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489A - Optical mouse being able to control height of lighting unit - Google Patents
Optical mouse being able to control height of lighting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11489A KR20050111489A KR1020040036637A KR20040036637A KR20050111489A KR 20050111489 A KR20050111489 A KR 20050111489A KR 1020040036637 A KR1020040036637 A KR 1020040036637A KR 20040036637 A KR20040036637 A KR 20040036637A KR 20050111489 A KR20050111489 A KR 200501114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ighting unit
- height
- light
- mou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조명 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광마우스가 개시되어 있다. An optical mouse is disclosed which can adjust the height of an illumination unit.
이 개시된 광마우스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빔이 바닥면에서 반사되어 수광되는 광센서와, 광센서에 빔을 집광시키기 위한 결상렌즈를 가지는 조명 유닛; 상기 조명 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 상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바닥면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optical mouse comprises: an illumination unit having a light source, an optical sensor on which the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the bottom surface, and received, and an imaging lens for condensing the beam on the optical sensor; A height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And a microcontroller for extracting an image of the bottom surface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mage to the computer.
상기 구성에 의해 마우스가 사용되는 작업면의 재질에 관계없이 편리하고 정확하게 마우스가 조작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use can be operated conveniently and accurately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working surface on which the mouse is u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빔이 반사되는 바닥면의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광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mouse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and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beam is reflected.
컴퓨터의 모니터에 나타나는 커서를 움직이는데 사용되는 마우스는 컴퓨터가 범용화되면서 생활필수품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ouse used to move the cursor that appears on the computer's monitor has become a necessity as the computer becomes more popular.
볼의 회전에 의해 좌표를 읽는 볼마우스가 많이 사용되는데, 볼마우스는 장기간 사용시 먼지 등에 의해 오작동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볼의 움직임을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데 있어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의 계속적인 접촉에 의한 마모로 인해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The ball mouse reading coordinates by the rotation of the ball is used a lot, the ball mouse is malfunctioned by dust or the like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cision of displaying the ball movement on the monitor screen is inferior. In addition, there is a short life due to wear due to the continuous contact of the ball.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광마우스가 등장하였다. 종래의 광마우스(20)는 도 1a를 참조하면 광원(21)과, 광원(21)에서 조사된 후 바닥면(10)에서 반사된 빔을 수광하는 광센서(25)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닥면(10)에서 반사된 빔을 상기 광센서(25)에 집광시키기 위한 결상 렌즈(23)와, 상기 광센서(2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바닥면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고, 이 이미지 정보를 컴퓨터(30)로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27)가 구비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ptical mouse has appeared. Referring to FIG. 1A, the conventional optical mouse 20 includes a light source 21 and an optical sensor 25 for receiving a beam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10 after being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21. In addition, an imaging lens 23 for condensing the beam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10 to the optical sensor 25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25 are received to extract image informa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a microcontroller 27 for transmitting this image information to the computer 30.
광원(21)과 바닥면(10) 사이의 거리와 바닥면(10)으로부터 광센서(25)까지의 거리가 바닥면(10)으로부터 반사된 빔을 수광하기에 최적인 조건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10)에서 반사된 빔은 대부분이 상기 결상 렌즈(23)를 통해 광센서(25)에 집속되고, 집속된 빔은 광센서(25)에서 빛을 감지하기에 충분한 광량을 가지므로 광마우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문제가 없다.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21 and the bottom surface 10 and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10 to the optical sensor 25 are arranged under conditions that are optimal for receiving the beam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10. Therefore, most of the beams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10 are focused on the optical sensor 25 through the imaging lens 23, and the focused beams have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to detect light in the optical sensor 25.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for the optical mouse to operate normally.
하지만, 광마우스(20)와 바닥면(10) 사이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15)이 개재될 때에는 광마우스(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광마우스 밑에 유리판(15)이 있는 경우, 광원(21에서 출사된 빔은 유리판(15)을 통과하여 바닥면(10)에서 반사된다. 유리판(15)의 두께(t)만큼 광원(21)과 바닥면(10)까지의 거리와 바닥면(10)으로부터 광센서(25)까지의 거리가 달라졌기 때문에 광센서(25)에 도달하는 광량이 크게 감소된다. 상기 광센서(25)는 광량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유리판(15)이 있는 경우에는 오작동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when the glass plate 15 is interposed between the optical mouse 20 and the bottom surface 10 as shown in FIG. 1B, the optical mouse 20 does not operate normally. If there is a glass plate 15 under the optical mouse, the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1 is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10 through the glass plate 15. The light source 21 and the thickness t of the glass plate 15 are reflected. Since the d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10 and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10 to the optical sensor 25 are different,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optical sensor 25 is greatly reduced. Because it reacts very sensitively, there is a problem that malfunctions when there is a glass plate (15).
