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331A - Clock generator of subscriber device - Google Patents
Clock generator of subscribe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90331A KR20060090331A KR1020050011091A KR20050011091A KR20060090331A KR 20060090331 A KR20060090331 A KR 20060090331A KR 1020050011091 A KR1020050011091 A KR 1020050011091A KR 20050011091 A KR20050011091 A KR 20050011091A KR 20060090331 A KR20060090331 A KR 200600903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ignal
- clock
- state signal
- dr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통신망의 가입자 장치에 구성되는 클럭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화 유니트를 구비한 가입자 장치의 장애 발생시에 절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럭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generation device configured in a subscriber device of a communication networ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shortening a transfer time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a subscriber device having a redundant unit.
상술한 본원 발명은 시스템 클럭 및 프레임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럭생성부와; 상기 클럭생성부의 시스템클럭과 프레임펄스로부터 생성된 송수신프레임펄스를 가입자 장치의 각 부품으로 공급하는 동기정합부와; 다른 유니트의 절체상태신호에 따라 절체를 수행하여 상기 클럭생성부 및 동기정합부로 구동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상태신호와 상기 절체상태신호로부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클럭생성부로 공급하는 구동신호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항상 스탠바이유니트의 클럭생성부를 구동상태로 유지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omprises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ystem clock and a frame pulse; A synchronization matching unit for supplying transmission / reception frame pulses generated from the system clock and frame pulses of the clock generation unit to each component of the subscriber device; A control unit which performs switching according to a switching state signal of another unit and outputs a driving state signal to the clock generation unit and the synchronization matching unit; And a driving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rom the driving state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the switching state signal and supplying the driving signal to the clock generation unit, and is operated to maintain the clock generation unit of the standby unit in the driving state at all times.
IDLC, 가입자 장치, 프레이머, 이중화유니트, 클럭발생장치, 절체IDLC, Subscriber Device, Framer, Redundancy Unit, Clock Generator, Transf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의 가입자 장치의 클럭발생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clock generator of a subscriber station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가입자 장치의 클럭발생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2 is a block diagram of a clock generator of a subscrib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클럭발생장치에 구성되는 구동신호생성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논리회로도이고,3 is a logic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rive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in the clock generator;
도 4는 상기 도3의 논리회로도의 신호상태표이며,4 is a signal state table of the logic circuit diagram of FIG.
도 5는 종래 기술의 클럭발생장치를 구비한 IDLC-MUX에서의 절체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5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time in IDLC-MUX equipped with a clock generator of the prior art,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클럭발생장치를 구비한 IDLC-MUX에서의 절체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time in IDLC-MUX with a clock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0 : 클럭발생장치100: clock generator
110 : 클럭생성부 120 : 제어부110: clock generator 120: controller
130 : 동기정합부 140 : 구동신호생성부130: synchronization matching unit 140: drive signal generation unit
AON : 구동상태신호 OTHERON : 절체상태신호AON: Drive status signal OTHERON: Alternating status signal
