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51562A - 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562A
KR20050051562A KR1020040097377A KR20040097377A KR20050051562A KR 20050051562 A KR20050051562 A KR 20050051562A KR 1020040097377 A KR1020040097377 A KR 1020040097377A KR 20040097377 A KR20040097377 A KR 20040097377A KR 20050051562 A KR20050051562 A KR 20050051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eparation
vacuum cleaner
air
separation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22730B1 (en
Inventor
로랑 꺄로
빠트릭 모렝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50051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730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yclon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assembly has an air outlet duct (36) with openings (40). The duct is in aeraulic connection with a receptacle (38) including a folded filter. The receptacle is locked with the duct by a partition (37). The partition has hooks cooperating with openings formed on an upper wall of the receptacle. The receptacle is separated from the duct by unlocking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m. The receptacle is in aeraulic connection with an electric fan unit. An independent claim is also included for an electrical vacuum cleaner comprising a waste separation devices assembly.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흡입형 청소 장치, 더 상세하게는 원심분리 방식에 의한 오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type clea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rt separation device by centrifugal separation.

본 발명은 특허출원 WO 03/047412에 기술된 진공 청소기 내 오물 분리 수집 시스템을 개량한 것이다. 상기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는 거의 원통형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오물 분리실에 접선 방향으로 이어진 공기 흡입관을 포함한다. 분리실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배치되고 흡입부로 연결되는 도관이 배치된다. 특히, 상기 도관은 여과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n the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system in a vacuum cleaner described in patent application WO 03/047412. One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includes an air inlet tube tangentially connected to a dirt separation chamber that defines an almost cylindrical inner space. At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chamber, at least one opening is arranged and a condui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ection. In particular, the conduit comprises a filtration section.

또한, 분리실은 방사상 방향으로 오물 배출관을 가지며, 상기 배출관은 원심분리된 오물을 수집하는 밀폐용기에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chamber has a waste discharge pip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a sealed container for collecting the centrifuged dirt.

이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오물 분리실 내에 공기 흡입관과 오물 배출관이 거의 동일한 높이로 장치되며, 분리실의 직경방향 단면이 노즐에서 실려온 오물이 이동하는 관들 중 가장 작은 단면의 1 내지 4배로 상당히 줄었다는 것이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vention is that the air intake pipe and the waste discharge pipe are installed at about the same height in the waste separation chamber, and the radial cross section of the separation chamber is considerably reduced to 1 to 4 times the smallest cross section of the pipe in which the dirt carried from the nozzle moves. Will.

이러한 배치를 통해, 오물 분리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This arrangement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separation device without degrading the dirt separation effect.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리실 중앙부에 제 2 여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장치는 중앙부를 차단하는 뚜껑에 의해 접근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econd filtration device is included in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chamber, the filtration device being accessible by a lid blocking the center part.

본 발명은 목적은 이러한 여과 장치들을 매우 간편하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소제 및/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 접근 용이성 및 여과장치의 설치면에서 개량하는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rgonomics, accessibility and install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so that such filtration devices can be cleaned and / or replaced in a very simple and hygienic manner.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팬부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를 위한 주 장치 및 보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치는 진공 청소기의 프레임 내에 장착되며, 관성을 이용하여 오물을 분리하는는 원환체 형태의 주 분리실 내에 위치하는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다수의 개구를 가지고 이 개구를 통해서만 분리실과 공기가 통하고 상기 도관은 또한 모터-팬부에도 연결되며, 도관과 모터-팬부 사이에 공기가 소통하는 경로에 삽입되는 미세 필터가 배치되고 오물분리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수집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두 장치들이 구조적 락킹을 형성하는 걸이 수단들에 의해 구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이 장치들이 진공 청소기의 프레임에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a main device and an auxiliary device for dirt separation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otor-fan pa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apparatus is mounted in a frame of a vacuum cleaner and includes a conduit located in a torus-shaped main separation chamber that separates dirt using inertia, the conduit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through which only the opening and the separation chamber are ventilated. And the conduit is also connected to the motor-pan section, and includes a collecting vessel constituting a dirt separation aid and having a fine filter disposed in the air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onduit and the motor-pan section. The invention is in particu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devices are structu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hook means forming a structural locking, which devices are detachable from the frame of the vacuum cleaner.

