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58899A -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899A
KR20050058899A KR1020030090923A KR20030090923A KR20050058899A KR 20050058899 A KR20050058899 A KR 20050058899A KR 1020030090923 A KR1020030090923 A KR 1020030090923A KR 20030090923 A KR20030090923 A KR 20030090923A KR 20050058899 A KR20050058899 A KR 20050058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lient
display device
host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515B1 (ko
Inventor
장미숙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515B1/ko
Priority to PCT/KR2004/002008 priority patent/WO2005057385A1/en
Priority to EP04748528A priority patent/EP1692603A4/en
Priority to CNB2004800371311A priority patent/CN100543635C/zh
Priority to US10/967,293 priority patent/US7831714B2/en
Publication of KR20050058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1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 가능한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각각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상기 각 클라이언트에 부여된 클라이언트 아이디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호스트 제어부를 갖는 호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 클라이언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호스트에서 확인 및/또는 관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클라이언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호스트에서 확인 및/또는 관리 가능한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컴퓨터, 디스플레이 및 네트워크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관련 분야의 기술, 제품 등이 업계에 큰 변혁을 이루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환경이 메인 프레임 중심의 중앙 호스팅 방식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전국 또는 전 세계에 걸쳐 설치된 지점의 각 서버를 중심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업체나 기관들은 하나 이상의 서버를 중심으로 기업체나 기관 내의 모든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하고, 이 서버를 통해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시키고 있다. 여기서, 서버에 연결된 각 컴퓨터에는 고유의 주소, 예컨대 IP가 부여되어 서버에 접속된 컴퓨터의 관리가 가능하게 되고, 서버에서 각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는 서버가 접속된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각 컴퓨터에 거의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모니터의 관리에 관한 기술은 제안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서버에서는 각 모니터의 종류나 스펙 등과 같은 어떠한 정보도 제공받지 못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컴퓨터에 모니터가 접속되어 있는지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기업체의 비품을 관리하는 관리자나 호스트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어느 컴퓨터에 어느 모니터가 접속되어 있고, 모니터의 분실 여부나 교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각 모니터가 설치된 곳에 가서 직접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근래에 모니터가 CRT에서 박형화된 LCD로 대체되어 감에 따라 모니터의 도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모니터의 관리의 필요성 또한 더욱 절실해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 클라이언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호스트에서 확인 및/또는 관리 가능한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에 록킹 기능이 부여된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 가능한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각각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상기 각 클라이언트에 부여된 클라이언트 아이디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호스트 제어부를 갖는 호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제어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록킹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록킹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록킹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록킹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호스트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이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이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설정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록킹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록킹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호스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오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전원 오프에 대응하는 전원오프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전원오프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온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전원 온에 대응하는 전원온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전원온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다바이스의 전원을 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온 상태인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팅된 전원 온 상태의 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적산하여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변수들이 저장된 이이피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이이피롬에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 가능하게 할당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독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와,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각각 연결되는 클라이언트(30)들과, 각 클라이언트(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호스트(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55)와, 클라이언트(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인터페이스부(52)와,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5)가 표시 가능한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54)와,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가 가능한 메모리부(53)와, 이들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51)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52)는 클라이언트(30)의 후술할 그래픽 컨트롤러(3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R(Red),G(Green),B(Blue)신호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 Sync Signal)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52)는 클라이언트(30)의 그래픽 컨트롤러(32)와 연결 가능한 다양한 형태, 예컨대, D-Sub 커넥터, DVI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부(52)는 클라이언트(30)와 양방향 통신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영상신호 이외의 데이터, 예컨대, 디스플레이 제어부(51)에 인가되는 후술할 각종 제어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 또한 클라이언트(30)에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52)는 클라이언트(30)와 양방향 통신 가능한 DDC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USB 인터페이스와 같이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다른 인터페이스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DDC 기능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 상에서 자동환경 설정, 소위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를 실현시키기 위한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 규정한 표준 규격으로, 클라이언트(30)의 그래픽 컨트롤러(32)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51) 사이에 있어서 데이터를 교환할 때의 신호라인과 그 수순을 D-Sub 커넥터를 통해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디스플레이부(55) 및 신호처리부(5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LCD인 경우, 신호처리부(54)는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와 R,G,B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A/D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LCD인 경우, 디스플레이부(55)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LCD패널과, LCD패널을 동작시키는 패널구동부와, LCD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CRT인 경우, 신호처리부(54)는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앰프류와,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 및 수평 편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CRT인 경우, 디스플레이부(55)는 