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0689A - Portable audio player with karaok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audio player with karaok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689A
KR20060110689A KR1020050033177A KR20050033177A KR20060110689A KR 20060110689 A KR20060110689 A KR 20060110689A KR 1020050033177 A KR1020050033177 A KR 1020050033177A KR 20050033177 A KR20050033177 A KR 20050033177A KR 20060110689 A KR20060110689 A KR 20060110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ng
unit
accompaniment
selection comm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김영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지 filed Critical 김영지
Priority to KR1020050033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0689A/en
Publication of KR2006011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689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3Incinerator clo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A portable audio player having a Karaoke function and a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a user by portably and simply using the Karaoke function and selectively reproducing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elected song when the song is selected after the Karaoke function is executed. A memory unit(130) stores at least one or more accompaniment data, words data, original sound data, and image data. An input unit(110) receives a song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certain song.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140) reads accompani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ion command from the memory unit(130), and reproduces an accompaniment signal. A caption processing unit(152) reads words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ion command from the memory unit(130), and reproduces a words signal. A control unit(120) selects certain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ed by the song selection command 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130). An output unit(190) outputs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words signal, and an image screen signal reproduced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140) and the caption processing unit(152).

Description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Portable audio data reproducing device for having karaoke ability and method thereof}Portable audio data reproducing device for having karaoke ability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사용되는 점수채점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score scoring unit used in the portable audio player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dio re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선택된 노래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elected song, an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점수채점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oring method of the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110: input unit 120: control unit

130 : 메모리부 140 : 오디오신호처리부130 memory unit 140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50 : 영상신호처리부 151 : 영상재생부150: video signal processor 151: video playback unit

152 : 자막처리부 160 : 점수채점부152: subtitle processing unit 160: score scoring unit

170 : 음성처리부 180 : 음성입력부170: voice processing unit 180: voice input unit

190 : 출력부190: output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곡이 이루어지면, 선곡된 노래에 대응되는 영상화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MP3 원곡신호와 비교하여 정확한 채점 결과 점수를 출력하는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selection is made, selectively outputs a video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and compares the score with the MP3 original song signal to obtain an accurate scoring result sc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karaoke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예전부터 노래와 춤을 통한 놀이문화가 유행한 민족적 특성과 어울려 노래방이 빠르게 대중화 되었으며, 이러한 노래방을 구현하는 가라오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반주음악, 가사정보,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반주에 따라 음성신호를 입력하면 이를 반주음악과 합성하여 함께 출력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In the past, karaoke systems have been popularized as the play culture through songs and dances became popular, and the karaoke system that implements these karaokes basically outputs accompaniment music, lyrics information, and video data. When the voice signal is input, it is synthesized with accompaniment music and outputs together.

또한, 종래 가라오케 시스템을 통해 노래방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화면 상에는 노래와 관련없는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가라오케 시스템은 수개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두고, 소정 노래가 선곡되면 각 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반복 재생하였다. 결과적으로 노래와 영상이 매칭이 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재미가 반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executing the karaoke function through the conventional karaoke system, it was common to output image data unrelated to the song on the screen. That is, the karaoke system stores several image data, and when a predetermined song is selected, the karaoke system repeatedly reproduces each image data sequentially. As a result, the song and the image is not match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fun is halved.

예를 들면, 경쾌한 댄스 음악을 선곡하였으나 화면상에는 잔잔한 강이나 바다와 같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흥을 반감시킬 수 있었다.For example, although light dance music was selected, an image such as a calm river or the sea wa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user's entertainment could be halved.