마우스가 사용되는 작업대에는 유리판이 깔리는 예가 대부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리판에서는 광마우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어려우므로 유리판이 있는 경우에는 패드가 반드시 필요하고, 사용 장소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In most cases, a glass plate is installed on a workbench using a mouse. As described above, in the glass plate, since the optical mouse is difficult to operate normally, a pad is necessary when there is a glass plate, and the use place is limit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 장소나 사용 바닥면의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광마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optical mouse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place of use or the material of the bottom surfa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빔이 바닥면에서 반사되어 수광되는 광센서와, 광센서에 빔을 집광시키기 위한 결상렌즈를 가지는 조명 유닛; 상기 조명 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 상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바닥면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ptical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unit having a light source, an optical sensor in which the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the bottom surface, and received and an imaging lens for focusing the beam on the optical sensor. ; A height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And a microcontroller for extracting an image of the bottom surface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mage to the computer.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조명 유닛에 결합된 레버와, 상기 조명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레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ing unit includes a lever coupled to the lighting unit,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ghting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xing unit capable of fixing the lever.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조명부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조명부에 결합된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ight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ght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crew coupled to the lighting unit.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조명부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결합되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을 가진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삽입되고, 내벽에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캠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기어홈이 형성된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에 결합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ight adjustment unit, the guide portion having a cutting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upled to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lighting unit; A first gear part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art and having a cam groove coupled to the protrusion on an inner wall thereof, and having a gear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gear part coupled to the first gear part.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의 광량을 측정하고 소정의 기준 광량으로 제어하기 위한 광량 제어부; 상기 광량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기준 광량을 얻을 때까지 상기 조명 유닛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ight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light amount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and controlling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And a motor drive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until a predetermined reference light amount is obtained by the light amount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마우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tical mo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60)는, 도 2a를 참조하면 빔을 조사하는 광원(61)과, 광원(61)에서 조사되어 바닥면(50)에서 반사된 빔을 수광하는 광센서(65)를 가진 조명 유닛(68)과, 이 조명 유닛(6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69)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A, the optical mous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61 for irradiating a beam and an optical sensor 65 for receiving a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61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50. It includes a lighting unit 68 and a height adjusting unit 69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68.
상기 조명 유닛(68)에는 바닥면(50)에서 반사된 빔을 광센서(65)에 집광시키기 위한 결상 렌즈(63)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명 유닛(68)은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The illumination unit 68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maging lens 63 for condensing the beam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50 to the optical sensor 65. The lighting unit 68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light is transmitted.
또한, 상기 광센서(6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바닥면(50)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컴퓨터(75)에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7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micro-controller 70 for receiv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65, extract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bottom surface 50 and transmits it to the computer 75.
한편, 상기 광센서(6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광량을 검출하는 광량 제어부(64)가 더 구비된다. 상기 광량 제어부(64)는 상기 조명 유닛(68)의 높이에 따른 광센서로부터의 광량을 검출하여 소정의 기준 광량이 검출될 때를 표시부(67)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67)는 시각적인 수단 예컨대, 램프를 포함하거나, 청각적인 수단 예컨대, 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광센서(65)에서 검출되는 광량이 기준 광량 이상이 될 때 램프에 불이 들어오거나, 벨 소리가 울리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amount control unit 64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by analyz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sensor 65 is further provided. The light amount control unit 64 detects the light amount from the light sens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llumination unit 68 and displays the user whe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light amount is detected through the display unit 67. The display unit 67 may include visual means such as a lamp or audio means such as a bell. That is, when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photosensor 65 becomes more than the reference amount of light, the lamp may be turned on or a bell may sound.
상기 광량 제어부(64)는 룩업 테이블을 통해 소정 기준의 광량이 검출되는 때를 알아내고, 소정 기준의 광량을 수광하기 위한 조명 유닛(68)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67)에 전송할 수 있다.The light amount control unit 64 may find out when a light amoun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is detected through the lookup table,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height of the illumination unit 68 to receive the light amount of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o the display unit 67. .