오물의 여과 및 분리 장치들로 구성된 부조립체가 진공 청소기에서 착탈 가능함으로써, 부조립체를 진공 청소기의 프레임에서 꺼내어 소제하고, 어떤 경우는 청소기의 여과 조립체를 교환하기만 하면 되므로, 구성요소들의 소제 작업이 훨씬 용이해진다. The subassembly consisting of the filtration and separation devices of the dirt is detachable from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subassembly needs to be removed from the frame of the vacuum cleaner and cleaned, and in some cases, the filter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is replaced. This is much easi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이 수단들은 수집통을 도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제를 통한 분리에 의하여, 여러 요소의 소제가 더 용이해진다. Preferably, the hook means can be released to allow the collection vessel to be detached from the conduit. By separation through this release, the cleaning of the various elements becomes easi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관은 상부가 차단되고 사용자가 먼지 구역을 건드리지 않고 장치들을 잡을 수 있도록 오목부들을 포함하여, 오물 분리 장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duit can easily hold the dirt separation device, including recesses so that the top is blocked and the user can hold the devices without touching the dust zo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앙 도관은 그 바닥에 상기 도관에 거의 수직인 가장자리 링을 구비하는데, 이 링은 분리실의 일면을 형성하고 그 맞은편 면은 필터를 구비한 수집통의 걸이 수단들을 갖는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conduit has an edge ring at its bottom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duit, which forms one side of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opposite side is the hook of the collecting vessel with the filter. Have means.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수집통와 도관 사이의 상당한 기계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saves space and ensures significant mechanical durability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conduit.

또한, 필터가 수집통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오물 수집 용도로도 사용되는 오물분리 보조 장치의 실용적인 소제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filter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llecting container, it is possible to make practical cleaning of the dirt separation aid used also for the dirt collection purpose.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관은 공기가 움직이는 방향(F)을 따라 분리실을 향해 기울어진 벽들을 구비하고, 각 벽의 단부에는 거의 편평하고 아래의 도관과 거의 평행을 이루는 개구가 형성되며, 도관의 개구는 벽의 개구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Preferably, the conduit has walls that are inclined toward the separation chamber along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F), and at each end of the conduit an opening is formed which is nearly flat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duit below. The opening is located just below the opening of the wall.

도관의 개구 위치에 기울어진 벽들이 존재함으로써 입자들이 공기흡입도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들 벽 단부에 개구들이 존재하여 도관 내의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파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벽들에 의한 입자의 도약 효과와 함께 공기가 도관 내로 쉽게 들어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ce of inclined walls at the open position of the conduit can cause the particles to move away from the air intake condui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penings at these wall ends to facilitate air communication in the conduit to minimize power loss. This method thus has the effect of allowing air to easily enter the conduit with the effect of the particle leaping by the walls.

사실, 각 개구는 공기로부터 입자의 경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소형 분리기 역할을 한다. 다수의 개구들은 각 개구 위치의 공기의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원심분리 효과를 줄이지 않고 파워 손실을 제한할 수 있다. 원심분리 효과는 한편으로 공기 속도와도 관련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공기 경로의 곡률 반경과 관련이 있다. 여기에서와 같이, 곡률 반경을 상당히 줄임으로써 파워 손실을 제한하면서 우수한 원심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In fact, each opening acts as a small separator in itself in that it can separate the path of the particles from the air. Multiple openings can reduce the speed of air at each opening position, which can limit power loss without reducing the centrifugation effect. The centrifugal effect is on the one hand also related to the air velocity and on the other hand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air path. As her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radius of curvature, superior centrifugation performance can be achieved while limiting power loss.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은 양쪽 모서리에서 측벽들과 접하고, 이 측벽들은 도관에 부착된다. 이러한 측벽이 존재함으로써 일종의 공기흐름상 새는 현상에 의해 입자들이 기울어진 벽의 측부를 통과하여 도관의 개구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자 분리 기능이 향상된다. Preferably, the wall abuts the side walls at both corners, which side walls are attached to the conduit. The presence of such sidewalls prevents particles from entering the opening of the conduit through the side of the inclined wall by a kind of airflow leak. Thus, the particle separation function is improved.

또한, 기울어진 벽의 형상은 먼지들이 누적되는 사각지대를 형성하지 않도록 서로 겹쳐지지 않게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측벽이 존재함으로써 개구들 안으로 직접 관통하지 않고 상기 벽들의 각 측부로부터 순환해 나오는 약한 기류를 보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nclined wall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so as to form a blind spot where dust is accumulated. In this way, the presence of the sidewalls preserves the weak airflow circulating from each side of the walls without penetrating directly into the openings.

공기가 지나가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도관의 높이에 커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멍들은 5점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improve the cover function at the height of the conduit in the air passing direction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les are preferably arranged in a 5-point shape.

다른 구현형태에 따르면, 상기 도관 위치의 개구들은 공기의 회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기울어진 벽의 바로 아래를 초과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국지적으로 공기의 속도를 줄이도록 주된 공기가 지나는 표면을 확대시킴으로써 파워 손실을 더욱 제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penings in the conduit position are formed elongate alo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air, just below the inclined wall. This arrangement further limits the power loss by enlarging the surface through which the main air passes to slow down the air locally.

또 다른 구현형태에 따르면, 개구는 공기 회전 방향이 아니라 흐름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의 크기를 증가시키더라도 입자가 경로를 꺾지 못해 개구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penings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rather than in the direction of air rotation, which increases the size of the opening through which air flows, preventing particles from breaking the path and increasing the chance of entering the opening. do.

