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69331A - 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 - Google Patents

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331A
KR20050069331A KR1020030101316A KR20030101316A KR20050069331A KR 20050069331 A KR20050069331 A KR 20050069331A KR 1020030101316 A KR1020030101316 A KR 1020030101316A KR 20030101316 A KR20030101316 A KR 20030101316A KR 20050069331 A KR20050069331 A KR 2005006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audio
source data
audio signa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10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9331A/en
Publication of KR2005006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33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V 시스템과 같은 외부 음원공급장치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재생부를 통해 중계 받아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외부 음원 공급장치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 압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독출하여 압축 해제한후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와; 상기 오디오 재생부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잭과;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 잭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압축 해제 출력하는 보코더를 내장한 단말기 제어부와; 상기 단말기 제어부의 보코더에서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한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코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and reproducing an audio signal line-outed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supply device such as an AV system through an audio reproducing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line source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supply device,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and outputs it to the interface connector. Or an audio reproducing unit which reads and decompresses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nd outputs the audio data as an audible sound; An interface jack for coupling with an interface connector of the audio reproduction unit; A memory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A terminal controller having a vocoder for compressing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interface jack,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 the memory, and accessing and decompressi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nd a codec for decoding sound source data output from the vocoder of the terminal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Description

오디오 재생부 착탈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Remov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dio reproduction unit {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AV 시스템과 같은 외부 음원공급장치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재생부를 통해 중계 받아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and reproducing an audio signal line-outed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supply device such as an AV system through an audio reproducing unit.

초소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 최첨단 디지털 오디오 재생부인 MP3 재생부를 결합한 소위 'MP3 휴대폰'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MP3 휴대폰은 평소에 인터넷 혹은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원하는 음악파일 등을 다운로드 받아 놓은 후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재생 청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젊은이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So-called 'MP3 mobile phones', which are combined with ultra-compac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P3 player, which is a state-of-the-art digital audio player, have become commonplace. These MP3 mobile phones are popular with young people in that they can download and listen to music files they want through the Internet or personal computers.

또한 음악파일 재생 이외에도 보이스 레코딩 기능이 함께 부가된 휴대폰들도 보급되기에 이르렀는데, 이 역시 강의내용을 저장한다거나 주요 대화내용 등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In addition to playing music files, mobile phones with voice recording functions have also been popularized, which is also gaining great response from consumers due to the advantage of storing lecture contents and main conversation contents.

그러나 현재 널리 보급된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소망하는 음악 미디어를 파일형태로만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는 제약사항이 있다. 근래에 보급되고 있는 AV 시스템들을 고려해 보면 최상의 화질 및 음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데, 만약 AV 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평소 접할 수 없는 사운드가 출력되고 있다고 가정하면 이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최적의 상태로 녹음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보이스 레코딩 기능을 이용하여 단순히 AV 시스템에서 출력되고 있는 사운드 음을 녹음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잡음의 영향이 커 최상의 음질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However, the current widesprea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limitation that can download and store the desired music media only in the form of a file. Considering the AV systems that are being used in recent years, they provide consumers with the best image quality and sound quality. If it is assumed that the AV system is outputting sound that is not normally available, it can be recorded optimally on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no way to do it.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can be used to simply record the sound being output from the AV system, but in this case, the noise is so large that the best sound quality cannot be guaranteed.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AV 시스템과 같은 외부 음원공급장치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중계 받아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오디오 재생부 착탈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toring and reproducing an audio signal outputted from a line output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supply device such as an AV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RF부를 구비하되,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RF unit,

외부 음원 공급장치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그 변환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압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독출하여 압축 해제한후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와;Receives the audio signal outputted from the external sound source device and converts it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and outputs it to the interface connector, and compresses the converted digital sound source data in the internal memory or reads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 audio reproduction unit for canceling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상기 오디오 재생부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잭과;An interface jack for coupling with an interface connector of the audio reproduction unit;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상기 인터페이스 잭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압축 해제 출력하는 보코더를 내장한 단말기 제어부와;A terminal controller having a vocoder for compressing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interface jack,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 the memory, and accessing and decompressi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상기 단말기 제어부의 보코더에서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 처리한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코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dec for decoding sound source data output from the vocoder of the terminal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디오 재생부는,In addition, the audio playback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부 음원 공급장치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단자와;An audio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line-outed from the external sound source supply device;

입력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 제거하기 위한 오디오신호 전처리부와;An audio signal preprocessor for amplifying an input audio signal and removing noise;

