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8287A -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287A
KR20050048287A KR1020030082190A KR20030082190A KR20050048287A KR 20050048287 A KR20050048287 A KR 20050048287A KR 1020030082190 A KR1020030082190 A KR 1020030082190A KR 20030082190 A KR20030082190 A KR 20030082190A KR 20050048287 A KR20050048287 A KR 20050048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component
atopic dermatiti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창
김성남
임봉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쟌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쟌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쟌퀼
Priority to KR102003008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8287A/ko
Publication of KR2005004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2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염증을 억제·완화하는 항염성분, 피부의 수분투과 조절에 필요한 필수 지방산을 제공하는 필수지방산성분,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피부보호성분, 피부 보습을 유지하고 건조를 방지하는 피부보습성분 및 세포재생을 촉진하고 항균활성을 가지는 항균·재생촉진성분을 포함하는 다중층상 유화물 형상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an Skin}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에 유효한 물질을 함유하고 이를 다중층상 유화물(액정)으로 안정화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염증을 억제·완화하는 항염성분, 피부의 수분투과 조절에 필요한 필수 지방산을 제공하는 필수지방산성분,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피부보호성분, 피부 보습을 유지하고 건조를 방지하는 피부보습성분 및 세포재생을 촉진하고 항균활성을 가지는 항균·재생촉진성분을 포함하는 다중층상 유화물 형상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925년 Coca는 선천적으로 음식물과 흡입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습진, 천식고초열이 나타나는 경향을 '아토피(atopy)'라 하였는데, 아토피라는 말은 어원상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이란 의미를 가지는 임상적 과민증 상태 또는 알러지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1993년 Wise와 Sulzberger가 최초로 아토피 피부질환의 진단에 관한 기술을 하였다. 이 질환은 유아 습진에서부터 소년기, 사춘기, 성인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태선화 피부염에까지 이르는 임상적 및 조직학적 진행과정을 보여주는 임상범주의 질환이다. 이들 환자는 면역학적 특성과 특이한 혈관반응 및 병원균의 감염이 잘 되는 경향이 있다.
아토피성 피부라 함은 심한 가려움증, 만성 피부발진이 특징인 질환으로 흔히 태열이라고도 부르며 유아습진의 가장 흔한 말이다. 그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약 70%에서 아토피 병력이 있었으며 알레르기성 체질인 사람에서 많이 나타나고 특히 알러지성 비염, 천식 등을 동반하여 유전적 요인이나 면역 질환의 하나로 이해되고 있다. 이 병의 특징으로 초기의 심한 가려움증에 의해 피부를 긁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에 따라 2차 감염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특히 환자의 정신적 안정 및 감정의 상태에 따라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이 알러지의 일종으로만 생각되었으나, 비알러지 측면에서의 고찰이 이루어지면서 습진 반응의 원인과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질병의 환자는 피지 분비의 저하, 피부 혈관 반응의 이상 건조성 피부 등의 이상 기능을 나타내는데, 비알러지 측면에서 볼 때 이중 건조성 피부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태로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새로운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피부는 피부표면을 형성하는 각 층에 존재하고, 보습기능을 가지는 각 층사이의 지질인 세라마이드(Ceramide)의 양이 저하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이는 유전적 배경으로 인한 것인지 또는 현대 생활 공간의 건조한 환경, 비누와 세제 등의 외부 유해환경에 의한 후천적 현상으로 인한 것인지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아토피성 피부염의 중요한 현상인 건조성 피부가 새롭게 고찰되는 계기가 되었다.