음극선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변수들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표시상태가 조절되도록 신호처리부(54) 및 디스플레이부(55)를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변수들은 도시되지 않은 이이피롬(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클라이언트(30)로부터 수신되는 일정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53)는 데이터를 저장 및 삭제 가능한 데이터의 저장장치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호스트 제어부(11)로부터 클라이언트(30)를 통해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메모리부(53)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30)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부(53)로부터 저장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독출하여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클라이언트(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53)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부(53)를 설치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 가능한 전술한 설정변수들이 저장되는 이이피롬의 일 영역을 할당하여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클라이언트의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30),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영상신호를 인가하는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인 클라이언트 CPU(36)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그래픽 컨트롤러(32)와, 시스템 운영체계나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8)와, 호스트(1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부(33)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시스템버스(37)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래픽 컨트롤러(3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와 양방향 통신 가능한 DDC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인터페이스부(52)가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USB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USB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별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제어부(51)가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클라이언트(30)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사용자가 클라이언트(30)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전술한 설정변수들을 설정하는 경우, 클라이언트(30)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설정된 설정변수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그래픽 컨트롤러(32)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인가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수신된 설정변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성변수들을 재설정하여 이이피롬에 저장하고, 재설정된 설정변수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클라이언트(30)에 최초 접속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전송을 요청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수신 여부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10)로 전송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호스트(1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거나,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클라이언트(30)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8)에 인스톨되어 저장된다.
호스트의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10), 예컨대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30)와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각 클라이언트(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나, 인터넷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각 호스트(10)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10)는 중앙처리장치인 호스트 CPU(16)와, 호스트(10) 운영체계나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와, 각 클라이언트(3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호스트 네트워크부(13)와, 이미지가 표시되는 호스트 디스플레이부(15)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키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4)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시스템버스(17)를 포함한다. 또한, 호스트(10)는 사용자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각 클라이언트(30)에 부여된 클라이언트 아이디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12)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를 관리 및 제어하는 호스트 제어부(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된 각 클라이언트(30)의 클라이언트 아이디는 호스트(10)에 클라이언트(30)가 접속되는 경우 사용자가 호스트(10)를 통해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라이언트(30)가 접속되는 경우 각 클라이언트(30)에 할당된 IP 어드레스 등에 의해 호스트 제어부(11)가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는 그 디스플레이 아이디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접속된 클라이언트(30)의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도록 등록된다. 이에 따라, 호스트 관리자는 각 클라이언트(3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에는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온 상태의 시간이 적산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호스트(10)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사용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온 상태의 시간이 적산되어 저장되는 과정은 후술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에는 등록된 각 디스플레이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EDID 데이터가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호스트 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된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EDID 데이터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제품명, 디스플레이 스펙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제공한다.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 관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호스트 디스플레이부(15)에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호스트 관리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정보를 제공받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은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ID 선택버튼(71)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보선택버튼(72)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를 제어하기 위한 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선택버튼(7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은, 도 ?에 도시된 것이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고, 각 선택버튼(71,72,73)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된 창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 관리자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에서, 사용자 입력부(14)를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대응하는 클라이언트(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전송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전송받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전송받은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메모리부(53)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10)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에 인스톨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3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등록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클라이언트(3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접속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3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전원이 온되는 경우(110),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전송을 요청하고(10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수신을 기다린다(102).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부(33)를 통해 호스트(10)로 전송한다(103).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메모리부(53)에는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고,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클라이언트(30)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부(53)로부터 저장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독출하여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클라이언트(30)에 전송하게 된다.