또한, 종래의 가라오케 시스템은 노래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신호 및 반주음악 간의 비트(또는, 박자)만을 비교하여 채점을 하였다. 즉, 반주음악의 비트(또는, 박자)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신호의 비트(또는, 박자)가 불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기준점수 100점에서 소정 점수를 차감하여 채점 결과를 산정하였다. 이에 따라, 정확한 채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song ends, the conventional karaoke system compares only the beats (or beats) between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user and the accompaniment music. That is, the scoring result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a predetermined score from a reference score of 100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beat (or beat) of the accompaniment music and the beat (or beat) of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user.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ccurate scoring is not achiev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으로 간편하게 노래방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노래방 기능이 실행되어 선곡이 이루어지면, 선곡된 노래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rry the karaoke function easily and portable, and when the karaoke function is executed and the selection is made, by selectively playing 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b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audio player and a method for increasing the user's satisfa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곡신호의 음과 멜로디 및 패턴을 비교하여 채점함으로써, 정확한 채점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ccurate scoring results by comparing and scoring the sound, melody and pattern of the original signal.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주데이터, 가사데이터, 원음데이터 및 영상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 소정의 노래를 선택하기 위한 선곡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선곡명령에 대응되는 반주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반주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신호처리부, 상기 선곡명령에 대응되는 가사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가사신호를 재생하는 자막처리부, 상 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데이터 중 상기 선곡명령에 의해 선택된 노래에 대응되는 소정의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 및 상기 자막처리부 각각으로부터 재생되는 상기 반주신호, 상기 가사신호 및, 상기 영상화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emory unit is stored at least one or more accompaniment data, lyrics data, original sound data and video dat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song An input unit providing a function of receiving an input, an accompani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from the memory unit,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reproducing an accompaniment signal, and lyrics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from the memory unit, A caption processing unit for reproducing the lyrics signal,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predetermine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by the selection command from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subtitle processing unit Outputting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lyrics signal, and the video screen signal; It includes an output unit.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영상화면신호를 재생하는 영상재생부를 포함한다.And a video reproducing unit which reads the video data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from the memory and reproduces the video screen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MP3 파일을 재생하는 MP3 재생모드 및 노래방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ler may operate in one of an MP3 playback mode for playing an MP3 fil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and a karaoke mode for performing a karaoke function according to a mode selec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는, 상기 제어부가 MP3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MP3 파일을 재생한다.When the controller operates in the MP3 playback mode, the audio signal processor plays MP3 file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부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입력부, 및,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시킨 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voice input unit providing a function of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and a voice processing unit amplify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outputting th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put unit. can do.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반주신호에 대응되는 원곡신호를 독출하여 상기 합성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채점 결과 점수를 연산하는 점수채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주신호, 가사신호, 및, 영상화면신호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채점 결과 점수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한다.More preferably, after synthesizing the audio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to generate a synthesized signal, the original so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signal is read from the memory and compared with the synthesized signal to calculate a predetermined scoring result score. The score sco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In this case, when the output of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lyrics signal, and the video screen signal is finish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put unit to display the scoring result score on the screen.

상기 점수채점부는, 상기 합성신호 및 상기 원곡신호를 각각 소정 시간 주기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구간하에서 상기 합성신호 및 상기 원곡신호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검출하는 전압값검출부, 소정 구간에 검출된 상기 합성신호 및 상기 원곡신호 각각의 전압값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 후, 상기 차이값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차감값을 산정하는 제1 연산부, 및, 상기 분할된 각 구간 하에서 산정된 차감값을 합산한 후, 합산값을 소정의 기준점수로부터 감산하여, 감산 결과 값을 상기 채점 결과 점수로써 상기 출력부로 제공하는 제2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ore scoring unit divides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signal into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detects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of each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signal under each divided section. A first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after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etected composite signal and the voltage value of each of the original signal signal, and a subtraction calculated under each divided section After summing the values, the sum may be subtracted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score, and the second calculation unit may provide a subtraction result value to the output unit as the scoring result scor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곡명령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장르, 템포, 가수명, 분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heck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of the genre, tempo, singer name, and mood of the song selected by the selection command, and then selec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information.

한편, 상기 반주신호 및 상기 원곡신호는 각각 MP3 파일 포맷 신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부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companiment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may be MP3 file format signal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memory unit preferably includes a hard disk memor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영상데이터가 저장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오디오재생방법은, (a) 소정의 노래를 선택하기 위한 선곡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곡명령에 대응되는 반주신호 및 가사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영상데이터 중 상기 노래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영상화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c)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반주신호에 믹싱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반주신호, 상기 가 사신호 및 상기 영상화면신호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음성신호의 입력상태에 대응되는 점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udio reproducing method of a portabl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ata is stored, (a)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song is input, accompani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is performed. Reproducing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and a lyric signal; (b) selectively reproducing the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among the plurality of video data and outputting a video screen signal; and (c) receiving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Mixing and outputting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d) outputting a score corresponding to an input state of the audio signal when output of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pseudo signal, and the video screen signal is terminated. do.

