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74731A - 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731A
KR20050074731A KR1020040002601A KR20040002601A KR20050074731A KR 20050074731 A KR20050074731 A KR 20050074731A KR 1020040002601 A KR1020040002601 A KR 1020040002601A KR 20040002601 A KR20040002601 A KR 20040002601A KR 20050074731 A KR20050074731 A KR 2005007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terworking
server
information
targ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봉
우영욱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0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4731A/en
Publication of KR2005007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73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6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in federated or virtual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데이터베이스간의 통합 연동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databases.

본 발명에서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들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소스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연동 처리 작업 순서를 세운다. 다음, 상기 연동 처리 작업 순서에 따라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연동할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집 저장된 연동 데이터를 타겟 서버로 송신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source server and at least one target server through a network to perform data interworking between the servers. In detail, the metadata received from the source server is received, the received metadata is analyzed to analyze the metadata, and an interworking processing task sequence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nalysis. Next, data to be interlocked is collected and stored from the source server according to the interworking processing task sequence, and the collected and stored interlocked data is transmitted to a target server.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시스템들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can be easil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systems using different databases.

Description

이종 데이터베이스간의 통합 연동 처리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thereof}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databases {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본 발명은 통합 연동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일명, 이종 데이터베이스) 통합적으로 연동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operative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tegrated cooperative processing of different types of databases (aka, heterogeneous databases).

일반적으로 서버들은 개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용되며,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각 서버들은 독립적인 기능으로 운용된다. 하지만, 운용상의 효율이나 새로운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요구에 의해 각 서버들간의 데이터 교환에 대한 필요성은 종종 발생하며, 이때 서버 즉, 시스템간에 연동을 하게 된다. In general, servers are operated by building a separate database, and each server connected to a network operates as an independent function. However, the necessity for data exchange between servers is often generated by operational efficiency or user request for new kind of data, and interworking between servers, that is, systems.

연동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시스템들이 네트워크상에 연결되어야 하며,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미리 상호간에 약속된 규정(프로토콜)이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약속 규정에는 어떠한 데이터를 어떠한 순서로 어떤 시기에 어떤 방식으로 전달할지의 내용 등이 포함된다. 연동 규정이 정해지면 이를 담당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연동이 가능해진다. 결국 이러한 연동을 통하여 각 시스템들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이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In order to interwork, the systems must be connected on the network and the protocols (protocols) promised to each other must be defined in advance. These commitments include what data will be delivered, in what order, at what time and in what way. Once the interlocking rules are established, interworking is possible by implementing the functions in charge. Eventually, through this interworking, each system sends and receives data, thereby achieving the desired purpose.

시스템간 연동은 보통 일대일이 아닌 일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행해진다. 따라서, 지속적인 연동처리로 인해 시스템에 부하가 증가하게 되며, 또한 다수의 시스템들과의 연동 처리에 따른 복잡성으로 인하여 시스템 관리 및 개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Inter-system interworking is usually done one-to-many or many-to-many rather than one-to-one. Therefore, the load on the system is increased due to the continuous interworking process, and the system management and development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interworking process with a plurality of systems.

또한, 한 시스템이 여러 시스템과 연동을 하는 경우 각 연동의 내용과 방식은 모두 다르다. 그러나 연동의 형식과 매개체는 거의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모든 시스템과의 개별 연동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별도의 개발비용이 중복해서 들어갔었다. 또한, 각각의 연동 기능을 별도의 기능 블럭으로 구현함으로써, 연동점(연동하는 시스템들)이 늘어날수록 연동블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전반적인 관리가 힘들어지고 운용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원인 파악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system interworks with several system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ach interworking are different. However, although the form and media of interworking are almost similar, in the past, separate development costs have been added to develop individual interworking functions with all systems. In addition, by implementing each interlocking function as a separate function block, as the interlocking points (interlocking systems) increase, the interlocking blocks continue to increase, making overall management difficult and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when problems occur dur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데이터 연동을 통합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s intended to integrate data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system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system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를 통하여 다수 대 다수 시스템간의 데이터 연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perform data interworking between many-to-many systems through the integrated interlocking processing device.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들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로서,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타 데이터 관리부; 상기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스 서버와 타겟 서버간의 연동 처리 작업 순서를 세우고, 상기 작업 순서에 따라 연동 처리를 제어하는 연동 제어부; 상기 연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송신할 소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 의하여 수집된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연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시지 처리부에 저장된 소스 데이터를 해당 타겟 서버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source server and at least one target server through a network, and performs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to perform data interworking between the servers. An apparatus, comprising: a metadata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metadata provided from the source server; An interlocking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meta data to establish a cooperative processing task sequence between the source server and the target server, and to control the cooperativ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work sequence; A data receiver configured to collect source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source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working controller; A message processor which stores source data collected by the data receiver; And a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message processor to the target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working controller.

