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060A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its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0060A KR20060080060A KR1020050000602A KR20050000602A KR20060080060A KR 20060080060 A KR20060080060 A KR 20060080060A KR 1020050000602 A KR1020050000602 A KR 1020050000602A KR 20050000602 A KR20050000602 A KR 20050000602A KR 20060080060 A KR20060080060 A KR 20060080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key button
- mode
- 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터치 감지부(예 :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인체 접촉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키버튼을 잠금 모드 또는 잠금해제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는 키버튼 눌림 동작으로 인한 오동작 및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nsing unit (eg, a capacitive touch sensor) is provi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 key button of the terminal in a lock mode or an unlock mode according to whether a human body is touched, thereby irrelevant to a user's intention.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which can prevent malfunction and power consumption due to a button press operation.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인체가 접촉됨에 따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감지수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및 상기 터치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 전달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을 잠금 모드 또는 잠금해제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연산/제어수단을 포함함.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ouch sensing means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s a human body contacts;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requir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rithmetic /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input means in a locked mode or an unlocked mode, depending on whether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ing means.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잠금 모드, 잠금해제 모드, 터치 감지부,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 무선통신 단말기Lock mode, unlock mode, touch sensor, capacitive type, touch sens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사이드 버튼 및 키버튼을 포함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side buttons and key buttons;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키버튼 잠금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A and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key button unlocking method in a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터치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 도면,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un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터치 감지부를 이용한 키버튼 잠금/해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locking / releasing a key button using a touch sens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 : 무선송수신부 32 : 코덱31: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32: codec
33 : 음성입력부(마이크) 34 : 음성출력부(스피커)33: voice input unit (microphone) 34: voice output unit (speaker)
35 : 연산/제어부 36 : 저장부35: operation / control unit 36: storage unit
37 : 터치 감지부 38 : 입력부(키 패드)37: touch detection unit 38: input unit (key pad)
39 : 표시부(LCD)39: display unit (LCD)
본 발명은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터치 감지부(예 :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인체 접촉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키버튼을 잠금 모드 또는 잠금해제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는 키버튼 눌림 동작으로 인한 오동작 및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a capacitive touch sensor) provi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By operating the key button of the terminal in the lock mode or the unlock mo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which can prevent malfunction and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key button press operation irrespective of the user's intention, and its It is about a method.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용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 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wireless terminal while carrying the individual Say possible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에서 터치 감지부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적소에 구비되어 단말기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되는 경우에 인체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unit refers to a sensor that is provided in pla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cts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when the human body of the terminal user contacts,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그리고, 본 발명에서 키버튼이란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는 모든 버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키 패드 상의 숫자키 버튼과 단말기 측면에 위치하는 사이드 버튼을 모두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button means all buttons provi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include both the numeric key buttons on the keypad and the side button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폴더 타입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를 닫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여러가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측면에 사이드 버튼이 구비된다.(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도 동일함.) 이러한 사이드 버튼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잘못 눌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자신의 주머니 속에 보관하는 경우에 다른 물건이나 외부의 압력(눌림)에 의해 사용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사이드 버튼이 눌려 불필요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A, a folder-typ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side buttons on the side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various functions even when the folder is closed. Even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terminal, the side button is likely to be wrongly pressed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keep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his or her pocket, side buttons are pressed by other objects or external pressure (pressing) without the user's knowledge, and unnecessary operations are performed.
최근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싱글 바 타입(Single bar type)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특히 이런 싱글 바 타입의 단말기의 경우에는 모든 키버튼이 단말기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키버튼이 눌려 단말기가 오동작을 할 가능성이 폴더 타입이나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에 비해 훨씬 많다.Recently, a single bar type terminal as shown in FIG. 1B has been relea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ch a single bar type terminal, all key buttons are provided outside the terminal.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folder type or a slide type terminal, the terminal may be malfunctioned by pressing a key button.
종래에는 이러한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는 키버튼 눌림에 따른 오작동이나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or power consumption caused by pressing a key button irrespective of the user's will, a method as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is used.
먼저, 도 2a는 별도의 잠금 버튼(lock button)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이상 잠 금버튼을 누름으로써 키버튼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First, FIG. 2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leasing a locked state of a key button by pressing a lock button for a predetermined time using a separate lock button.
그리고, 도 2b는 일정순서의 키버튼이 입력(예를 들면, 1->2->3 버튼이 순서대로 입력)되면 입력된 키버튼이 설정치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2B, when a predetermined sequence of key buttons is input (for example, 1-> 2-> 3 buttons are input in ord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key buttons correspond to the set values, and the lock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A flow chart of how to maintain or release.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버튼을 입력하기 위하여 일정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누르지 않더라도 일정시간이상 버튼이 눌릴시 잠금해제 상태가 되어 단말기가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methods have a problem that it takes a certain time to enter the button,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directly by hand, the terminal is in a unlocked state when the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causing the terminal to malfunction.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341385호의 '인체의 열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잠금 및 잠금해제장치와 그를 이용한 키 잠금 및 잠금해제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 methods, a key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and a key locking and unlocking method using the sa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heat of a human body may be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41385. It was.
