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742A - Shoe lace equipment fastening in one touch manner and formation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Shoe lace equipment fastening in one touch manner and formation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93742A KR20050093742A KR1020050081189A KR20050081189A KR20050093742A KR 20050093742 A KR20050093742 A KR 20050093742A KR 1020050081189 A KR1020050081189 A KR 1020050081189A KR 20050081189 A KR20050081189 A KR 20050081189A KR 20050093742 A KR20050093742 A KR 200500937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p
- shoe
- fastening
- eyelets
- shoel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10T24/2183—Ski, boot, and shoe fastene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을 매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목의 좌우 상단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당김끈을 제공하여, 이를 한번 당기거나 풀어주는 동작에 의해 신고 벗을수 있도록 한 착용이 간편한 신발에 있어서 신발끈 결속장치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tying shoelaces, in particular to provide a pair of pull straps on the upper left and right of the shoelace, shoelaces in a shoe that is easy to wear to wear off by pulling or releasing it once A binding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종래의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의 공지된 신발은 끈을 결속하는 마지막 과정에서 하부에 위치한 끈단부 매듭이 노출되어 외견상 이질감을 주며 매듭을 조절할 때 잘 풀어지질 않아 불편함을 준다. 또한 발목상단 좌우에 위치한 걸림쇠는 외부로 돌출되어 타 물체와 부딪쳐 파손되거나 발목에 상처를 줄수도 있다.Known shoes of the conventional "shoe binding at once and the shoelace binding method" is exposed at the end of the end of the strap binding knot is exposed to give a sense of appearance and does not loosen when adjusting the knot Gives inconvenience. In addition, the braces loca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of the ankle protrude outward and may be damaged or injured by hitting other object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의 발등 가리개를 이중으로 하고 노출된 끈 단부 매듭을 이중 발등 가리개 사이에 위치하게 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며 잘 풀리지 않는 단부매듭은 원활하게 조절할수 있는 끈 조절구를 이용한다. 또한 돌출된 걸림쇠를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할수 있는 덮개형 체결걸쇠나 보호가드(guard)를 이용해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하부 끈단부 매듭 자체를 없이하는 단순한 결속의 신발을 개발하는데 특징이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doubles the instep of the foot of the shoe, and the exposed end of the string knot between the double instep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nd knot is not loosely used to adjust the strap smoothly.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a simple binding shoe that solves the problems by using a clasp or a guard that protects the protruding latch from an external impact and further eliminates the lower end of the knot itself.
Description
본 발명은 끈을 매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목의 좌우 상단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당김끈 고리부와 교차되게 걸 수 있는 체결 장치로 이를 한번에 당겨 결속하거나 해체하는 착용이 간편한 신발끈 결속장치 및 그 신발끈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tying shoelaces, and in particular, a fastening device that can be fastened to a fastening device that can be intersected with a pair of pullstring hooks composed of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of a shoelace, and to bind or dismantle it at a time, It relates to a shoelace forming method.
종래의 끈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발은 끈이 원활하게 통과할수 있는 아이릿(eyelet)을 신발 양쪽 갑피에 동수로 설치하여 하단 아이릿부터 상단까지 끈을 교차로 통과시켜 사용하였다. 착용자는 발에 맞게 끈을 당겨 조인후 매듭을 지어 신발을 신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은 끈의 단부를 당길때 가해지는 조임력은 상단에서 2번째 아이릿까지만 힘이 미치고 그 이하 아이릿에는 힘이 전달되지 않아 끈이 조여지지 않는다. 이같은 조임 방법으로 조여진 신발끈 은 착용자의 활동을 통해 하단의 덜 조여진 끈의 여유분에 의해 상단의 조임 부분이 느슨해지는 것이며 따라서 신발이 전체적으로 헐거워지는 한편 결속된 매듭이 쉽게 풀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상기한 신발은 신고 벗을 때 일일이 매듭을 묶고 푸는 불편함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는 것이다.Conventional shoes using a conventional shoe was used by installing the same number of eyelets (e. The wearer pulled the straps to fit the feet, tightened the shoes, and wore knots. However, these shoes have a tightening force applied only when pulling the end of the string, and only the second eyelet from the top is applied. The shoelaces tightened by this tightening method are loosened at the upper part by spare parts of the lower tightened strings through the wearer's activity, so that the shoes are loosened overall and the tied knots are easily loosened. The shoes described above have various disadvantages, such as the inconvenience and time-consuming inconvenience of tying and releasing knots.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45965호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의 신발이 있으며 이 신발의 특징은 끈의 조임과 결속을 쉽게 하는데 있다. 즉 신발끈이 아이릿을 통과하는 각은 크게 하고 중간에 통과하는 아이릿 수를 최대한 적게 하면 조임력은 크게 향상된다.In order to solve these shortcomings, as shown in FIG. 20, there is a shoe of Korean Patent No. 0445965, "Shoe to bind the strap at once and its shoelace binding method", which is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s about making solidarity easier. In other words, when the shoelaces pass through the eyelets, the tightening force is greatly improved.
도21의 신발끈은 하단 아이릿(6a, 6b)부터 시작하여 2칸 간격으로 끈을 삽입하고 상부에서 도22에서처럼 고리부(9a, 9b)를 형성한 다음 하부로 향해 비어있는 아이릿(3a, 3b)에 끼워 하단 아이릿(5a, 5b)에서 단부매듭(8)으로 마무리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부분에 2칸 간격으로 삽입된 신발끈은 각이 넓어지고 2개의 당김끈 고리부(9a, 9b)에서 나온 상단의 4개의 당김끈은 하단까지 각각 단 하나의 아이릿(3a, 3b, 4a, 4b)만 걸치게 된다.The shoelace of FIG. 21 inserts the laces at intervals of two spaces starting from the lower eyelets 6a and 6b, and forms the loop portions 9a and 9b at the top as shown in FIG. , 3b) to finish with end knots 8 at the lower eyelets 5a and 5b. As described above, the shoelaces inserted at two intervals in the middle portion have a wider angle, and the four pullstrings at the top of the two pullstring hooks 9a and 9b have a single eyelet 3a to the bottom, respectively. , 3b, 4a, 4b).
이와같이 끈의 아이릿 삽입각은 일반 신발의 2배. 끈의 아이릿 걸림수는 일반신발이 당김끈 1개당 각각 4개의 아이릿을 거치는 것에 비해 ¼이 되므로 끈과 아이릿과의 마찰에 의한 저항이 거의 없다. 즉 착용자가 신발을 신기위해 당김끈 고리부(9a, 9b)를 당길때 살짝만 당겨도 부드럽게 신발끈이 조여진다. 이렇게 조임력이 쉽게 당겨진 신발끈을 도20에서 보는 바와같이 당김끈 고리부(9a)와 신축밴드로 연결된 체결고리(10b)를 신발 좌우측 상단에 위치한 걸림쇠(10a)에 체결한다. 종래의 일반신발처럼 신발의 상부에 리본식으로 매듭을 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끈을 결속하게 된다.The eyelet insertion angle of the string is twice that of ordinary shoes. Since the number of eyelets in the strap is ¼ compared to that of the ordinary shoes having four eyelets per pull string, there is little resistanc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trap and the eyelets. That is, when the wearer pulls the pull strap rings (9a, 9b) to wear shoes, the shoelaces are tightened gently even with a slight pull. Thus, as shown in Figure 20, the shoelace pulled easily tighten the fastening ring hook (9a) and fastening ring (10b) connected by the elastic band to the fastener (10a) loca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oe. Just like a conventional shoe, the upper part of the shoe is simply tied to the string without the need for a knot.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발명은 착용자가 사용하기에는 편리하나 부분적으로 여러 가지 미흡한 점이 있다. 즉 상기한 절차에 의해서 결속된 신발은 끈의 설치 최종 마무리에서 도20에서와 같이 신발하단에 끈단부매듭(8)이 노출된다. 이는 종래의 일반 신발에서 볼 수 없는 형태로서 착용자로 하여금 외견상 이질감을 주며 활동에 따라 단단하게 매어져 끈의 조정을 어렵게 한다. 또한 신발 발등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상부에서 당김끈 고리부를 당길때 힘의 균형에 따라 좌우로 움직여 당김끈 고리부 길이에 격차를 주고 착용자가 고리부를 당겨 신발측면에 체결할 때 끈의 유동성으로 인해 불편함을 준다.Nevertheless, the above invention is convenient for the wearer to use, but there are several inadequacies. In other words, the shoe bound by the above procedure is exposed at the end of the shoe lace knot (8) as shown in Figure 20 at the final finishing of the installation of the lace. This is a form not seen in conventional shoes, which gives the wearer a sense of dissimilarity and makes it difficult to adjust the strap because it is tied tightly according to activity. In addition, it is not fixed to the instep of the shoe, so when pulling the belt strap part from the top, it moves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balance of force, giving a gap to the length of the belt strap part. Give it.
