3)이 도시된다. 도 4b 및 도 5b에는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210)에서 출력되는 크기 조정된 신호 파형(V_sen; 도 3)이 도시된다. 도 4c 및 도 5c에는 상기 위상 시프트부(220)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V_diff; 도 3)으로서,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에 90° 지연된 위상 시프트된 신호 파형이 도시된다. 도 4d 및 도 5d에는 제1 비교기(X3)에서 출력되는 제1 구형파신호 파형(V_comp1; 도 3)이다. 도 4e 및 도 5e에는 제2 비교기(X4)에서 출력되는 제2 구형파신호 파형(V_comp2; 도 3)이다. 도 4f 및 도 5f에는 상기 논리회로부(236)에서 출력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파형(V_out; 도 3)이다.
도 4f 및 도 5f에 도시된 동기신호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전원전압 신호의 피크에 동기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a가 220 볼트의 전원전압 신호이고 도 5a가 110 볼트의 전원전압 신호로 상이하지만, 그 결과인 도 4f 및 도 5f의 출력 파형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는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크기에 무관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220 볼트와 110 볼트의 전원전압을 예로 들었지만, 110 볼트 내지 220 볼트의 전원전압, 110 볼트 미만의 전원전압 및 220 볼트를 초과하는 전원전압에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f 및 도 5a 내지 도 5f는 주파수가 50Hz인 전원전압에 대한 파형을 도시하고 있지만, 주파수가 60Hz인 전원전압에 대한 출력 신호도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 신호가 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50Hz 내지 60Hz의 주파수, 50Hz 미만의 주파수 및 60Hz를 초과하는 주파수를 갖는 전원전압에 대한 출력 신호도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 신호가 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동기신호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에서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 이내의 전압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전압 조정 단계(S10),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소정 위상 시프트하고,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시프트 단계(S20), 및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생성 단계(S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크기 이내의 전압은 연산 증폭기(OP Amp)나 논리회로등 제어회로에 입력으로 인가 가능한 전압으로서, 예를 들어 18 볼트(V)이다.
상기 동기신호 생성 단계(S30)는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각각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를 출력하는 구형파신호 생성 단계(S32)를 포함한다. 상기 구형파신호 생성 단계(S32)에서는 제1 비교기(X3; 도 3)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가 제1 구형파 신호로 변환되고, 제2 비교기(X4; 도 3)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제2 구형파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동기신호 생성 단계(S30)는 상기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의 음의 전압을 클램핑하여 제1 및 제2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하는 클램핑 단계(S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단계(S34)에서는 제1 다이오드(D1; 도 3)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형파신호가 클램핑되어 제1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되고, 제2 다이오드(D2; 도 3)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구형파신호가 클램핑되어 제2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동기신호 생성 단계(S30)에서는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양의 구형파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는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신호이다.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S20)에서는 OP-Amp(X2; 도 3)를 포함하는 미분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90° 지연한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S20)에서 적분회로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90° 선행하는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출력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전압의 크기 및 주파수 변동에 무관하게 항상 교류 전원의 피크에서 전원전압 동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정착기의 트라이액이나 SCR을 효과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정착기 구동회로의 역률 개선 및 플리커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순시적인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전압의 크기 및 주파수 변동에 무관하게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전원전압의 크기 및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세계의 모든 복사기나 프린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구성적인 측면에서도 몇 개의 IC만을 추가로 사용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및 정착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회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입력되는 전원전압이 220 볼트인 경우 도 3의 회로도의 전압 파형들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입력되는 전원전압이 110 볼트인 경우 도 3의 회로도의 전압 파형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동기신호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정착기, 120...정착기 제어부,
130...메인 제어부, 140...전원 입력부,
200...동기신호 생성장치, 210...입력전압 조정부,
220...위상 시프트부, 230...동기신호 생성부,
232...구형파신호 생성부, 234...클램핑부,
236...논리회로부.