전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와;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reprocessed audio signal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상기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압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독출된 음원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여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코덱과;A codec for compressing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and storing it in an internal memory or decompressing the read sound source data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고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A user interface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d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음원 데이터의 저장과 독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orage and reading of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a user comman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녹음하고자 하는 오디오 음이 AV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경우 오디오 플레이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녹음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음원을 파일형태로 다운로드하지 않고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에 녹음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user can record the sound source in the form of a file because the user can record the audio sound to be recor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udio play when the audio sound to be recorded is output from the AV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corded on the mobile terminal without download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부(200)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이와 같이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블록구성으로 도시한 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First, FIG. 1 illustrates a coupling state arou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udio reproduc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hav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 본체의 일측면에는 인터페이스 잭(150)이 형성되어 있어 오디오 재생부(200)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커넥터(21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결합 가능한 오디오 재생부(200)에는 오디오 입력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재생부(200)에 형성된 오디오 입력단자와 텔레비젼과 같은 AV 시스템(300)에 형성되어 있는 오디오 출력단자는 라인 접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an interface jack 150 is formed at one side of a main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n interface connector 215 formed in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is coupled. Can be. An audio input terminal is formed in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that can be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refore, the audio input terminal formed in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and the audio output terminal formed in the AV system 300 such as a television can be connected in line.

이하 오디오 재생부(200)와 그가 결합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Hereinafter,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which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is coupled.

우선 기지국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RF부(1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처리하여 후술할 단말기 제어부(130)로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130)에서 업 컨버젼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First of al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RF unit 110 processes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as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outputs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control unit 130 It transmits the converted output signal through the antenna ANT.

메모리(11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15)는 램과 롬 등을 포함한다.The memory 115 stores control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mory 115 includes a RAM, a ROM, and the like.

송수화 처리부(120)는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한편 단말기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handset processor 120 converts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to digital data, and converts and outputs the digital voice data output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30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Do this.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키패드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 키패드에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다수의 기능키가 구비되어 키누름에 따라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상기 표시부는 후술할 단말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여 준다.The user interface unit 140 includes a keypad and a display unit. The keypad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dialing to generate and output key data according to key presses, and the display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Various display data are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30.

단말기 제어부(130)는 통화 상대방과 단말기 송수화 처리부(120) 사이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음성통화 처리부를 내장하며 상기 메모리(115)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단말기 제어부(130)는 보다 상세하게 폰 제어부(132), DMA(134), 보코더(136), 메모리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기 제어부(130)의 각 구성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The terminal controller 130 has a built-in voice call processing unit for making a voice call between the call counterpart and the terminal handset processing unit 120 and performs overall operations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control program data stored in the memory 115. To control. The terminal controller 130 includes a phone controller 132, a DMA 134, a vocoder 136, a memory controller, and the like in more detail. Each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controller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폰 제어부(132)는 사용자 I/F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지정된 단축키 입력에 따라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거나 지정 번지의 음악파일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메모리 제어부 등을 제어한다.First, the phone controller 13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 / F unit 140. For example, the memory controller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utomatic dialing according to a designated shortcut key or to play a music file of a designated address.

보코더(136)는 상기 송수화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압축하여 음성통화 처리부를 통해 RF부(110)로 전송되도록 하는 한편, 후술할 인터페이스 잭(150)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압축하여 DMA(Direct Memory Access)(134)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155)에 저장한다. 반대로 DMA(134)를 통해 리드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여 코덱(160)으로 출력하기도 한다.The vocoder 136 compresses the digital voice data output from the handset processor 120 to be transmitted to the RF unit 110 through the voice call processor, and is input through the interface jack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data is compressed and stored in the flash memory 155 through the direct memory access (DMA) 134. On the contrary,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read through the DMA 134 may be decompressed and output to the codec 160.

한편 인터페이스 잭(150)은 후술할 오디오 재생부(200)에 형성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커넥터(215)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입력받는데 이용된다.The interface jack 150 is used to receive digital sound source data as a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interface connector 215 formed in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플래시 메모리(155)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잭(150)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며,The flash memory 155 stores digital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interface jack 150,

코덱(160)은 상기 보코더(136)를 통해 압축 해제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한후 이를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여 주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130)로 출력하여 주기도 한다.The codec 160 decodes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decompressed through the vocoder 136 and outputs it as an audible sound through an SPK. The codec 160 convert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into PCM data and then the vocoder 130. Also output as.

이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결합 가능한 오디오 재생부(200)에 대해 설명하면,Hereinafter,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우선 오디오 재생부(20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음원 공급장치(300)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단자가 구비된다.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오디오 재생부(200)로 라인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전처리부(205)에서 신호레벨 증폭되고 노이즈 제거되어 출력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 신호 전처리부(205)는 증폭기와 노이즈 제거용 필터(HPF)를 포함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1,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includes an audio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line output from the external sound source supply device 300. The audio signal line-input to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through the audio input terminal is amplified by the signal level in the audio signal preprocessor 205, and the noise is output. To this end, the audio signal preprocessor 205 includes an amplifier and a noise removing filter (HPF).