이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열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열 감지수단에서 인체의 열이 감지되면 그 열과 미리 설정된 열량을 비교하여 그 값에 따라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특허이다.This is a patent for a device and a method including a heat sensing mea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a heat of a human body is detected by the heat sensing means, comparing the heat with a preset heat quantity and performing a key button un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value. .
그러나, 상기 특허 역시 설정된 열량에 이르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 수행시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고, 외부조건에 따른 오작동(계절(여름/겨울) 및 장소(용광로/사우나/냉장고)에 따라 인체접촉과 무관하게 열을 받거나, 필요한 만큼 열을 받기 어려울 수 있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인체가 아닌 다른 열원에 의해 열 감지부가 동작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atent also requires a time to reach the set calories, it takes a certain time until the key button unlocking function is performed, the malfunction (seasonal (summer / winter) and place (furnace / sauna /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xternal conditions) Accordingly, heat may be generated irrespective of human contact, or may be difficult to receive heat as necessary), and a heat sensing unit may operate by a heat source other than the human bod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에 터치 감지부(예 :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인체 접촉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키버튼을 잠금 모드 또는 잠금해제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는 키버튼 눌림 동작으로 인한 오동작 및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cludes a touch sensing unit (for example, a capacitive touch sens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lock or unlock a key button of the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body is touch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which can prevent malfunction and power consumption due to a key button pressing operation irrespective of a user's int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인체가 접촉됨에 따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감지수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및 상기 터치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 전달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을 잠금 모드 또는 잠금해제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연산/제어수단을 포함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touch sensing means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s the human body contacts;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requir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rithmetic /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input means in a locked mode or an unlocked mode, depending on whether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ing means.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연산/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잠금 모드 또는 잠금해제 모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state (locked mode or unlocked mod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ing / control means.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키버튼의 잠금/해제 방법에 있어서, 터치 감지수단으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키버튼에 대해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인체 감지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키버튼에 대해 잠금 모드를 유지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locking / unlocking a key butt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ecking whether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ing means; And a mode setting step of releasing the lock mode with respect to the key button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nd maintaining the lock mode with respect to the key button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이어잭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어잭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키버튼에 대해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ear jack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leasing the lock mode with respect to the key button as the ear jack is conn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무선송수신부(31), 코덱(32), 음성입력부(33), 음성출력부(34), 연산/제어부(35), 저장부(36), 터치 감지부(37), 입력부(38), 및 표시부(39)를 포 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
상기 무선송수신부(31)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외부기기와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그리고, 상기 코덱(32)은 연산/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부(3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부(34)로 출력하고, 음성입력부(33)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제어부(35)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송수신부(3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34)는 상기 코덱(32)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음성입력부(33)는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코덱(32)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연산/제어부(35)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터치 감지부(37)로부터의 감지 신호 전달 여부에 따라, 입력부(38)를 잠금 모드 또는 잠금해제 모드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
이 때, 상기 연산/제어부(35)는 터치 감지부(37)로부터 인체와 접촉되었다는 감지 신호를 전달받기 전까지는 어떠한 입력 신호가 들어와도 입력부(38)를 잠금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주머니 속에서 단말기 입력부(38)의 키버튼이 눌린다거나, 책상 위에 있던 단말기가 책이나 기타 다른 물건에 의해 버튼이 눌리는 경우에는 인체의 접촉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동작으로 판단하여 입력부(38)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킨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
즉, 상기 연산/제어부(35)는 터치 감지부(37)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접촉을 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입력부(38)를 잠금 모드로 동작시키고, 만약 상기 터치 감지부(37)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접촉을 한 경우라고 판단하여 입력부(38)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detect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the
그리고, 상기 연산/제어부(35)는 터치 감지부(37)에서 인체 접촉을 감지하든지 못하든지 그와 상관없이 무선통신 단말기에 이어잭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항상 입력부(38)를 잠금해제 모드로 동작시킨다.The operation /
한편, 상기 저장부(36)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부(37)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인체가 접촉됨에 따라 감지 신호를 연산/제어부(3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이 때, 상기 터치 감지부(37)는 그 대표적인 예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를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가 접촉되었을 때 그것을 감지하여 감지 여부에 따라 감지 신호를 연산/제어부(35)로 전달할 수 있는 부품이나 소자라면 무엇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터치 감지부(37)에 포함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한 개 또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또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의 구조나 설계시의 사양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부(37)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시 자연스럽게 인체와 접촉되는 단말기 측면(도 4a)이 나, 단말기 후면(도 4b)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또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의 구조나 모양에 따라 다른 위치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한편, 상기 입력부(38)는 각종 기능키와 숫자키들을 구비하고 있어 무선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표시부(39)는 상기 연산/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잠금 모드인지 잠금해제 모드인지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터치 감지부를 이용한 키버튼 잠금/해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되지 않아 무선통신 단말기가 잠금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그 과정이 시작된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locking / releasing a key button using a touch sensing un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begins with the assumption.