사용자는 상기 높이 조절부(69)를 이용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유닛(68)의 높이를 상기 광센서(65)에 수광되는 광량이 소정의 기준 광량 이상이 되도록 조명 유닛(6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b는 바닥면(50)에 유리판(55)이 덮여 있을 때, 상기 높이 조절부(69)를 이용하여 조명 유닛(68)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As shown in FIG. 2B, the user uses the height adjusting unit 69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68 such that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optical sensor 65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ight amount. You can adjust the height. 2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68 is adjusted by using the height adjusting unit 69 when the glass plate 55 is covered on the bottom surface 50.
상기 높이 조절부(69)는 상기 조명 유닛(6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unit 69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lighting unit 68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3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69)는 상기 조명 유닛(68)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80)과, 상기 조명 유닛(68)에 결합된 레버(8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height adjusting unit 69 may include a guide rail 80 for guiding the lighting unit 68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ever 81 coupled to the lighting unit 68. Can be.
상기 레버(81)는 마우스에 형성된 장공(85)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소정의 기준 광량 이상의 광량을 수광할 수 있는 높이로 조명 유닛(68)을 이동시킨 다음 고정부(83)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81)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The lever 81 is movable up and down through the long hole 85 formed in the mouse, and moves the illumination unit 68 to a height capable of receiving a light amoun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light amount or more, and then fixing part 83. Is used to fix the lever 81.
또는, 마우스의 상부에 나사(86)가 결합되고, 이 나사(86)에 상기 조명부(68)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나사(86)를 회전시키면서 조명 유닛(68)을 상하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 screw 86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se, and the lighting unit 68 is coupled to the screw 86.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68 may be adjusted by moving the screw 86 up and down.
다음, 높이 조절부(69)의 다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높이 조절부(69)는 상기 조절 유닛(68)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중공의 가이드부(9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90)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한 쌍의 마주보는 가이드홈(9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90)의 내부에 상기 조명 유닛(68)이 삽입된다. 상기 조명 유닛(68)의 측벽에 상기 가이드홈(91)에 삽입되는 돌기(92)가 형성되어 있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69 is shown in FIG. The height adjusting section 69 includes a hollow guide section 90 for guiding the adjusting unit 68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portion 90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posing guide grooves 91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68 is inserted into the guide unit 90. The projection 9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91 on the side wall of the lighting unit 68.
또한, 상기 가이드부(90)의 외벽을 따라 끼워지는 제1기어부(97)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기어부(97)의 외벽에는 기어홈이 형성되고, 내벽에는 캠홈(96)이 형성된다. 상기 캠홈(96)에 상기 돌기(92)가 결합된다. In addition, a first gear portion 97 fitt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guide portion 90 is provided. Gear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gear part 97, and cam grooves 96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The protrusion 92 is coupled to the cam groove 96.
상기 돌기(92)는 가이드홈(91)과 캠홈(96)에 결합되어 가이드홈(91)과 캠홈(96) 양쪽의 안내를 받는다. The protrusion 92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91 and the cam groove 96 to receive guidance from both the guide groove 91 and the cam groove 96.
상기 제1기어부(97)에 제2기어부(95)가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부(95)의 회전에 따라 제1기어부(97)가 회전된다. The second gear part 95 is coupled to the first gear part 97, and the first gear part 97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part 95.
도 4에 도시된 높이 조절부(69)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69 shown in Figure 4 as follows.
상기 제2기어부(95)는 그 일부가 마우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제2기어부(95)를 회전시키면 제1기어부(97)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제1기어부(97)가 회전됨에 따라 캠홈(96)을 따라 상기 조명 유닛(68)이 안내된다. 이때, 상기 돌기(92)가 가이드홈(91)에도 종속되어 상기 조명 유닛(68)이 움직이므로 조명 유닛(68)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A part of the second gear part 9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se, and when the second gear part 95 is rotated, the first gear part 97 is interlocked and rotated. As the first gear 97 is rotated, the illumination unit 68 is guided along the cam groove 96. At this time, since the projection 92 is also dependent on the guide groove 91 and the illumination unit 68 moves, the illumination unit 68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마우스 내의 조명 유닛 외의 다른 광학 요소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3 and 4 omit the optical elements other than the lighting unit in the mous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부(69)를 이용하여 광센서(65)에 수광되는 광에 의해 바닥면의 이미지를 적당하게 검출할 수 있을 정도의 광량을 수광할 수 있도록 조명 유닛(68)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럼으로써, 바닥면의 재질에 상관없이 최적의 상태에서 광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책상에 유리판이 덮여 있을 때에도 별도의 패드를 준비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광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tion unit 68 to receive the amount of light enough to properly detect the image of the bottom surface by th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sensor 65 us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69 as described above. Adjust the height. This allows the optical mouse to be used in an optimal state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bottom surface. For example, even when a glass plate is covered on a desk, an optical mouse can be simply used without having to prepare a separate pad.