종래, 아토피성 피부염에는 스테로이드나 항히스타민 제제, 부신 피질호르몬 제제, 2차 감염이 되었을 때 항생제제 등을 처방하는 의약적 대처와, 오일이나 고보습인자 등 보습효과가 뛰어난 유효 물질을 사용하여 주로 질환의 치료보다는 아토피성 건조감을 완화하는 화장품적 대처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여러 조성물이 공지되었으나 이들 조성물은 피부 적용시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효과가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피부생리의 기작을 고려한 보다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새로운 유형의 비의약성 아토피 개선용 화장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의 비정상적 피부생리 현상을 정상화시키고, 염증을 완화하면서 2차적인 감염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새로운 유형의 아토피성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성분들이 다중층상 유화물(액정)으로 안정화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부작용 없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증을 억제·완화하는 항염성분, 피부의 수분투과 조절에 필요한 필수 지방산을 제공하는 필수지방산성분,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피부보호성분, 피부 보습을 유지하고 건조를 방지하는 피부보습성분 및 세포재생을 촉진하고 항균활성을 가지는 항균·재생촉진성분을 포함하는 다중층상 유화물 형상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염성분으로는 마치현 추출물 또는 카모마일 추출물을, 상기 필수지방산성분으로는 정제 리놀레익산, 또는 그의 함유랑이 많은 대두유, 보리지씨유(Borage seed oil), 해바라기씨유 또는 밀배유(Wheat germ oil)를, 상기 피부보호성분으로는 동백유 또는 동백유의 유도체를, 상기 피부보습성분으로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히아루론산 또는 다가알코올을, 상기 항균·재생촉진성분으로는 마누카 꿀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염성분은 1∼5 중량%, 상기 필수지방산성분은 0.1∼1 중량%, 상기 피부보호성분은 1∼3 중량%, 상기 피부보습성분은 0.2∼2 중량%, 상기 항균·재생촉진성분은 1∼3 중량%이고 나머지는 통상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첨가되는 각종 보조제 또는 부형제 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피부보습성분으로 세라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하기 화학식 1 또는 3 내지 6의 어느 한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5 중량%, 유화보조제를 1∼3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뒤에 설명되는 다중층상 유화물 구조의 형성과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식물 기원의 Arachidylbehnylalcohol 또는 arachidylglucoside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보조제로는 PEG-100 Stearate/Glyceryl Stearate가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들의 피부 흡착력과 흡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피부 구성물질과 유사한 형태인 다중층상 유화물(액정)의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피부의 친화도가 높고, 안전하고 안정적인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다중층상 유화물 또는 액정(Liquid Crystal)이란 결정과 액체의 중간적 상태, 즉 결정과 같이 분자 배열이 규칙적이진 않지만 액체만큼 불규칙적이진 않은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는 친수부분(Hydrophilic)과 친유부분(Hydrophobic)을 동시에 갖고 있는 상기 조성성분의 분자들이 친수부분은 친수부분끼리, 친유부분은 친유부분끼리 일정하게 배열되어 여러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생체막의 지질구조와 유사한 형태인 라멜라 구조의 막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유화제품에 비하여 피부 보습력과 보호막 형성 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액정 구조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 제조시 계면에 생성되어 유효 조성성분을 안정화시키고 피부침투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정제수에 다가알코올, 방부제, 킬레이트제, 점증제 등을 혼합 용융, 가온하여 수상부(水狀部)를 준비하고, 이와는 별도로 본 발명의 각 조성성분 중 필수지방산성분, 피부보호성분과 피부보습성분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용융시켜 유상부(油狀部)를 준비한다. 유상부를 서서히 수상부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유화시킨 후 냉각한다. 냉각 과정에서 본 발명의 각 조성성분 중 항염성분과 항균·재생촉진성분을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각 단계에서 화장품에 요구되는 각종의 보조제, 점증제, 향 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층상 유화물(액정) 형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25명의 환자에게 적용한 결과 피부 발적 등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으면서 피부염에 대한 완화 효과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의 작용기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1차적으로 지질성분인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과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익애씨드를 다중층상 유화물(액정)으로 안정화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2차적으로 항염효과가 뛰어난 천연 식물추출물인 마치현 추출물로 염증을 완화하고, 3차적으로 동백유에서 유래된 지질성분으로 피부를 보호하며, 4차적으로 보습성분인 다가알코올과 히아루론산을 통한 피부 수분을 보충하며 마지막 5차적으로 항균 및 세포재생능력이 우수한 마누카 꿀의 작용으로 2차감염을 예방하고 부작용이없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차단하는 첫 번째 단계는 염증을 억제·완화하는 항염(Anti-inflammation)이다. 