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3294A -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294A
KR20050043294A KR1020030078129A KR20030078129A KR20050043294A KR 20050043294 A KR20050043294 A KR 20050043294A KR 1020030078129 A KR1020030078129 A KR 1020030078129A KR 20030078129 A KR20030078129 A KR 20030078129A KR 20050043294 A KR20050043294 A KR 20050043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e
call
user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3294A/en
Publication of KR2005004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29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전화 단말기의 각 구성부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capable of saving battery power by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ach component of a mobile phone terminal.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통화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초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의 통화 기록 및 메시지 수신을 위한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o this end,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a power saving mode, the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deactivates components other than the call function to perform the call function.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an ultra power saving mode, the mobile terminal may deactivate components other than a function for recording a call and receiving a message to store the received information.

Description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전화 단말기의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lephon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each component of a mobile telephone terminal.

이동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보장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전화 단말기는 전원 공급원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러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따라 1회 충전에 의하여 최대 사용 시간이 결정된다. 하지만 다양한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많은 전류 소모가 발생하여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면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의 큰 제약사항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요즈음은 배터리 자체의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이전까지의 배터리 사용시간보다도 훨씬 뛰어난 성능을 보장하는 배터리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충전 용량을 늘리는 배터리 자체의 기술 개발 이외에도 이동 전화 단말기 자체적으로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켜 배터리 전원을 최대한 절약하는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The basic requirement for using a mobile phone terminal is the long-term use of the battery. In general, a mobile phone terminal uses a rechargeable battery as a power source, and the maximum use time is determined by one charge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However, using a mobile terminal with various functions consumes a lot of current and if the battery needs to be replaced frequently, it will be a big limitation of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of the battery itself is progressing these days, and the battery which is guaranteed to be much superior to the battery life until now is being developed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to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battery itself to increase the battery charging capacity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terminal itself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ing technology that minimizes the current consumption to save the battery power.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 전화 단말기는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따라 사용 가능 시간이 결정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한정적인 배터리 전원에 의존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처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확인하지 못한 사이에 배터리 전원이 이동 전화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배터리 용량 이하로 떨어져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잔존 용량 부족으로 상대방과 통화중에 통화가 단절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는 배터리 잔존 용량 부족시에도 이동 전화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유지하는데 실제 필요하지 않은 키입력부나 표시부 등에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the usable tim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provided battery. As a result, users rely on limited battery power to use mobile phone terminals. Therefore, while the user cannot confirm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the battery power is frequently used to fall below the battery capacit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addition, the call is frequently disconnected while talking to the other party due to the lack of battery remaining capacity. I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is caused by continuously supplying power to a key input unit or a display unit which is not actually required to maintain a cal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even when the battery remaining capacity is insuffici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여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battery power by controlling power of a mobile phone terminal.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을 받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통화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초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의 통화 기록 및 메시지 수신을 위한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현재 모드와 상관없이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mobile phone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key input for setting a power control mode from a user, and a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as a power saving mode.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deactivating components other than the call function to perform a call function; and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an ultra power saving mode, Deactivating components other than a function for recording a call and receiving a message, and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checking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ging a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If there is a key input to change the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It characterized by yirueojim including the step of return to the normal power mode, regardless of the material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먼저 제어부(100)는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전화 단말기의 무선 통화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후술될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여기서 소정의 전원은 전원 공급부(115)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말하며, 전원 공급부(115)는 이동 전화 단말기의 각 구성부에 후술하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해당 구성부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등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한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해당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부(1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스위치부(120)는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전원 공급부(115)로부터 해당 구성부에 전원 공급을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a power source of a mobile telephon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ntroller 100 receives a predetermined power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and controls each component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predetermined power refers to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5, and the power supply unit 115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described later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set when the power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Here, the control unit 10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to the switch unit 120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se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switch unit 12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connects or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5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trol mode.

그리고 송수신부(105)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라 송수신부(105)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서 호 착신시 기지국에 이동 전화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연결 불능 상태임을 알리는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송수신부(105)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송수신부(105)로 출력한다. The transmitter / receiver 105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05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to control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when the call is in the state that the stat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incapable of call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Notify sends a response message. The voice processor 110 converts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105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Output to the unit 105.