그런 다음,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데이터베이스(12)에 기 등록된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4).
여기서,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된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일치하는 경우,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전송한다(105). 여기서,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호스트(10)로부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부(33)를 통해 디스플레이 허용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다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전송한다(106).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클라이언트(30)로부터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디스플레이 허용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이피롬에 기 저장된 설정변수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107).
반면, 단계 104에서,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된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호스트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데이터베이스(12)에 기 등록된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데이터베이스(12)에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에는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불일치함을 나타내는 경고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호스트 관리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 여부를 선택한다(110). 여기서, 호스트 관리자가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을 선택하고, 사용자 입력부(14)를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입력되는 경우(111), 호스트 제어부(11)는 사용자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해당 클라이언트(30)의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로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한다(112). 또한, 호스트 제어부(11)는 사용자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클라이언트(30)로 전송한다(112).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호스트(10)로부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부(33)를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전송한다(113).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클라이언트(30)로부터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메모리부(53)에 저장한다(114).
여기서, 호스트 제어부(11)는 사용자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전송할 때,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제어부(31) 또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전송할 때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클라이언트(30)로부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제어부(31)가 호스트(10)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생성/전송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로 인식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단계 11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호스트 제어부(11)는 록킹 기능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록킹신호를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클라이언트(30)에 전송한다(116).
여기서,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부(33)를 통해 디스플레이 록킹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록킹 기능을 수행한다(117). 여기서, 클라이언트 제어부(31)에 의해 수행되는 록킹 기능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클라이언트 제어부(31)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이언트 제어부(31)에 의해 수행되는 록킹 기능의 다른 실시예로는 클라이언트 제어부(31)가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록킹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클라이언트(30)로부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5)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신호처리부(54)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55)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5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단계 102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호스트(10)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120).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메모리부(53)에 기 저장된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다음, 호스트 제어부(11)는 클라이언트(30)로부터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호스트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한다(121). 이 때, 호스트 관리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 여부를 선택한다(122). 여기서, 호스트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을 선택하고, 사용자 입력부(14)를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입력하는 경우(122), 호스트(10), 클라이언트(3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전술한 도 4b의 단계 112 내지 115에 각각 대응하는 도 4c의 단계 124 내지 127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메모리부(53)에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저장하고(12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되게 한다(127). 여기서, 도 4c의 단계 124 내지 127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단계 122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설정하지 않을 것을 선택하는 경우, 전술한 도 4b의 단계 116 및 117에 각각 대응하는 도 4c의 단계 128 및 129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4c의 단계 128 및 129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단계 104에서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클라이언트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나, 단계 120에서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가 호스트(10)에 수신되는 경우, 호스트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 여부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 록킹신호를 클라이언트(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에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이디 및/또는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클라이언트(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관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관리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은 클라이언트(30)의 클라이언트 아이디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호스트(10)의 데이터베이스(12)에 기 등록되어 정상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전원이 온되는 경우(130),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클라이언트(30)의 전원이 온인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 온 상태신호를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클라이언트(30)에 전송한다(131).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부터 전원 온 상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전원 온 상태신호를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부(33)를 통해 호스트(10)로 전송한다(132).
그런 다음,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전원 온 상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온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13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온 상태인 시간을 카운팅한다(134).
그런 다음,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전원 오프 상태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135), 전원 오프 상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136) 카운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온 상태의 시간을 기 등록된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온 상태의 시간에 적산하여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한다(137). 여기서, 호스트 네트워크부(13)를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신호는 도 5의 단계 130 내지 132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호스트 제어부(11)는 호스트 관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독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총 사용시간을 체크할 수 있게 되어, 예컨대, LCD의 경우 램프의 수명 등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호스트(10) 및 클라이언트(30)가 켜진 상태에서, 호스트 관리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의 관리방법을 통해 인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온/오프 상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관리자는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을 통해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전원 온 또는 오프 기능을 선택한다.