또한 도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 좌우측 상단 발목에 위치한 걸림쇠(10a)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걸림쇠는 타 물체와의 접촉시 파손되기도 하고 다른쪽 발목과 부딪힐때 다리에 상처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0, the left and right restraints 10a located at the upper ankle protrude outwards, and the protruding restraints may be damaged upon contact with other objects and may also hurt the leg when hitting the other ankle. There is a problem.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으로 기존 신발과 동일한 구조의 발등가리개를 이중으로 하여 하단 단부매듭을 중간층에 위치하게 하면 외견상 이질감을 해소할수 있으며, 신발을 사용하는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단부 매듭을 풀어 끈 전체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전용적인 조절구를 이용하여 좀더 편리하게 할수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 끈단부매듭을 없이하는 방법으로 끈단부를 최종 통과한 아이릿의 갑피안쪽에 고정시키면 외견상 일반신발과 동일한 효과를 보인다. 문제점으로 지적된 신발 좌우측면 상단에 돌출된 걸림쇠는 상하부분에 보호가드(guard)를 설치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수 있으며 발목 부위에 상처를 줄 수 있는 걸림쇠의 후크는 체결걸쇠에 부착함으로써 반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lacing the foot stopper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existing shoes to the lower end knot in the middle layer can solve the appearance heterogeneity, to the intention of the wearer using the shoes Therefore, if you want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string by loosening the end knot, you can use a dedicated control more convenien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fixing the inner end of the eyelet after passing the end of the end in a manner without the lower end end knot shows the same effect as ordinary shoes. The protruding clasp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oes pointed out as a problem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 by installing a guar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hook of the clasp which can hurt the ankle part is attached to the fastening clasp to have the opposite effect. Can be s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목 좌우 상단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당김끈 고리부와 교차되게 걸 수 있는 체결장치로 한번에 당겨 결속시키거나 해체시키는 신발에 있어서 도3에서와 같이 끈(shoe lace)(17)을 하단 아이릿(16a, 16b)부터 시작하여 이후 2칸 간격으로 하단에서 3번째(14a, 14b), 5번째(12a, 12b) 아이릿을 X자로 교차되게 끼우고 갑피의 동일선상에 있는 아이릿(11a, 11b)과 연계하여 여유분의 길이를 가진 당김끈고리부(19a, 19b)를 형성한다. 형성된 고리부의 끈단부를 다시 하단을 향해 비어있는 아이릿(13a, 13b), (15a, 15b)에 X자로 교차되게 끼우고 아이릿(15a, 15b) 사이를 횡으로 연결하는 끈단부매듭(18)을 하여 끈의 설치를 완료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hoe lace as shown in FIG. (17), starting with the lower eyelets 16a and 16b, and then inserting the third (14a, 14b) and the fifth (12a, 12b) eyelets from the bottom at intervals of two spaces in the form of an X letter and In connection with the eyelets 11a and 11b on the line, the pulling string portions 19a and 19b having the length of the margin are formed. The cord end of the formed loo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mpty eyelets 13a, 13b and 15a and 15b so as to cross the lower end again and crosses between the eyelets 15a and 15b. )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strap.
상기 구성된 고리부에는 일단에 끈이 유동할수 있는 고리와 신축밴드(band)로 연결된 체결걸쇠로 이루어지고 신발 좌우측 상단에는 체결걸쇠와 연계되는 체결판이 부착되면 끈의 결속과 체결장치가 완성된다.The configured loop portion is made of a fastening strap connected to the loop and the elastic band (band) at one end, and when the fastening plate associated with the fastening clasp is attach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oe, the binding and fastening device of the string is completed.
상기 설명한 끈의 결속과 체결장치 형성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인 것이다.The binding and the fastening device formation described above are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체결장치의 명칭을 중복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편의상 도20에서 보이는 공지된 종래의 신발 "끈을 단번에 당겨 결속시키는 신발"의 체결장치를 체결고리(10b), 걸림쇠(10a)라 칭하고 본 발명의 도1에서 보이는 체결장치를 체결걸쇠(43), 체결판(48)이라고 칭하기로 한다.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not to duplicate the name of the fastening device for convenience, the fastening device of the known conventional shoe "shoe to pull the strap at once" shown in Figure 20 is referred to as the fastening ring (10b), the latch (10a) The fastening device shown in Fig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fastening clasp 43, fastening plate 48.
이와같은 신발구조에서 도3의 외부로 돌출되는 하부 끈단부매듭(18)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중발등가리개가 있으며 이는 횡으로 통과하여 형성된 끈단부 매듭을 커버(cover) 해주어 일반 신발과 동일한 모양을 갖게한다. 또한 끈단부매듭은 신발 전체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활동중에 매듭이 단단하게 매어져 필요시 쉽게 풀어지질 않아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으며, 이의 해결책으로 조절구를 이용하면 원활한 끈 조정을 할 수 있다.In such a shoe structure as a means for protecting the lower strap end knot 18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Figure 3 there is a double-footed cap, which covers the strap end knot formed laterally through the same shape as normal shoes Let's have In addition, the tie end knot serve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ntire shoe strap. However, the knot is tightly tied during the activity, so it is not easy to loosen if necessary,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As a solution of this, the adjustment can be used to smoothly adjust the string.
본 발명에서 결속을 도와주는 도7의 체결장치는 도20에서 걸림쇠(10a)의 돌출된 후크를 덮개형 체결걸쇠(43) 자체에 부착한 모양이다. 즉 반대의 역할을 하며 또한 체결걸쇠로 체결판을 덮어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체결판의 상하부분에 가드(guard)를 설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더욱 완벽을 기할수 있다. 이같은 결속구조를 보완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하부의 끈단부매듭 자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다. 즉 끈의 설치를 완료한 끈단부를 횡으로 연결하지 않고 마지막으로 통과한 아이릿의 갑피안쪽에 묶거나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같은 방법은 외견상 전술한 신발과 동일하며 기능성이 향상된 신발을 제공한다.The fastening device of Figure 7 to help the bind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pe of attaching the protruding hook of the latch (10a) to the cover-type fastening latch 43 itself in Figure 20. In other words, the role of the reverse and also to prevent the damage by covering the fastening plate with a fastening clasp. And guards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astening plate to protect them from external shocks. The preferred way to complement this binding structure is not to form the lower tie end itself. In other words, instead of connecting the ends of the strings that have completed the installation of the straps laterally, it is tied or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eyelet that passed through. This method is identical to the above-described shoe and provides a sho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노약자등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단순한 결속방법도 필요하다. 2가닥의 끈을 이용하여 끈을 설치하고 당김끈 고리부 끝단은 연결핀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는 끈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는 수단은 없으며, 보완수단으로 체결걸쇠가 체결판에 걸 수 있는 선택의 폭은 넓게하고 쉽게 체결할수 있는 체결장치를 마련한다. 또한 일체형 체결장치는 한손으로 체결할수 있어 더욱 편리성을 주며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There is also a need for simple ways of bonding for the elderly and inconvenient people. Install the string using two strands of string and fix the end of the pull string loop with a connecting pin. This means that there is no mean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ntire string, and as a complementary means to provide a fastening device that can be fastened wider and easy to fasten the fastening clasp to the fastening plate. In addition, the integrated fastening device can be fastened with one hand to give more convenience and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다. 신발등의 양쪽 갑피에는 신발끈이 순차적으로 끼워질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아이릿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것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로 표현하고 있는 신발에는 각각 6개의 아이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들 아이릿은 편의상 위로부터 아래로 1번째 아이릿 내지 6번째 아이릿(11a∼16b)이라고 칭한다. 여기에 끼워지는 신발끈(17)은 도3에서 알수있듯이 상부에 좌우 한쌍의 당김끈 고리부(19a, 19b)를 형성하고 상단 아이릿을 거쳐 좌우 아이릿에 2칸 간격으로 교차되게 끼워지면서 하단 아이릿에 도달하고 신발끈(17)의 단부에는 반복하여 풀어줄 필요가 없는 하나의 매듭(18)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매듭(18)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노출된 하부 끈단부매듭(18)은 시각적인 이질감과 걸려 풀어지는 불편함을 줄수도 있어 이에 도2a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중발등가리개(21)를 이용할수 있다.1 to 5 show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uppers of shoes and the like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yelet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hoelaces can be inserted sequentially. The shoes represent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six eyelets each. This eyele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to sixth eyelets 11a to 16b from the top to the bottom for convenience. Shoelace 17 to be fitted here forms a pair of left and right pullstring hooks 19a, 19b at the top as shown in Figure 3 and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eyelet to cross the left and right eyelets at intervals of two spaces The end of the shoelace 17 reaches the eyelet and forms a single knot 18 that does not need to be released repeatedly. The knot 18 thus forme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exposed lower end tie knot 18 may also give a visual dissatisfaction and uncomfortable disengagement, so as shown in FIG. 2A, a double foot lampshade 21 may be used.
이중발등가리개(21)는 외부발등가리개(22)와 내부발등가리개(23)로 구성되고 신발발등하단부 갑피 끝단에서 동시에 봉제수단으로 부착된다. 이중발등가리개(21)의 폭은 동일하게 재단하고 길이는 외부 발등가리개(22)를 내부 발등가리개(23) 중간 부분정도의 길이로 한다. 외부발등가리개(22) 끝부분 안쪽에는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 (24a, 24b)를 부착하여 내외부 발등가리개의 사용상 유격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신발에 끈설치를 최종적으로 마무리한 끈단부 매듭은 이중발등가리개(21)의 내외부 사이에 위치하게 하고 매듭(18)이 위치한 발등가리개 부분은 약간의 홈을 파주어 발등부분 안쪽이나 겉에서 튀어나오지 않게 한다. 이러한 이중발등가리개(21)는 신발의 외견상 전혀 표시가 나지 않아 도1에서처럼 하부 매듭부분은 종래의 일반신발과 동일하게 보이며, 걸려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등을 이중으로 보호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측면도 있는 것이다.Double foot stopper 21 is composed of an outer foot stopper 22 and the inner foot stopper 23 and is attached to the sewing means at the same time at the upper end of the shoe instep. The width of the double foot stopper 21 is equally cut and the length is the length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foot stopper 23 to the outer foot stopper 22. Velcro (velcro aka squeaker) (24a, 24b)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end of the outer foot stopper (22) so that there is no play in the inner and outer foot stoppers. The end of the shoelace knot that finishes the installation of the shoelace is place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ouble foot cover 21, and the foot cover part where the knot 18 is located protrudes slightly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foot. Do not The double foot back cover 21 is not displayed at all on the appearance of the shoe, so as shown in Figure 1, the lower knot part look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general shoes,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the hanging. There is also a side that mitigates external shocks by double protecting the instep.