오물분리 주 장치를 보조 장치와 분리할 수 있다는 점은 도관의 기울어진 벽이 측벽을 포함하든 하지 않든 이들 벽을 구비하는 구현형태에서 매우 훌륭한 장점이 된다. 사실, 이러한 분리를 통해, 이들 두 장치의 구조적 차이를 고려할때 주 장치를 보조 장치보다 더 깨끗이 소제할 수 있다. 주 장치는 특히 물로 솔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식기세척기에 돌릴 수도 있는데, 이는 필터가 망가질 위험이 있어 필터가 장착된 수집통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The ability to separate the dirt separation main device from the auxiliary device is a very good advantage in implementations having these walls, whether or not the inclined walls of the conduit contain side walls. In fact, this separation allows the main device to be cleaned more cleanly than the auxiliary device, given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devices. The main unit can be brushed especially with water and furthermore it can be turned into the dishwasher, which is almost impossible in a filter tank with a risk of breaking the filter.

본 구현형태에서, 오물 분리 장치가 벽들, 나아가 측벽들로 인해 더욱 복잡해지면, 그 소제가 더욱 불편하게 된다. 그러나, 필터를 포함하는 수집통에서 이를 분리함으로써 소제 작업이 휠씬 용이하게 되며, 먼지 분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f the dirt separation device becomes more complicated due to the walls and even the side walls, the cleaning becomes more inconvenient. However, by separating it from the collecting container including the filter, the cleaning operation is much easier and the dust separation effec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또한 내부에 모터-팬부가 장착된 프레임(11)을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를 그 대상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단부에 노즐이 달린 도관을 통하여 청소할 바닥으로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공기 흡입구는 오물 분리실(33)에 접선 방향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된다. 이 진공 청소기는 상기된 바와 같은 오물 분리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also targets an electric vacuum cleaner comprising a frame 11 having a motor-fan part mounted therein. The frame includes an air inlet connected to the floor to be cleaned through a conduit with a nozzle at the end, the air inlet of the frame is connected to the tangential separation chamber 33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his vacuum clea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dirt separation devices as described ab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실은 상부가 뚜껑으로 차단되며, 상기 뚜껑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도관의 상부를 덮으며 중력에 의해 대부분 분리 장치의 하부에 쌓이는 잔여 먼지들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면서 분리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Preferably, the separation chamber has a top closed off with a lid, the lid covering the top of the conduit through which externally accessible and purged air is discharged, and contacting with residual dust, most of which accumulates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device by gravity. To allow for easy access to the disconnect device while avoiding as much as possible.

진공 청소기에 있어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들 중 하나에 있어, 상기 분리실은 착탈 가능한 오물수거 밀폐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밀폐용기는 방사상 방향 혹은 접선 방향을 향하고 있는 배출관을 통해 상기 분리실과 구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분리장치 전부를 꺼내지 않더라도 밀폐용기를 오물분리 주 장치로부터 분리하여 꺼낼 수 있다. In one of the possibl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 a vacuum cleaner, the separation chamber is connected to a detachable waste collection closure container,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separation chamber via a discharge tube facing in a radial or tangential direct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ealed container can be taken out from the main device for separating wastes even if all the separation devices are not taken out.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물 분리 장치들은 배출관과 착탈 가능한 오물수거 밀폐용기에 대하여 독립적이다. Preferably, the waste separation devices are independent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detachable waste collection container.

따라서, 많은 다른 청소기와는 달리, 이러한 배치를 통해 분리 장치를 소제하기 위해 오물수거 밀폐용기까지 꺼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소제할 부품에 분리된 먼지가 새거나 다시 유입된 위험성을 제한할 수 있다. Thus, unlike many other cleaners, this arrangement saves the hassle of removing the waste collection container to clean the separation device and limits the risk of leaking or re-introduced dust from the parts to be cleaned. .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들이 장착된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epara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러한 진공 청소기(10)는 몇몇 바퀴, 특히 여기서는 두개의 뒷바퀴(12)에 지지되는 프레임(11)을 포함한다. 기류 연결부(14)가 상기 청소기의 프레임을 청소할 바닥과 접촉하는 노즐에 연결하여 오물이 청소기의 프레임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청소기는 모터-팬부(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여 청소할 바닥의 오물들을 수집할 수 있도록 기류를 발생시킨다. 버튼(16)을 통해 모터를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This vacuum cleaner 10 comprises a frame 11 which is supported on several wheels, in particular here two rear wheels 12. An airflow connection 14 connects the frame of the cleaner to the nozzle in contact with the floor to be cleaned so that the dirt flows into the frame of the cleaner. The cleaner generates an airflow to mount a motor-fan section (not shown) to collect dirt on the floor to be cleaned. The button 16 can start or stop the motor.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는 관성에 의한 분리실을 구비한다. 이 분리실은 보호 뚜껑(18)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며, 또한 이 보호 뚜껑을 통해 분리실을 폐쇄할 수 있다. 장치에 의해 분리된 오물은 배출관(39)을 통해 오물수거용 밀폐용기(22)로 배출된다. 상기 오물수거용 밀폐용기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20)를 가진다. 이 손잡이는 또한 청소기 운반을 위한 손잡이 역할도 하는데, 청소기가 전체적으로 기울어져 있고 이러한 손잡이가 높은 위치에 있어, 그 무게중심 위치에서 청소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면서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comprises a separation chamber by inertia. This compartment is accessible via a protective lid 18, which can also close the compartment. The waste separated by the device is discharged to the sealed container 22 for waste collection through the discharge pipe 39. The waste container for waste collection has a handle 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and hold it by hand. The handle also serves as a handle for transporting the cleaner, where the cleaner is tilted as a whole and the handle is in a high posi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held by hand while keeping the cleaner in its center of gravit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22)는 양쪽 측면 중 그 어느 하나를 통해 비워질 수 있으며, 밀폐용기의 이들 양쪽 측면은 각기 착탈가능한 뚜껑(21)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오른손잡이든 왼손잡이든 쉽게 용기를 비울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iner 22 can be emptied through any one of both sides, and both sides of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can be blocked by respective removable lids 21.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user to empty the container easily, either right handed or left handed.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오물 분리 장치(30)는 직경 방향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원환체 형상의 분리실(33)로 연결되는 공기흡입관(32)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흡입관(32)은 오물이 원환체를 한정하는 중앙도관에 직접 충격을 줄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L형 이음부(13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detail in FIG. 2, the entire waste separation apparatus 30 has an air suction pipe 32 connected to a toric-shaped separation chamber 33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Preferably, the air intake pipe 32 includes an L-shaped joint 132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irt directly impacting the central conduit defining the torus.