그리고 표시부(125)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각종 정보 및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125)는 사용자가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5)는 사용자에 의한 전원 제어 모드 변경시 전원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25)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35)는 백라이트(130)를 구비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이동 전화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하고 스위치부(120)를 통한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된다. 여기서 표시부(125) 및 백라이트(130)의 오프 상태는 전원 공급부(115)로부터 표시부(125) 및 백라이트(130)에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상태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폴더/플립등의 개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백라이트(130)는 온 되고, 폴더/플립의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키입력이 없으면 백라이트(130)는 오프된다. 이와 달리 표시부(125)는 폴더/플립 등의 개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온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125)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오프되며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임의의 특정키를 통한 키입력이 있으면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되면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를 표시하기 위하여 온 된다.The display unit 125 display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hort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25 displays a power control selection menu for allowing a user to set a power control mod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5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ower control mode is changed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changed by the user. The display device 135 including the display unit 125 includes a backlight 130, and displays the state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witch unit 120 (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100). Here, the off state of the display unit 125 and the backlight 130 refers to a disconnection state o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5 to the display unit 125 and the backlight 130. Typically, the backlight 130 is turned on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opening of a folder / flip, and the backlight 130 is turned off when there is no key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user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 flip. In contrast, the display unit 125 is turned on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opening of a folder / flip or the lik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25 is turned off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set by the user and when the user inputs a key through any specific key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the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is displayed while being changed to the normal power mode. Come to do.

그리고 링거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링 신호 수신시 링거음을 출력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링거부(140)는 호 착신이 있어 링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링거음을 출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키입력부(145)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50)는 이동 전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모리부(150)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이동 전화 단말기의 통화 기록 및 메시지 수신을 위한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하는 초절전 모드인 경우 착신시 착신에 불응하여 수신된 통화 기록 및 메시지를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ringer 140 outputs ringing sound when the ring signal is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However,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set by the user, the ringer unit 140 does not output the ringing tone even if a ring signal is received because the call is received. The key input unit 145 includes various keys including numeric keys to provide the control unit 10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5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voi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Memory, etc.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50 is received in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er power saving mode that deactivates components other than a function for call recording and message reception of a mobile phone terminal. Save call logs and messag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를 표시부(125)를 통해 표시한다. 표시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메뉴인 절전 모드에서는 제어부(100)가 표시장치(13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통화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시킨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로부터 메뉴를 통한 전원 제어 모드 설정시 제어부(100)는 표시장치(135)를 오프시키고, 사용자는 단지 일반 전화기 사용법과 같은 통화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듯이 외워놓은 단축키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두번째 메뉴인 초절전 모드에서는 제어부(100)는 표시장치(13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통화 기능에 필요한 구성부들을 비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더라도 제어부(100)는 벨소리와 진동 기능 등을 작동시키지 않는 통화 연결 불능 상태를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착신시 예컨대 부재중 통화 기록 또는 메시지 등을 메모리부(150)에 저장한다. Hereinafter, a control flowchart for setting a power supply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rst,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through the display unit 125 that allows a user to selectively set a power control mode. The displayed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power saving mode, which is the first menu, the controller 100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35 and deactivates components other than the call function. In other words, when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through the menu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00 turns off the display device 135, and the user can use only a call function such as a general phone usage. That is, the user may enter a hotkey or a phone number memorized as if using a general telephone to talk with the other party. In the second power saving mode, the control unit 100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35 and deactivates components required for the call function. Accordingly, even if there is an incoming call from the base station,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a call disconnection state that does not operate a ring tone and a vibration function.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0 stores, for example, a missed call record or a message in the memory unit 150 when the call is received.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제어 선택 메뉴에는 절전 모드와 초절전 모드 2가지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 모드들은 크게 4가지로 나뉘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절전 모드와 초절전 모드 이외에도 이동 전화 단말기의 모드에는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원 제어 단계인 제어부(100)가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이 없으면 백라이트(130)를 오프시키고 폴더/플립이 개방되지 않으면 표시부 (125)를 비롯한 해당 구성부들을 오프시키는 일반 전원 모드가 있다. 또한 제어부(100)가 스위치부(120)를 통해 이동 전화 단말기의 모든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오프시킨 전원 오프 모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trol selection menu has two kinds of power saving mode and ultra power saving mode, but the power mod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ultra power saving mode, the control unit 100, which is a power control stage currently being used mainly in the mod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turns off the backlight 130 and opens the folder / flip when there is no key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If not, there is a general power mode that turns off the components, including display 125. In addition, there is a power off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100 turns off the power supplied to all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witch unit 120.