이 단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항염성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염증 반응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고, 신경 및 혈관, 림프관, 체액 반응, 세포 반응을 일으켜 홍반, 팽윤, 발열, 통증 등을 유발한다. 이러한 염증을 억제시키는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고 많은 물질들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마치현과 카모마일 등의 천연 추출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천연 추출물로서 피부에 보다 안전적이며 염증 반응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된 염증 반응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 징후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필수 지방산을 보충하여 주는 것이다. 이 단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필수지방산성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들은 혈청내 리놀레익애씨드의 대사 과정 중 리놀레익애씨드가 감마-리놀레익애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 이상이 생겨 리놀레익애씨드의 농도는 정상 범위 또는 증가되어 있으나, 대사물질들은 정상보다 낮게 나타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아토피성 피부염에 필수 지방산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필수 지방산은 피부에서의 수분 투과 장벽 유지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필수 지방산이 부족하면 피부의 수분 투과성에 장애를 일으켜 탈수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필수 지방산은 염증 기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필수 지방산은 염증 과정 중의 프로스타글란디의 전구체로 작용하는데 농도가 낮거나 그 수용체수가 적을 경우에는 면역 체계의 초기 분화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MP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면역계의 발달에 장애를 초래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정제된 감마-리놀레익애씨드 또는 그의 함유량이 많은 대두유, 보리지씨유(Borage seed oil), 해바라기씨유, 밀배유(Wheat germ oi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외부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주는 것이다. 이 단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피부보호성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가려움증은 아토피성 피부염에 호발하는 증세이며 몇몇 환자에게는 심각한 증세로 나타나기도 한다. 가려움증은 매우 국소적인 피부의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유발되고, 국부적인 통증과 같이 상피 세포나 진피와 표피 사이의 간극(derm-epidermal junction)에 존재하는 불특정한 자율 신경 말단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가려움증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피부에 도포되어 외부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하는 성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동백유에서 유래된 지질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는 수분을 보충하여 건조함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 단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피부보습성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일차 징후이며 다른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건조 피부는 피부의 장벽 기능을 저하시켜 이후의 2차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장 특징적인 징후이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지질막의 보충을 통한 보습을 위해서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을 공급하고, 수분 유지능력이 우수한 다가알코올과 히아루론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 다섯 번째 단계는 손상된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키면서 동시에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을 방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항균·재생촉진성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예로부터 상처나 화상등에 효과가 있어 수세기 동안 치료약으로 사용되어온 마누카 꿀로 세포재생을 촉진하고 꿀의 항균활성에 의한 2차감염을 예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완화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마누카 꿀은 최근 Molan 박사의 일반 천연벌꿀과 비교연구에 의하여 마누카 꿀이 치료약으로 가장 효과적인 꿀임이 판명되었고, 뉴질랜드 산업협회에서 공인하고 뉴질랜드 Waikato 대학의 꿀연구센터에서만 품질보증하는 UMF(Unique Manuka Factor) 품질보증마크를 획득하였다. 마누카 꿀의 항균활성은 꿀에 다량으로 함유된 당성분으로 인한 높은 삼투압, 산에 의한 낮은 pH, 그 외에 효소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수소 등이 세균생육을 억제시키는 요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꿀을 희석할 경우 높은 삼투압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항균활성이 지속된다는 점과 꿀희석액에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효소인 catalase를 첨가하여 과산화수소를 제거한 꿀희석액에서도 항균활성이 지속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누카 꿀의 항균물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ethanol ether로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methyl-3,5-dimethoxy-4-hydrobenzoate, 3.4.5-trimethoxy benzoic acid, 그 methyl ester 등이 포도상구균에 대해서 항균활성이 현저하며 열과 빛에 안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와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바와 같이 리놀레익애씨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동백유유도체, 마누카 꿀 및 마치현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층상 유화물 형태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유상부를 70∼75℃ 정도로 가온용해하고, 수상부도 70∼75℃로 가온용해시킨 후 유상부를 수상부에 투입하면서 3500∼4500rpm 정도로 호모믹서로 교반유화하였다. 이후 유화물을 냉각하고 45℃ 정도에서 마누카 꿀, 마치현추출물 및 향료를 배합하고 32℃까지 냉각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부 유효성분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조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Hydrogenated Camellia Oil 2.00 2.00 - 2.00 2.00