본원 발명은 통신망의 가입자 장치에 구성되는 클럭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화 유니트를 구비한 가입자 장치의 장애 발생시에 절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럭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가입자장치의 일반적인 클럭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clock generator of a subscriber device in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클럭 발생장치(10)는 시스템 클럭 및 프레임펄스를 생성하는 클럭생성부(11)와 상기 클럭생성부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클럭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시스템클럭과 프레임펄스로부터 송수신 프레임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다른 유니트로부터 입력되는 절체상태신호에 따라 절체되어 클럭생성부와 동기정합부(13)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2)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시스템 클럭과 제어부(12)에서 출력되는 송수신 프레임펄스의 동기를 정합시켜 가입자장치의 각 부품으로 출력하는 동기정합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상술한 구성 중 상기 제어부(12)는 ASIC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E1 신호를 정합하여 155M 신호로 변환하거나, 수신되는 155M신호를 분기하여 E1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가입자 장치가 워킹유니트(working unit)로 동작되는 경우 다른 스탠바이 유니트(standby unit)로부터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가 입력되면 클럭생성부(11) 및 동기정합부(13)를 구동시키는 하이(high) 의 구동상태신호(AON)를 출력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그리고, 클럭생성부(11)는 제어부(12)로부터 하이(high)의 구동상태신호( AON)를 입력 받으면, 가입자 장치의 구동을 위한 시스템클럭을 생성하여 제어부(12)와 동기정합부(13)로 공급하고, E1프레임의 분기, 정합 등의 동기를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펄스(FP : Frame Pulse)를 생성하여 제어부(12)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2)는 클럭생성부(11)로부터 입력되는 시스템클럭에 프레임펄스(FP)의 동기를 일치시킨 후 E1 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프레임펄스(TX/RX FP)를 생성하여 동기정합부(13)로 출력한다.When the
동기정합부(13)는 제어부(12)에 의해 구동되는 일종의 버퍼로서 클럭생성부(11)로부터 입력되는 시스템클럭을 공급받아서 가입자 장치의 각 장치로 제공하며, 또한, 제어부(12)에서 입력되는 송수신 프레임펄스의 동기를 일치시킨 후 E1 등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프레이머로 제공한다.The synchronization matching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가입자 장치에서 현재 동작되고 있는 유니트가 워킹유니트(working unit)가 되며, 동작하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는 유니트가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가 된다. 그리고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의 클럭생성부 및 동기정합부는 동작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unit currently operating in the subscriber apparatus of the prior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ecomes a working unit, and the unit which is not in operation and is in a standby state becomes a standby unit. The clock generation unit and the synchronization matching unit of the standby unit are kept in an inoperative state.
이 때 워킹유니트(working unit)에 장애가 발생되어 워킹유니트(working unit)로부터 절체를 요청하는 하이(high)의 절체상태신호(OTHERON)가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의 제어부(12)로 입력되면, 제어부(12)는 하이(high)의 구동상태신호(AON)를 클럭생성부(11)와 동기정합부(13)로 출력한다. 제어부(12)에서 생성된 하이(high)의 구동상태신호(AON)를 입력 받은 클럭생성부(11)는 시스템클럭을 생성하여 제어부(12) 및 버퍼로서의 동기정합부(13)로 공급하고, 프레임펄스(FP:Frame Pluse)를 생성하여 제어부(12)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12)는 입력된 프레임펄스를 송신 및 수신 프레임펄스로 변환한 후 동기정합부(13)로 출력한다. 동기정합부(13)는 제어부(12)에서 출력되는 하이(high)의 구동상태신호(AON)를 출력구동입력단(Output Enable Input)으로 입력받아서 구동되어 시스템클럭을 가입자 장치의 각 부품으로 공급하고, 송신 및 수신 프레임펄스(FP:Frame Pluse)를 E1 등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프레이머로 공급한다.At this tim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working unit and a high transfer state signal OTHERON requesting a transfer from the working unit is input to the
즉, 종래 기술의 이중화 유니트를 구비한 가입자 장치는 상술한 동작과정에 의하여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리던던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절체를 요청하는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가 발생하면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가 워킹유니트(working unit)가 되고, 워킹유니트(working unit)는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가 된다.That is, the subscriber device having the duplication unit of the prior art provides a redundancy function for the failure by performing the switching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ocess. In this case, when a low switching state signal (OTHERON) requesting a transfer is generated, a standby unit becomes a working unit, and a working unit becomes a standby unit. .