분리실에서 기류가 지나는 영역은 원형의 외부벽(34), 원형의 내부벽(35), 뚜껑을 이루는 상부벽(18) 및 바닥벽(37)에 의해 한정된다. The area through which air flow passes in the separation chamber is defined by a circular outer wall 34, a circular inner wall 35, a top wall 18 which forms a lid, and a bottom wall 37.

원형의 내부벽은 공기 배출 도관(36)을 한정하고, 분리실과 공기 배출 도관(36) 사이에는 다수의 개구들(40)을 통해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된다. 도관(36)은 그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필터 바람직하게는 주름 필터를 가지는 수집통(38)과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된다. 이 수집통은 또한 모터-팬부와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필터의 크기에 있어 더 큰 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circular inner wall defines an air exhaust conduit 36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air exhaust conduit 36 through a plurality of openings 40 for the passage of air. The conduit 36 is closed in its upper part and is connected in air to a collecting vessel 38 having a filter, preferably a pleated filter. This collector is also connected to the motor-fan section for air communication.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larger space in the size of the filter.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분리실이 오물 흡입 도관(32)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는 중요한 장점을 가진다. 분리실 단면은 특허출원 WO 03/047412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즐로 부터 흡입된 오물이 도달하는 관들 중 최소 단면의 1 내지 4배로 형성된다. 물론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폐 수단이 분리실 위치에 마련된다.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significant advantage that the separation chamber has a lower height than the dirt suction conduit 32. The separation chamber cross section is formed at 1 to 4 times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tubes through which dirt sucked from the nozzle arrives, as described in patent application WO 03/047412. Of course, a sealing means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chamber position so that air does not leak.

이하에서, 개구를 갖는 도관(36)은 주 분리 장치로, 수집통(38) 및 그 필터는 보조 분리 장치라 지칭한다. In the following, the conduit 36 having an opening is referred to as the main separating device, and the collecting vessel 38 and its filter are referred to as the auxiliary separating devi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관(36)은 미세 필터를 가진 수집통(38)에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관(36)의 상부에는 대칭 원호형의 손잡이 오목부(42)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먼지와 접촉하는 영역인 도관의 벽들이나 바닥벽(37)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분리 장치를 빼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nduit 36 is structurally connected to a collecting vessel 38 with a fine fil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duit 36 includes a symmetrical arc-shaped handle recess 42 so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separation device without touching the walls or the bottom wall 37 of the conduit, which is an area in contact with the dust. .

따라서, 분리장치들은 동시에 꺼낼 수 있다. 또한, 뚜껑(18)만으로 분리실을 차단한다. 따라서, 뚜껑만 열면 분리 장치에 접근할 수 있으며, 한결 용이하게 분리 장치를 꺼낼 수 있다. Thus, the separators can be taken ou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only the lid 18 blocks the separation chamber. Therefore, only the lid can be opened to access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separation device can be easily taken out.

또한, 분리 장치들은 진공 청소기 내부에 단순하게 장착되어 있어, 청소기에서 분리 장치를 빼내는데 어떠한 도구도 필요하지 않다. In addition, the separators are simply mounted inside the vacuum cleaner, so no tools are needed to remove the separator from the cleaner.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통(38)은 도관(36)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이 두 요소간의 구조적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4, the collecting vessel 38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duit 36, and the structural connection between these two elements can be relea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관(36)과 바닥벽(37)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며, 이는 특히 이 위치에서 실링 문제를 해결해준다. 그 결과, 수집통(38)을 도관(36)에 락킹하는 작업은 바닥벽(37) 상에서 이루어진다. 바닥벽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후크들(52)을 포함하며, 이 후크들이 수집통(38)의 상부벽에 마련된 개구들(50)에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리는 핀 형태의 조립을 통해 단순한 구조적 연결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it 36 and the bottom wall 37 are formed of a single part, which solves the sealing problem in particular in this position.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locking the collecting cylinder 38 to the conduit 36 takes place on the bottom wall 37. The bottom wall comprises hooks 52, as can be seen in FIG. 7, which engage the openings 50 provided in the top wall of the collecting container 38. This interlocking pin-shaped assembly allows simple structural connection and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user.