바람직하게는, MP3 파일을 재생하는 MP3 재생모드 및 노래방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명령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MP3 재생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방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a) 내지 (d)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or not to receive a m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one of the MP3 playback mode for playing the MP3 file and the karaoke mode performing the karaoke function, the m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MP3 playback mode i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MP3 music file is output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m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karaoke mode has been received, performing steps (a) to (d). can d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는, 복수개의 노래를 노래 장르별로 분류한 후, 각 장르별로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선곡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곡명령에 의해 선택된 노래가 속하는 장르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so preferably, the step (b) may include: classifying a plurality of songs by song genre, designating and stor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genre, and when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And selec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re to which the selected song belongs.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는, 복수개의 노래를 노래 템포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템포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템포 그룹별로 영상데이터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선곡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곡명령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템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노래의 템포가 속한 템포 그룹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ore preferably, in the step (b), after classifying a plurality of songs into at least one tempo group according to the song tempo, and designating and storing image data for each tempo group, when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Determining a tempo of the song selected by the selection command, and selec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tempo group to which the tempo of the selected song belongs.

한편, 상기 (d)단계는,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가 믹싱된 합성신호와 상기 원곡신호 각각의 주파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소정 시간 주기마다 검출하는 단계, 각 시간 주기마다 검출되는 전압값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 후, 상기 차이값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차감값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각 시간 주기마다 산정된 차감값을 합산하는 단계, 및, 소정의 기준점수로부터 상기 합산값을 감산한 후, 감산 결과값을 채점 결과 점수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d), the step of detecting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magnitude of each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music signal mixed with the audio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every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voltage detected for each time period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summ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for each time period, and calculating the sum value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score. After subtracting, the method may include outputting the subtraction result as a scoring result scor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오디오신호처리부(140), 영상신호처리부(150), 점수채점부(160), 음성처리부(170), 음성입력부(180), 및, 출력부(19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 the portable audio player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controller 120, a memory unit 130, an audio signal processor 140, an image signal processor 150, a scorer 160, and a voice processor. 170, a voice input unit 180, and an output unit 190.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본체 또는 리모콘에 구비된 버튼키를 조작하여 모드선택명령, 선곡명령, 예약명령, 음정조절, 박자조절 등의 다양한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모드선택명령이란 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의미한다. 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는 모드선택명령에 따라,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음악을 들려주는 MP3 재생모드 및 노래방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 입력부(110)는 입력된 선택명령을 제어부(120)로 통지한다.The input unit 110 serves to receive a predetermined selection command from the user. That is, the user may input various selection commands such as a mode selection command, a selection command, a reservation command, a pitch control, a beat control, and the like by operating a button key provided in the portable audio player main body or the remote controller. The mode selection command means a command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command, the portable audio player operates in one of an MP3 playback mode for playing MP3 music files and listening to music and a karaoke mode for performing a karaoke function. The input unit 110 notifies the control unit 120 of the input selection command.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MP3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하여 MP3 파일을 재생하도록 한다. 오디오신호처리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MP3 파일을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선택하여, 신호 처리한 후 출력부(190)를 통해 출력한다. MP3 재생모드 하에서 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는 종래의 MP3 플레이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When the m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MP3 playback mod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audio signal processor 140 to play the MP3 file. The audio signal processor 140 sequentially or randomly selects an MP3 file stored in the memory 130, processes the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hrough the output unit 190. The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under the MP3 playback mode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a conventional MP3 player.

한편, 제어부(120)는 노래방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명령이 입력되면,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오디오신호처리부(140)는 선곡명령이 입력되면, 선곡된 노래에 대응되는 반주데이터를 메모리부(130)로부터 독출하여, 증폭 및 D/A 컨버팅 등의 처리를 한 후 반주신호로써 재생한다. 재생된 반주신호는 출력부(190)를 통해 출력된다. 오디오신호처리부(140)는 파일 포맷에 대응되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반주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반주신호를 재생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m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karaoke mode is input, the controller 120 provides the karaoke function. That is, when a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40 reads accompani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from the memory unit 130, and processes the amplification, D / A converting, and the like as an accompaniment signal. . The reproduced accompaniment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90. The audio signal processor 140 reproduces the accompaniment signal by decoding the accompaniment data using a codec corresponding to a file format and converting the accompaniment data into an analog signal.

한편, 제어부(120)는 선택된 노래에 대응되는 가사정보 및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영상신호처리부(150)를 제어한다. 영상신호처리부(150)는 영상재생부(151) 및 자막처리부(152)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signal processor 150 to provide lyrics information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The image signal processor 150 includes an image reproducer 151 and a subtitle processor 152.

자막처리부(152)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가사데이터를 독출하여 그래픽 처리함으로써, 텍스트로 된 가사신호를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The caption processing unit 152 reads the lyrics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and performs graphic processing to reproduce the lyrics signal in text.