이러한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에 있어서는 착용자가 사용할때마다 반복해서 하부 끈단부매듭(18)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 끈(17)의 전체길이를 조절하여 끈의 고리부(19a, 19b)를 신발 측면의 체결판(48)에 적당한 장력으로 체결을 원할 경우 하부 끈단부매듭(18)을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착용자가 신발을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 발등에 위치한 신발끈단부매듭(18)은 점점 단단하게 조여지며 이는 끈의 조절을 원할 경우 쉽게 풀어지질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당혹스럽게 한다.In a shoe that binds these straps at onc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lower strap end 18 repeatedly each time the wearer uses them. However, if unavoidably adjust the entire length of the strap 17, if you want to fasten the hook portion (19a, 19b) of the strap to the appropriate tension on the fastening plate 48 of the side of the shoe should adjust the lower strap end knot 18 . Howev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wearer uses the shoes, the shoelace end knot 18 located on the instep is tightened more and more, which is not easily released when the strap is desired to be embarrassed by the user.
그러므로 도4에서 보이는 조절구(25)는 하부 끈매듭(18)을 대체할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볼수있으며 이 조절구(25)는 끈의 길이를 통제할수 있는 버튼(26)과 끈의 단부(17a, 17b)가 입출될 수 있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윗부분에는 조절구(25) 자체를 발등에 고정시킬수 있는 고정걸쇠(27a)와 발등가리개 중간부에 위치한 고정고리(27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control knob 25 shown in Figure 4 can be seen as a means to replace the lower strap knot 18, which is a button 26 and the end of the strap (26) to control the length of the strap ( 17a, 17b) is made of a body that can be enter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xed clasp (27a) and a fixing ring (27b)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oot, the foot can be fixed to the foot 25 itself It is done.
따라서 조절구(25)는 신발의 끈(17) 설치 최종단계로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에서 5번째 아이릿(15a, 15b)을 끈단부(17a, 17b)가 통과한 직후 조절구(25)의 끈 통제버튼(26)을 위로올린 상태에서 몸체의 입구와 출구를 통하여 끈의 결속이 긴장될 수 있는 만큼 빼내어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몸체의 윗부분에 위치한 고정걸쇠(27a)와 고정고리(27b)는 상부에서 당김끈 고리부(19a, 19b)를 당길때 힘의 균형에 따라 조절구(25)가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며 악세서리(accessory) 역할도 할 수 있는 조절구(25)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중발등가리개(21)의 외부에 노출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djusting device 25 is the final step of installing the shoelaces 17 of the shoe as shown in FIG. 4, immediately after the end portions 17a and 17b pass through the fifth eyelets 15a and 15b from the top. In the state of raising the rope control button (26) of the)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body is to be pulled out as fast as possible to tighten the binding of the string. Fixing latch (27a) and the fixing ring (27b)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to prevent the control knob 25 from moving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balance of power when pulling the pull string hooks (19a, 19b) from the top The adjusting device 25, which may also serve as an accessory, may be used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uble foot stopper 21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이러한 하부 끈단부매듭(18)의 대안으로 제시된 결속장치는 도5에서 보는바와 같이 케이스(case)형 끈단부 고정구(28)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즉 상부에서 당김끈 고리부(19a, 19b)를 형성하고 하단을 향해 3번째 아이릿(13a, 13b)을 거쳐 5번째 아이릿(15a, 15b)을 통과한 끈(17a, 17b)을 횡으로 연결하여 매듭(18)을 형성하지 않고 직접 고정케이스에 고정한다. 고정구(28)는 도6에서와 같이 끈(17)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압착부(29a, 29b)와 케이스의 뚜겅을 여닫을 수 있는 장금장치(41a, 41b)로 되어있으며 케이스 내부는 끈(17)의 일부를 수납할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케이스 외부에는 양끝으로 돌출부(42)가 있으며 이는 5번째 아이릿(15a, 15b)부분의 갑피와 갑피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구(28)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함이다. 즉, 상부에서 당김끈 고리부(19a, 19b)를 당길때 힘의 균형에 따라 고정구(28)가 좌우로 움직여 갑피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고정구 케이스(case) 겉면에는 문자와 문양을 넣을수 있다. 이러한 결속장치는 착용자에게 단순함을 강조하는 효율성을 가져다주며 최소한의 끈(17)의 조정도 가능하다.The binding device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he lower end knot 18 also has a method using a case-type end end fixture 28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tring 17a, 17b formed through the upper eyelets 15a, 15b through the third eyelets 13a, 13b and forming the pull string loops 19a, 19b at the upper side. It is fixed directly to the fixing case without forming a knot 18. The fastener 28 has crimping portions 29a and 29b for fixing the ends of the strap 17 and locking devices 41a and 41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of the case as shown in FIG. Provide a space for storing a part of (17). On the outside of the case there are protrusions 42 at both ends, which is intend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xture 28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the upper of the fifth eyelets 15a and 15b. That is, to prevent the fastener 28 from moving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balance of power when pulling the pull strap ring portions 19a and 19b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etters and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fastener case. You can put This fastening device brings efficiency to the wearer, emphasizing simplicity and minimal adjustment of the strap 17.
공지된 종래의 신발 즉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에 있어서는 도20에서 보는바와 같이 신발 좌우측면 상단에 위치한 걸림쇠(10a)가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걸림쇠(10a) 자체가 돌출되어 있어 파손과 부상의 위험을 항시 가지고 있는 것이다.In known conventional shoes, that is, "shoes that bind the straps at once", as shown in FIG. 20, the latch 10a loca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oe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Since the catch (10a) itself is protruding will always have the risk of damage and injury.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대안으로 체결 장치 중에서 걸림쇠(10a) 위에 후크와 체결고리 말단에 위치한 고리부분의 용도를 반대로 바꾸는 것이다. 즉 덮개 형식의 체결걸쇠(43)가 되는 것이다. 도7a 내지 도7c에서 보여주는 체결장치는 체결걸쇠(43)와 체결판(48)으로 되어있다. 체결걸쇠(43)는 착탈고리(47)와 신축밴드(46), 손잡이(44)로 구성되며 착탈고리(47)는 곡면을 이루어 끈이 원활하게 전후로 유동할수 있게하며 착탈고리 측면부에는 날개편을 만들어 당김끈 고리부(19a, 19b)에 쉽게 끼울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도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김끈 고리부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끈입출이 가능한 날개편으로 된 2이상의 탈착고리(47a, 47b)를 부착 할수도 있으며 신축밴드(46)에 연결되는 손잡이(44) 중앙부분에는 끼움 못(45)을 설치한다. 한쌍을 이루는 체결판(48)은 일자의 몸체에 다수의 끼움홀(49)을 절곡하고 끼움홀은 신발 뒤쪽으로 약 45°의 경사각을 이루어 삽입된 끼움 못(45)이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ternative is to reverse the use of the hook portion located at the end of the hook and the fastening ring on the latch (10a) of the fastening device. That is to say that the cover has a fastening clasp 43. The fastening device shown in FIGS. 7A to 7C includes a fastening clasp 43 and a fastening plate 48. Fastening clasp 43 is composed of a removable ring 47, the elastic band 46, the handle 44, the removable ring 47 is a curved surface to allow the strap to flow back and forth smoothly, and the wing piece on the removable ring side portion Two or more detachable rings (47a, 47b) made of a pull-out wing piece that can be easily fitted to the pull string hook portions (19a, 19b) and at the same time adjust the length of the pull string hook portion as shown in Figure 7b. It can also b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handle 44, which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and 46, the fitting nail 45 is installed. The pair of fastening plates 48 bends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49 in the body of the date, and the fitting holes make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45 ° toward the rear of the shoe so that the inserted nails 45 are not easily separated.
이러한 체결장치는 착용자가 신발을 신을때 당김끈 고리부(19a, 19b)를 당겨 신발등의 끈(17)을 알맞게 조인후 교차되게 체결판(48)의 끼움홀(49)에 체결걸쇠(43)를 채울때 다수로 절곡된 끼움홀(49)에 선택되게 체결할수 있게 한다. 이때 체결걸쇠는 체결판(48) 위에 덮어씌어 체결함으로서 돌출된 체결판(48)을 보호한다. 그러나 상술한 체결장치는 격렬한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는 부담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체결장치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도8에서 보는바와 같이 갑피덮개(50)를 마련하여 신발 측면에 들어난 체결장치 전체를 덮게한다.This fastening device pulls the pull strap rings 19a and 19b when the wearer wears the shoes, and fastens the straps 17 such as shoes appropriately, and then fastens the fastening clasp 43 to the fitting hole 49 of the fastening plate 48 to cross. ) Can be fastened to be selected in a plurality of bent fitting holes (49) when filling. At this time, the fastening clasp covers the fastening plate 48 and fastens to protect the fastening plate 48 protruding. However,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device may be a burden for a person who is vigorous. As a means of protecting the fastening device, as shown in FIG. 8, the upper cover 50 is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fastening device that enters the side of the shoe.