Castol 119 4.00 4.00 4.00 4.00 4.00
Squalane 4.00 4.00 4.00 4.00 4.00
실리콘 폴리머 1.00 1.00 1.00 1.00 1.00
Dimethicone 0.50 0.50 0.50 0.50 0.50
Arachidylbehenylalcohol/ arachidylglucoside 2.60 - 2.60 2.60 2.60
TCG-M 1.00 1.00 1.00 1.00 1.00
Hexyl laurate 0.50 0.50 0.50 0.50 0.50
Kodasil PW 242 0.50 0.50 0.50 0.50 0.50
PEG-100 stearate/Glycery stearate 2.00 2.00 2.00 2.00 2.00
Dermofeel BGC 0.50 0.50 0.50 0.50 0.50
항산화제 0.20 0.20 0.20 0.20 0.20
보존제 0.05 0.05 0.05 0.05 0.05
Cetostearyl alcohol 2.00 2.00 2.00 2.00 2.00
Hydrogenated polydecene 1.00 1.00 1.00 1.00 1.00
Vaserin 3.00 3.00 3.00 3.00 3.00
Linoleic Acid 0.50 0.50 0.50 - 0.50
Ceramide 0.40 0.40 0.40 - 0.40
Cholesterol 0.20 0.20 0.20 - 0.20
Sodium acrylate 1.00 1.00 1.00 1.00 1.00
Glycerin 3.00 3.00 3.00 3.00 3.00
1,3 - BG 6.00 6.00 6.00 6.00 6.00
소듐 히아루론산 4.00 4.00 4.00 4.00 4.00
Dipropylenglycol 5.00 5.00 5.00 5.00 5.00
킬레이트제 0.02 0.02 0.02 0.02 0.02
자극완화제 0.10 0.10 0.10 0.10 0.10
보존제 0.15 0.15 0.15 0.15 0.1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점증제 0.40 0.40 0.40 0.40 0.40
마치현 추출물 1.00 1.00 1.00 1.00 -
마누카 꿀 2.00 2.00 2.00 2.00 1.00
Fragrance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시험예 1 : 다중층상 유화물의 확인
상기 실험예에서 다중층상 유화물의 제조가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편광현미경(Optiphot-2, Nikon사 제조)을 사용하여 특유의 십자형 편광모양(Maltese Cross)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 1를 제외한 모든 비교예 다중층상 유화물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비교예 1는 다중층상 유화물이 형성되지 않으며 안정성도 미약하였다. 따라서 이하 각 시험에서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시험예 2 : 다중층상 유화물의 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을 저온, 실온 및 고온에 각각 보관하면서 다중층상 유화물의 안정성을 추적 분석하였다(표 2 참조). 안정성 검사는 조성물의 pH 변화, 점도변화 및 현미경 판독을 통해 이루어졌다.
보관 조건 실시예 비교예 2 비교예 3
저온 (5℃)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실온 (25℃)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고온 (43℃)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 : 매우 양호함 ○ : 비교적 양호함
△ : 보통 × : 비교적 불안함
시험예 3 : 수분손실 측정시험(TEWL)
피부 장벽기능이 저하될수록 수분손실량이 증가하므로 수분손실 시험을 통하여 장벽복구기능을 알아볼 수 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경표피 수분손실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사용된 기기는 Tewlmeter TM210(독일 Colouragekhazaka사 제품)이다.
사람의 팔 안쪽에 각각의 화장품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 당시, 도포 후 3시간, 6시간, 9시간 및 24시간 후의 TEWL을 측정하여 장벽복구율을 구하였다(표 3).
표에서 수치의 단위는 [수분손실량/단위시간·면적]이다.
수치는 수분손실량을 측정하는 기계적인 수치로서 최초의 값과 비교하여 시간 변화에 따라 값이 상승하는 것은 그 만큼의 수분 손실율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의 경우, 도포 후 시간경과에 따라 수분손실량이 적어 보습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최초 3시간 후 6시간 후 9시간 후 24시간 후
실시예 10 13 17 23 28
비교예 2 12 17 22 28 33
비교예 3 11 15 20 26 34
비교예 4 12 16 20 25 33
시험예 4 : HUT (실사용 테스트)
피험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하면서 3주간의 HUT(실사용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에 하루 2번(아침, 저녁)으로 바르게 하고 사용군과 대조군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고 우수성 정도의 평균값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군에서는 미약한 결과를 얻은 반면 실시군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에 유효한 물질(마누카 꿀, 동백오일 유도체,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리놀레익애씨드 및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고 이를 다중층상 유화물(액정)으로 안정화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를 아토피성 피부에 적용할 경우, 건조증과 가려움증을 완화시킬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피부염 개선에도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의 다중층상 유화물 형상을 보여주는 편광현미경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의 실사용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도표.

