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545A -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 Google Patents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69545A KR20060069545A KR1020040107744A KR20040107744A KR20060069545A KR 20060069545 A KR20060069545 A KR 20060069545A KR 1020040107744 A KR1020040107744 A KR 1020040107744A KR 20040107744 A KR20040107744 A KR 20040107744A KR 20060069545 A KR20060069545 A KR 200600695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drum
- buoyancy
- floating
- floating dr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03B17/04—Alleged perpetua mobili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3—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gea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플로팅 드럼이 발휘하는 부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using buoyancy exerted by a plurality of floating drums.
본 발명은 일정한 양의 물이 채워져 있는 수조 내에 회전형 구조로 배치되는 다수의 플로팅 드럼을 설치하고, 상기 플로팅 드럼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발생시키는 힘을 이용하여 외부의 각종 장비나 설비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력의 효율적인 활용에 의해 환경 친화적인 동력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한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lurality of floating drums arranged in a rotary structure in a tank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uses the force generated while the floating drum is raised by buoyancy to be a power source for various external equipment or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buoyancy to obtain environmentally friendly power by effectively utilizing buoyancy.
부력, 플로팅 드럼,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Buoyancy, floating drum,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or us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요부도3 and 4 is a front main part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도 5의 측면구성도6 is a side view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수조 11 : 입력축10: tank 11: input shaft
12 : 출력축 13 : 드럼 수용홈12: output shaft 13: drum receiving groove
14 : 본체 15 : 포스트14: body 15: post
16 : 플로팅 드럼 17 : 구동장치16: floating drum 17: drive device
18 : 가이드장치 19 : 가이드기어 18: guide device 19: guide gear
20 : 드럼안착부 21 : 자석
20: drum mounting portion 21: magnet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져 있는 수조 내에 플로팅 드럼을 이용한 물레방아 형태의 회전형 동력발생수단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의 배출이 전혀 없는 환경 친화적인 부력에너지로부터 각종 장비나 설비에 사용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얻어낼 수 있도록 한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buoyancy,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rotary mill generating means of a watermill using a floating drum in a tank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there is no environmentally friendly discharge of polluta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to efficiently obtain power used for various equipment and equipment from phosphorus buoyancy energy.
일반적으로 부력은 비중이 낮은 물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수위감지용 센서의 플로트나 선박용 플로트 챔버 등 산업상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In general, buoyancy is a principle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is pushed up by a relatively high material, and is widely used in industries such as a float of a water level sensor or a float chamber of a ship.
한편, 환경 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대체 에너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 따라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태양열이나 풍력, 조력 등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어내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발명은 부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동력을 얻어내는 장치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that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that does not affec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urgently required, researches to obtain power by using solar heat, wind power, tidal power, etc. from natur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is invention makes the object of the designation the apparatus which utilizes buoyancy efficiently and acquires power.