이외에도, 상기 소스 서버 및 송신 서버와 통합 연동 처리 장치간의 프로토콜 유형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어댑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n adapter processor for processing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type between the source server and the transmission server and the integrated coordinated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들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하는 통합 연동 처리 방법으로, a)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연동 처리 작업 순서를 세우는 단계; b) 상기 연동 처리 작업 순서에 따라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연동할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집 저장된 연동 데이터를 타겟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메타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는 연동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데이터가 연동될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source server and at least one target server through a network, and performs an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method for performing data interworking between the servers. Receiving metadata transmitted from a server, analyzing the received metadata to analyze the metadata, and establishing a linkage processing work order according to the analysis; b) collecting and storing data to be interlocked from the source server according to the interworking processing task sequence; And c) transmitting the collected and stored coordinated data to a target server, wherein the metadata includes information about data to be linked with metadata and information about a target with which the data is to be linked.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소스 서버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스 서버에 연동 대상이 되는 상기 연동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소스 서버가 존재하고 상기 장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상기 연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tep b) is to check the existence of the source server; Confirming a location where the interworking data, which is an interworking target, is stored in the source server; And collecting the interworking data from the source server when the source server exists and the place exists as a result of the checking.

또한, b) 단계는 상기 연동 데이터를 송신할 타겟 서버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서버에 상기 연동 데이터가 저장될 장소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step b)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a target server to which the interworking data is transmitted exists. And confirming whether a location where the interworking data is to be stored in the target server is present.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타겟 서버의 프로토콜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토콜 유형에 따라 상기 연동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타겟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tep c) may include determining a protocol type of the target server; And processing the interworking data according to the protocol type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target serv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개념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1 illustrates a concept of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llustrates a specific structure of an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통합 연동 처리 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시스템 즉, 서버(21∼2n, 31∼3m)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 서버들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1,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ystems, that is, servers 21 to 2n and 31 to 3m, through a network, and performs data interworking between the servers.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버들을 연동하고자 하는 데이터(이하, "연동 데이터"라고 명명한다)를 제공하는 송신 서버 즉, 소스(source) 서버(21∼2n)와, 상기 연동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서버 즉, 타겟(target) 서버(31∼3m)로 분류하였다. 각 서버들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통합 연동 처리 장치로 제공하거나 통합 연동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연동에 필요한 제반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transmission server that provides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locked data") for interworking with servers, that is, a source server (21 to 2n) and a reception server for receiving the interworking data. That is, it classified into target server 31-3m. Each server may include a database in which data is stored, and an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data provided from the database to the integrated interlocking processing apparatus or receiving data provided from the integrated interlocking processing apparatus. It includes a metadat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data including information.

이러한 서버들과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메타 데이터 관리부(11), 연동 제어부(12), 연동 경로 관리부(13), 데이터 수신부(14) 및 데이터 송신부(15), 메시지 처리부(16), 및 어댑터 처리부(1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se servers may include a metadata management unit 11, an interworking control unit 12, an interworking path management unit 13, And a data receiver 14 and a data transmitter 15, a message processor 16, and an adapter processor 17.

메타 데이터 관리부(11)는 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소스 서버(21∼2n)들은 메타 데이터를 통합 연동 처리 장치(10)로 전달하여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10)의 메타 데이터 관리부(11)에 의하여 수신되어 연동 제어부(12)로 전달된다.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nd managing metadata provided from each server. In particular, the source servers 21 to 2n transfer the meta data to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10 to perform data interworking, and the meta data is managed by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1 of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10. It is received and delivered to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에 필요한 제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이며, 도 3에 메타 데이터의 구조 예가 도시되어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data is information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necessary for data interworking, and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metadata is shown in FIG. 3.