이 때, 호스트 제어부(11)는 전원 온 또는 오프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전원 온 또는 오프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클라이언트(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 인가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킨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방법에 따라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를 클라이언트(30)를 통해 호스트(1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제어부(11) 및/또는 클라이언트 제어부(31)가 디스플레이 허용신호 및/또는 록킹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제어부(51)가 디스플레이 허용신호와 록킹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정상적인 표시 여부를 결정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제어부(51)가 록킹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의 수신 여부에 무관하게 클라이언트(30)로부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5)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호스트(10)의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된 자신의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접속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전송함으로써, 호스트(10)에 의한 별도의 확인과정 없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와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 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나, 수신된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상이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호스트(10)에서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 여부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록킹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55)와,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 가능한 메모리부(53)와,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51)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와;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각각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30)와;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에 부여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4)와, 사용자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되는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각 클라이언트(30)에 부여된 클라이언트 아이디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12)와, 디스플레이 제어부(51)가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메모리부(53)에 저장하도록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클라이언트(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호스트 제어부(11)를 갖는 호스트(10)를 마련함으로써, 각 클라이언트(3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를 호스트(10)에서 확인 및/또는 관리 가능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51)는 클라이언트(30)로부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여, 클라이언트(30)로부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5)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도난 등을 통해 다른 컴퓨터 등에 연결되는 경우 그 작동이 제한하거나, 호스트(10)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클라이언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호스트에서 확인 및/또는 관리 가능한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에 록킹 기능이 부여함으로써, 도난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한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관리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관리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스트 11 : 호스트 제어부
12 : 데이터베이스 13 : 호스트 네트워크부
14 : 사용자 입력부 15 : 호스트 디스플레이부
16 : 호스트 CPU 30 : 클라이언트
31 : 클라이언트 제어부 32 : 그래픽 컨트롤러
33 :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부 36 : 클라이언트 CPU
5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1 : 디스플레이 제어부
52 : 인터페이스부 53 : 메모리부
54 : 신호처리부 55 : 디스플레이부
70 :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Claims (21)

  1.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 가능한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 상태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각각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상기 각 클라이언트에 부여된 클라이언트 아이디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호스트 제어부를 갖는 호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제어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록킹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록킹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허용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록킹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록킹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호스트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며;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수신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이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설정이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의 미설정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가 록킹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록킹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2. 제5항, 제6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3. 제5항, 제6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록킹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호스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오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전원 오프에 대응하는 전원오프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전원오프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온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전원 온에 대응하는 전원온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전원온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다바이스의 전원을 온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전원 온/오프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온 상태인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팅된 전원 온 상태의 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적산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변수들이 저장된 이이피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이이피롬에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 가능하게 할당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디를 독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허용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KR1020030090923A 2003-12-13 2003-12-13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1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923A KR100810515B1 (ko) 2003-12-13 2003-12-13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PCT/KR2004/002008 WO2005057385A1 (en) 2003-12-13 2004-08-10 A display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EP04748528A EP1692603A4 (en) 2003-12-13 2004-08-10 DISPLAY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B2004800371311A CN100543635C (zh) 2003-12-13 2004-08-10 显示装置管理系统及方法