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한 양의 물이 채워져 있는 수조 내에 동심원상의 회전형 구조로 배치되는 다수의 플로팅 드럼을 설치하고, 상기 플로팅 드럼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발생시키는 일방향 회전력을 이용하여 외부의 각종 장비나 설비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력의 효율적인 활용에 의해 환경 친화적인 동력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한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 plurality of floating drums are arranged in a concentric rotating structure in a tank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the floating drum is generated while being lifted by buoyanc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buoyancy to obtain environmentally friendly power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buoyancy by using the one-way rotation force to be used as a power source of various external equipment or faciliti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량의 물을 채울 수 있는 수조와, 중심의 전후측에 각각 입력축과 출력축을 갖고 있는 동시에 외주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면서 그 바닥에 드럼 안착을 위한 자석이 있는 다수의 드럼 수용홈을 갖고 있으며 수조 내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본체 및 이것을 지지하는 포스트와, 상기 본체의 각 드럼 수용홈측에 하나씩 배속되면서 힌지구조로 지지되어 드럼 수용홈 내에 수납되거나 부력에 의해 드럼 수용홈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본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플로팅 드럼과, 상기 플로팅 드럼의 수납 인출을 유도하는 가이드장치와, 상기 본체의 초기 구동을 위한 외부의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water tank capable of fill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each having an input shaft and an output shaft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magnets for mounting the drum at the bottom A cylindrical body having a drum accommodating groove and rotatably installed about an axis in a water tank, and a post supporting the same, and being supported by a hinge structure while being assigned to each drum accommodating groove side of the main body one by one to be stored in the drum accommodating groove or A plurality of floating drums which draw out from the drum receiving groove by buoyancy and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main body, a guide device for inducing the drawing out of the floating drum, and an external driving device for initial driving of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일정량의 물을 채울 수 있는 수조와, 중심축의 전후측에 각각 입력축과 출력축을 갖고 있는 동시에 중심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의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면서 각 끝단쪽으로 드럼 부착을 위한 자석이 결합되며 수조 내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사형 폴대로 이루어진 본체 및 이것을 지지하는 포스트와, 상기 본체의 각 방사형 폴대의 끝단에 하나씩 배속되면서 힌지구조로 지지되어 일측으로 접혀지거나 부력에 의해 폴대와 일직선으로 펴지면서 본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플로팅 드럼과, 상기 플로팅 드럼의 접고 펴짐을 유도하는 가이드장치와, 상기 본체의 초기 구동을 위한 외부의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ank can fill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each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entral axis, and a plurality of radially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ral axis is coupled to the magnets for drum attachment to each end, The main body consisting of a radial pole is installed rotatably around the central axis and the post for supporting it, and is supported by a hinge structure while being assigned to the end of each radial pole of the main body one by one, folded in one side or in line with the pole by buoyancy And a plurality of floating drums that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main body while being unfolded, a guide device for inducing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floating drum, and an external driving device for initial driving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가이드장치는 본체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인접 배치되어 플로팅 드럼측과 기어물림방식으로 접하면서 플로팅 드럼의 수납 및 인출 또는 접고 펴짐을 유도하는 일부 곡선형의 랙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uide devic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floating drum side in a gear biting man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ome of the curved rack gear to induce the receiving and withdrawal or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floating drum. do.
또한, 상기 플로팅 드럼의 한쪽 또는 양쪽 끝에는 가이드장치측과 맞물려 회전가능한 가이드기어가 아이들구조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one or both ends of the floating dru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ear rotatable in engagement with the guide device side is mounted in an idle structure.
또한, 상기 본체의 드럼 수용홈은 마지막 구간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구간 꺽인 형태의 드럼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rum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st section includes a drum seating portion of the form ben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or us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양의 물을 채울 수 있는 수조(10)의 내부 전후측에는 서로 나란한 2개의 포스트(15)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그 사이에는 직경에 비해 폭이 좁은 형태이면서 바람직하게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 본체 (14)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때의 본체(14)의 중심축(14a)에는 전후측으로 각각 입력축(11)과 출력축(12)이 형성되어 본체(14)는 전후측의 축을 이용하여 각 포스트(15)에 베어링 등과 함께 관통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wo
상기 입력축(11)은 본체(14)의 초기 구동을 위해 동력을 입력받는 부분이며, 상기 출력축(12)은 본체(14)의 회전으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을 외부에 제공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동력전달을 위하여 수조(10) 밖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The
예를 들면, 상기 입력축(11)에는 모터 등과 같은 외부의 구동장치(17)가 연결되어 본체(14)의 초기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출력축(12)에는 각종 장비나 설비측과 연결되어 본체(14)의 회전으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n