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절체과정에서 시스템클럭 및 프레임펄스는 항상 로우의 절체상태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하이의 구동상태신호를 입력받은 후에 동작되므로 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시스템클럭 및 프레임펄스가 각 부품에 공급되기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절체 시간이 지연되고, 이러한 절체 시간의 지연은 해당 유니트의 출력데이터에 에러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the system clock and the frame pulse are always generated after receiving the high driving stat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low switching state signal in the switching proces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time delay before the clock and frame pulses are supplied to each part, which causes a delay in the changeover time, which causes errors in the output data of the unit. Has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던던시를 위한 이중화 유니트를 구비한 가입자 장치에서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로 동작되는 유니트의 클럭생성부를 항상 구동 상태로 하여 시스템클럭과 프레임펄스를 미리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중화 유니트에서의 절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장치의 클럭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system clock by always operating the clock generation unit of the unit operated as a standby unit (standby unit) in the subscriber unit having a redundant unit for redundanc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ck generator of a subscriber station which can shorten the switching time in the duplication unit by maintaining the state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frame pulse in advan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가입자 장치의 시스템 클럭 발생장치는, 시스템 클럭 및 프레임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럭생성부와; 상기 클럭생성부의 시스템클럭과 프레임펄스로부터 생성된 송수신프레임펄스를 가입자 장치의 각 부품으로 공급하는 동기정합부와; 다른 유니트의 절체상태신호에 따라 절체를 수행하여 상기 클럭생성부 및 동기정합부로 구동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상태신호와 상기 절체상태신호로부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클럭생성부로 공급하는 구동신호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ystem clock generator of a subscrib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ystem clock and a frame pulse; A synchronization matching unit for supplying transmission / reception frame pulses generated from the system clock and frame pulses of the clock generation unit to each component of the subscriber device; A control unit which performs switching according to a switching state signal of another unit and outputs a driving state signal to the clock generation unit and the synchronization matching unit; And a driving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rom the driving state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the switching state signal and supplying the driving signal to the clock generator.
상기 구동신호생성부는 상기 구동상태신호와 상기 절체상태신호를 입력단으로 입력받은 후 배타적 오아 연산을 수행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배타적 오아 연산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signal generator may be an exclusive OR operation gate that receives the driving state signal and the transfer state signal to an input terminal and then performs an exclusive OR operation to output the output signal to an output terminal.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가입자 장치의 시스템 클럭 발생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clock generator of a subscrib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장치의 시스템 클럭 발생장치(100)는 시스템 클럭 및 프레임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럭생성부(110)와 가입자 장치의 각 부품으로 시스템클럭과 송수신프레임펄스를 공급하는 동기정합부(130)와 상기 클럭생성부(110) 및 동기정합부(130)의 구동상태신호(AON)를 출력하고 절체상태신호에 따라 절체를 수행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제어부(120)의 구동상태신호와 상기 절체상태신호(OTHERON)로부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클럭생성부(110)로 제공하는 구동신호생성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상술한 구성에서 제어부(110)는 다른 이중화 유니트로부터 절체상태신호(OTHERON)를 입력받고, 구동상태신호(AON)를 구동신호생성부(140)와 동기정합부(13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상태신호(AON)가 하이(high)인 경우 동기정합부(130)가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즉,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클럭생성부(110)와 동기정합부(130)는 하이(high)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동작되며, 워킹유니트(working unit)는 하이의 절체상태신호(OTHERON)를 출력하고,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의 제어부는 워킹유니트(working unit)로부터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가 입력되는 경우 절체요청이 있는 것으로 하여 절체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That i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은 상기 구동신호생성부(140)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세 회로도이다.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신호생성부(140)는 배타적 오아 연산 게이트(Exclusive OR gate)로 구성되며, 자신이 탑재된 유니트의 제어부(120)로부터 구동상태신호(AON)를 A단자로 입력받으며,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유니 트로부터 절체상태신호(OTHERON)를 B단자로 입력받는다. 이후 제어부(120)의 구동상태신호(AON)와 다른 유니트로부터 입력되는 절체상태신호(OTHERON)에 대한 배타적 오아 연산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driving