도 3에 예시되어 있듯이, 메타 데이터는 연동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데이터가 연동될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케쥴링 정보, 소스 서버 정보, 타겟 서버 정보, 소스 데이터 정보, 타겟 데이터 정보, 연동 상태 정보, 및 프로토콜 유형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meta data includes information about data to be linked and information about a target to which the data is linked. Specifically, the metadata includes scheduling information, source server information, target server information, source data information, and target. Data information, interworking status information, and protocol type.

스케쥴링 정보는 연동 실행 주기, 연동 시작 일자, 연동 종료 일자, 프로토콜 유형을 포함한다. 연동 실행 주기는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몇 초 단위로 혹은 몇 분 단위로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동 실행 주기에 따라 연동이 하루에 한번 벌크(bulk)성 연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실시간 연동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연동 시작 일자와 연동 종료 일자는 연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할 때, 언제가 시작점이고 언제가 최종 종료되는 시점(일자)인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a linkage execution cycle, a linkage start date, a linkage end date, and a protocol type. The interlocking execution cycle indicates a setting value for how many seconds or minutes to transfer the data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interworking execution cycle, interworking may be performed once a day by bulk interlocking, or may be processed by real-time interlocking. The interlocking start date and the interlocking end date are information indicating when the start point and when the end time point (date) are assumed to occur continuously.

소스 서버 정보와 타겟 서버 정보는 각각 소스 서버와 타겟 서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서버의 IP주소, DB명(식별자), DB 계정, DB 계정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소스 서버 정보와 타겟 서버 정보를 토대로 하여 연동 대상이 되는 서버로의 접근이 이루어진다. The source server information and the target server information indicat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server and the target server,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server includes an IP address, a DB name (identifier), a DB account, and a DB account password. Access to the server to be linked is performed based on the source server information and the target server information.

소스 데이터 정보와 타겟 데이터 정보는 각각 연동되는 데이터가 해당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소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소스 테이블명, 또는 상기 데이터가 전달되어 저장될 타겟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타겟 테이블명, 그리고,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각 테이블(소스 및 타겟 테이블)의 컬럼명 목록을 포함한다.The source data information and the target data information respectively indicate in which locations of the database of the corresponding server the interlocked data is stored. In detail, a source table name of a database of a source server where data to be transmitted is stored, or a target table name of a database of a target server where the data is to be delivered and stored, and each table (source and target) in which the data is stored. Table) column name list.

연동 상태 정보는 연동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연동 시작, 일시정지, 종료 등의 상태값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프로토콜 유형은 연동하는 소스 서버 및 타겟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낸다.The interlocking sta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interlocking state, and has state values such as interlocking start, pause, and end. In addition, the protocol type indicates what protocol is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interworking source server and a target server.

한편, 연동 제어부(12)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4,15), 메시지 처리부(16)를 제어하여 소스 서버(21∼2n)와 타겟 서버(31∼3m)간에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연동 제어부(12)는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연동루트와 연동 처리 계획을 세우며, 전반적인 연동처리 과정에서 작업되어야 할 각 부(13∼17)들의 작업순서와 처리내역을 제어한다. Meanwhile, the interworking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s 14 and 15 and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6 based on the meta data including th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ource server 21 to 2n and the target server ( Data interworking is performed between 31 and 3 m). Specifically, the interworking control unit 12 analyzes the metadata to establish the interworking route and the interworking processing plan, and controls the work order and processing history of each part 13 to 17 to be worked on in the overall interworking process.

연동 경로 관리부(13)는 연동 제어부(12)에 의하여 생성된 연동 경로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다수 시스템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각각의 연동에 대한 경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추후 연동 제어부(12)에서 이 정보 목록을 토대로 실제 개별 연동 처리시에 연동 경로를 인식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연동 경로 정보는 연동 데이터의 소스 및 타겟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스 서버 ID, 소스 테이블 ID, 타겟 서버 ID, 타겟 테이블 ID를 포함한다. 여기서, ID는 하나의 새로운 개별 연동 메타 데이터의 수신시마다 신규로 부여되는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로 구성된 고유 식별 체계이다. 서버 ID는 각 연동 대상 서버별로 부여되며 하나의 서버 안에서도 연동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여러 개의 DB 테이블 또는 파일이 있으므로 이 각각에 대해 ID를 부여하여 관리한다.The interlocking path management unit 13 manages the interlocking path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More specifically, by comprehensively managing the path information for each interworking between a plurality of systems,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may recognize the interlocking path and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t the time of the actual individual interworking process based on this information list. Make sure The interlocking path information indicates source and target information of the interlocking data and includes a source server ID, a source table ID, a target server ID, and a target table ID. Here, ID is a unique identification system composed of a series of numbers or letters newly assigned each time one new individual interworking metadata is received. Server ID is assigned to each interworking target server, and there are several DB tables or files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locking data even in one server.