수집통(38)과 도관(36) 사이의 구조적 연결을 위하여는, 죔쇠나 조립체와 같은 다른 수단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Other structural means, such as clamps or assemblies, may be used for the structural connection between the collection vessel 38 and the conduit 36.

또한, 도관(36)과 수집통(38) 간의 구조적 연결을 위하여 바닥벽(37)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특히 도관의 맞물리는 핀을 직접 원통형 수집통 안으로 걸어 고정시키는 시스템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시스템은 상기 수집통(38)의 벽들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wall 37 is not necessary for the structural connection between the conduit 36 and the collection vessel 38. In particular, a system may be envisioned by fastening the engaging pins of the conduit directly into the cylindrical collector. In this case, the fixing system may be arranged on the walls of the collecting container 38.

이러한 형상에 따르면, 조인트가 도관과 수집통 사이에 마련되고, 바닥벽(37)의 둘레, 후크들(52) 옆에 탄성체 몰드에 의해 형성된다. 달리 및/또는 보충적으로, 조인트는 수집통(38)의 상부 플랜지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hape, a joint is provided between the conduit and the collecting container, and is formed by an elastomer mold around the bottom wall 37 and beside the hooks 52. Alternatively and / or supplementally, the joint may be provided around the upper flange of the collecting container 38.

본 실시예에서, 수집통는 평행육면체 형태이며, 여기에 미세한 먼지들을 잡아내기 위한 고도의 여과가 가능한 주름 필터(46)가 수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llecting cylinder is in the form of a parallelepiped, in which a highly filterable pleated filter 46 for trapping fine dust is accommodated.

바람직하게는, 필터(46)와 도관(36) 사이에 스펀지(44)가 구비되어 사전 여과가 실행된다. 스펀지는 수집통(38)에 탈부착 가능하다.Preferably, a sponge 44 is provided between the filter 46 and the conduit 36 to effect preliminary filtration. The sponge is detachable from the collecting container 38.

본 실시예에서, 필터(46)와 스펀지(44) 사이에는 그리드(48)가 위치되어 필터를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이러한 그리드는 또한 필터 소제 시 잘못된 조작에 대해 필터를 보호한다. 이때, 그리드는 수집통(38)의 내벽에 접착된다. 필터 또한 수집통(38)에 접착되어 이러한 여과 작업의 밀폐를 확실히한다. 이때, 단 한차례의 접착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접착제가 마르기 전에 필터를 붙이고, 그 직후 창살을 붙인다. 이로써, 수집통(38), 필터(46) 및 창살(48)로 구성되는 상호 의존적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grid 48 is positioned between filter 46 and sponge 44 to hold the filter in place. This grid also protects the filter against erroneous operation when cleaning the filter. At this time, the grid is bond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llecting container 38. The filter is also adhered to the collecting container 38 to ensure the sealing of this filtration operation. At this time, only one b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but before the adhesive dries, a filter is attached and a grate is attached immediately after that. Thereby, the interdependent unit which consists of the collection container 38, the filter 46, and the grate 48 can be formed.

단순화된 형태로는 창살이 생략되고 필터만이 수집통(38)에 접착될 수 있다.In a simplified form, the grate is omitted and only the filter can be glued to the collecting vessel 38.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의 죔쇠 시스템을 통해 필터가 탈부착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필터의 소제는 물론 필터 교환도 용이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filter may be detachable through the grid clamp system, thereby facilitating filter replacement as well as cleaning of the filter.

도 6 내지 도 10은 오물 분리 주 장치의 개량된 변형예를 보여준다. 본 변형예에서, 도관(56)은 역시 분리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 플랜지(57)와 분리 장치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오목부(62)를 포함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도관은 분리기들(70)을 가지고,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도 10에서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분리실 내의 공기의 회전 방향(F)을 따라 도관(56)에 형성된 각 개구(64) 앞에 벽들(66)이 위치된다. 이러한 기울어진 벽들은 자유단에 개구(68)를 가지며, 이 개구는 아래에 위치한 도관과 거의 평형을 이루며, 정면의 자유 모서리(69)를 통해 개구(64)와 연결된다. 6 to 10 show an improved variant of the dirt separation main apparatus. In this variant, the conduit 56 comprises an edge flange 57 which also forms part of the separation chamber and a recess 62 which forms the handle of the separation device. However, compar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duit has separators 7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are shown separately in FIG. 10. Walls 66 are located in front of each opening 64 formed in conduit 56 along the direction of rotation F of air in the separation chamber. These inclined walls have an opening 68 at the free end, which is nearly equilibrium with the conduit located below a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64 through the free edge 69 in the front.

