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453A - Plasma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Plasma display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61453A KR20060061453A KR1020040100198A KR20040100198A KR20060061453A KR 20060061453 A KR20060061453 A KR 20060061453A KR 1020040100198 A KR1020040100198 A KR 1020040100198A KR 20040100198 A KR20040100198 A KR 20040100198A KR 20060061453 A KR20060061453 A KR 200600614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electrode
- dielectric layer
- scan electrode
- sustain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광주(Positive Column) 영역을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 시 방전개시전압을 낮추고 방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유전체층의 구조를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개시전압을 낮추어 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panel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dielectric layer is improved to lower the discharge start voltage and improve the discharge efficiency during plasma discharge using a positive column reg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이러한 본 발명은 전면기판에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형성되고,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는 유전체층이 형성되고,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되어 배열된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된 후면기판과, 후면기판에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유전체층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소정 거리 이격된 사이부분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is formed on the front substrate, a dielectric layer is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the rear substrate and the address electrode arranged to intersect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and the discharge on the rear substrate In the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cell, the dielectric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pression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양광주(Positive Column) 영역, 방전거리, 유전체층, 함몰부Plasma display panel, positive column area, discharge distance, dielectric layer, depress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도 2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2 is a view showing that a dielectric layer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is form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3 is a view showing a dielectric layer formed in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전극 사이의 방전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region between electrodes.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양광주(Positive Column) 영역을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 시 방전개시전압을 낮추고 방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유전체층의 구조를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sma display panel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dielectric layer to lower discharge start voltage and improve discharge efficiency during plasma discharge using a positive column region.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에 형성된 격벽이 하나의 단위 셀을 이루는 것으로, 각 셀 내에는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Ne+He)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불활성 가스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격벽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얇고 가벼운 구성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In general, a plasma display panel is a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to form a unit cell, and each cell includes neon (Ne), helium (He), or a mixture of neon and helium (Ne + He) and An inert gas containing the same main discharge gas and a small amount of xenon is filled. When discharged by a high frequency voltage, the inert gas generates vacuum ultraviolet rays and emits phosphor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o realize an image. Such a plasma display panel has a spotlight as a next generation display device because of its thin and light configuration.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plasma display pane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면인 전면 글라스(101)에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이 쌍을 이뤄 형성된 복수의 유지전극쌍이 배열된 전면기판(100) 및 배면을 이루는 후면 글라스(111) 상에 전술한 복수의 유지전극쌍과 교차되도록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113)이 배열된 후면기판(110)이 일정거리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1, a plasma display panel includes a front substrate in which a plurality of sustain electrode pairs formed by pairing a
전면기판(100)은 하나의 방전셀에서 상호 방전시키고 셀의 발광을 유지하기 위한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 즉 투명한 ITO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a)과 금속재질로 제작된 버스 전극(b)으로 구비된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이 쌍을 이뤄 포함된다.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은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하나 이상의 상부 유전체층(104)에 의해 덮혀지고, 상부 유전체층(1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산화마그네슘(MgO)을 증착한 보호층(105)이 형성된다.The
후면기판(110)은 복수개의 방전 공간 즉, 방전셀을 형성시키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또는 웰 타입)의 격벽(112)이 평행을 유지하여 배열된다. 또한, 어드레 스 방전을 수행하여 진공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113)이 격벽(1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후면기판(110)의 상측면에는 어드레스 방전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R, G, B 형광체(114)가 도포된다. 어드레스 전극(113)과 형광체(114)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113)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유전체층(115)이 형성된다.The
도 2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전극(202)과 서스테인 전극(203) 상부에 유전체층(20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전체층(204a)는 그 두께가 차등적으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방전셀내의 중심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전체층의 구조를 차등유전체층이라 한다. 이러한 차등유전체층(204)은 통상 스캔 전극(202)과 서스테인 전극(203)간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스캔 전극(202)과 서스테인 전극(203)의 이격된 사이부분에서 함몰된 함몰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2 is a view showing a dielectric layer formed in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 2, a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효율화를 달성하기 위해 방전 시 양광주(Positive Column)영역을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양광주 영역을 이용하여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방전셀의 면적이 넓어야 하므로 하므로 스캔 전극(202)과 서스테인 전극(203)간의 거리(d1)가 멀어지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achieve high efficiency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 positive column area is used during discharge. Since the area of the discharge cell must be large in order to generate a discharge using the positive light column region, the distance d 1 between the
그러나 도 2의 종래 유전체층의 구조는 함몰부(220)의 폭(w1)이 약 70㎛ 정도밖에 되지 않아 양광주 영역의 방전을 일으키기가 어려워져 방전개시전압은 높아 지게 되고 방전효율은 떨어지게 된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dielectric layer of FIG. 2, since the width w 1 of th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등유전체층의 구조를 개선하여 양광주 영역을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 시 보다 효율적인 양광주 방전이 발생되도록 하여 방전개시전압을 낮추고 방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differential dielectric layer so that a more efficient photovoltaic discharge is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using the photovoltaic region, thereby lowering the discharge start voltage and improving the discharge efficiency. It aims to provid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기판에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형성되고,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는 유전체층이 형성되고,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되어 배열된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된 후면기판과, 후면기판에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유전체층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소정 거리 이격된 사이부분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lasm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are formed on a front substrate, a dielectric layer is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and the address is arranged to cross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back substrate having electrodes formed thereon and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discharge cells on the back substrate,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includes a depression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It features.