한편, 데이터 송수신부(14,15)는 소정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 수신부(14)는 메타 데이터에 표시된 연동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서버 즉, 소스 서버(21∼2n)로부터 능동적으로 연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부(14)는 연동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소스 서버 정보와 소스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소스 서버(21∼2n)로부터 연동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메시지 처리부(16)에 전달한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 작업은 연동 경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소스 서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속적 또는 주기적 또는 산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4)는 연동 제어부(12)로부터 작업 지시가 전달될 때마다 해당 소스 서버에 접속하여 연동 대상 데이터를 수집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4, 15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predetermined server. That is, the data receiving unit 14 performs a function of actively collecting coordinated data from a server to transmit the coordinated data indicated in the meta data, that is, the source servers 21 to 2n. Specifically, the data receiving unit 14 receives the data to be interlocked from the corresponding source servers 21 to 2n based on the information (source server information and source tab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and sends a message. It transfers to the processing part 16. Such data collection work is performed for all source servers included in the interlocking path information, and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periodically, or sporadically. The data receiver 14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source server and collects interlocking target data whenever a work instruction is transmitted from the interlocking controller 12.

또한, 데이터 송신부(15)는 수집되어 처리된 데이터를 각각의 타겟 서버들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송신부는 연동 제어부(12)로부터 연동 경로 정보와 연동에 필요한 어댑터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후, 이 정보를 토대로 타겟 서버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 다음에, 메시지 처리부(16)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어댑터 처리부(17)의 상기 타겟 서버와의 프로토콜 종류에 해당하는 어댑터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data transmitter 15 transmits the collected and processed data to the respective target servers. Specifically, the data transmission unit receives the linkage path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adapter type required for the linkage from the linkage control unit 12, and then confir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arget server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n transfers the message from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6. The data is transferred to the adapter corresponding to the protocol type of the adapter processing unit 17 with the target server.

한편, 메시지 처리부(16)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후 데이터 수신부(14)를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즉, 메시지 처리부(16)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61)에 저장하며, 이 때, 선입선출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저장부(161)에 저장된다. 따라서, N개의 소스 서버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은 각각 입력 순서대로 다중화되어 저장부(161)에 저장되고, 저장부(161)에 저장된 데이터는 역시 선입 선출 방식에 의해 출력되어 데이터 송신부(15)로 제공되어, 연동 대상 서버로 전달되게 된다. 저장부(161)는 수신 및 송신 양방향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 수신 큐(Queue)(161a), 송신 큐(161b)로 구성된다. 이러한 큐는 송신측과 수신측에 각각 1개씩 존재한다. 데이터가 큐내에 머무르는 시간은 스케쥴링과 관계 없으며,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입출력된다.Meanwhile, the message processor 16 stores and manages data that is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integrated coordinated processing apparatus and then transferred through the data receiver 14. That is,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6 stores the input data in the storage unit 161, and at this time, th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1 according to a first-in first-out method. Therefor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N source servers are each multiplexed in the input order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1, an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1 is also output by the first-in first-out method and provided to the data transmission unit 15. It is delivered to the interworking target server. The storage unit 161 is composed of a reception queue 161a and a transmission queue 161b for data processing in both reception and transmission directions. There is one such queue at each of the sender and the receiver. The time the data stays in the queue is independent of scheduling, and the data is input and output in real time.

한편, 어댑터 처리부(17)는 이기종 DBMS(database managing system)간의 연동 또는 연동대상 서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연동방식 또는 연동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상대 시스템의 연동 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dapter processing unit 17 processe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the interworking protocol of the counterpart system corresponding to the interworking method or interworking protocol used by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heterogeneous database management systems (DBMS) or interworking target server.