A/D 컨버터(210)는 상기 오디오 신호 전처리부(205)에서 전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 출력한다. 이와 같이 A/D 컨버터(210)에서 변환 출력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커넥터(215)와 인터페이스 잭(150)을 통해 상술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A / D converter 210 converts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preprocessed by the audio signal preprocessor 205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converted and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210 may be transferred to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connector 215 and the interface jack 150.

코덱(220)은 상기 오디오신호 전처리부(20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후술할 제어부(225)로 출력하거나 그 제어부(225)를 통해 입력되는 PCM 데이터를 복호화한후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dec 220 convert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preprocessing unit 205 into PCM data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2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decodes the PCM data input through the controller 225 and then the speaker ( SPK) plays an audible sound output.

한편 사용자 I/F(235) 역시 조작키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고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준다.Meanwhile, the user I / F 235 also inputs a user command and displays an operation state in a concept including an operation key and a display unit.

제어부(225)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코덱(220)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PCM 데이터를 메모리(230)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PCM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코덱(220)으로 출력하여 준다. 이러한 제어부(225)는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입력 PCM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The controller 225 stores the PCM data applied from the codec 220 in the memory 23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ads the stored PCM data, and outputs the stored PCM data to the codec 220. The controller 225 also compresses the input PCM data and decompresses the compressed data to reduce the siz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230.

아울러 상기 오디오 재생부(200)는 USB 포트(240)를 더 포함함으로서 주변장치와 데이터 인터페이싱이 가능함은 물론, 오디오 출력 잭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further includes a USB port 240 to enable data interfacing with a peripheral device, as well as an audio output jack.

이하 외부 음원 공급장치인 A/V 시스템(300)으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녹음되는 과정을 설명하면,Hereinafter, a process of record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 / V system 300 which is an external sound source supply de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우선 단말기 사용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재생부(20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215)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잭(150)을 결합한다. 그리고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 재생부(200)의 오디오 입력단자와 A/V시스템(300)의 오디오 출력단자를 연결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user combines the interface connector 215 of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and the interface jack 1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audio input terminal of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terminal of the A / V system 300 through a cable.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오디오 재생부(200) 및 A/V 시스템(300)이 상호 연결 완료되면 A/V시스템(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재생부(200)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오디오 재생부(200)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전처리부(205)에서 레벨 증폭 및 노이즈 제거되어 A/D 컨버터(210)로 인가됨으로서, 결과적으로 A/D 컨버터(210)에서 변환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커넥터(215)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잭(150)으로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and the A / V system 300 are interconnecte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 / V system 300 is transferred to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Is entered. As such, the audio signal input to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is applied to the A / D converter 210 by level amplification and noise removal from the audio signal preprocessing unit 205, and as a result, is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210.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s input to the interface jack 1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connector 215.

만약 단말기 사용자가 A/V 시스템(300)에서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순히 오디오 재생부(200)에 녹음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사용자 I/F부(235)의 키패드를 통해 녹음명령만을 입력한다. 이러한 녹음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부(225)는 코덱(220)을 통해 변조된 PCM데이터를 입력하여 압축하고 이를 번지 지정하여 메모리(230)에 라이팅함으로서, 결과적으로 A/V 시스템(300)에서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재생부(300)에 녹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f the terminal user wants to simply recor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 / V system 300 to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the user inputs only a recording command through the keypad of the user I / F unit 235. In response to the recording command, the control unit 225 inputs and compresses the modulated PCM data through the codec 220, designates the address, and writes it to the memory 230, resulting in a line output from the A / V system 300. The audio signal is to be recorded in the audio playback unit 300.

만약 A/V 시스템(300)에서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녹음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모드를 외부 음원 녹음모드로 설정한후 녹음키를 입력하여 인터페이스 잭(150)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내부의 플래시 메모리(155)에 저장할 수 있다.If the user wants to recor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 / V system 3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user sets the mode of th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sound source recording mode and then inputs a recording key to interface jacks.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150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flash memory 155.

즉, 폰 제어부(132)는 사용자 I/F부(140)를 통해 외부 음원 녹음모드 설정명령이 있으면 단말기 동작모드를 외부 음원 녹음모드로 설정한후 녹음키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만약 녹음키 입력이 있으면 폰 제어부(132)는 보코더(136)로 하여금 인터페이스 잭(150)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155)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 잭(150)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는 보코더(136)에서 압축되고 DMA(134)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155)에 저장된다.That is, the phone control unit 132 checks whether there is a recording key input after setting the terminal operation mode to the external sound source recording mode when the user I / F unit 140 has an external sound source recording mode setting command. If there is a recording key input, the phone controller 132 controls the vocoder 136 to store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interface jack 150 in the flash memory 155. Under such control,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interface jack 150 is compressed in the vocoder 136 and stored in the flash memory 155 through the DMA 134.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A/V 시스템(300)으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재생부(200) 혹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선택적으로 녹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electively recor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 / V system 300 to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일형태가 아닌 라인 입력만으로도 음원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녹음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rd the sound sour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by the line input, not the file form.