갑피덮개(50)를 사용할수 있는 가로범위는 상단 아이릿 옆부분부터 신발뒤축 상단 부분까지이고, 세로로 상하부분은 신발측면 상부 갑피 끝단부터 체결장치 아래까지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며 이때 갑피덮개(50)와 신발측면 갑피 끝단과는 일체로 연결되게 하며 내부에는 갑피덮개(50)의 가로길이보다 약간 긴 탄력보드(50a)(board)를 내장하고 내장된 탄력보드는 갑피덮개(50)의 가로길이보다 길어 내부에서 휘어진 상태(50b, 50c)로 삽입되며 이는 갑피덮개를 위로 젖히거나(50b) 아래로 덮을때(50c) 탄력보드(50a)가 휘어짐에 따라 스프링 역할을 하여 주므로 갑피덮개를 단단하게 개폐하여 준다. 그리고 갑피덮개(50)가 위치하는 신발 측면부는 홈을 파주어 한층으로 격차를 준다. 이러한 갑피덮개(50)는 완전하게 체결장치를 보호하는 것이다.The upper range of the upper cover 50 can be used from the side of the upper eyele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heel,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side of the shoe have sufficient space from the upper upper end of the shoe side to the bottom of the fastening device. ) And th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hoe is integrally connected, and there is a built-in elastic board (50a) (board) slightly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per cover (50) and the built-in elastic board i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per cover (50) It is longer and is inserted into the bent state (50b, 50c), which is firmly upper because the elastic cover (50a) acts as a spring as the upper cover is bent up (50b) or covered down (50c). Will open and close. And the shoe side portion where the upper cover 50 is located in the groove to give a gap. This upper cover 50 is to completely protect the fastening device.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다. 이 실시 예는 신발끈의 결속이나 그 구조가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다만 신발 상부에 당김끈 고리부(39a, 39b)를 형성한후 X자 형으로 교차되게 중간 아이릿(33a, 33b)을 거쳐 상단에서 5번째 아이릿(35a, 35b)을 통과한 끈(37)을 단부매듭(18)하거나 결속장치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도9에서 도시한 신발은 하단부에 매듭(18) 자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다.9 to 11 show a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binding of the shoelace and the structure thereof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after forming the pull strap loops 39a and 39b on the upper part of the shoe, the cords passed through the fifth eyelets 35a and 35b from the top through the middle eyelets 33a and 33b to cross in an X shape. ) Using the end knot 18 or fastening with a binding device, but the shoe shown in Figure 9 does not form the knot 18 itself at the lower end.
이와같이 단순함을 요구하는 측면에서는 도9에서 보는바와 같이 각각 아이릿(35a, 35b)을 통과한 양쪽 끈단부(37a, 37b)를 횡으로 연결하지 않고 아이릿 탭(eyelet tab)의 신발 갑피안쪽에 봉제수단으로 고정한다. 갑피안쪽에 봉제된 끈단부(37a, 37b)는 착용자가 상부에서 당김끈을 조여 고리부(39a, 39b)를 교차되게 체결판(73)에 체결하면 상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하여 팽팽하게 당겨지고 이는 상부에서 5번째 아이릿(35a, 35b)의 갑피부분을 서로 마주보며 안쪽으로 당기는 결과가 되어 발등부분의 갑피가 벌어지지 않게된다. 다시말해 좌측 당김끈 고리부(39a)는 중간 아이릿(33b)을 통하여 상단에서 5번째 아이릿(35a)에 걸려있는 끈(37a)을 안쪽으로 당기게 되고 동시에 우측 당김끈 고리부(39b)은 중간 아이릿(33a)을 통과하여 상단에서 5번째 아이릿(35b)에 걸려있는 끈(37b)을 안쪽으로 당겨 각기 아이릿 탭(35a, 35b)이 마주보게 조여 줌으로서 횡으로 연결된 끈의 보호없이 결속되어 제 1실시예의 신발의 형태와 외견상 동일함을 보여주는 것이다.In this aspect of simplicity, as shown in Fig. 9, the two end portions 37a and 37b passing through the eyelets 35a and 35b, respectively, are not laterally connected to the shoe upper of the eyelet tab. Secure with sewing means. The end portions of the straps 37a and 37b sewn on the upper side are pulled tightly by the pulling force from the upper side when the wearer tightens the pull strap at the upper portion and fastens the ring portions 39a and 39b to the fastening plate 73 to cross. The upper part of the fifth eyelet (35a, 35b) from the upper side facing each other and the result is pulled inward to prevent the upper part of the instep open. In other words, the left pull string loop portion 39a pulls the string 37a hanging on the fifth eyelet 35a from the top through the middle eyelet 33b, and at the same time, the right pull string ring portion 39b is Passing through the middle eyelet 33a and pulling the strap 37b hanging from the top to the fifth eyelet 35b inwards, the eyelet tabs 35a and 35b are tightened to face each other to protect the laterally connected straps. It is shown without binding that the appearance and appearan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hoe is the same.
종래의 신발에서 횡으로 연결된 끈은 발등을 구부릴 때 끈의 장력에 의해 발등부분이 잘 벌어지질 않아 발등에 압박감을 준다. 즉 착용자가 운동할 때 발등을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구부리므로 구부릴 때마다 발등에 가해지는 압박감은 때로는 고통을 주기도 한다. 이에 사용자는 끈을 약간 느슨하게 하여 압박감을 피하고자 하는데 헐렁하게 조여진 신발은 결국 운동성을 저하시켜 불편함을 주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shoes, the straps that are connected laterally do not spread well by the tension of the straps when the foot is bent, giving a feeling of pressure to the instep. That is, the wearer repeatedly bends the foot repeatedly while exercising, s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every time it bends is sometimes painful. Therefore, the user wants to avoid the pressure by loosening the string slightly, but loosely tightened shoes eventually reduce the mobility to give discomfort.
반대로 횡으로 연결된 끈이 없을 경우 발등을 구부릴 때 끈에 의한 장력이 없어 유연하게 발등갑피부분이 벌어져 발이 편한 기능성이 향상된 신발을 제공하며 또한 체결된 도13의 신축밴드(71)는 지속적으로 상단에서 하부 단부끈(37a, 37b)을 당겨주므로 발등의 아이릿(35a, 35b) 탭을 발등을 구부릴 때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게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re is no strap connected sideways, there is no tension by the strap when the foot is bent,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foot is flexible to provide the shoe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nd the elastic band 71 of FIG. 13 is fastened continuously at the top. Pulling the lower end straps (37a, 37b) so that the tabs of the eyelets (35a, 35b) of the foot so as not to open more than necessary when bending the foot.
또한 상술한 신발은 발등가리개를 중심으로 신발 좌우갑피선상에 각기 6개씩의 아이릿이 천공된 신발을 사용하여 끈의 결속을 하였으나 이러한 구조의 신발은 여러가지 용도에 따라서 신발좌우 갑피선상에 천공되는 아이릿 수를 각기 2개부터 다수의 아이릿이 천공된 신발을 이용하여 끈의 결속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hoes are bound using the shoes with six eyelets perforated on the left and right upper skin of the shoe with the center of the foot, but the shoes of this structure are perfora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upper skin according to various uses. You can use a pair of shoes with two eyelets perforated to bind the strings.
즉 좌우 2개씩의 아이릿을 가진 단순한 신발부터 10단위 이상의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수의 아이릿을 필요로 하는 신발목이 긴 신발에도 끈의 설치와 결속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신발의 좌우 아이릿 수는 홀수나 짝수와 관계없이 끈의 설치 방법은 동일하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bind a string even in a shoe with a long shoe that requires a plurality of eyelets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of 10 units or more, from a simple shoe having two left and right eyelets. At this time, the number of left and right eyelets is the same method of installation of the strap regardless of odd or even number.
상기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도9에서 보는바와 같이 신발 갑피 안쪽의 끈 단부(37a, 37b)는 도10a의 끈고정아이릿(6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끈고정 이중아이릿(61)은 신발등의 좌우 갑피선상에 상단에서 5번째 아이릿(35a, 35b)과 4번째 아이릿의 중간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2개의 끈끼움 홀(62a, 62b)이 신발하단방향으로 약 30도의 경사각을 이루어 천공된다.In spite of the above effects, as shown in FIG. 9, the lace ends 37a and 37b inside the shoe upper may be protected by the string fixing eyelets 61 of FIG. 10a. The string fixing double eyelets 61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fth eyelets 35a and 35b and the fourth eyelet at the upper end on the left and right upper lines of the shoes, and there are two fitting holes 62a and 62b therein. The shoe is drilled at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30 degrees toward the bottom of the shoe.
도10b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중아이릿(61)에 5번째 아이릿(35a, 35b)을 통과한 끈단부(37a, 37b)를 이중아이릿의 첫 번째 홀(62a)에 끼우고 다시 연이어 2번째 홀(62b)에 삽입하여 신발갑피 안쪽으로 당겨 넣으면 안착되는 구조이다. 이 과정에서 이중아이릿(61)의 홀(62a, 62b)은 경사각을 이루어 상부에서 당겨지는 끈의 힘에 반발하는 압력이 생겨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끈고정 이중아이릿(61)은 끈의 고정뿐만 아니라 신발끈(37)의 전체길이 조정을 위한 조절도 가능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0B, the end portions 37a and 37b passing through the fifth eyelets 35a and 35b through the double eyelets 6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holes 62a of the double eyelets, followed by the second one. Inserted into the hole (62b) is a structure that is seated when pulled into the inner shoe upper. In this process, the holes 62a and 62b of the double eyelet 61 have an inclination angle and are firmly fixed due to the pressure that repels the force of the string pulled from the upper side. The string fixing double eyelets 61 is capable of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shoelace 37 as well as fixing the strap.