일반적으로, 동일한 DBMS 기종이 아닐 경우, 분산 DB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은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중간에 DBMS 구조에 맞게데이터를 변환해줄 수 있는 매개체가 있어야 한다. 또한 다수의 서버간의 연동에서는 DBMS 종류뿐만 아니라 해당 시스템의 구현 환경에 맞는 연동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동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본 발명에서는 가장 많은 사용 빈도성이 있는 프로토콜에 대하여 중간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각각의 어댑터 기능을 구현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어댑터를 구성하였다.In general, if it is not the same DBMS model, it is not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data directly between distributed DBs. Therefore, there must be a medium that can convert data to fit the DBMS structure in the middle. In addition, interworking between multiple servers often requires interworking using an interworking protocol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e system as well as the DBMS typ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each adapter function that enables intermediate processing for the most frequently used protocols, and configures an adapter that performs these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10)가 송신측에 있는 연동 서버 즉, 소스 서버(21∼2n)가 통합 연동 처리 장치와 동종의 DBMS, 그리고 동종의 네트워크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여, 어댑터 처리부(17)가 소스 서버측에는 형성되지 않고 타겟 서버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스 서버가 이기종의 DBMS 및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스 서버측과 데이터 수신부(14) 사이에 어댑터 처리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어댑터가 송신측 또는/ 및 수신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ordinated server 10, that is, the source servers 21 to 2n, on which the integrated coordinated processing device 10 is transmitting, uses a DBMS of the same type as the integrated coordinated processing device and the same network. The processing unit 17 is not formed on the source server side but only on the target server 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case where the source server uses heterogeneous DBMSs and networks, an adapter processor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ource server side and the data receiver 14. That is, the adapter may be selectively formed and used on the transmitting side and / or the receiving side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4에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어댑터 처리부(17)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어댑터 처리부(17)는 여러가지 프로토콜 방식에 맞게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다수의 어댑터(171∼17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연동 방식별로 웹 서비스(Web Service) 어댑터(171), 클라이언트(Http Client) 어댑터(172), 소켓(socket) 어댑터(173), DB 링크 어댑터(174), 코바(Corba) 어댑터(17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동 대상이 되는 서버들의 연동 방식(프로토콜 유형)에 따라 해당 어댑터가 동작되어 데이터 연동을 수행한다. 여기서, 어댑터 처리부(17)의 각 어댑터(171∼175)들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위에 기술된 어댑터이외에도 새로운 연동 방식이 추가되면, 이 연동 방식에 따라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어댑터들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adapter processor 17 having this feature. The adapter processing unit 17 includes a plurality of adapters 171 to 175 capable of processing data in accordance with various protocol schemes. In detail, the web service adapter 171, the client Http client adapter 172, the socket adapter 173, the DB link adapter 174, and the CORBA adapter 175 for each interworking method. ), And the corresponding adapter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terworking method (protocol type) of the servers to be interlocked to perform data interworking. Here, each of the adapters 171 to 175 of the adapter processing unit 17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f a new interworking method is add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dapters, additional adapters for performing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terworking method may be further included. Can be.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ordinate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tructure.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방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특정 서버와의 연동 작업이 필요한 서버 즉, 소스 서버(21∼2n)가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합 연동 처리 장치(10)로 전달한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10)의 메타 데이터 관리부(11)로 수신된 후, 연동 제어부(12)로 전달된다(S100). First, as illustrated in FIG. 5, a server that requires an interworking operation with a specific server, that is, source servers 21 to 2n generates meta data and transmits the meta data to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10. The meta data is received by the meta data management unit 11 of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1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interworking control unit 12 (S100).

통합 연동 처리 장치(10)의 연동 제어부(12)는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얻어진 소스 서버 정보 및 타겟 서버 정보를 토대로 해당 소스 서버 및 타겟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지, 그리고, 각 서버의 DBMS에 접속이 가능한지에 대한 검증 작업을 수행한다. 즉, 소스 서버를 확인하고 연동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테이블(저장소)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연동 대상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서버를 확인하고, 상기 연동 대상 데이터가 수신될 테이블을 확인한다(S110∼S150).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of the integrated interlocking processing apparatus 10 analyzes the metadata and whether connection to the corresponding source server and the target server is possible based on the source server information and the target server information obta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each server. Verifies whether the connection to the DBMS can be performed. In other words, check the source server and check the table (store) where the data to be linked is stored. In addition, a target server to receive the linkage target data is checked, and a table to receive the linkage target data is checked (S110 to S150).

검증 작업에 따라 소스 서버 및 타겟 서버로의 접속, 각 서버의 DBMS에 접속이 가능하면, 연동 제어부(12)는 연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작업 계획을 세운다. 이 연동 경로 정보는 연동 경로 관리부(13)에 저장되어 필요시마다 연동 제어부(12)에 의하여 참조된다.If connection to the source server and the target server and connection to the DBMS of each server are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verification operation,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generates the interlocking path information and makes a work plan. This interlocking path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nterlocking path management unit 13 and referenced by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whenever necessary.