한편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100)에 녹음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오디오 재생부(20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역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기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재생 청취할 수 있다. 이들 모두는 휴대 가능한 기기이므로 그 만큼 자유롭게 휴대하면서 녹음된 음원을 재생 청취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user can not only play and listen to digital sound source data recorded in the terminal 100, but also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audio player 200 can be played and listened in the same general manner as in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have. Since all of these devices are portable devices, they will provid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lay and listen to the recorded sound source free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원을 파일형태가 아닌 라인 입력으로 제공받아 단말기내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음원공급장치로부터 재생 출력되는 음원들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sound source as a line input rather than a file form and store the same in the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ceiving and storing sound sources reproduced and output from various sound source supply devices.

아울러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 가능한 오디오 재생부를 독립된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부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결합상태 예시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arou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udio p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부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변 블록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eripher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udio p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중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오디오 재생부(200)의 상세 구성도.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audio reproducing unit 200 of FIG. 2.

Claims (3)

RF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F unit, 외부 음원 공급장치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 압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독출하여 압축 해제한후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와;Receiv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line source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device and converts it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and outputs it to an interface connector.Converts and compresses the audio signal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 audio reproducing unit for decompressing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after decompression; 상기 오디오 재생부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잭과;An interface jack for coupling with an interface connector of the audio reproduction unit;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상기 인터페이스 잭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압축 해제 출력하는 보코더를 내장한 단말기 제어부와;A terminal controller having a vocoder for compressing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interface jack,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data in the memory, and accessing and decompressing the stored sound source data; 상기 단말기 제어부의 보코더에서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한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코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부 착탈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odec for decoding sound source data output from the vocoder of the terminal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dio playback unit; 상기 외부 음원 공급장치로부터 라인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단자와;An audio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line-outed from the external sound source supply device; 입력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 제거하기 위한 오디오신호 전처리부와;An audio signal preprocessor for amplifying an input audio signal and removing noise; 전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와;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reprocessed audio signal into digital sound source data; 전처리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입력되는 PCM 데이터를 복호화한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코덱과;A codec for converting the pre-processed audio signal into PCM data and outputting or decoding the input PCM data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고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A user interface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d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PCM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압축 저장하고 그 저장 데이터를 독출하여 압축 해제한후 상기 코덱으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부 착탈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mpress and store the PCM data in an internal memory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ad and decompress the stored data, and control the output using the codec.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부는 USB 포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부 착탈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audio reproducing unit further comprises a USB port.
KR1020030101316A 2003-12-31 2003-12-31 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 Withdrawn KR200500693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316A KR20050069331A (en) 2003-12-31 2003-12-31 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316A KR20050069331A (en) 2003-12-31 2003-12-31 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331A true KR20050069331A (en) 2005-07-05

Family

ID=3725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316A Withdrawn KR20050069331A (en) 2003-12-31 2003-12-31 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93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6608B2 (en) Ringing tone output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11153429B2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050208893A1 (en) Bluetooth earphone module with audio player function
JP2002252566A (en)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s
GB2373408A (en) Ringing tone production in a mobile phone
KR100587425B1 (en) Multimedia enhanced terminal with independent audio path
KR200302150Y1 (en) Mp3 player combined use wireless headset having bluetooth module
US7400905B1 (en) Insertion of sound segments into a voice channel of a communication device
JP2004023535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60899B1 (en) Method for playing music in phone
KR20050069331A (en) A mobile phone capable of combining audio player
JP2002027029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606125B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JP3903691B2 (en) Ringtone reproduc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0405135B1 (en) Audio input and output apparatus with wireless audio transmitting and receiving function
KR100502715B1 (en) Battery pack for storing a data
KR100339100B1 (en) Compound Mobile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KR20020090552A (en) A direct digital audio encoder and the encoding method thereof
KR20040058660A (en) Mobile phone for outputting stereo sound
KR200294822Y1 (en) Apparatus for call signal processing of mobile phone in digital audio device
KR20000061909A (en) MP3 player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US20050177686A1 (en) MP3 personal storage device with income-call displaying function
KR20000050500A (en) Portable radio terminal equipment having music file compression-record and replay function
KR20050014243A (en) Audio data playing appratus and method using the mobile station
JP2000236374A (en) Cable for speech recording for portable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