도11은 신발 등 양쪽 갑피에 아이릿 구멍(hole)을 천공하지 않고 돌출된 아이릿을 부착한 신발을 도시한 것이다. 좀더 강력하게 발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 신발은 두터운 갑피를 요구하고 아이릿 역시 튼튼하여야 한다.Fig. 11 shows shoes with protruding eyelets without puncturing eyelet holes on both uppers such as shoes. In an environment where you need to protect your feet more strongly, shoes require thick uppers and eyelets should be strong.
도12에서 보는바와 같이 끈고정 아이릿(63)은 몸체에 2가닥의 신발끈(37)이 입출할수 있는 약간 넓은 홀(hole)(64)이 있고 이 홀(64)의 중간부분은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홀(64)의 입구부분에 끈을 고정시켜주는 손잡이 달린 내삽핀(65)이 있으며 이 내삽핀은 끈을 끼울수 있는 홀(66)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strap fixing eyelet 63 has a slightly wider hole 64 through which two shoelaces 37 can enter and exit the body,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hole 64 becomes narrower. It is structured. There is an interpolation pin (65) with a handle that fixes the string at the inlet of the hole (64), and the interpolation pin is composed of a hole (66) into which the string can be inserted.
신발상부에서 고리부를 형성한 신발끈 (37)은 최종적으로 상부에서 5번째 아이릿(35a, 35b) 즉 끈고정아이릿(63)을 통과하게 된다. 끈고정아이릿(63)을 통과한 끈(37a, 37b)단부는 내삽핀 (65)의 홀(66)로 끼워져 다시 끈고정아이릿(63)에 삽입시키고 통과된 끈단부(37a, 37b)는 아이릿 바로 위에 위치한 갑피에 천공된 아이릿(67)으로 삽입하게 되며 이때 끈고정아이릿(63)을 통과한 2가닥 끈(37)을 잡아당기면 끈을 통과시킨 내삽핀(65)은 끈고정아이릿(63)의 넓은 홀(64) 입구에 끈(37)과 함께 쐐기처럼 단단히 끼워져 어떠한 힘의 작용에도 유동성 없이 견고하게 위치한다. 끈(37)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내삽핀(65)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끈고정 아이릿(63)에서 쉽게 탈출되어 끈의 조절을 할 수 있다.Shoelace 37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lace is finally passed through the fifth eyelets (35a, 35b), that is, the string fixing eyelets (63) from the top. The ends of the strings 37a and 37b passing through the string fixing eyelets 63 are inserted into the holes 66 of the interpolation pin 65, and then inserted into the string fixing eyelets 63 and passed through the string ends 37a and 37b.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eyelet (67) perforated in the upper immediately above the eyelet and pull the two-strand string 37 passed through the string fixing eyelet 63, the interpolation pin 65 passed through the string It is firmly fitted like a wedge with a string 37 at the entrance of the wide hole 64 of the fixing eyelet 63 and is firmly positioned without fluidity under the action of any force. If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37, by pulling the handle of the interpolation pin (65) can easily escape from the strap fixing eyelet (63) to adjust the strap.
이러한 제2실시예의 신발에서는 좌우측 발목상단에 돌출된 체결판(73)을 보호할수 있는 수단으로 도13내지 도14에서와 같이 가드(guard)가 설치된 체결장치도 필요하다. 신발 좌우측면 상단에 위치한 체결판(73)은 상하로 가드(76a, 76b)가 설치되고 가드 사이의 중앙에는 다수의 끼움홈(74)이 파여진 끼움판(75)이 있으며 중앙의 끼움판(75)과 가드(76a, 76b)의 돌출높이는 동일하게 한다. 신발에 부착할때는 가드(76a, 76b) 위에 갑피가 덧씌어져 중앙의 끼움판(75)보다 갑피의 두께만큼 높아지므로 외부의 충격시 체결장치는 안전하게 보호된다. 여기에 한쌍으로 이루어진 체결걸쇠(68)는 끈에 연결될수 있는 고리(72)와 신축밴드(71), U자로 휘어진 후크(69)가 부착된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장치는 착용자가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해도 외부의 충격에 체결판이 가드(76a, 76b)에 의해 보호되므로 사용하는데 안정감을 갖게한다.In the sho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a means for protecting the fastening plate 73 protruding from the upper left and right ankles, a fastening device provided with a guard is also required as shown in FIGS. 13 to 14. Fastening plate 73 loca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oe is installed guards (76a, 76b) up and down, and in the center between the guard has a fitting plate (75)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74 are inserted, and the central fitting plate ( 75) and the protruding heights of the guards 76a and 76b are the same. When the shoe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guard (76a, 76b) over the upper plate by the thickness of the upper than the fitting plate (75), so the external fasteners are securely protected. The pair of fastening clasps 68 is composed of a handle that is attached to the hook 72 and elastic band 71, U-shaped hook 69 can be connected to the string. This fastening device provides a sense of stability in use because the fastening plate is protected by the guards 76a and 76b even when the wearer is used in harsh conditions.
도15 내지 도19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구조와 함께 끈 결속 방법을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도 15에서 보는바와 같이 신발의 양쪽 갑피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1번째 내지 6번째 아이릿(51a∼56b)들이 형성된다. 이같은 아이릿에는 2가닥의 끈(57, 58)이 밑에서부터 시작하여 위로 2칸 간격의 X자로 교차해서 올라가 당김끈 고리부(59a, 59b)를 형성한다.15 to 19a show the strap binding method together with the structure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5, first to sixth eyelets 51a to 56b are formed on both uppers of the shoe from above. In this eyelet, two strands 57 and 58 start from the bottom and cross up two X spaces apart to form a pull string ring portion 59a, 59b.
이러한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신발끈 결속원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2가닥의 신발끈(57, 58)을 이용하여 한가닥(57)은 하단 6번째 아이릿(56a, 56b)부터 시작하여 짝수번 아이릿(54a, 54b, 52a, 52b)들만 통과하고 나머지 한가닥 끈(58)은 단 5번째 아이릿(55a, 55b)부터 시작하여 홀수번 아이릿(53a, 53b, 51a, 51b)을 통과시킨다. 좌측갑피 동일선상에 있는 아이릿(51a, 52a)을 통과하는 2가닥의 끈 (57, 58)과 우측갑피선상에 있는 아이릿 (51b, 52b)을 통과한 2가닥의 끈(57, 58)을 각각 연결핀(60a, 60b)에 내삽시켜 압축하고 2개의 당김끈 고리부(59a, 59b)를 형성한다. 연결핀(60)은 2개의 압축부(80a, 80b)로 나뉘어지며 2개의 압축부는 유동성있는 연결띠(80c)로 이어지는 구조로 구성된다.This third embodiment helps to understand the shoelace bind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wo shoelaces 57 and 58, one strand 57 passes through the lower sixth eyelets 56a and 56b and passes only the even numbered eyelets 54a, 54b, 52a and 52b and the other strand. 58 passes through the odd eyelets 53a, 53b, 51a, 51b starting from the fifth eyelets 55a, 55b. Two strands (57, 58) passing through the eyelets 51a, 52a on the same upper left line and two strands (57, 58) passing through the eyelets 51b, 52b on the right upper line Are interpolated into the connecting pins 60a and 60b, respectively, to form two pull string rings 59a and 59b. The connecting pin 60 is divided into two compression parts 80a and 80b, and the two compression parts have a structure leading to the flexible connection band 80c.
이와같이 매듭의 위치를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 도시한 도1 또는 도9의 결속과 동일한 형태를 보인다. 다시말해 하부매듭(18)을 상부고리부(59a, 59b) 끝단의 연결핀(60a, 60b)으로 옮긴 것이며 이는 신발 하부 끈단부 매듭(18)을 조작할 필요가 없는 구조로 단순성을 주는 것이다.Excep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knot in this way it shows the same form as the binding of Figure 1 or 9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ther words, the lower knot 18 is moved to the connecting pins 60a and 60b at the ends of the upper ring portions 59a and 59b, which provides simplicity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the manipulation of the lower shoelace knot 18 of the shoe.
제3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하부에서 끈단부매듭(18)을 통하여 신발 전체 결속상태를 조절할수 있는 끈 길이 조절수단은 전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기 착용자의 발등 두께에 따라 적당한 결속상태의 최소한의 끈길이 조절 수단은 요구된다. 적당한 결속상태의 끈길이는 각기 발등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이때의 길이 차이는 미미하다.In the thir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strap length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overall binding state of the shoe through the strap end knot 18 at the bottom of the shoe. Nevertheless, the minimum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proper binding stat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instep thickness of each wearer. Proper binding length depends on the size of each instep and the difference in length is minimal.
즉 다시말해 신발 측면에 체결되는 당김끈 고리부(59a, 59b)의 길이에 의해 적당한 신발끈 결속 길이가 좌우되는데 여기에서 당김끈 고리부(59a, 59b)는 2가닥의 끈(57, 58)이 겹쳐있어 고리부 1cm는 끈 2가닥의 1cm에 해당되므로 2개의 고리부가 각각 1cm씩 신발 좌우측면 체결판(86)에 체결을 조절할 경우 이는 곧 전체 4cm의 끈 길이를 조절하게 되며 발등의 크기에 있어서 4cm의 끈길이는 상당한 조절길이가 된다. 이에 따라서 체결판(86)을 다소 가로로 길게하여 체결걸쇠(81)의 선택의 폭을 넓게하면 신발하부에서 끈길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원만한 결속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proper length of shoelace binding depends on the length of the pull loop hooks 59a and 59b fastened to the side of the shoe, where the pull loop hooks 59a and 59b are two-strand straps 57 and 58. Since the loop 1cm corresponds to 1cm of 2 strands of straps, if the two loops adjust the fasten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 fastening plate 86 of each shoe by 1cm, this will soon adjust the length of the entire 4cm and the size of the instep In this case, the length of 4cm is a considerable length of adjustment. Accordingly, by lengthening the fastening plate 86 somewhat horizontally to widen the selection of the fastening clasp 81, smooth binding is possible without the ne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hoe at the bottom of the shoe.