도4는 상기 도 3의 구동신호생성부(140)의 입력에 따른 출력 신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를 참조하여 구동신호생성부(140)의 클럭생성부(110)의 구동신호 출력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signal stat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구동신호생성부(140)가 탑재된 유니트가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로 동작되는 경우 제어부(120)에서는 로우(low)의 구동상태신호(AON)가 출력되어 구동신호생성부(140)의 A단자로 입력된다. 이 경우 이중화를 위한 다른 유니트는 워킹유니트(working unit)로 동작되므로 절체상태신호(OTHERON)는 하이(low)의 신호가 구동신호생성부(140)의 B단자로 입력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unit in which the current drive
구동신호생성부(140)는 제어부(110)로부터 A단자로 입력된 구동상태신호(AON)와 다른 유니트로부터 B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절체상태신호(OTHERON)에 대하여 배타적 오아 연산을 수행하게 되므로 도 4의 신호 상태표에서 같이 구동신호생성부(140)의 출력단(Y)에서는 하이(high)의 구동신호가 출력되어 클럭생성부(110)로 입력된다. 따라서,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의 클럭생성부(110)는 항상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driving
다음으로 워킹유니트(working unit)에 장애가 발생되면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로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를 출력한다. 상술한 워킹유니트(working unit)로부터 출력된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는 스탠바이 유니트(standby unit)의 제어부(120)와 구동신호생성부(140)의 B단자로 입력된다.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의 제어부(120)는 로우(lwo)의 절체상태신호(OTHERON)를 입력 받아 동작된 후 하이(high)의 구동상태신호(AON)를 동기정합부(130)로 출력함으로써 동기정합부(130)가 구동되어 절체가 이루어진다.Next,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working unit, a low switching state signal OTHERON is output to the standby unit. The low switching state signal OTHERON output from the above-described working unit is input to the B terminal of the
이 경우에도 구동신호생성부(140)의 A단자에는 하이(high)의 구동상태신호(AON)가 입력되고 B단자에는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가 입력되므로 도 4의 신호상태표에서와 같이 하이(high)의 구동신호를 출력단(Y단자)을 통해 클럭생성부(110)로 출력하여 클럭생성부(110)를 구동시키게 된다.Even in this case, the high driving state signal AON is input to the A terminal of the driving
상술한 바와 같이 절체를 요청하는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를 출력한 워킹유니트(working unit)는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가 되고, 절체를 요청하는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를 입력받은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는 동작되어 위킹유니트(working unit)로 되며, 워킹유니트(working unit)로 동작된 후에는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로 하이(high)의 절체상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unit outputting the low transfer state signal OTHERON to request a transfer becomes a standby unit, and the low transfer state signal to request transfer. The standby unit that receives (OTHERON) is operated to become a working unit, and after being operated as a working unit, it is a high switching state signal to the standby unit. Will print
즉, 상술한 동작과정에 의해 IDLC(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와 같은 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장치의 이중화 유니트가 워킹유니트(working unit) 또는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로 동작되는 것에 관계 없이 항상 시스템클럭과 프레임펄스를 생성하여 제어부(120)와 동기정합부(130)로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이중화 유니트의 절체시 절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ystem clock and the frame are always opera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redundant unit of the subscriber devic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IDLC) is operated as a working unit or a standby unit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generating a pulse to supply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통신망의 가입자 장치에 구성되는 이중화 유니트에서의 절체 시간의 감소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duction of the switching time in the duplication unit configured in the subscriber unit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s follows.