여기서, 각 축의 연결부위에는 통상의 클러치수단(미도시)을 개재하여 필요시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intermittent the power when necessary via the normal clutch means (not shown)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each shaft.
상기 본체(12)의 외주부에는 외주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드럼 수용홈(13)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곳에 플로팅 드럼(16)이 수납되거나 이곳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The outer periphery of the
특히, 상기 드럼 수용홈(13)의 경우 본체(12)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진행되다가 마지막 구간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구간 꺽인 형태로 이루어진 드럼 안착부(20)를 갖추고 있어서 플로팅 드럼(16)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홈 내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또한, 드럼 수용홈(13)의 바닥부에는 자석(21)이 부착되어 있어서 플로팅 드 럼(16)을 홈 내에 구속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이러한 구속작용은 수조(10) 내의 하강구간에서 플로팅 드럼(16)이 부력에 의해 홈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게 되므로 본체(14)는 반대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is restraining action prevents the
보통 자석과의 부착을 위해 플로팅 드럼(16)은 금속 재질의 통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합성수지 재질의 통인 경우에는 별도의 금속판(21a)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21)과 금속판(21a)은 상호 위치를 바꾸어 설치할 수도 있다.Usually, the
본체(14)에 실질적인 회전력을 부여하는 플로팅 드럼(16)은 본체(14)가 갖고 있는 각각의 드럼 수용홈(13)에 하나씩 배속되고, 그 일측에서 연장되는 로드를 이용하여, 드럼 수용홈(13)의 출입구측에 힌지구조(통상의 힌지핀 등을 이용한)로 지지되면서 홈 내외측을 드나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floating
특히, 상기 플로팅 드럼(16)의 한쪽 끝에는 가이드장치(18)측과 맞물려 회전가능한 가이드기어(19)가 동심원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가이드기어(19)는 드럼 몸체로부터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아이들구조로 장착되어 있어서 이것이 가이드장치(18)측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진행되면 플로팅 드럼(16)도 함께 밀려지면서 드럼 수용홈(13) 속으로 들어갈 수 있고 반대로 밖으로 나올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로팅 드럼(16)의 다른쪽 끝에도 상기 가이드장치(18) 및 가이드기어(19)를 형성하여 주게 되면 일방향 치우침이 없이 더욱 안정된 작동을 할 수 있게 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한쪽에는 기어를 형성하지 않고 롤러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마찰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Particularly, at one end of the
플로팅 드럼(16)의 용이한 수납 및 인출을 위한 수단으로 가이드장치(18)가 제공된다. The
상기 가이드장치(18)는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휘어진 곡선형의 랙기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4)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면서 포스트(15)를 이용하여 그 안쪽면에 고정 설치된다.The
이러한 랙기어는 플로팅 드럼(16)이 갖는 가이드기어(19)의 물림 및 회전을 안내하면서 플로팅 드럼(16)의 수납 및 인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ack gear guides the bite and rotation of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요부도이다. 3 and 4 is a front mai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generator us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10)의 내부에는 본체(14)가 완전히 잠김 정도로 물이 채워진다. As shown, water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이렇게 물이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 본체(14)측에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플로팅 드럼(16)들은 드럼 수용홈(13) 내에 수납되어 있게 된다. The floating
간혹, 몇개 정도는 드럼 수용홈(13) 밖으로 인출될 수도 있다. Sometimes, some may be drawn out of the
초기에는 포스트(15)를 기준으로 좌,우측 부력이 많은 차이가 없고 또 물의 저항 등을 고려하여 외부의 구동장치(17)를 가동하여 본체(14)를 소정구간 강제로 회전시켜줌으로써 본체(14)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Initially, the
즉, 구동장치(17)의 가동으로 본체(14)는 일정시간, 예를 들면 1/2 정도 회전되는 시점까지 강제로 구동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본체(14)가 회전되면 본체(14)의 하단측에 있는 가이드장치(18)를 통해 플로팅 드럼(16)들은 하나씩 드럼 수용홈(13)을 빠져나오면서 도 4와 같이 바깥쪽으로 넓게 펴지게 되고, 이렇게 넓게 펴진 상태로 배치되는 플로팅 드럼(16)들이 발휘하는 부력에 의해 포스트(15)의 좌,우측 부력은 점차 차이가 생기게 되며 플로팅 드럼(16)이 드럼 수용홈(13)으로 부터 이탈되어 있는 방향측(도면상 우측)으로 본체(14)의 회전은 탄력을 받게 되고, 따라서 본체(14)는 각각의 플로팅 드럼(16)들이 발휘하는 부력에 의한 상승력을 받아 자체적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When the
이렇게 본체(14)가 자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면 통상의 클러치 조작을 통해 구동장치(17)측의 동력은 차단한다. When the
상승되는 구간에서 부력을 발휘하여 본체(14)를 회전시키는 일을 마친 플로팅 드럼(16)들은 본체(14)의 상단측에 있는 가이드장치(18)를 통해 다시 본체(14)의 드럼 수용홈(13) 내에 수납된 상태로 하강되는 구간을 거치게 되고, 본체(14)의 하단쪽에서 재차 인출 및 펼쳐지면서 부력을 발휘하여 본체(14)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loating
즉, 본체는 도면 좌측의 하강구간 쪽에 비해 도면 우측의 상승구간 쪽이 넓게 펴지는 플로팅 드럼에 의해 큰 반경으로 조성되고 이렇게 큰 반경쪽에서 발휘되는 부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하강구간측에 작용하는 물의 저항 등을 이기면서 자체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That is,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large radius by the floating drum which is wider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than the falling section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is provided with buoyant force exerted on the large radius side, so that the resistance of water acting on the falling section side Self-rotation is possible while winning.