Claims (20)

  1.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에서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로 조정하고, 조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전압 조정부;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로부터 입력한 크기 조정된 신호를 소정 위상 시프트하고,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시프트부; 및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로부터 입력한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부로부터 입력한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생성부는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각각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를 출력하는 구형파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파신호 생성부는 제1 및 제2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교기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제1 구형파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비교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제2 구형파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의 음의 전압을 클램핑하여 제1 및 제2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하는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제1 및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형파신호를 클램핑하여 제1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구형파신호를 클램핑하여 제2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생성부는 하나 이상의 논리회로를 포함하는 논리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입력한 제1 및 제2 양의 구형파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생성부는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로서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시프트부는 미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미분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90° 지연한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시프트부는 적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분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90° 선행하는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 조정부는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을 연산 증폭기(OP Amp)나 논리회로에 입력으로 인가 가능한 전압의 크기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장치.
  11. 토너 화상 정착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에서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로 조정하고, 조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전압 조정 단계;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소정 위상 시프트하고,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시프트 단계; 및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를 각각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를 출력하는 구형파신호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파신호 생성 단계에서는 제1 비교기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가 제1 구형파 신호로 변환되고, 제2 비교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제2 구형파 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구형파신호의 음의 전압을 클램핑하여 제1 및 제2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하는 클램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단계에서는 제1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형파신호가 클램핑되어 제1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되고, 제2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구형파신호가 클램핑되어 제2 양의 구형파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생성 단계에서는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양의 구형파신호를 조합하여 전원전압의 동기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생성 단계에서는 전원전압의 동기신호로서 전원전압의 피크에 동기화된 펄스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에서는 미분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90° 지연한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에서는 적분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크기 조정된 신호를 90° 선행하는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 조정 단계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한 전원전압이 연산 증폭기(OP Amp)나 논리회로에 입력으로 인가 가능한 전압의 크기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방법.
KR1020030070646A 2003-10-10 2003-10-10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Ceased KR20050034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646A KR20050034887A (ko) 2003-10-10 2003-10-10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US10/921,996 US20050078975A1 (en) 2003-10-10 2004-08-20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fixer
JP2004298066A JP2005122170A (ja) 2003-10-10 2004-10-12 定着器制御装置及び定着器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646A KR20050034887A (ko) 2003-10-10 2003-10-10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887A true KR20050034887A (ko) 2005-04-15