다음, 연동 제어부(12)는 메타 데이터의 스케쥴링 정보로부터 연동시작/종료 정보와 연동주기 정보를 해독 및 판단하여 연동시점을 인지한다. 연동시점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데이터 수신부(14)로 연동 서버 즉, 소스 서버 정보 및 송신 데이터 정보를 전달하면서, 해당 소스 서버에 접속하여 연동 대상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수집하도록 지시한다. Next,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recognizes the interlocking time by decoding and determining the interlocking start / end information and the interlocking period information from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meta dat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locking time is reached, the data receiving unit 14 transmits the interlocking server, that is, the source server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data information, and instructs the corresponding source server to actively collect the interlocking target data.

데이터 수신부(14)는 연동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수집 작업 지시 및 정보(소스 서버 정보, 송신 데이터 정보)를 토대로 해당 소스 서버(21∼2n)로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소정 테이블로부터 연동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때, 소스 서버 정보에 데이터 베이스로의 접근이 가능한 DB 식별명이나 패스워드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수신부(14)의 DB 접근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 작업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는 데이터 수신부(14)에 의하여 메시지 처리부(16)로 전달되어 저장부(161)의 송신측 큐(161a)에 저장된다(S160). The data receiving unit 14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source servers 21 to 2n based on the collection work instruction and the information (source server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data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and becomes a linking target from a predetermined table in the database. Collect data. At this time, since the DB identification name, password, etc. which can access the database are included in the source server information, the data receiving unit 14 easily accesses the DB. The data obtained by the data collection operation is transferred to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6 by the data receiving unit 14 and stored in the transmission side queue 161a of the storage unit 161 (S160).

한편, 선입 선출 방식에 따라 메시지 처리부(16)는 송신측 큐(161a)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어 데이터 송신부(15)로 전달된다. 데이터 송신부(15)는 연동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연동 경로 정보에 따라 타겟 서버(31∼3m)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즉, 타겟 서버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 후 타겟 서버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타겟 서버와의 프로토콜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어댑터 처리부(17)의 해당 어댑터로 전달하여, 상기 프로토콜 유형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70∼S190).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rst-in first-out method,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6 outputs data from the transmitting side queue 161a and transfers the data to the data transmitting unit 15. The data transmitter 15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target servers 31 to 3m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pat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rlocking control unit 12. That is, after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target server, the connection with the target server is established. T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adapter of the adapter processing unit 17 according to the protocol information with the target server transmitted from the interworking control unit 12, so that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tocol type (S170 to S190).

예를 들어, 타겟 서버의 프로토콜 유형이 소켓 연동 방식인 경우, 데이터 송신부(15)는 어댑터 처리부(17)의 소켓 어댑터(173)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소켓 어댑터(173)에 따라 처리된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겟 서버(31∼3m)로 전달된다(S200). For example, when the protocol type of the target server is a socket interworking method, the data transmitter 15 transmits data to the socket adapter 173 of the adapter processor 17, and the data processed according to the socket adapter 173 may be The target server 31 to 3m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S20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소스 서버와 타겟 서버간의 통합 연동 처리가, 하나의 소스 서버와 다수 타겟 서버, 다수 소스 서버와 다수 타겟 서버간에 수행될 수 있다.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 between the source server and the target server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etween one source server and multiple target servers, and multiple source servers and multiple target serve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 연동 장치를 통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시스템들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systems using different databases ar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integrated companion device.