전술한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 제어 모드 중에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원하는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0)는 (200)단계에서 표시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 중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선택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메뉴는 일반 전원 모드에서 표시장치(135)를 통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장치(135)가 온 되는 일반 전원 모드에서 전원 제어 모드 선택 또는 변경을 위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표시된 전원 제어 모드 중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선택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절전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도는 도 3에 도시하였고,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초절전 모드인 경우의 제어흐름도는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후술한다. Among the power control modes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phone terminal, the user can selectively set a desired power control mode. First, the controller 100 detects whether there is any one selection from the user among the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displayed in step 200. The power control mode selection menu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5 in the normal power mode.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a menu for selecting 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in the general power mod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35 is turned on. If any one of the displayed power control mode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05 to operate in the set power control mode. Here, the control flow chart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3, and the control flow chart when the power control mode is the ultr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4 is shown. 3 and 4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어부(100)는 (210)단계에서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로 동작하면서 사용자로부터 현재의 전원 제어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키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 결과 현재의 전원 제어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2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 (215)단계에서 제어부 (100)는 현재의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현재의 전원 제어 모드를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일반 전원 모드에서는 표시장치(135)가 온되어 제어부(100)는 (220)단계에서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22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 선택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through any specific key for changing the current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while operating in the power control mode set in step 210. If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ging the current power control mode as a result of the sensing,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5. In operation 215, the controller 100 changes the current power control mode to the general power mode in order to display a menu for changing the current power control mode. As described above, in the normal power mode, the display device 135 is turned on so that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menu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in step 220. Herein,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whether there is a menu selection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in step 225.

만약 사용자로부터 예컨대 취소키와 같은 기능키를 입력받아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 선택을 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는 (230)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전원 모드로 동작하며 이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 선택이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235)단계로 진행하여 표시장치(135)를 통해 전원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240)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If the user does not select a menu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by receiving a function key such as a cancel key,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30 to operate in the general power mode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 In contrast,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35 and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ower control mode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5.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40 to control each component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power control mode.

이하 도 2의 (205)단계인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제어흐름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205)단계에서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는 (300)단계로 연계되고, 이에 따른 제어흐름도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제어부(1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신호를 스위치부(120)로 출력하여 표시장치(13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통화 기능에 필요한 구성부 이외의 각 구성부들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0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flow chart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trol mode in step 205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rst, a control flowchart for performing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in step 205 of FIG. 2 is a power saving mode, it is linked to step 300, and the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as described above is the power saving mode,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05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unit 120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35 and to perform the call function. Deactivate each component other than the component. Then,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10 and maintains a standby state to perform a call function in the power saving mode.

이러한 제어부(100)는 (315)단계에서 송수신부(105)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착신이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320)단계에서 착신에 대해 링거부(140)를 통해 링신호를 출력하거나 진동 또는 LED를 깜빡이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한테 착신을 통보한다. 이러한 착신 통보에 대응하여 제어부(100)는 (325)단계에서 통화 연결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키가 입력되었다면 제어부(100)는 (33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340)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살핀다. 여기서 통화가 종료되었다면 제어부(100)는 다시 절전 모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32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키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00)는 통화 연결 실패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345)단계에서 통화 연결 실패에 따른 예컨대 부재중 수신된 통화 기록을 메모리부(150)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call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105 in step 315. If there is an incoming cal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100 notifies the incoming call to the user by outputting a ring signal through the ringer 140 or by vibrating or blinking the LED at step 320. In response to the call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call connection in step 325. If the call connection key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35 to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the call and checks whether the call is terminated in step 340. If the call is terminated, the controller 100 again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mode. In contrast, when there is no key input for call connection from the user in step 325,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a call connection failur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stores, for example, the missed call record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failure in the memory unit 150 in step 345.