Claims (2)

  1. (A) 항염성분으로 마치현 추출물 또는 카모마일 추출물;
    (B) 필수지방산성분으로 정제 리놀레익산, 대두유, 보리지씨유, 해바라기씨유 또는 밀배유;
    (C) 피부보호성분으로 동백유 또는 동백유의 유도체;
    (D) 피부보습성분으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히아루론산 또는 다가알코올; 및
    (E) 항균·재생촉진성분으로 마누카 꿀;
    을 포함하는 다중층상 유화물 형상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총 화장품 조성 중 상기 항염성분은 1∼5 중량%, 상기 필수지방산성분은 0.1∼1 중량%, 상기 피부보호성분은 1∼3 중량%, 상기 피부보습성분은 0.2∼2 중량%, 상기 항균·재생촉진성분은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층상 유화물 형상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20030082190A 2003-11-19 2003-11-19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Ceased KR20050048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190A KR20050048287A (ko) 2003-11-19 2003-11-19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190A KR20050048287A (ko) 2003-11-19 2003-11-19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287A true KR20050048287A (ko) 2005-05-24

Family

ID=3724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190A Ceased KR20050048287A (ko) 2003-11-19 2003-11-19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828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195B1 (ko) * 2010-01-20 2010-10-29 (주)엘큐어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질환 완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7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0310B1 (ko) * 2019-02-22 2019-10-08 이훈민 쇠비름 추출물 및 고순도 옥타데카디엔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6976A (ko) * 2020-06-19 2021-12-28 김지솔 모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273121B2 (en) * 2014-05-06 2022-03-15 Comvita Limited Matrix-metalloproteinase (MMP) inhibitory extract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30159672A (ko) 2022-05-14 2023-11-21 정유진 수소 및 천연 보존 성분을 함유한 아토피, 여드름, 피부자극 개선 기능성 화장품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195B1 (ko) * 2010-01-20 2010-10-29 (주)엘큐어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질환 완화 천연 화장료 조성물
US11273121B2 (en) * 2014-05-06 2022-03-15 Comvita Limited Matrix-metalloproteinase (MMP) inhibitory extract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80082057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0310B1 (ko) * 2019-02-22 2019-10-08 이훈민 쇠비름 추출물 및 고순도 옥타데카디엔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71352A1 (ko) * 2019-02-22 2020-08-27 이훈민 쇠비름 추출물 및 고순도 옥타데카디엔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6976A (ko) * 2020-06-19 2021-12-28 김지솔 모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59672A (ko) 2022-05-14 2023-11-21 정유진 수소 및 천연 보존 성분을 함유한 아토피, 여드름, 피부자극 개선 기능성 화장품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076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ermatosis and Other Pathological Conditions of the Skin
CN103957867B (zh) 含有改善皮肤屏障的活性成分组合的药用护肤组合物
EP3393488B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ambora et un extrait de thé vert pour le traitement du psoriasis, de la dermatite atopique, de l'urticaire chroniques, du prurit resistant aux antihistaminiques et du prurit senile
KR102594286B1 (ko) 피부보습제
US20140302185A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JP4398641B2 (ja) 低アレルギー性及び非刺激性のスキンケア調製物
KR102587300B1 (ko) 아토피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48287A (ko)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CN1972708A (zh) 用于局部治疗的组合物
CN117860624B (zh) 一种具有舒缓效果的仿生皮脂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
RU2496476C1 (ru) Средство наружной терапии для больных атопическим дерматитом
JP5646477B2 (ja) キトサンおよびジカルボン酸を含む、酒さ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
WO2021116808A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eczema
CN117815095A (zh) 一种具有舒缓修护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50306221A1 (en) Mixture of Betamethasone and Tranilast with a Transdermal Gel for Scar Treatment
CN107095804A (zh) 一种茶籽萃取油润肤霜及其制备方法
AU2007200216A1 (en) Skin formulation usable as a therapeutic application for the treatment of general skin disorders and a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KR102723936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US12396937B2 (en) Ointments for treating dry skin
Zaurievna et al. Developing the Formulations of the Compositions for Acne Spot Treatment
MICHELLE et al. Skin Barrier Repair
JP2025022405A (ja) 乾皮症治療用の外用組成物
JP2012524045A (ja) グリセロール、白色ワセリンおよび流動パラフィンを含んでなる、尿毒症性乾燥症および/または掻痒症の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
RU2169007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ожных поражений у больных сахарным диабетом
Khalid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anti cracking cream from Shorea robusta, Lreca catechu and lith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