특히, 한 시스템이 다수 시스템과의 연동에 필요한 기능을 별도로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또한 연동규격의 변경에 의해 매번 연동프로그램을 재수정하고 재컴파일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비효율적인 면을 많이 개선할 수 있다. In particular, one system continuously develops functions necessary for interworking with a plurality of systems separately, and also improves a lot of inefficiencies in reworking and recompiling interlocking programs every time by changing interworking standard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동에서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가 추가되거나 일부 변경이 되더라도, 해당 시스템이 어떤 기능의 추가개발이나 기존에 개발된 기능의 수정작업이 없이 메타데이터만 수정하여 통합 연동 처리 장치로 전달하면, 수정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연동 명세 내용을 토대로 통합 연동 처리 장치가 자동 연동 처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연동기능의 지속적인 추가개발, 수정작업 최소화되어, 많은 시간과 개발 비용의 감소를 유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ype of data exchanged in the interworking is added or partially changed, the corresponding system modifies only the metadata without additional development of the function or the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function and transfers it to the integrated interlocking processing device. Then,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performs the automatic interlocking process based on the interlocking specification content included in the modified metadata. As a result, continuous further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interworking functions can be minimized, which can cause a lot of time and development cost red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장치의 구조도이다.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의 구조도이다.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meta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댑터 처리부의 구조도이다.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dapter processor shown in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연동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ntegrated integr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들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에 있어서, An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apparatus connected to at least one source server and at least one target server through a network to perform data interworking between the servers,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타 데이터 관리부;A meta data manager which receives meta data provided from the source server; 상기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스 서버와 타겟 서버간의 연동 처리 작업 순서를 세우고, 상기 작업 순서에 따라 연동 처리를 제어하는 연동 제어부;An interlocking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meta data to establish a cooperative processing task sequence between the source server and the target server, and to control the cooperativ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work sequence; 상기 연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송신할 소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신부;A data receiver configured to collect source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source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working controller;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 의하여 수집된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A message processor which stores source data collected by the data receiver; And 상기 연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시지 처리부에 저장된 소스 데이터를 해당 타겟 서버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A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message processor to the target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working controller.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메타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는 연동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데이터가 연동될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And the metadata includes information about data to be linked with the metadata and information about a target to which the data is to be link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타 데이터는 연동 데이터 처리 순서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상기 연동 데이터를 제공한 소스 서버에 대한 소스 서버 정보, 상기 연동 데이터를 수신할 타겟 서버에 대한 타겟 서버 정보, 상기 연동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소스 데이터 정보, 상기 연동 데이터가 타겟 서버에 저장될 위치에 대한 타겟 데이터 정보, 상기 소스 서버와 타겟 서버에 대한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연동 상태 정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The meta data includes scheduling information on an interworking data processing order, source server information for a source server providing the interlocking data, target server information for a target server to receive the interlocking data, and a source for a location where the interlocking data is stored.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including at least one of data information, target data information on a location at which the interworking data is to be stored in a target server, interwork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n interworking state of the source server and the target server, and protocol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연동 실행 주기, 연동 시작 일자, 연동 종료 일자, 프로토콜 유형을 포함한다. 연동 실행 주기는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몇 초 단위로 혹은 몇 분 단위로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값인 연동 실행 주기, 연동 시작 일자 및 연동 종료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a linkage execution period, a linkage start date, a linkage end date, and a protocol type. The interlocking execution cycl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terlocking execution cycle, an interlocking start date, and an interlocking end date, which are setting values for how many seconds or minutes to deliver data to be transmitt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스 서버 정보와 타겟 서버 정보는 각각 소스 서버와 타겟 서버의 주소, 연동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식별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부여된 계정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할 수 있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The source server information and the target server information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of an address of a source server and a target server, an identifier of a database storing interlocking data, an account assigned to the database, and a password for accessing the database. Processing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스 데이터 정보 상기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소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소스 테이블명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데이터 정보는 상기 데이터가 전달되어 저장될 타겟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타겟 테이블명을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The source data information including a source table name of a database of a source server in which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stored, and the target data information includes a target table name of a database of a target server to which the data is to be transmitted and stored; Process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동 상태 정보는 연동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연동 시작, 또는 일시정지, 또는 종료를 나타내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The interlocking sta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interlocking, and indicates an interlocking start, pause, or e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소스 서버 및 연동할 타겟 서버의 프로토콜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The metadata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protocol type of the source server and a target server to interwork with.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소스 서버 및 송신 서버와 통합 연동 처리 장치간의 프로토콜 유형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어댑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And an adapter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type between the source server, the transmission server, and the integrated coordinated process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어댑터 처리부는 웹 서비스(Web Service) 어댑터, 클라이언트(Http Client) 어댑터, 소켓(socket) 어댑터, DB 링크 어댑터, 코바(Corba)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The adapter proces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eb service adapter, a Http client adapter, a socket adapter, a DB link adapter, and a CORBA adapte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타겟 서버와의 프로토콜 유형에 따라 상기 어댑터 처리부의 해당 어댑터로 제공하여,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타겟 서버로의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합 연동 처리 장치.And the data transmitter is provided to a corresponding adapter of the adapter processor according to a protocol type with a target server so that data transmission to the target server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들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하는 통합 연동 처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method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source server and at least one target server through a network to perform data interworking between the servers a)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연동 처리 작업 순서를 세우는 단계;a) receiving metadata transmitted from the source server, analyzing the received metadata to analyze the metadata, and establishing an interworking processing task sequ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b) 상기 연동 처리 작업 순서에 따라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연동할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b) collecting and storing data to be interlocked from the source server according to the interworking processing task sequence; And c) 상기 수집 저장된 연동 데이터를 타겟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c) transmitting the collected stored interworking data to a target server;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메타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는 연동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데이터가 연동될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방법.The meta data, the meta data, the meta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data to be interlocked and information on a target to which the data is interlocked.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b) 단계는 Step b) 상기 소스 서버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Checking the existence of the source server; 상기 소스 서버에 연동 대상이 되는 상기 연동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Confirming a location where the interworking data, which is an interworking target, is stored in the source server; And 상기 확인 결과, 소스 서버가 존재하고 상기 장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스 서버로부터 상기 연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the interworking data from the source server if the source server exists and the place exists as a result of the checking; 를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방법.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상기 b) 단계는 Step b) 상기 연동 데이터를 송신할 타겟 서버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및Confirming whether a target server to which the interworking data is to be transmitted exists; And 상기 타겟 서버에 상기 연동 데이터가 저장될 장소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Confirming whether a location where the interworking data is to be stored in the target server is present; 를 더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방법.Integration interworking process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c) 단계는Step c) 상기 타겟 서버의 프로토콜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protocol type of the target server; And 상기 프로토콜 유형에 따라 상기 연동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타겟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Processing and transmitting the interworking data to the target server according to the protocol type 를 포함하는 통합 연동 처리 방법.Integrated interworking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040002601A 2004-01-14 2004-01-14 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thereof Withdrawn KR200500747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601A KR20050074731A (en) 2004-01-14 2004-01-14 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601A KR20050074731A (en) 2004-01-14 2004-01-14 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731A true KR20050074731A (en) 2005-07-19