이러한 수단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도17a 내지 도17b에서 보는바와 같이 체결판(86) 및 이에따른 체결걸쇠(81)가 필요하다. 이 한쌍의 체결장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는 걸쇠편(82, 87)과 주변에 벨크로(83,88) (velcro 일명 찍찍이)로 되어있다. 체결판(86)은 중앙부분에 가로로 길게 다수의 걸쇠편(87)이 발 뒤쪽을 향하여 곡면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며 걸쇠면 상하에는 벨크로(88)로 봉제되어 있다. 여기에 한쌍으로 되어있는 체결걸쇠(81)는 끈의 고리부(59a, 59b)가 움직일수 있도록 감싸며 끼워지는 고리(85)와 이고리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끈의 장력을 탄력적으로 유지하여 주는 신축밴드(84) 그리고 이 신축밴드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에는 체결판(86)의 걸쇠편(87)과 반대방향으로 맞물릴수 있는 돌출된 걸쇠편(82) 그리고 그 상하에는 자유롭게 접착하여 주는 벨크로(83)로 되어있다.In order to satisfy this means, as shown in Figs. 17A to 17B, a fastening plate 86 and a subsequent fastening clasp 81 are required. The pair of fasteners are made of clasp pieces 82, 87 protruding obliquely in opposite directions and velcro 83, 88 (velcro aka squeakers) around them. Fastening plate 86 is a plurality of clasp pieces 87 protrude inclined in a curved direction toward the back of the foot long horizontally in the center portion is sewn with Velcro 88 above and below the clasp surface. The fastening clasp 81 which is a pair here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ing 85 and the ring that are wrapped and fitted so that the ring portions 59a and 59b of the string can be moved to maintain elasticity of the string. The elastic band 84 and the hand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are protruding clasp pieces 82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clasp pieces 87 of the fastening plate 86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reely adher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reof. Velcro 83 is made.
상기 체결장치는 착용자가 신발을 신기위해 당김끈 고리부(59a, 59b)를 당겨서 좌우측에 교차되게 체결을 시도할 때 다소 넓은 길이의 체결판(86)을 선택적으로 체결할수 있는 원만한 결속수단을 제공하며 벨크로(83, 88)로 된 이중장치는 자유롭게 체결할수 있게 한다. 여기에 발등을 구부릴 때 당겨지는 힘에 의해 자칫 체결걸쇠(81)가 체결판(86)에서 이탈되는 상황도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체결장치 중앙가로로 맞물려주는 걸쇠편(82, 87)을 마련한 것이다. 이와같이 체결수단이 2중으로 되어있어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갖게한다.The fastening device provides a smooth fastening means for selectively fastening the fastening plate 86 of a rather wide length when the wearer attempts to fasten crosswis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by pulling the pull ring portions 59a and 59b to wear shoes. And the dual device made of Velcro (83, 88) is to be freely fastened. There is also a situation in which the fastening latch 81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late 86 by the force pulled when the foot is bent. To prevent this, the clasp pieces 82 and 87 are provided to engage with the fastening device center side. will be. In this way, the fastening means is doubled, thereby providing a more firm fastening force.
여기에서 본 발명은 더욱 간편성을 요구하는 측면에서 결속을 쉽게 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18에서 보이는 형태는 신발의 결속을 한손으로 당겨 체결할수 있는 신발을 보여준다. 신발목 상단에 위치한 체결장치는 일체형으로 되어있다. 손잡이를 잡아당겨 180°회전하여 양쪽갑피에 있는 똑딱단추(snap fastener)에 채우면 체결이 끝나는 것이다. 일체형 체결장치(91)는 몸체에 2개의 터널부(92a, 92b)가 형성되고 2개의 터널부 양옆으로는 약간 여유분을 가진 단부에 똑딱단추(93a, 93b)가 부착되어 있다. 2개의 터널부(92a, 92b) 사이 간격은 신발의 결속상태에서 발등의 좌우측 갑피상에 위치한 최상단 아이릿(51a, 51b)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며 체결장치 중심부에는 안쪽으로 약간 휘어진 일자형의 탄력 밴드를 내장시킨다.Herei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easily binding a binding in terms of requiring more simplicity. The shape shown in Figure 18 shows a shoe that can be fastened by pulling the binding of the shoe with one hand. The fasteners on the top of the shoe are integral. Pull the handle and rotate it 180 ° to fill the snap fasteners on both upper shells. In the integrated fastening device 91, two tunnel portions 92a and 92b are formed on the body, and the tip buttons 93a and 93b are attached to ends having a slight margin on both sides of the two tunnel portions. The spacing between the two tunnel sections 92a and 92b is equal to the spacing of the upper eyelets 51a and 51b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uppers of the foot in the state of shoe binding and a straight elastic band bent inward slightly in the center of the fastener. Built in.
일체형 체결장치 좌측의 터널부(92a)에는 좌측 당김끈 고리부(59a)가 통과되고 우측의 터널부(92b)에는 우측 당김끈 고리부(59b)가 통과된다. 이러한 상태의 체결장치는 신발을 신기 위하여 위로 당길때 좌우측 터널부에 통과된 2개의 고리부(59a, 59b)가 동시에 당겨지면서 각각 4가닥의 끈이 고르게 조여진다. 이어서 당겨진 일체형 체결장치(91)를 180°회전하면 좌측의 당김끈 고리부(59a)는 우측상단 아이릿(51b)위에, 우측의 당김끈 고리부(59b)는 좌측상단 아이릿(51a)위에 위치하게 되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체결걸쇠를 이용한 결속의 조임상태와 같은 형태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일체형 체결장치(91) 양단에 있는 단추(93a, 93b)를 신발 갑피 상단 아이릿 부위에 있는 단추(94b, 94a)에 채우면 신발의 결속은 완결된다.The left pull string ring portion 59a passes through the tunnel portion 92a on the left side of the integrated fastening device, and the right pull string ring portion 59b passes through the tunnel portion 92b on the right side. The fastening device in such a state, when pulled up to wear shoes, the two loops (59a, 59b) pass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tunnels at the same time is pulled at the same time, each of the four strands are tightened evenly. Subsequently, when the pulled integral fastening device 91 is rotated by 180 °, the left pull string hook portion 59a is placed on the upper right eyelet 51b, and the right pull string hook portion 59b is placed on the upper left eyelet 51a. It is located in the form of the tightening state of the binding using the fastening latch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Finally, when the buttons 93a and 93b at both ends of the integral fastening device 91 are filled in the buttons 94b and 94a at the upper eyelet portion of the shoe upper, the binding of the shoe is completed.
이러한 체결과정에서 똑딱단추(93a, 93b, 94a, 94b)는 자석으로 된 요철식으로 만들어져 주변에 갖다 대어도 자석의 힘에 의하여 제자리를 찾아 쉽게 채워진다. 그리고 일체형 체결장치(91) 중심부에 가로로 길게 내장되어 있는 탄력밴드(bend)는 안쪽으로 자동차의 스프링처럼 휘어져있어 발등을 구부릴때 조여지는 끈의 당김을 구부려졌다 펴졌다하며 신축성을 주므로 체결걸쇠의 신축밴드와 같은 역활을 한다. 이와같은 모든 과정은 한손으로 체결할수 있어 좀더 발전된 양상을 보여준다. 즉, 어린아이나 신체가 불편한 사람들도 한손으로 조작할수 있는 간편함과 신발 좌우측에 위치한 체결판이 필요없게 되어 좀더 간결성을 제공한다.In this fastening process, the snapping buttons 93a, 93b, 94a, 94b are made of magnet irregularities and are easily filled in place by the force of the magnet even if they are put around. And the elastic band (bend) is built long horizontally in the center of the one-piece fastening device (91) is bent like a spring of the car inwardly bent and pulled the pull of the strap tightened when the instep of the foot and give the elasticity of the fastening clasp It acts like an elastic band. All these processes can be concluded with one hand, showing a more advanced aspect. In other words, infants or those who are uncomfortable with the body can be manipulated with one hand, and the fastening plat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oe does not need to provide more simplicity.