먼저, 무선통신 단말기에 이어잭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510).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ar jack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10).
상기 판단 결과(510), 이어잭이 연결되어 있으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530).As a result of the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이어잭이 연결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인체가 단말기에 접촉되든 접촉되지 않든 단말기의 입력부(38)는 잠금해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ar jack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510), 이어잭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인체가 접촉되는지를 확인한다(520).However, the
이 때, 인체가 접촉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터치 감지부(37)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터치 감지부(37)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인체가 접촉된 것이고, 감지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인체가 접촉되지 않은 것이다.In this case, the method of checking whether the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user is to check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상기 확인 결과(520), 무선통신 단말기에 인체가 접촉되지 않으면(감지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잠금 모드를 그대로 유지시키고(540), 인체가 접촉되면(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530).As a result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터치 감지부(예 :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인체 접촉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키버튼을 잠금 모드 또는 잠금해제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는 키버튼 눌림 동작으로 인한 오동작 및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ing unit (for example, a capacitive touch sensor)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es a key button of the terminal in a lock mode or a unlock mode according to whether a human body is touch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malfunction and power consumption due to key button press operation irrelevant to th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00602A KR20060080060A (en) | 2005-01-04 | 2005-01-04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its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00602A KR20060080060A (en) | 2005-01-04 | 2005-01-04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its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80060A true KR20060080060A (en) | 2006-07-07 |
Family
ID=3717155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00602A Ceased KR20060080060A (en) | 2005-01-04 | 2005-01-04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its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60080060A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12209B1 (en) * | 2005-12-13 | 2007-04-30 | 에이디반도체(주) | Cell phone keypad |
| KR100715813B1 (en) * | 2005-11-25 | 2007-05-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prevent incorrect input by mobile terminal and key press |
| KR100797162B1 (en) | 2006-10-25 | 2008-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
| WO2008147674A1 (en) * | 2007-05-25 | 2008-12-04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the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devices |
| KR101132319B1 (en) * | 2007-04-17 | 2012-04-05 | 노키아 코포레이션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user designation of device functions |
| KR101456047B1 (en) * | 2007-08-31 | 2014-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order thereof |
| US9063583B2 (en) | 2013-02-08 | 2015-06-2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9578155B2 (en) | 2012-07-02 | 2017-02-2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2005
- 2005-01-04 KR KR1020050000602A patent/KR2006008006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15813B1 (en) * | 2005-11-25 | 2007-05-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prevent incorrect input by mobile terminal and key press |
| KR100712209B1 (en) * | 2005-12-13 | 2007-04-30 | 에이디반도체(주) | Cell phone keypad |
| KR100797162B1 (en) | 2006-10-25 | 2008-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1132319B1 (en) * | 2007-04-17 | 2012-04-05 | 노키아 코포레이션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user designation of device functions |
| WO2008147674A1 (en) * | 2007-05-25 | 2008-12-04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the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devices |
| US7792544B2 (en) | 2007-05-25 | 2010-09-07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the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devices |
| KR101456047B1 (en) * | 2007-08-31 | 2014-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order thereof |
| US8909195B2 (en) | 2007-08-31 | 2014-12-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lock function |
| US10114541B2 (en) | 2007-08-31 | 2018-10-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lock function |
| US10021225B2 (en) | 2012-07-02 | 2018-07-1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9854073B2 (en) | 2012-07-02 | 2017-12-26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9578155B2 (en) | 2012-07-02 | 2017-02-2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10097675B2 (en) | 2012-07-02 | 2018-10-09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10523797B2 (en) | 2012-07-02 | 2019-12-3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9916078B2 (en) | 2013-02-08 | 2018-03-1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9063583B2 (en) | 2013-02-08 | 2015-06-2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060267B2 (en) | Terminal lock releas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 CN109643203B (en) | A method and terminal for lighting a screen of a dual-screen terminal | |
| JP5310411B2 (en) | Mobile phone | |
| US20070099574A1 (en)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ccording to Detection of Environmental Light | |
| US20080129703A1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4706629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 US20090280872A1 (en) | Mobile apparatus | |
| KR20040083788A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program using a gesture command and program operating method using thereof | |
| US11941101B2 (en) | Fingerprint unlocking method and terminal | |
| KR100689499B1 (en) | How to display key setting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 |
| US20130345833A1 (en) |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 |
| KR20060080060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 button lock / release function and its method | |
| US10156932B2 (en) | Mobil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 |
| KR20050110696A (en) | Optical poin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 |
| KR10134929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lock in portable terminal | |
| KR20090071996A (en) | Portable terminal with built-in pressure sensor and its pressure measuring method | |
| CN109525714B (en) | Terminal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 |
| CN1331026C (en) | Method for realizing active function by assembled keys | |
| US20190340919A1 (en) | Back cover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mounted there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 using same | |
| KR20070097271A (en) |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d | |
| KR100749437B1 (en) | Key-lock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 KR20060086589A (en) |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through touch screen and terminal for same | |
| JP2008245100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993201B1 (en) |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CN111399944A (en) | Application function start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7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