Family

ID=3442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646A Ceased KR20050034887A (ko) 2003-10-10 2003-10-10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078975A1 (ko)
JP (1) JP2005122170A (ko)
KR (1) KR200500348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839B1 (ko) * 2006-03-14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 신호를 이용한 인쇄 방법 및 장치
US7719749B1 (en) * 2007-11-29 2010-05-18 Oasis Advanced Engineering, Inc. Multi-purpose periscope with display and overlay capab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911A (en) * 1980-01-29 1982-04-27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Reactive ion etching of III-V compounds including InP, GaAs-InP and GaAlAs
US4557797A (en) * 1984-06-01 1985-12-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sist process using anti-reflective coating
WO1991003769A1 (en) * 1989-09-08 1991-03-21 Olin Hunt Specialty Products Inc. Radiation-sensitive compositions containing fully substituted novolak polymers
US5324620A (en) * 1989-09-08 1994-06-28 Ocg Microeletronic Materials, Inc. Radiation-sensitive compositions containing novolak polymers made from four phenolic derivatives and an aldehyde
US5023164A (en) * 1989-10-23 1991-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ly sensitive dry developable deep UV photoresist
US5346799A (en) * 1991-12-23 1994-09-13 Ocg Microelectronic Materials, Inc. Novolak resins and their use in radiation-sensitive compositions wherein the novolak resins are made by condensing 2,6-dimethylphenol, 2,3-dimethylphenol, a para-substituted phenol and an aldehyde
JP2694097B2 (ja) * 1992-03-03 1997-12-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3359141B2 (ja) * 1994-01-28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
US5891350A (en) * 1994-12-15 1999-04-06 Applied Materials, Inc. Adjusting DC bias voltage in plasma chambers
US5585012A (en) * 1994-12-15 1996-12-17 Applied Materials Inc. Self-cleaning polymer-free top electrode for parallel electrode etch operation
US5541033A (en) * 1995-02-01 1996-07-30 Ocg Microelectronic Materials, Inc. Selected o-quinonediazide sulfonic acid esters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radiation-sensitive compositions
US5667650A (en) * 1995-02-14 1997-09-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flow gas manifold for high rate, off-axis sputter deposition
US5964949A (en) * 1996-03-06 1999-10-12 Mattson Technology, Inc. ICP reactor having a conically-shaped plasma-generating section
US5980768A (en) * 1997-03-07 1999-11-09 Lam Research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photoresist mask defects in a plasma reactor
US6078738A (en) * 1997-05-08 2000-06-20 Lsi Logic Corporation Comparing aerial image to SEM of photoresist or substrate pattern for masking process characterization
NL1006388C2 (nl) * 1997-06-25 1998-12-29 Oce Tech Bv Inrichting voor de regeling van vermogenstoevoer aan een belasting in een reproduktie-apparaat, in het bijzonder aan een fixeer-eenheid.
US6541164B1 (en) * 1997-10-22 2003-04-01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etch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US6066578A (en) * 1997-12-01 2000-05-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organic vapor surface treatment for photoresist adhesion promotion
US6240263B1 (en) * 1997-12-19 2001-05-29 Canon Kabushiki Kaisha Flicker suppression device in electronic equipment
US6180316B1 (en) * 1998-01-16 2001-01-30 Jsr Corporation Radiation sensitive resin composition
US6316167B1 (en) * 2000-01-10 2001-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unabale vapor deposited materials as antireflective coatings, hardmasks and as combined antireflective coating/hardmask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CN1273646A (zh) * 1998-07-10 2000-11-15 克拉瑞特国际有限公司 底部抗反射涂层组合物和用于该组合物的新型聚合物染料
US6159863A (en) * 1999-01-22 2000-12-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Insitu hardmask and metal etch in a single etcher
US6146793A (en) * 1999-02-22 2000-11-14 Arch Specialty Chemicals, Inc. Radiation sensitive terpolymer, photoresist compositions thereof and 193 nm bilayer systems
US6111230A (en) * 1999-05-19 2000-08-29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C power while meeting the European flicker and harmonic requirements
US6342452B1 (en) * 1999-05-20 2002-0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Si3N4/polycide structure using a dielectric sacrificial layer as a mask
BR0003627A (pt) * 1999-08-16 2001-04-03 Xerox Corp Controle de fusor sem tremulação
US6423644B1 (en) * 2000-07-12 2002-07-23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etching tungsten or tungsten nitride electrode gates in semiconductor structures
US6468915B1 (en) * 2000-09-21 2002-10-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silicon oxynitride ARC removal after gate etching
US20020145415A1 (en) * 2001-04-09 2002-10-10 Vanremmen William Joh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instantaneous power of a sinusoidal signal
JP3664136B2 (ja) * 2002-01-22 2005-06-22 村田機械株式会社 ヒータ通電制御回路
US6927368B2 (en) * 2003-03-27 2005-08-09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to a heater element using dual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78975A1 (en) 2005-04-14
JP2005122170A (ja)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06513B (zh) 同步整流管的关断控制电路及同步整流控制电路
US5742496A (en) Invertor apparatus for converting a DC voltage to a single-phase AC voltage
US5923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iezoelectric transformer
JP3578930B2 (ja) 発電機および発電機装置
US4866592A (en) Control system for an inverter apparatus
JP3636420B2 (ja) 交流ライン電圧に接続される消費者用機器の出力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JP6161998B2 (ja) 電源装置及び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
KR101397728B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050034887A (ko) 전원전압 동기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US5519190A (en) Heater driving device for supplying AC power to a heater
GB2275384A (en) Controlling amplifier power supply in dependence on signal level
RU88486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иристорным регулятором напряжения
KR100891109B1 (ko) 디스플레이기의 고압 레귤레이션 신호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JP3567813B2 (ja) ゼロクロス制御装置
JP6399019B2 (ja) ゲート電圧制御装置
JPH1052754A (ja) 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
JP2697681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H10216936A (ja) ア−ク加工用電源装置
KR100239448B1 (ko) 클럭발진기
JPH1032980A (ja) 電圧変換装置
JP2018137733A (ja) 検知装置、コントローラおよび画像形成装置
RU2398342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иристорным регулятором напряжения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KR100829010B1 (ko) 전원공급장치
JP200006012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5327607A (ja) 位相制御式調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312

Appeal identifier: 2006101001522

Request date: 2006022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20

Effective date: 2007031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31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0220

Decision date: 20070312

Appeal identifier: 200610100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