이러한 플로팅 드럼(16)들의 반복적인 수납 및 인출 동작에 의해 본체(14)는 연속적인 회전력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이때의 얻어지는 동력은 출력축(12)을 통해 외부의 장비나 설비측의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repeatedly storing and drawing out the float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는 도 5의 측면구성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본체(14)가 원통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부피 및 자중이 커짐에 따라 회전력이 감소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본체의 부피 및 자중을 줄여 물과의 마찰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tational force may be reduced as the
이를 위해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예의 구성을 일부 동일하게 구성하되 본체의 구성을 달리하면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but the rotational force may be improved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즉 구성은, 일정량의 물을 채울 수 있는 수조(10)와, 중심축(14a)의 전후측에 각각 입력축(11)과 출력축(12)을 갖고 있는 동시에 중심축(14a)의 외주면에 방사상의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면서 각 끝단쪽으로 드럼 부착을 위한 자석(21)이 결합되며 수조(10) 내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사형 폴대로 이루어진 본체(140) 및 이것을 지지하는 포스트(15)와, 상기 본체(14)의 각 방사형 폴대(141)의 끝단에 하나씩 배속되면서 힌지구조로 지지되어 일측으로 접혀지거나 부력에 의해 펴지면서 본체(1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플로팅 드럼(16)과, 상기 플로팅 드럼(16)의 접고 펴짐을 유도하는 가이드장치(18)와, 상기 본체(14)의 초기 구동을 위한 외부의 구동장치(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structure has the
이때, 상기 가이드장치(18)는 본체(14)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면서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한 가이드기어(19)가 아이들구조로 장착된 플로팅 드럼(16)측과 기어물림방식으로 접하면서 플로팅 드럼(16)의 안내를 유도하는 곡선형의 랙기어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방사형 폴대로 되어 (141)원통형의 본체보다 부피 및 무게가 적어 물과의 저항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a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기어는 치형이 없이 롤러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Would be possibl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ear may be configured as a roller without teeth.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플로팅 드럼이 발휘하는 부력으로부터 얻어지는 힘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초기의 일부 동력만으로 부력의 효과적인 활용에 의해 각종 장비나 설비에 사용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공해가 전혀 없는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환경보전에 일조할 수 있고 고유가시대에 적극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a force obtained from buoyancy exerted by a plurality of floating drums, thereby effectively controlling the power used in various equipment or equipment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buoyancy with only a few initial pow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obtained efficiently, in particular by provi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source with no pollution, it can contribute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can actively cope with high oil price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107744A KR20060069545A (en) | 2004-12-17 | 2004-12-17 |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107744A KR20060069545A (en) | 2004-12-17 | 2004-12-17 |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69545A true KR20060069545A (en) | 2006-06-21 |
Family
ID=371634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107744A Ceased KR20060069545A (en) | 2004-12-17 | 2004-12-17 |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60069545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43174B1 (en) * | 2009-02-16 | 2011-06-20 | 최찬목 | Small hydro power generator |
| CN113153618A (en) * | 2020-12-25 | 2021-07-23 | 李登谷 | Conversion device for applying work by gravity and buoyancy together |
| CN114455015A (en) * | 2022-02-22 | 2022-05-10 | 江苏科技大学 | Floating type fan platform adopting electromagnetic damping and damping structure |
-
2004
- 2004-12-17 KR KR1020040107744A patent/KR2006006954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43174B1 (en) * | 2009-02-16 | 2011-06-20 | 최찬목 | Small hydro power generator |
| CN113153618A (en) * | 2020-12-25 | 2021-07-23 | 李登谷 | Conversion device for applying work by gravity and buoyancy together |
| CN114455015A (en) * | 2022-02-22 | 2022-05-10 | 江苏科技大学 | Floating type fan platform adopting electromagnetic damping and damping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64078B1 (en) | Small hydro power plant | |
| KR101683043B1 (en) |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a Weight Body | |
| JP2009114936A (en) | Tidal current power generation device | |
| US20200248677A1 (en) | Rotary power storage & reinforcement system | |
| KR20060069545A (en) |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 |
| KR101569916B1 (en) | Device for circulating Water using a wind power energy | |
| MX2013006447A (en) | Wind power generator for an urban area. | |
| KR101453730B1 (en) | Water circulation apparatus for circulating lower water and upper water | |
| JP3143189U (en) | Small hydroelectric generator | |
| KR20100006297A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a power using wind and water power | |
| WO2011138480A1 (en) | Kinetic energy electrical generator | |
| EP3303826B1 (en) | Power generator assembly | |
| KR20000018280A (en) | Generating system by mainspring storing device of wind force energy | |
| KR101060350B1 (en) | Hydro power plant | |
| CN211627536U (en) | Environmental pollution administers and uses check out test set | |
| KR20120114702A (en) | Wind power turbine, and vertical wind generator thereof | |
| JPH10184526A (en) | Wave machine utilizing vertical motion of float | |
| JP2000230474A (en) | Iron powered electric power generator | |
| KR101221453B1 (en) | Floating type wave power drive apparatus | |
| GB2294093A (en) | A water driven power system | |
| JP2007071194A (en) | Power generating device utilizing water wheel-leverage | |
| KR200487441Y1 (en) | Generating Apparatus Using Domestic Animal Power | |
| JP2021092176A (en) | Turbine and power generation device | |
| KR102111680B1 (en) | Micro hydro power generator with internal screwed tube type | |
| CN205442811U (en) | Water foaming oxygenation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7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