제3실시예에서의 신발은 가장 단순하게 결속하는 신발 및 그 체결장치를 보여준다. 도17a, 도17b에서 보여주는 선택이 자유로운 체결장치를 제시하거나 도18의 일체형 체결장치(91)는 한손으로 당겨 결속할 수 있는 아무나 쉽게 즉 노약자나 어린아이들도 조작할수 있는 편리성을 주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45965호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에서 제안한 당김끈 조임기구(9)는 도23에서 보는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신발의 리본식 매듭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당김끈 고리부(9a, 9b)의 길고 짧음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할수 있다.The shoe in the third embodiment shows the shoe that binds the simplest and its fastening device. 17A, 17B present a free choice of fastening device or the integrated fastening device 91 of FIG. 18 provides convenience for anyone who can bind with one hand, that is, for the elderly and small children. In addition, the pulling string tightening mechanism (9) prop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0445965 "Shoe to bind the strap at once"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3 means for replacing the ribbon type of conventional general shoes As long as the drawstring hooks (9a, 9b) can be used without regard.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체결방법 중에서 체결걸쇠를 이용하거나, 일체형 체결장치(91), 또는 당김끈 조임기구(9)등 그때그때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다. 이렇게 상황에 따라 체결장치를 교체할 때 교체된 부속물을 보관할수 있는 장소를 신발에 설치하는 것이 편리할수 있다. 이러한 체결장치 보관주머니는 도19a에서와 같이 발등가리개(95) 상단부에 마련하고 보관주머니는 주머니(96)와 덮개(97)로 구성되며 덮개는 주머니보다 신발등 아래쪽으로 약간 길게 재단되어 주머니를 안전하게 덮을수 있게한다.As described above, using a fastening clasp among various fastening methods, an integral fastening device 91, or a pulling string fastening mechanism 9 may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wearer at that time. In this case, when replacing the fastening device, it may be convenient to install a place in the shoe to store the replaced parts. This fastener storage bag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foot lid 95 as shown in Figure 19a and the storage bag is composed of a pocket 96 and the cover 97, the cover is cut slightly longer in the lower back of the shoe than the pocket to secure the pocket Cover it.
사용 시에는 덮개(97)를 발등가리개(95) 위쪽으로 약간 밀어올려 사용물을 입출하고 다시 덮어두면 보관된 내용물이 밖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탈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보관주머니는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체결장치를 교체하여 이용할시 즉각 사용하고 보관할수 있어 분실할 염려가 없는 편리성을 갖게 한다.In use, if the cover 97 is slightly pushed up the foot cover 95 to enter and use the cover again, the stored contents are not exposed out and are not separated. These storage bags can be used and stored immediately when the wearer replaces the fastening device as needed, so that there is no worry of losing.
도23에서 도시하는 조임기구(9)는 신발상단에 위치한 한쌍의 당김끈 고리부(9a, 9b)를 길고 짧음에 구애받음없이 끈을 결속하여 체결할수 있다. 그러나 조임기구(9)는 신발끈의 결속상태에서 신발을 벗기위해 끈의 결속을 해체할 때 당김끈 고리부(9a, 9b)가 조임기구(9)에서 완전히 빠져나가는 상황도 발생한다. 조임기구에는 이탈방지용 연결띠(9e)가 신발등과 연결되어 있으나 당김끈 고리부(9a.9b)의 길이가 적당한 범위에서만 이탈방지가 가능하고 짧은 길이의 당김끈 고리부에는 소용이 없으며 또한 연결띠(9e)를 짧게하면 신발을 벗을때 발등좌우갑피가 충분히 벌어지지 않아 불편함을 준다.The tightening mechanism 9 shown in FIG. 23 can fasten a pair of pull string ring portions 9a, 9b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hoe, regardless of whether it is long or short. However, when the tightening mechanism 9 disengages the straps in order to take off the shoes in the binding state of the shoelaces, a situation arises in which the pull loop hooks 9a and 9b completely exit the tightening mechanism 9. The tightening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shoe, etc.,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onnection band (9e), b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nly when the length of the pull strap ring (9a.9b) is suitable, and it is of no use for the short pull loop ring. If the belt (9e) is shortened, the left and right upper insteps of the instep when the shoe is taken off will be uncomfortable.
이에대한 대안으로 당김끈 고리부(9a, 9b) 말단에 이탈방지링(9c, 9d)을 부착한다. 이탈방지링(9c, 9d)은 스프링처럼 둥그렇게 말아진 상태의 플라스틱으로 끈에 착탈시에 둥그렇게 말아진 링을 곧게펴서 끈에 끼우면 원형상태로 돌아가 끈을 감싸며 위치하고 끈에 위치한 링은 조임기구(9)의 끈구멍보다 부피가 크므로 조임기구에서 당김끈 고리부(9a, 9b)의 이탈을 완벽하게 방지한다.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s 9c and 9d are attached to the ends of the pull string rings 9a and 9b. The release prevention rings (9c, 9d) are plastics that are rolled up like a spring. When the strap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strap, the ring is straightened. Since the volume is larger than the strap hole of (9),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pull-out ring portions 9a and 9b from the tightening mechanism.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45965호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의 결속방법"에 있어서 여러 가지 미흡한 점을 보안 및 제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 발등에 부착한 이중발등가리개는 노출되는 끈단부 매듭을 중간층에 위치하게 하여 외견상 종래의 일반신발과 동일하게 보이게 하고 조절구나 고정구는 신발끈의 전체길이를 신속하게 조절할수있게 해주며 덮개형 체결걸쇠나 가드, 갚피덮개는 종래의 신발에서 문제되는 신발 측면의 걸림쇠를 완벽하게 보호하여 파손이나 발목에 상처를 줄 수 있는 위험에서 안전하게 하여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nd proposes various deficiencies in Korean Patent No. 0445965, "Shoe binding at one time and a method of binding the shoe," which is filed by the applicant. The double-footed back cover attached to the instep of the shoe makes the exposed end of the knot in the middle layer so that it looks the same as conventional shoes in general, and the adjuster or fastener allows for quick adjustment of the overall length of the shoelace. The type fastening clasp, guard, and payback cover completely protects the claw on the side of the shoe, which is a problem in conventional shoes, and keeps it safe from damage or damage to the ankle.
또한 끈단부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 신발갚피 안쪽에 끈단부를 고착시키는 끈설치 방법은 단순성과 신발의 착용을 유연하게 하여주고 상부의 이중체결장치는 체결의 선택을 넓게 해주며 일체형 체결장치는 불편한 사람들을 위하여 한손으로 체결할 수 있어 손쉬운 방법을 제시한다.In addition, the strap installation method to fix the end of the shoe inside the shoe cover without forming the end knot makes the wearability of the shoe flexible and the double fastening device at the top makes the choice of fastening and the integrated fastening device uncomfortable for those who are uncomfortable. For this purpose, it can be fastened with one hand and presents an easy way.
착용자는 여러 가지의 개선된 결속 및 체결장치에 의해 좀더 안전하고 편리한 신발을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The wearer can use shoes that are safer and more convenient by various improved binding and fastening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신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제1실시예의 이중발등 가리개 신발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uble foot shield shoes of the first embodiment.
도 2b은 이중발등가리개의 부착부를 보인 사시도.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double leg.
도 3는 끈이 끼워진 상태에서 단부매듭을 보여주는 신발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shoe showing the end knot with the straps fitted.
도 4는 끈 조절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tring adjuster.
도 5는 끈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를 보여주는 신발 정면도.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shoe showing the fixture in the strapped state.
도 6은 끈단부 고정구의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ring end fixture.
도 7a는 제1실시예의 체결걸쇠 사시도.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latch of the first embodiment.
도 7b는 2개 이상의 탈착고리로 된 체결걸쇠 사시도.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clasp of two or more removable rings.
도 7c는 제1실시예의 체결판 사시도.7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8a는 갑피덮개가 젖혀진 상태의 사시도.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ver is folded.
도 8b는 갑피덮개에 내장된 탄력보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8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lastic board embedded in the upper cover.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신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a는 제2실시예의 이중아이릿을 부착한 신발부분 사시도.Figure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portion with a double eyelet of the second embodiment.
도10b는 이중아이릿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ouble eyelet.
도 11은 돌출형 끈고정아이릿이 설치된 신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with a protruding string fixing eyelet installed.
도 12는 돌출형 끈고정아이릿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otruding string fixing eyelets.
도 13는 제2실시예의 체결걸쇠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latch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4는 제2실시예의 가드가 설치된 체결판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plate provided with the guard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신발 정면도.15 is a front view of the sho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연결핀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of the connecting pin.
도17a는 제3실시예의 체결걸쇠 사시도.Fig. 1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latch of the third embodiment.
도17b는 제3실시예의 체결판 사시도.Fig. 1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plate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8은 제3실시예의 일체형 체결장치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fastening device of a third embodiment;
도19a는 보관 주머니를 설치한 신발 사시도.1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with a storage bag installed;
도19b는 보관 주머니 사용상태 일부를 보인 사시도.Figure 1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orage bag used state.
도 20은 선출원된 종래의 신발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에서 끈이 FIG. 20 shows the straps of a prior art shoe "shoes that bind the straps at once".
완전히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A perspective view of the fully fitted state.
도 21는 선출원된 종래의 신발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에서 끈이21 is a view of a shoe in a previously filed "shoes that bind the strap at once"
반만 끼워진 상태의 정면도. Front view of half fitted state.
도 22는 선출원된 종래의 신발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에서 끈이Figure 22 shows the straps in a prior art shoe "shoes that bind the straps at once".
완전히 끼워진 상태의 정면도. Front view of fully fitted condition.