Family

ID=3726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601A Withdrawn KR20050074731A (en) 2004-01-14 2004-01-14 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473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95A (en) * 2018-05-14 2019-11-22 인포보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heterogeneous data based on web
KR102124954B1 (en) * 2018-12-20 2020-06-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IoT PLATFORM SYSTEM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DATABASE MANAGEMENT SYSTEM SIMULTANEOUSL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95A (en) * 2018-05-14 2019-11-22 인포보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heterogeneous data based on web
KR102124954B1 (en) * 2018-12-20 2020-06-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IoT PLATFORM SYSTEM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DATABASE MANAGEMENT SYSTEM SIMULTANEOUSL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380373B2 (en) Information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s including cyclical recurring vehicle information message
US10810521B2 (en) Information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s including cyclical recurring vehicle information message
KR100874652B1 (en) Integrated interface device and its method for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CN107018203A (en) A kind of frequency converter remote monitoring control method
JP5177804B2 (en)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field communication method
KR101416280B1 (en) Event handling system and method
CN102938770A (en) Method for realizing uniform interface for multi-protocol messages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CN117527568A (en) Data access method and system of data integration platform
KR1024701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of devices using multi-protocol in internet of things
JP5961471B2 (en) Output comparison method in multiple information systems
CN104639379A (en) Proxy testing method and device
KR101395830B1 (en) Session checking system via proxy and checkhing method thereof
EP1615376B1 (en)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of servers with SNMP proxy functions including IOD conversion
CN110096039A (en) A kind of automation equipment machine interacted system and method
KR20050074731A (en) Device for connecting different kind databases and method thereof
CN109547430A (en) A kind of exploitation service gateway system and exploitation gateway
KR20140121031A (en) Self-management system of production resources based wired and wireless sensor network
JP4548146B2 (en) Stat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5038956B2 (en) Network system
CN103973485B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fixed port
JP4257364B2 (en) COMMUNICATION ERROR INFORMATION OUTPUT PROGRAM, COMMUNICATION ERROR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COMMUNICATION ERROR INFORMATION OUTPUT DEVICE
CN105893209A (en)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3848834B (en) Workshop equipment access system and method based on edge cloud cooperation
CN10194502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etwork laboratory service
WO2000065459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ng computerised cli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