한편, 상기 예에서는 조명 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명 유닛의 높이가 최적의 상태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above example, the case in which the user manually operates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has been described, but more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n optimal state.
도 5를 참조하면, 광원(61)에서 조사된 빔이 바닥면(50)에서 반사되어 결상렌즈(63)를 통해 광센서(65)에 수광된다. 그리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기 전에 조명 유닛(68)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스위치(100)를 켜면 상기 광센서(65)에서 수광된 빔의 광량을 광량 제어부(64)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광량이 소정의 기준 광량 이상이 될 때까지 모터(103)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68)이 상하 이동된다.Referring to FIG. 5, the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61 is reflected by the bottom surface 50 and received by the optical sensor 65 through the imaging lens 63. Then,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68 before the work using a mouse, when the switch 100 is turned on, the light amount control unit 64 measures the light amount of the beam received by the light sensor 65. Then, the motor 103 is driven until the measured light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ight amount, and the housing 68 is moved up and down.
상기 모터(103)는 앞서 설명한 높이 조절부(69)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 사용된다.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광센서(65)가 소정의 기준 광량 이상의 광량을 얻도록 조절된 후 마우스를 사용하면 광센서(65)에서 검출된 빔을 마이크로 컨트롤러(70)에서 수신하여 바닥면의 이미지 검출 및 좌표 측정을 하여 컴퓨터(75)로 전송한다. The motor 103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height adjuster 69 described above. When the optical sensor 65 is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unit so as to obtain a light amou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ight amount, when the mouse is used, the beam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65 is received by the microcontroller 70 to receive an image of the bottom surface. Detection and coordinate measurements are sent to the computer 75.
한편, 조명 유닛을 바닥면에 유리판이 있는 경우에 맞추어 광빔이 바닥면에 포커싱되도록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유리판이 없는 경우에 대비하여 유리판을 대체할 수 있는, 광빔이 투과 가능한 스페이스판을 마우스의 밑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부분의 작업대에는 유리판이 있는 것을 고려하여 조명 유닛의 광학계를 설계함으로써 편리하게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d use the light unit so that the light beam is focused on the bottom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glass plate on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a space plate through which a light beam can pass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ouse in order to replace the glass plate in case there is no glass plate.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a mouse conveniently by designing the optical system of the light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most worktables have glass plat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를 사용하는 작업면의 재질이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최상의 조건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se can be used under the best conditions without being concerned with the material or the place of the working surface using the mou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는, 작업면에 빛을 조사하여 반사된 빛을 검출하여 마우스의 움직임을 컴퓨터 화면에 나타낼 때 빛을 조사 및 검출하는 조명 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마우스가 사용되는 작업면의 재질에 관계없이 편리하고 정확하게 마우스가 조작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llumination unit for irradiating and detecting light when displaying the movement of the mouse on the computer screen by detecting the reflected light by irradiating light on the working surface. Therefore, the mouse can be operated conveniently and accurately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working surface on which the mouse is used.
특히, 책상에 유리판이 덮여 있는 경우에 높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조명 유닛의 높이를 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패드를 준비하지 않고도 마우스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glass plate is covered on the desk,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is optimally adjusted by using the height adjusting unit so that the mouse can be used freely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pad.
도 1a는 종래의 광마우스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a shows a conventional optical mouse.