또한, 스캔 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간의 이격된 거리는 150㎛ 이상 4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s 150 μm or more and 400 μm or less.
또한, 유전체층의 함몰부내의 폭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소정 거리 이격된 사이부분에서 50% 이상 90%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width in the depression of the dielectric layer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at 50% or more and 90% or less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 동일하게 전면 기판(300)에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이 형성되고,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 상부에 유전체층(304a)이 형성된다. 또한, 이것과 교차되어 배열된 어드레스 전극(313)이 후면 기판(310)에 형성되고, 방전셀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312)이 형성되며 어드레스 전극(313) 상부에도 유전체층(30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방전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R, G, B 형광체층(314)은 유전체층(304b) 상부에 형성된다.3 is a view showing a dielectric layer formed in the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전술한 유전체층(304a)은 그 두께가 차등적으로 이루어지는 차등유전체로, 이러한 유전체층(304a)은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이 소정 거리(d2) 이격된 사이부분에서 소정의 깊이(w2)로 함몰된 함몰부(320)를 포함한다.The
다만, 본 발명은 종래 패널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되나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영역을 양광주 영역을 이용하여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의 방전거리(d2)가 가변함에 따라 유전체층(304)의 함몰부(320)의 폭(w2)도 가변되게 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아 방전개시전압을 낮춰 방전효율을 좋게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양광주 영역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 도 4와 같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panel, but the discharge region causing the discharge between the
도 4는 전극 사이의 방전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Cathode)과 양극(Anode)에 각각 전압을 인가하면, 이온들의 음극 충돌 에 의해서 생성되어 방출된 2차 전자들이 전계에 의해 가속을 받아서 중성입자와의 충돌로 새로운 전자를 생성시키게 된다. 2차 전자는 전압의 변화가 크면 클수록 전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부글로우(Negative Glow)영역에서 더욱 강하게 가속된다. 충돌로서 생성된 전자는 이온화가 진행되는 상태로 에너지를 계속 얻어 양광주(Positive Column)영역에 도달하는데, 양광주영역에서는 더 이상 에너지를 얻지 못하고 충돌을 통해 중성입자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여기된 입자들이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가시광선과 진공자외선을 발생한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charge region between electrodes. As shown in FIG. 4, when voltages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cathode and the anode, secondary electrons generated and emitted by the cathode collision of the ions are accelerated by the electric field and thus collide with the neutral particles. Will generate new electrons. Secondary electrons are accelerated more strongly in the negative glow region where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field is larger as the voltage changes. The electrons generated as a collision continue to obtain energy in the state of ionization, and reach the positive column region. In the positive region, energy is no longer obtained, and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neutral particles through the collision. In this process, the excited particles fall to the ground and generate visible and vacuum ultraviolet rays.
이러한 방전영역 중 양광주영역에서는 전계에 의한 에너지가 아니라 전체에서 에너지가 높은 전자들만 기체를 여기시킴으로써 발광을 한다. 또한, 양광주영역에서는 이온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고 여기에 의한 발광이 많이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에너지가 빛으로 변환되는 효율은 높아진다.Of these discharge regions, the positive light main region emits light by exciting gas only with electrons having high energy in the whole, not energy due to an electric field. In addition, in the positive light main region, ionization hardly occurs and a lot of light emission due to excitation is generated, and the efficiency of converting energy into light as a whole increases.