US10/967,293 US7831714B2 (en) 2003-12-13 2004-10-19 Display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923A KR100810515B1 (ko) 2003-12-13 2003-12-13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899A true KR20050058899A (ko) 2005-06-17
KR100810515B1 KR100810515B1 (ko) 2008-03-10

Family

ID=3667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9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0515B1 (ko) 2003-12-13 2003-12-13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31714B2 (ko)
EP (1) EP1692603A4 (ko)
KR (1) KR100810515B1 (ko)
CN (1) CN100543635C (ko)
WO (1) WO20050573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12B1 (ko) * 2005-05-11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영상신호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013143B1 (ko) * 2004-06-29 201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 관리시스템
KR101315585B1 (ko) * 2008-10-23 2013-10-08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경사진 이미지의 사회적 기반 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2440B2 (en) * 2005-10-28 2011-02-01 Sap Ag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appearanc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552186B1 (ko) * 2007-03-19 201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쇼핑 시스템 및 방법
TW200849013A (en) * 2007-06-08 2008-12-16 Tatung Co Ltd Management method using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KR20100062630A (ko) * 2008-12-02 2010-06-10 (주)씨디네트웍스 하드웨어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방법 및 장치
US9812047B2 (en) 2010-02-25 2017-11-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the operating life of electronic displays
US9026686B2 (en) * 2009-02-16 2015-05-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identifying display components
KR20110012646A (ko) * 2009-07-31 201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TWI436588B (zh) * 2010-03-16 2014-05-01 Acer Inc 電源鎖定的設定方法及其電子裝置
KR20110132055A (ko) * 2010-06-01 201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Id 설정 시스템, id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2375709B (zh) * 2010-08-04 2015-03-11 宏正自动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处理系统
US20120131359A1 (en) * 2010-11-18 2012-05-24 Landry Lawrence B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power mode
US10353785B2 (en) 2015-09-10 2019-07-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systemic detection of display errors
CN107590239B (zh) * 2017-09-11 2020-08-11 东南大学 一种基于ic卡数据测定地铁站点公共自行车接驳半径的方法
CN107451299A (zh) * 2017-09-11 2017-12-08 东南大学 基于ic卡数据的地铁与公共自行车换乘行为识别方法
US11645029B2 (en) 2018-07-12 2023-05-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monitoring electronic displays
US10908863B2 (en) 2018-07-12 2021-02-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co-located operations data for an electronic display
CN109669725B (zh) * 2018-11-27 2022-05-24 瑞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主从机系统的控制方法及硬件架构,及主从机系统
WO2020176416A1 (en) 2019-02-25 2020-09-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the status of a touchscreen
US11402940B2 (en) 2019-02-25 2022-08-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the status of a touchscreen
JP2022050117A (ja) * 2020-09-17 2022-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921010B2 (en) 2021-07-28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US11965804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US11972672B1 (en) 2022-10-26 2024-04-3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providing open and unlatched alert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same
US12027132B1 (en) 2023-06-27 2024-07-0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units with automated power governing
WO2025212305A1 (en) 2024-04-04 2025-10-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using air characteristic data to verify display assembly operating condi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475B1 (ko) 1989-06-29 1992-05-01 주식회사 한국컴퓨터테크 컴퓨터네트웍시스템
JPH05334033A (ja) 1992-06-01 1993-12-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ウィンド表示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6217195A (ja) 1993-01-20 199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機器制御装置
JPH07168692A (ja) 1993-12-15 1995-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それら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863135A (ja) * 1994-08-26 1996-03-08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US6137473A (en) * 1994-09-02 2000-10-24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control between a host computer and a remote interface device
JPH08115281A (ja) * 1994-10-19 1996-05-07 Hitachi Ltd 情報処理システムと通信サービスボード
US5604509A (en) * 1995-04-14 1997-02-18 Advent Design, Inc. Remote display monitor system
TW292365B (en) * 1995-05-31 1996-12-01 Hitachi Ltd Computer management system
US5748189A (en) * 1995-09-19 1998-05-05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put devices amongst plural independent graphic display devices
US5782642A (en) * 1995-12-19 1998-07-21 Goren; Michael Interactive video and audio display system network interactive monitor module interface
US7171461B2 (en) * 1996-07-23 2007-01-30 Server Technology, Inc. Network remote power management outlet strip
KR0175264B1 (ko) 1996-08-21 1999-04-01 김광호 화상통신시스템의 모니터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201306B1 (ko) 1996-09-04 1999-06-15 윤종용 화상통신시스템의 모니터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GB2317470A (en) * 1996-09-24 1998-03-25 Ibm Screen remote control