한편, (315)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없는 상태에서 제어부(100)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단축키 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림이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해당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하여 (335)단계에서 통화 연결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340)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살핀다. 여기서 통화가 종료되었다면 제어부(100)는 다시 절전 모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n step 315, when there is no incoming call from the base station,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3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calling. 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a shortcut key for a call connection or a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the controller 100 performs a call connection in step 335 by making a call connection to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call is terminated in step 340. If the call is terminated, the controller 100 again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mo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초절전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205)단계에서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초절전 모드인 경우 (400)단계로 연계되고, 이에 따른 제어흐름도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초절전 모드인 경우 제어부(100)는 (405)단계에서 이동 전화 단말기의 통화 기록 및 메시지 수신을 위한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시킨다. 즉, 제어부(100)는 메모리부 (150) 및 통화 기록 또는 메시지 수신에 필요한 구성부만 온시킨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00)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대기상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신 대기상태에서 제어부(100)는 (415)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초절전 모드에 따른 이동 전화 단말기가 통화 연결 불능 상태임을 알리는 응답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착신에 따른 착신 통보를 하지 않아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다만 제어부(100)는 예컨대 부재중 수신된 통화 기록 및 수신된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메모리부(15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초절전 모드 상태이기 때문에 표시부에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수 없고 일반 전원 모드에서만 수신된 정보를 표시장치(135)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 제어 모드를 초절전 모드에서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해야만 수신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4 which is a control flowchart for performing the ultr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in step 205 of FIG. 2 is an ultra power saving mode, the control flow is linked to step 400, and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is may be described below.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the ultra power saving mod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00 deactivates components other than a function for receiving a call record and a messag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step 405. That is, the controller 100 turns on only the memory 150 and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receiving a call record or a message. Then,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410 to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the standby state. In this waiting stat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call from the base station in step 415. If there is an incoming call from the base station,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420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mobile 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ultra low power mode is incapable of call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does not make an incoming call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so that the call is not connected. However, the controller 100 stores,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a missed call log and a received message in the memory unit 150. Since the controller 100 is in the ultra power saving mode, the controller 100 cannot display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but displays the received information only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5 in the general power mode. Therefore, the user can confirm the received information only by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ltra power saving mode to the normal power mo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절전 모드 수행을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이동 전화 단말기는 통화 기능과는 무관한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오프한다. 즉, 이동 전화 단말기는 통화중에는 이용하지 않는 표시장치(135)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통화에 따른 해당 기능만을 수행하여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초절전 모드 수행을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이동 전화 단말기는 표시장치(135) 및 통화 기능에 필요한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오프하며 착신시 상대방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부의 전원을 온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key input for performing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terminal turns off the power supplied to each component irrelevant to the call function. That is, the mobile phone terminal can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display device 135 that is not used during a call to perform only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call to suppress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key input for performing the ultr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terminal turn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display device 135 and each component necessary for the call function, and when the incoming call returns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or message. Power on the components needed to recei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이동 전화 단말기의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전화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해당 구성부들의 전원 공급을 달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is set by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saves battery power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trol mode.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In this way, the mobile phone terminal can vary the power supply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and can save the battery power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requ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a power source of a mobile telephon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for setting a power supply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chart for performing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초절전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for performing a super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mobile telephone terminal,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통화 기록 데이터 및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call log data and messages;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의 각 구성부에 전원 공급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와,A switch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power supply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사용자로부터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 설정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각 구성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부를 스위칭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a switch unit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each component unit in accordance with a set mode when setting a mode for controlling power from a user.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mobile telephone terminal,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을 받는 과정과,Receiving a key input for setting a power control mode from a user,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통화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절전 모드 수행 과정과,Performing a power saving mode to cut off power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deactivate components other than a calling function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a power saving mode;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가 초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의 통화 기록 및 메시지 수신을 위한 기능 이외의 구성부들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초절전 모드 수행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performing a function of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by deactivating components other than a function for recording a call and receiving a message when the power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an ultra power sav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을 받는 과정 이전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선택 메뉴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power control selection menu through a display device to allow the user to selectively set the power control mode before receiving a key input for setting the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How to feature. 제 2항에 있어서, 절전 모드 또는 초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도중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a power saving mode or a deep sleep mode.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ging a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현재 모드와 상관없이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하는 과정과,If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ging the power control mode from the user, changing to the general power mode regardless of the current mode; 상기 일반 전원 모드로 변경 후 상기 사용자가 전원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전원 제어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power control selection menu so that the user can change a power control mode after changing to the general power mode; 상기 표시된 전원 제어 선택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는 과정과,Receiving a selection from a user through the displayed power control selection menu; 상기 선택된 전원 제어 모드로 전원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display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ower control mode has been changed to the selected power control mode through a display devic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절전 모드 수행 과정은 The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수신 대기 상태에서 착신이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for incoming calls while listening; 착신 또는 발신시 통화 연결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 일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a general call function when there is a key input for call connection at incoming or outgoing; 착신시 통화 연결이 실패할 경우 수신된 통화 기록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toring the received call log data in the memory unit if the call connection fails when the call is receiv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초절전 모드 수행 과정은The ultra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수신 대기 상태에서 착신이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for incoming calls while listening; 착신시 기지국에 통화 연결 불능 상태임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indicating that the call is unavailable when the call is received; 상기 착신시 수신된 통화 기록 데이터 및 메시지만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toring only the call record data and the message received at the incoming call in the memory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수신된 통화 기록 또는 메시지를 일반 전원 모드에서만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received call log or message through a display device only in a normal power mode.
KR1020030078129A 2003-11-05 2003-11-05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Ceased KR200500432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29A KR20050043294A (en) 2003-11-05 2003-11-05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29A KR20050043294A (en) 2003-11-05 2003-11-05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94A true KR20050043294A (en) 2005-05-11