도 23은 선출원된 종래의 신발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에서 끈 조Figure 23 is a pair of laces in a prior art shoe "shoes that bind the strap at once"
임구를 사용한 상태의 사시도.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using the fores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1a, 11b(31a, 31b…) : 1번째 아이릿, 12a, 12b(32a, 32b…) : 2번째 아이릿, 13a, 13b(33a, 33b…) : 3번째 아이릿, 14a, 14b(34a, 34b…) : 4번째 아이릿, 15a, 15b(35a, 35b…) : 5번째 아이릿, 16a, 16b(36a, 36b…) : 6번째 아이릿, 17a, 17b, 37a, 37b : 끈단부, 17, 37, 57, 58 : 끈, 18 : 매듭, 19a, 19b(39a, 39b …) : 당김끈 고리부, 21 : 이중발등 가리개, 24a, 24b, 83, 88 : 벨크로, 25 : 조절구, 28 : 고정구, 43, 68, 81 :체결걸쇠, 48, 73, 86 : 체결판, 47, 72, 85 : 고리, 46, 71, 84 : 신축밴드, 50 : 갑피덮개, 61 : 이중아이릿, 63 : 끈고정 아이릿, 76a, 76b : 가드, 60a, 60b : 연결핀, 91 : 일체형 체결장치, 93a, 93b, 94a, 94b : 똑딱단추, 96 : 보관 주머니11a, 11b (31a, 31b…): 1st eyelet, 12a, 12b (32a, 32b…): 2nd eyelet, 13a, 13b (33a, 33b…): 3rd eyelet, 14a, 14b (34a , 34b…): 4th eyelet, 15a, 15b (35a, 35b…): 5th eyelet, 16a, 16b (36a, 36b…): 6th eyelet, 17a, 17b, 37a, 37b: end , 17, 37, 57, 58: string, 18: knot, 19a, 19b (39a, 39b…): pull string ring, 21: double foot cover, 24a, 24b, 83, 88: velcro, 25: control , 28: fasteners, 43, 68, 81: fastening latch, 48, 73, 86: fastening plate, 47, 72, 85: ring, 46, 71, 84: elastic band, 50: upper cover, 61: double eyelet , 63: Locking eyelet, 76a, 76b: Guard, 60a, 60b: Connecting pin, 91: Integral fastening device, 93a, 93b, 94a, 94b: Tick button, 96: Storage bag
Claims (29)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81189A KR100733024B1 (en) | 2005-09-01 | 2005-09-01 | How to form a shoelace unit that binds at once |
| PCT/KR2006/003457 WO2007027062A1 (en) | 2005-09-01 | 2006-08-31 | Device and method of rapidly tying shoelaces |
| US12/063,445 US20090038128A1 (en) | 2005-09-01 | 2006-08-31 | Device and method of rapidly tying shoela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81189A KR100733024B1 (en) | 2005-09-01 | 2005-09-01 | How to form a shoelace unit that binds at on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93742A true KR20050093742A (en) | 2005-09-23 |
| KR100733024B1 KR100733024B1 (en) | 2007-07-02 |
Family
ID=3727478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811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3024B1 (en) | 2005-09-01 | 2005-09-01 | How to form a shoelace unit that binds at once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1) | US20090038128A1 (en) |
| KR (1) | KR100733024B1 (en) |
| WO (1) | WO2007027062A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66761B1 (en) * | 2007-08-14 | 2008-11-03 | 장진식 | Sneaker structure for easy attachment |
| KR20150001833U (en) * | 2013-11-05 | 2015-05-13 | 한순환 | Easy-to-wear sneakers |
| KR20150064447A (en) * | 2013-12-03 | 2015-06-11 | 김성태 |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146271B2 (en) * | 2006-12-04 | 2012-04-03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dual lacing system |
| KR100878743B1 (en) * | 2007-06-21 | 2009-01-19 | 조윤수 | How to form a shoelace device that bonds evenly and evenly |
| USD611237S1 (en) | 2009-06-05 | 2010-03-09 | Dashamerica, Inc. | Cycling shoe insole |
| USD630419S1 (en) | 2009-06-05 | 2011-01-11 | Dashamerica, Inc. | Base plate for adjustable strap |
| USD636983S1 (en) | 2009-06-05 | 2011-05-03 | Dashamerica, Inc. | Cycling shoe |
| US8844168B2 (en) * | 2011-10-06 | 2014-09-30 | Nike, Inc. | Footwear lacing system |
| WO2016039879A1 (en) * | 2014-09-09 | 2016-03-17 | Nike Innovate C.V. | Footwear lacing system |
| US9526300B2 (en) * | 2015-03-16 | 2016-12-27 | Anna Krengel | Dually adjustable, anchored, parallel lacing technology |
| US10327514B2 (en) * | 2015-05-28 | 2019-06-25 | Nike, Inc. | Eyelet for article of footwear |
| ITUB20160733A1 (en) * | 2016-02-15 | 2017-08-15 | Gamar Itala S R L | JUMPER SIDE ELEMENT FOR FOOTWEAR. |
| CN113331530B (en) | 2016-12-02 | 2023-03-10 |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 Footwear with aligned stretch limiter |
| KR20190138223A (en) | 2018-06-04 | 2019-12-12 | 조동현 | Functional shoes that Deformable Heel |
| USD954405S1 (en) * | 2021-05-13 | 2022-06-14 | Wuyishan Baoshu E-Commerce Co., Ltd. | Mesh sneaker |
| KR102571594B1 (en) * | 2021-06-08 | 2023-08-29 | 조용호 | The method of forming shoe strap bonds separated by up and down |
| US12290117B2 (en) * | 2022-04-29 | 2025-05-06 | Rbcn Holding Llc | Laces with tying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1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805321A (en) * | 1987-10-14 | 1989-02-21 | Kangapoos U.S.A., Inc. | Reversible shoe tongue |
| US4790048A (en) * | 1987-11-05 | 1988-12-13 | Arnt Sharon M | Shoelace lock |
| US5016327A (en) * | 1989-04-10 | 1991-05-21 | Klausner Fred P | Footwear lacing system |
| FR2697729B1 (en) * | 1992-11-06 | 1995-02-10 | Salomon Sa | Shoe with tightening system with tension memorization. |
| US5755044A (en) * | 1996-01-04 | 1998-05-26 | Veylupek; Robert J. | Shoe lacing system |
| JPH10225306A (en) | 1996-12-11 | 1998-08-25 | Tamotsu Yuri | Shoestring fastener |
| FR2770381B1 (en) * | 1997-10-31 | 2000-01-07 | Philippe Kleinmann | DEVICE FOR RETAINING AND / OR IMMOBILIZING LACES,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
| KR200272073Y1 (en) * | 1998-09-30 | 2002-11-08 | 최상철 | shoe lace tightening device |
| US6324774B1 (en) * | 2000-02-15 | 2001-12-04 | Charles W. Zebe, Jr. | Shoelace retaining clip and footwear closure means using same |
| US6510627B1 (en) * | 2001-08-03 | 2003-01-28 | Kun-Chung Liu | Shoe having a shoe lace device that can be tightened to simulate a double-bow knot |
| US20030041478A1 (en) * | 2001-09-06 | 2003-03-06 | Kun-Chung Liu | Shoe with shoe lace device that facilitates tightening and loosening of the shoe |
| KR200270273Y1 (en) | 2002-01-12 | 2002-03-28 | 한국전력공사 | Steam Generator Sludge Lancing Apparatus |
| US6895696B1 (en) * | 2002-02-01 | 2005-05-24 | Aric Sanders | Protective shoelace storage compartment |
| KR100445965B1 (en) | 2002-02-19 | 2004-08-25 | 조윤미 | Shoe which binds together string only in time |
| KR100399950B1 (en) | 2002-03-18 | 2003-09-29 | Tae Heum Park | Shoestring fastener |
| ITPD20030083A1 (en) * | 2003-04-24 | 2004-10-25 | Dolomite Spa | FOOTWEAR WITH LACE STRINGS. |
| US7441348B1 (en) * | 2004-09-08 | 2008-10-28 | Andrew Curran Dawson | Leisure shoe |
-
2005
- 2005-09-01 KR KR1020050081189A patent/KR10073302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8-31 US US12/063,445 patent/US2009003812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8-31 WO PCT/KR2006/003457 patent/WO200702706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66761B1 (en) * | 2007-08-14 | 2008-11-03 | 장진식 | Sneaker structure for easy attachment |
| KR20150001833U (en) * | 2013-11-05 | 2015-05-13 | 한순환 | Easy-to-wear sneakers |
| KR20150064447A (en) * | 2013-12-03 | 2015-06-11 | 김성태 |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07027062A1 (en) | 2007-03-08 |
| US20090038128A1 (en) | 2009-02-12 |
| KR100733024B1 (en) | 2007-07-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50093742A (en) | Shoe lace equipment fastening in one touch manner and formation method of the same | |
| US6601323B2 (en) | Shoelace cover | |
| ES2610782T3 (en) | Self closing shoe | |
| US6941683B2 (en) | Lacing system | |
| US6895696B1 (en) | Protective shoelace storage compartment | |
| US8245418B2 (en) | Front-opening footwear systems | |
| CN100417346C (en) | Anti-disengagement device | |
| US7765721B2 (en) | Article of footwear having removable eyelet portion | |
| US7437837B2 (en) | Cord and strap combination shoe closure | |
| US20070060454A1 (en) | Portable exercise apparatus | |
| WO2000018265A2 (en) | Shoelace tightening device | |
| US8991018B2 (en) | Shoelace fastener system | |
| US9259055B1 (en) | Footwear accessory device | |
| JPH06327505A (en) | Shoes cord device with improved zipper means | |
| US20160360835A1 (en) |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 |
| US20140041167A1 (en) |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 |
| CN104754977A (en) | Fastening system and method | |
| KR100445965B1 (en) | Shoe which binds together string only in time | |
| KR200467145Y1 (en) | Shoes with shoelace fasteners | |
| JP2023050056A (en) | Detachable shoelace fastener using shoelace loop | |
| KR100765244B1 (en) | Shoelace ties | |
| KR100878743B1 (en) | How to form a shoelace device that bonds evenly and evenly | |
| JP3814345B2 (en) | Shoes with instep toe straps | |
| JP3738961B2 (en) | Shoelace and shoelace insertion method | |
| KR200451902Y1 (en) | Band shoela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20-X000 | Errors in documents filed by the applicant or ip right owner corr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0-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22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33024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70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6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