바람직하게는, 벽들(66)은 도관(56)에 부착된 측벽(67)을 포함하여 입자들이 기울어진 벽(66)을 우회하여 개구(64)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들 측벽은 기울어진 벽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형성한다.Preferably, the walls 66 include sidewalls 67 attached to the conduit 56 to prevent particles from entering the opening 64 by bypassing the inclined wall 66. Thus, these side walls form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inclined wall.

이러한 구성을 통해, 미세 입자들의 경로는 기울어진 벽(66)을 따라가며, 따라서 도관(56)으로부터 멀어진다. 입자들 중 어느 정도는 기울어진 벽들(66)로 형성된 도약대에 의해 튕겨져 나간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ath of the fine particles follows the inclined wall 66 and thus away from the conduit 56. Some of the particles are bounced off by the springs formed by the inclined walls 66.

그러나, 벽에 형성된 개구(68)을 통해, 공기는 그 경로를 크게 변경할 필요 없이 도관과 만나게 된다. 도 9에 공기의 경로(G)가 보여주듯, 개구(68)는 입자의 분리 효과를 크게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도관의 개구를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오는 것을 촉진한다. However, through the openings 68 formed in the wall, air meets the conduit without having to change its path significantly. As shown by the path of air G in FIG. 9, the opening 68 facilitates the escape of air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nduit without significantly degrading the particle separation effect.

본 실시예에서, 도관 위치의 개구 크기를 늘리면 파워 손실이 최소화된다. 즉,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개구들(64)은 분리실 내의 기류의 일반적인 이동 방향을 따라 벽(56)의 하류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은 공기가 경로를 덜 구부리면서 이들 개구(64)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는 파워 손실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embodiment, increasing the opening size of the conduit location minimizes power loss. That is, as can be seen in FIG. 10, the openings 64 extend downstream of the wall 56 along the general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irflow in the separation chamber. This configuration allows air to reach these openings 64 with less bending of the path, which means that power loss is reduced.

이렇게 개구들(64)을 보호하고 기울어진 벽들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입자들은 상기 벽 위로 밀려 개구(64)로부터 멀리 튕겨져 나간다. By thus protecting the openings 64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inclined walls, particles are pushed over the walls and bounced away from the opening 64.

작동에 있어, 사용자는 바닥을 청소하고 난 후 모터-팬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나서 버튼(24)를 눌러 오물수거용 주 용기(22)를 분리하여 비울 수 있다.In operation, the user stops the motor-fan after cleaning the floor. Then, by pressing the button 24, the main container 22 for waste collection can be removed and emptied.

여과 장치들을 소제하고자 할때는, 뚜껑(18)을 열고 오목부(42,62)를 통하여 장치들을 잡는다. 사용자는 우선 쓰레기를 담고 있는 통 위의 조립체를 흔들어 볼 수 있으며, 그 후 도관을 수집통에 대해 살짝 돌림으로써 두 장치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도관은 물에 씻을 수 있으며, 솔 등을 사용하여 좀더 적극적으로 소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관은 보통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소제용 솔 및 세제의 기계적 외력을 견뎌낼 수 있다. 이러한 소제의 면은 도관이 앞서 설명된 분리기들(70)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데, 이들 분리기는 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면서 좀더 세밀한 소제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미세 필터가 장착된 수집통(38)로부터 도관을 분리해 낼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좀더 적극적이고 좀더 효과적인 소제 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소제 작업을 더 이상 오랫동안 지루하게 할 필요가 없다. When cleaning the filtering devices, the lid 18 is opened and the devices are held through the recesses 42 and 62. The user may first shake the assembly on the bin containing the rubbish, and then separate the two devices by slightly turning the conduit against the collecting bin. This separated conduit can be washed in water, or more aggressively cleaned with a brush. These conduits are usually formed of plastics and can withstand the mechanical external forces of cleaning brushes and detergents. This aspect of cleaning is more important in that the conduit has the separators 70 described above, because these separators require more detailed cleaning while complicating the structure of the device. By being able to separate the conduit from the collecting filter 38 equipped with a fine filter, the user can use a more active and more effective cleaning method, so that the cleaning operation no longer has to be boring for a long time.

오물분리 보조 장치와 그 주름 필터는 흔들어 털어낼 수 있으며, 또한 주름 필터가 물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 있는 유형이라면 물세척을 할 수도 있다. 스펀지(44)는 수집통(38)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간편하게 물세척을 할 수도 있다.The segregation aid and its pleated filter can be shaken off and washed with water if the pleated filter is of a type that can be cleaned with water. The sponge 44 may be separated from the collecting container 38 and may also be simply washed with water.

본 실시예에서, 필터는 수집통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를 위하여는 수집통(38)을 교환하여야 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lter is adhered to the collecting container, the collecting container 38 must be replaced to replace the filter.