이와같이 전술한 양광주 영역을 이용하여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소정 거리(d2)에 따라 유전체층(304a)의 함몰부(320)의 폭(w2)도 가변시켜 적절한 조건으로 최적의 방전조건을 이루기 위해서는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이격된 거리(d2)는 150㎛ 이상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width w 2 of the
또한, 유전체층(304a)의 함몰부(320)내의 폭(w2)은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이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사이부분에서 가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전체층의 함몰부내의 폭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소정 거리 이격된 사이부분에서 50% 이상 9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idth w 2 in the
그 일예로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이격된 거리(d2)가 150㎛ 이상 160㎛ 이하인 경우 함몰부(320)의 스캔 전극(302) 또는 서스테인 전극(303)의 수평방향으로의 폭(w2)은 9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간(303)의 이격된 거리(d2)가 390㎛ 이상 400㎛ 이하인 경우 함몰부(320)의 스캔 전극(302) 또는 서스테인 전극(303)의 수평방향으로의 폭(w2)은 330㎛ 이상 3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이격된 거리(d2)에 따라 전술한 차등유전체층(304a)의 함몰부(320)의 폭(w2)을 조절하는 이유는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거리에 따라 방전전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이격된 거리(d2)가 150㎛ 이상 160㎛ 이하인 경우에 함몰부(320)의 폭(w2)이 상대적으로 넓으면 양광주 영역을 이용한 방전은 용이하게 발생하지만 방전전압이 상대적으로 과다하게 상승하여 방전효율이 감소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술한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이격된 거리(d2)가 150㎛ 이상 160㎛ 이하인 경우에 방전전압과 양광주 영역을 이용한 방전 두가지를 모두 고려할 때 함몰부(320)의 폭(w2)이 9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d 2 between the
또한, 예를 들면 전술한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이격된 거리(d2)가 330㎛ 이상 340㎛ 이하인 경우에 함몰부(320)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으면 방전전압은 낮출 수 있지만, 효율적인 양광주 영역을 이용한 방전이 어려워 휘도가 감소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술한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이격된 거리(d2)가 390㎛ 이상 400㎛ 이하인 경우에 방전전압과 양광주 영역을 이용한 방전 두가지를 모두 고려할 때 함몰부(320)의 폭(w2)이 330㎛ 이상 3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d 2 between the
이와같이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간의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영역을 양광주 영역을 이용하여 스캔 전극(302)과 서스테인 전극(303)의 방전거리(d2)가 가변함에 따라 유전체층(304)의 함몰부(320)의 폭(w2)도 가변되게 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아 방전개시전압을 낮추고 방전효율을 상승시켜 패널의 전반적인 구동특성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layer 304 is formed by varying the discharge distance d 2 betwee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개시전압을 낮추어 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scharge efficiency by lowering the discharge start voltag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100198A KR20060061453A (en) | 2004-12-02 | 2004-12-02 | Plasma display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100198A KR20060061453A (en) | 2004-12-02 | 2004-12-02 | Plasma display pane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61453A true KR20060061453A (en) | 2006-06-08 |
Family
ID=371578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100198A Withdrawn KR20060061453A (en) | 2004-12-02 | 2004-12-02 | Plasma display pane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60061453A (en) |
-
2004
- 2004-12-02 KR KR1020040100198A patent/KR20060061453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646315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US7999474B2 (en) | Flat lamp using plasma discharge | |
| KR20060069786A (en) | Display device | |
| KR100719574B1 (en) | Flat Panel Display and Electron Emission Devices | |
| KR100730182B1 (en) | Display device | |
| JP2005197232A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736585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696506B1 (en) | Flat panel display device | |
| KR20060061453A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625572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20010075758A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00667B1 (en) | A display apparatus using gas discharge | |
| KR100603325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278784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20050114068A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667130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741083B1 (en) | Display device | |
| US20070152580A1 (en) | Plasma display panel (PDP) | |
| KR100741095B1 (en) | Display device | |
| KR100730202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692058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20060113141A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768045B1 (en) | Plasma Display Panel Using High Frequency | |
| KR100669431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705803B1 (en) | Plasma display pane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