KR19980025431A (ko) * 1996-10-01 1998-07-15 구자홍 브랜치 프로세서(bp)의 터미널 포트 통합관리방법
JP3683051B2 (ja) * 1996-10-18 2005-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送信方式
JP3507270B2 (ja) * 1997-02-20 2004-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管理ツール
US6654785B1 (en) * 1998-03-02 2003-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providing a synchronized display of information slides on a plurality of computer workstations over a computer network
JP2000137660A (ja) 1998-10-30 2000-05-16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装置
US6567092B1 (en) * 1999-02-10 2003-05-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interfacing to ultra-high resolution output devices
US6331855B1 (en) * 1999-04-28 2001-12-18 Expertcity.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access, control of remote systems and updating of display information
US6447396B1 (en) * 2000-10-17 2002-09-10 Nearlif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n interactive computer game with a broadcast television program
US6784855B2 (en) * 2001-02-15 2004-08-3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 portable, interactive display device for use with a computer
US20020165881A1 (en) 2001-03-15 2002-11-07 Imation Corp. Web page color accuracy using color-customized style sheets
US20020178387A1 (en) * 2001-05-25 2002-11-28 John Ther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power use of networked information devices
US7180475B2 (en) * 2001-06-07 2007-02-20 Infocu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image transmission to a projector
US20030016233A1 (en) * 2001-06-29 2003-01-23 Bitflash Graph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ipulation of graphics information
KR20030026134A (ko) * 2001-09-25 200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7167919B2 (en) * 2001-12-05 2007-01-23 Canon Kabushiki Kaisha Two-pass device access management
US6825846B2 (en) * 2001-12-10 2004-11-30 American Megatrend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screen displays from a host computing system for display at a remote terminal
EP1331570B1 (en) * 2002-01-18 2005-03-23 Hewlett-Packard Company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s
KR200278216Y1 (ko) 2002-03-19 2002-06-14 (주) 제경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US7025678B2 (en) * 2002-03-21 2006-04-11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remote display devices in a gaming network
US6989836B2 (en) * 2002-04-05 2006-01-24 Sun Microsystems, Inc. Acceleration of graphics for remote display using redirection of rendering and compression
US7260624B2 (en) * 2002-09-20 2007-08-21 American Megatrend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interaction between a local computer and a remote computer
US7287099B1 (en) * 2003-03-18 2007-10-23 Unisys Corporation System for support of remote console by emulation of local console with multipath data flow structure
US7382741B2 (en) * 2003-06-25 2008-06-03 Canon Kabushiki Kaisha Configuration of wireless network client
US20050232190A1 (en) * 2003-09-22 2005-10-20 Jeyhan Karaoguz Sharing of user input devices and displays within a wireless network
KR101013143B1 (ko) * 2004-06-29 201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 관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143B1 (ko) * 2004-06-29 201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 관리시스템
US7911408B2 (en) 2004-06-29 2011-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ement system of monitor
KR100749812B1 (ko) * 2005-05-11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영상신호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315585B1 (ko) * 2008-10-23 2013-10-08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경사진 이미지의 사회적 기반 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2603A1 (en) 2006-08-23
US7831714B2 (en) 2010-11-09
CN1894649A (zh) 2007-01-10
EP1692603A4 (en) 2010-11-10
KR100810515B1 (ko) 2008-03-10
WO2005057385A1 (en) 2005-06-23
CN100543635C (zh) 2009-09-23
US20050132036A1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515B1 (ko)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JP3795442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US8026924B2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ideo signals
US8885100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video output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of, and video display system
US7356775B2 (en) Focus priority in window management
KR101013143B1 (ko) 모니터 관리시스템
US20100156854A1 (en) Display system, module and method
EP1706814B1 (en) Display system
EP302994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105542A1 (en) Server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unit, server, and chassis thereof
JPWO2019163007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052661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저장매체
JP2016057604A (ja) 画像出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EP1939724A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KR100630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사용 인증방법
EP1331570B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s
JP6448209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
US12373151B2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and control method
US20060098091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amera through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20090074858A (ko) 영상 표시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속성 변경 방법
CN108881800A (zh) 显示装置、其中的信息终端机的设定方法以及显示系统
US20080118147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100512972B1 (ko) 복합 영상 제품의 키보드 입력 제어 방법
US20080062181A1 (en) Receiving system&#39;s display property provided to a sending system
KR20090004215A (ko) 온라인을 통한 디스플레이 환경설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3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