Family

ID=3724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129A Ceased KR20050043294A (en) 2003-11-05 2003-11-05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329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121A (en) * 2003-11-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of battery consump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110068027A (en) * 2009-12-15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WO2015184822A1 (en) * 2014-11-21 2015-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121A (en) * 2003-11-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of battery consump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110068027A (en) * 2009-12-15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WO2015184822A1 (en) * 2014-11-21 2015-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6373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apparatus in PDA phone
US7194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ing control of mobile terminal
JP4101213B2 (en) Voice call method, voice call program, and voice call device
US20080020708A1 (en) Blue tooth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network phone supported as extension thereof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CN101119562A (en) Method for saving battery by controlling display in portable phone
KR20050043294A (en)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KR20040013632A (en) Apparatus for ear microphone and method thereof
JP5041850B2 (en) Telephone equipment
KR20050070542A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phone
KR100406252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activating a receiving call and inactivating method thereof
KR100400271B1 (en) Method for saving the power in mobile phone
JP2001196997A (en) Mobile phone
JP2903747B2 (en) Mobile phone device with pager function
JP2006217258A (en) Cell phone unit and data display method of cell phone unit
KR20020069987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personal assistant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implementing method
KR100533034B1 (en) Calling wait time continu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56684A (en)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guidance messages of mobile stations
KR20030090817A (en) Method for notifying absence in mobile telephone
KR100678195B1 (en) How to announce the situation in silent mode
JP2009302860A (en) Call control apparatus and call control program
KR20050071729A (en) A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portable telephone
KR20050064816A (en) Mobile handset having a control function by touching sens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50010271A (en) Appratus and Method of Automatic Conversion of Receiving Signal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81584A (en) The method for telephone communica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call number storing of call number using a plurality of call number i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