도 5는 IDLC-MUX(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Multiplexer)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클럭발생장치가 구비된 이중화 유니트의 절체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IDLC-MUX(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Multiplexer)에서 본원 발명에 따르는 클럭 발생장치를 구비한 이중화 유니트에서의 절체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time of a redundant unit with a clock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IDLC-MUX (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Multiplexer), and FIG. 6 is an invention of an 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multiplexer (IDLC-MUX).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witching time in the duplication unit provided with the clock generator which conforms t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이중화유니트의 경우 절체를 요청하는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가 입력된 후 제어부(120)가 구동되고, 이 후에 제어부(120)에 출력되는 하이(high)의 구동상태신호(AON)에 의해 클럭생성부(110)와 동기정합부(130)가 구동되므로 약 120~ 800us의 절체시간 지연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a redundant unit of the related art, the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이중화 유니트에 본원 발명의 클럭발생 장치를 적용한 경우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의 클력생성부(110)는 항상 동작상태를 유지하여 시스템클럭과 프레임펄스를 제어부(110)와 동기정합부(130)로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절체를 요청하는 로우(low)의 절체상태신호(OTHERON)가 입력되어 제어부(120)가 구동된 후 곧 바로 동기정합부(130)가 시스템클럭과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송수신 프레임펄스에 대한 동기 정합을 수행하여 출력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이 같이 절체 시간이 약 8ns 정도로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lock gene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dundant unit of the prior art, the
상술한 본원 발명은 IDLC-MUX(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Multiplexer) 등 장애 극복을 위한 이중화 유니트를 구성하는 모든 통신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ll communication devices constituting a redundant unit for overcoming a failure such as an 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multiplexer (IDLC-MUX).
상술한 본원 발명은 이중화 유니트를 구비한 가입자 장치에서 장애시 절체를 수행하여 동작되도록 대기하는 스탠바이유니트(standby unit)의 클럭생성부를 항상 구동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장애 발생시의 절체시간을 단축시켜 보다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rovides a more stable communication by shortening the switching time in the event of a failure by always keeping the clock generation unit of a standby unit waiting to be operated by performing the switching in the event of a failure in the subscriber device having the redundant unit. It provides the effect of providing a servic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11091A KR20060090331A (en) | 2005-02-07 | 2005-02-07 | Clock generator of subscribe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11091A KR20060090331A (en) | 2005-02-07 | 2005-02-07 | Clock generator of subscriber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90331A true KR20060090331A (en) | 2006-08-10 |
Family
ID=3757155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11091A Withdrawn KR20060090331A (en) | 2005-02-07 | 2005-02-07 | Clock generator of subscriber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60090331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15387A (en) | 2021-02-10 | 2022-08-17 |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Simulation test apparatus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
-
2005
- 2005-02-07 KR KR1020050011091A patent/KR20060090331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15387A (en) | 2021-02-10 | 2022-08-17 |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Simulation test apparatus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600162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 EP2837117B1 (en) | Clock switching algorithm based on preferred clock source | |
| JP6126598B2 (en) |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 |
| US9960841B2 (en) | Optical-transceiver control circuit, optical network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of optical-transceiver | |
| KR20060090331A (en) | Clock generator of subscriber device | |
| JP7280587B2 (en) |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 |
| JPH0575594A (en) | Parallel bit synchronizing system | |
| KR100603616B1 (en) | Clock Synchronizer Using Source Synchronous Clock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
| CN102201851A (en) | Remote clock system, equipment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 |
| CN114731167A (en) | Complementary data streams for noise reduction | |
| CN105790872A (en) | Network clock synchronization device and working method of the network clock synchronization device | |
| JP6126599B2 (en) |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 |
| JP3997513B2 (en) | Non-instantaneous change method of virtual concatenation path and its method | |
| KR100260623B1 (en) | Received data processing apparatus in optical transmitting system | |
| JP4947030B2 (en) | Multi-branch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293362B1 (en) | Reception and interface device of multiple tdm channels and method for the same | |
| JP2007193751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data input/output system | |
| KR100307403B1 (en) | Network synchron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r | |
| US9197361B2 (en) | Send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 |
| KR0140632Y1 (en) | Message / clock delivery device of digital exchange system | |
| KR100661518B1 (en) | System Timing Signal Providing Device in Mobile Internet Base Station System | |
| JP4921773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entrance system | |
| JP2005252354A (en) | Clock signal output method, clock shap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clock shaper | |
| KR20020005830A (en) | Apparatus for clock synchonization between dualized STM-N signal interface cards | |
| JP2002368783A (en) | ATM demultiplexer and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7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