여러 요소들의 재조립은 간단하고 어떤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자는 이러한 작업을 자주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장치들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청소기의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다. The reassembly of the various elements is simple and requires no tools, so the user can often perform this task, which prevents the malfunction of the devices and consequently the malfunction of the clean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들은 청소기의 크기를 줄이고 분리 효율을 감소시키기 않으면서 소제 및 교체가 훨씬 용이한 장점이 있다.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much easier to clean and replace without reducing the size of the cleaner and the separ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들을 그 기능상의 주변부품과 함께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gether with their functional peripherals;

도 3은 분리 장치의 상세 사시도,3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ng device,

도 4는 도 3의 분리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taching device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창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분리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paration device,

도 7은 도 6의 분리 장치의 정면도, 7 is a front view of the separating device of FIG. 6,

도 8은 도 7의 분리 장치의 A-A 선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separation device of FIG.

도 9는 도 8의 B의 상세도,9 is a detailed view of B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들 중 하나의 개량형의 상세 사시도이다. 10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n improved version of one of the separa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laims (12)

진공 청소기(10)의 프레임(11) 내에 장착되며, It is mounted in the frame 11 of the vacuum cleaner 10, 관성을 이용하여 오물을 분리하는 원환체 형태의 주 분리실(33) 내에 위치하는 도관(36,56)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36,56)은 다수의 개구(40,64)를 가지며 상기 개구(40,64)를 통해서만 분리실(33)과 공기가 통하고 상기 도관은 또한 모터-팬부에 연결되며, Conduits (36,56) located in the torus-shaped main separation chamber (33) for separating dirt using inertia, said conduits (36,56)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40,64) Only through the openings 40, 64 is in air with the separation chamber 33 and the conduit is also connected to the motor-fan section, 상기 도관(36,56)과 모터-팬부 사이에 공기가 소통하는 경로에 삽입되는 미세 필터(46)가 배치되어 오물분리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수집통(38)을 포함하는,A collection filter 38 is disposed between the conduits 36 and 56 and a motor-fan part, and a fine filter 46 is inserted into a path through which air is communicated, and constitutes a waste separation aid. 모터-팬부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10) 내의 오물을 분리하는 주 장치 및 보조 장치에 있어서, In the main device and the auxiliary device for separating the dirt in the vacuum cleaner 10 having a motor-fan section, 상기 두 장치들은 구조적 락킹 요소인 걸이 수단들(50,52)에 의해 구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이 장치들은 진공 청소기(10)의 프레임(11)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진공 청소기(10)용 오물 분리 주 장치 및 보조 장치. The two devices are structu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hook means (50, 52), which are structural locking elements, which devices are detachable to the frame (11) of the vacuum cleaner (10). Disconnect main unit and auxiliar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이 수단들(50,52)은 수집통(38)를 도관(36,56)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0)용 오물 분리 주 장치 및 보조 장치. And said hook means (50,52) can be released to separate the collecting canister (38) from the conduit (36,5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도관(36,56)은 상부가 차단되고, 분리 장치들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오목부들(42,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0)용 오물 분리 주 장치 및 보조 장치. The conduit (36,56) is blocked at the top, and comprises a recess (42,62) to easily hold the separation devices, the mai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dust separation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중앙 도관(36,56)은 그 바닥에 상기 도관에 거의 수직인 가장자리 링(37)을 구비하고, 상기 링은 분리실(33)의 일면을 형성하며, 그 맞은편 면은 필터(46)를 구비한 수집통(38)의 걸이 수단들(5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0)용 오물 분리 주 장치 및 보조 장치. The central conduits 36, 56 have an edge ring 37 at their bottom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duit, the rings forming one side of the separation chamber 33, the opposite side of which filters 46. And a hook device (52) of the collecting bin (38) having a dust collecting main device and an auxiliary device for the vacuum cleaner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필터(46)는 수집통(38)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0)용 오물 분리 주 장치 및 보조 장치. Said filter (46) is detachable to the collecting container (38),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unit and auxiliary device for separating dust for the vacuum cleaner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도관(56)은 공기가 움직이는 방향(F)을 따라 분리실(33)을 향해 기울어진 벽들(66)을 구비하고, 상기 각 벽(66)의 단부에는 거의 편평하고 아래의 도관(56)과 거의 평행을 이루는 개구(68)가 형성되며, 상기 도관(56)의 개구(64)는 벽(66)의 개구(68)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0)용 오물 분리 주 장치 및 보조 장치. The conduit 56 has walls 66 inclined toward the separation chamber 33 in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F, with conduits 56 substantially flat at the ends of each of the walls 66. An opening 68 is formed which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opening, wherein the opening 64 of the conduit 56 is located just below the opening 68 of the wall 66. Primary and Secondary Devices.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벽(66)은 양쪽 모서리에서 측벽들(67)과 접하고, 상기 측벽들은 도관(5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0)용 오물 분리 주 장치 및 보조 장치. The wall (66) abuts sidewalls (67) at both edges, and the sidewalls are attached to a conduit (56).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도관(56) 위치의 개구(64)는 기울어진 벽(66)의 바로 아래를 초과하도록 공기의 회전방향(F)으로 또는 공기의 회전방향(F)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10)용 오물 분리 주 장치 및 보조 장치. The opening 64 in the conduit 56 position extend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F of air or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F of air so as to exceed just below the inclined wall 66. Dust separation main and auxiliary device for cleaner (10). 내부에 모터-팬부가 장착된 프레임(11)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1)은 단부에 노즐이 달린 도관(32,132)을 통하여 청소할 바닥으로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내의 공기 흡입구는 오물 분리실(33)에 접선 방향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10)에 있어서,A frame 11 having a motor-fan part mounted therein, the frame 11 including an air inlet connected to the floor to be cleaned through conduits 32 and 132 with nozzles at the end, and the air inlet in the frame I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0 is connected to the tangential separation chamber 33 so that air flows in a tangential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물 분리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10). An electric vacuum cleaner (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ust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분리실(33)은 상부가 뚜껑(18)으로 차단되며, 상기 뚜껑(18)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도관(36,56)의 상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10). The separation chamber 33 has an upper portion closed by a lid 18, the lid 18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nduits 36 and 56 through which externally accessible and purified air is discharged. Cleaner 10.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분리실(33)은 착탈 가능한 오물수거 밀폐용기(22)와 연결되며, 상기 밀폐용기(22)는 방사상 방향 혹은 접선 방향을 향하는 배출관(39)을 통해 상기 분리실(33)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10). The separation chamber 33 is connected to the detachable waste collection sealed container 22, the sealed container 22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chamber 33 through the discharge pipe 39 in the radial or tangential direction Electric vacuum cleaner 10 characterized in that.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오물 분리 장치들은 배출관(39) 및 착탈 가능한 오물수거 밀폐용기(22)에 대하여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10).The waste separation apparatus is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ndependent of the discharge pipe (39) and the removable waste collection container (22).
KR1020040097377A 2003-11-27 2004-11-25 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Expired - Fee Related KR1011227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13915 2003-11-27
FR0313915A FR2862860B1 (en) 2003-11-27 2003-11-27 DEVICE FOR SEPARATING WASTE FOR VACUUM CLEA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62A true KR20050051562A (en) 2005-06-01
KR101122730B1 KR101122730B1 (en) 2012-03-26