도 1b는 종래의 광마우스가 유리판이 덮인 작업대에서 작동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b shows a state when a conventional optical mouse is operated on a work surface covered with a glass plate.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2a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optical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가 유리판이 덮인 작업대에서 작동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2b shows a state when the optical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glass-covered workbench.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의 높이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of the optical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의 높이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of the optical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의 조명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의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ghting unit of the optical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 of drawing>
50...바닥면, 55...유리판50 ... bottom, 55 ... glass
60...마우스, 61...광원60 mouse, 61 light source
63...결상렌즈, 64...광량 제어부63 imaging lens, 64 light control unit
65...광센서, 67...표시부65 ... light sensor, 67 ... display
68...조명 유닛, 69...높이 조절부68 ... lighting unit, 69 ... height adjustment
70...마이크로 컨트롤러, 75...컴퓨터70 ... microcontroller, 75 ... computer
80...가이드레일, 81...레버80 ... Guide rail, 81 ... Lever
83...고정부, 86...나사83 ... high, 86 ... screw
90...가이드부, 91...가이드홈90 guide part, 91 guide groove
92...돌기, 96...캠홈92.Turn, 96.Camhome
95,97...기어부 95,97 ... gea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36637A KR20050111489A (en) | 2004-05-22 | 2004-05-22 | Optical mouse being able to control height of lighting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36637A KR20050111489A (en) | 2004-05-22 | 2004-05-22 | Optical mouse being able to control height of lighting uni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111489A true KR20050111489A (en) | 2005-11-25 |
Family
ID=3728669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36637A Abandoned KR20050111489A (en) | 2004-05-22 | 2004-05-22 | Optical mouse being able to control height of lighting uni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50111489A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20952B1 (en) * | 2005-03-02 | 2006-09-13 | 주식회사 애트랩 | Mouse and its lighting device control method |
| KR101063867B1 (en) * | 2010-05-20 | 2011-09-15 | 왕종문 | Adjustable height mouse |
| KR101284493B1 (en) * | 2005-02-24 | 2013-07-16 |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제너럴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 Programmable lift response for an optical navigation device |
| DE102015101879A1 (en) * | 2014-10-15 | 2016-04-21 | Dexin Corporation | Adjustment device for a mouse |
| CN105630198A (en) * | 2014-10-27 | 2016-06-01 | 宝德科技股份有限公司 | mouse adjustment device |
-
2004
- 2004-05-22 KR KR1020040036637A patent/KR20050111489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84493B1 (en) * | 2005-02-24 | 2013-07-16 |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제너럴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 Programmable lift response for an optical navigation device |
| KR100620952B1 (en) * | 2005-03-02 | 2006-09-13 | 주식회사 애트랩 | Mouse and its lighting device control method |
| KR101063867B1 (en) * | 2010-05-20 | 2011-09-15 | 왕종문 | Adjustable height mouse |
| DE102015101879A1 (en) * | 2014-10-15 | 2016-04-21 | Dexin Corporation | Adjustment device for a mouse |
| DE102015101879B4 (en) * | 2014-10-15 | 2020-08-13 | Dexin Corp. | Adjustment device for a mouse |
| CN105630198A (en) * | 2014-10-27 | 2016-06-01 | 宝德科技股份有限公司 | mouse adjustment device |
| CN105630198B (en) * | 2014-10-27 | 2018-11-30 | 宝德科技股份有限公司 | Mouse adjus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331113B1 (en) | Tool alignment device | |
| KR100907962B1 (en) | Position detection device | |
| US7176451B2 (en) | Photoelectric switch device having a detection result indicator | |
| US7165849B2 (en) | Projector with auto focus device | |
| KR100399635B1 (en) | Optical mouse | |
| JPH07218261A (en) | Laser projector | |
| KR20130085434A (en) | Robotic surveying instrument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autocollimation of a telescope of a surveying instrument comprising an autocollimation target | |
| UA114209C2 (en) |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DEVIATION OF TWO BODIES FROM A SPECIFY POSITION | |
| JP2007514144A (en) | Proximity detector | |
| CN101730896A (en) | Vision system, method for installing a visio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ision system | |
| KR101708701B1 (en) | An Apparatus for Verifying a Surgical Site Automaticall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 Automatically Using the Same | |
| KR20020050787A (en) | Optical mouse | |
| KR20050111489A (en) | Optical mouse being able to control height of lighting unit | |
| TWI421471B (en) | Laser head with laser head | |
| JP4363733B2 (en) | Photoelectric switch | |
| WO2019168006A1 (en) | Non-contact input device | |
| JP4290520B2 (en) | Laser irradiation device | |
| JP3854300B2 (en) | Photoelectric switch | |
| JP2020197658A (en) | Eccentricity measuring device | |
| JP4379876B2 (en) | Surveyor with tilt function | |
| US11314208B2 (en) | Watch provided with a control member | |
| JPS61104240A (en) | Alignment of optical axis in light transmissivity measuring apparatus | |
| JP7225645B2 (en) | cup mounting device | |
| JP2005300271A (en) | Projection device | |
| JP2017181172A (en) | Lens unit,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9 |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