Family

ID=3445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3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2730B1 (en) 2003-11-27 2004-11-25 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35562B1 (en)
JP (1) JP2005152649A (en)
KR (1) KR101122730B1 (en)
CN (1) CN100362960C (en)
AT (1) ATE418904T1 (en)
DE (1) DE602004018730D1 (en)
FR (1) FR28628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3995B (en) * 2007-10-25 2012-01-25 Dyson Technology Ltd A filter assembly
FR2923703B1 (en) 2007-11-15 2012-09-21 Seb Sa FILTER CLEAN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GB2577884A (en) 2018-10-08 2020-04-15 Black & Decker Inc A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9518B1 (en) * 1999-12-08 2001-08-07 Shell Electric Mfg. (Holdings) Co. Ltd. Bagless vacuum cleaner
US6558453B2 (en) * 2000-01-14 2003-05-06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Bagless dustcup
KR100377015B1 (en) * 2000-08-07 2003-03-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FR2832915B1 (en) * 2001-12-05 2006-09-22 Seb Sa DEVICE FOR SEPARATING WASTE FOR VACUUM CLEANERS
US6810557B2 (en) * 2002-01-28 2004-11-02 Bissell Homecare, Inc. Cyclone separator with vacillating debris inhib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730B1 (en) 2012-03-26
EP1535562A1 (en) 2005-06-01
JP2005152649A (en) 2005-06-16
FR2862860B1 (en) 2006-01-06
CN100362960C (en) 2008-01-23
EP1535562B1 (en) 2008-12-31
FR2862860A1 (en) 2005-06-03
ATE418904T1 (en) 2009-01-15
DE602004018730D1 (en) 2009-02-12
CN1620981A (en)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4224B2 (en) Cyclonic vacuum cleaner
RU2253346C1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of vacuum cleaner
RU2228133C2 (en) Cyclone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RU2260367C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versions)
CA2618070C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JP344235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RU2257130C2 (en) Device for entrapping dust dirt in vacuum cleaner (versions) and vacuum cleaner proper (versions)
EP1464265B1 (en) Vacuum cleaner
RU2302810C2 (en) Separator and dust collector construction for vacuum-type garbage truck
JP2003339596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KR100964699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200498275Y1 (en) Vacuum cleaner and dust plume reduction apparatus
KR101546839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JP2021058658A (en)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on device of the same
CN111588306A (en) Dust suction device
KR101122730B1 (en) 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EP1676514A2 (en) Vacuum cleaner
KR20050051561A (en) 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EP1437081B1 (en) Vacuum cleaner
JP6818808B2 (en) Vacuum cleaner and its dust collector
KR100582063B1 (en) Dust collection casing for vacuum cleaner
KR100602238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JP2006325883A (en) Vacuum cleaner
WO2023037540A1 (en) Dust unit and cleaner
KR100672533B1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