상술한 반주데이터 및 가사데이터는, 외부 서버 또는 메모리카드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주데이터는 일반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파일이나 MP3( MPEG-1 Audio Layer-3) 파일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일반 MIDI 악보 파일은 노래 한 곡당 대략 4KB 정도의 용량이 사용되는 반면, MP3 파일의 경우 노래 한 곡당 4MB 정도의 용량이 사용된다. 따라서, MP3 파일 형태의 반주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모리부(130)는 대용량 메모리인 하드 디스크(Hard Disc)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companiment data and the lyrics data described above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or a memory car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In this case, the accompaniment data may be stored as a general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file or an MP3 (MPEG-1 Audio Layer-3) file. A typical MIDI score file uses about 4KB of music per song, while an MP3 file uses about 4MB of music per song. Therefore, when using accompaniment data in the form of MP3 files, the memory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hard disk which is a large memory.

한편, 메모리부(130)에는 반주데이터 이외에 영상데이터도 함께 저장된다. 영상재생부(151)는 메모리부(130)로부터 소정의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독출한 후, 영상화면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제어부(120)는 선곡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재생부(151)를 제어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복수개의 영상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도록 한다. The memory unit 130 also stores image data in addition to accompaniment data. The image reproducing unit 151 selectively reads predetermined image data from the memory unit 130, converts the image data into a video image signal, and reproduces the image data. When a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reproducing unit 151 to selectively reproduce one of a plurality of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이를 위해, 각 노래 장르 별로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지정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라드, 락발라드, 댄스, 힙합, 트로트, 팝, 재즈 등의 장르에 대하여, 장르 분위기에 어울리는 영상을 담은 영상데이터를 지정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반주신호 중에 기록된 부가데이터를 확인하여, 반주신호의 장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장르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영상재생부(151)를 제어한다.To this e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ng genre may be design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For example, video data containing an image suitable for the genre atmosphere is specified for genres such as ballad, rock ballad, dance, hip hop, trot, pop, and jazz.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e genre of the accompaniment signal by checking the additional data recorded in the accompaniment signal. Accordingly, the image reproducing unit 151 is controlled to reproduce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re.

한편, 각 노래를 템포에 따라 복수개의 템포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템포 그룹 별로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지정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1분당 재생되는 음절 개수에 따라 하이(High) 템포 그룹, 미들(Middle) 템포 그룹, 로우(Low) 템포 그룹으로 분류한다. 이에 따라, 화면 전개 속도가 빠른 영상데이터를 하이 템포 그룹에 매칭시키고, 중간속도나 느린 속도의 영상데이터는 각각 미들 템포 그룹이나 로우 템포 그룹에 매칭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선곡이 이루어지면, 선곡된 노래의 템포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선곡된 노래가 속하는 템포 그룹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each song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tempo groups according to the tempo,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tempo group may be design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For example, it is classified into a high tempo group, a middle tempo group, and a low tempo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played per minute. Accordingly, image data having a high screen development speed is matched to a high tempo group, and image data of medium speed or slow speed is matched to a middle tempo group or a low tempo group,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20 checks the tempo of the selected song when the song is selected. Accordingly, the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tempo group to which the selected song belongs can be designated.

이 밖에, 노래를 부른 가수 이름, 노래 분위기 등에 따라서 영상데이터를 분 류하여 지정하여 둘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선곡된 노래를 부른 가수가 등장하는 영상화면 등을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ata may be classified and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inger's name of the song, the song atmosphere, and the lik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play a video screen or the like in which the singer who sings the selected song appears.

출력부(190)는 오디오신호처리부(140), 영상재생부(151) 및 자막처리부(152)로부터 재생되는 반주신호, 영상화면신호, 가사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부(190)는 반주신호와 같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가사신호, 영상화면신호와 같은 비져블(visible)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는 스피커, 헤드셋, 이어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90 outputs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image screen signal, and the lyrics signal reproduced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140, the image reproducing unit 151, and the subtitle processing unit 152. The output unit 190 may be divided into an audio output unit that outputs an audio signal such as an accompaniment signal, and an image output unit that outputs a visible signal such as a lyrics signal or a video screen signal. The sound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a headset, an earphone, or the like.

출력부(190)는 또한 반주신호와 같은 오디오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시켜 출력시키기 위한 아날로그 앰프 또는 디지털 앰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90 may further include an analog amplifier or digital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such as an accompaniment signal to a predetermined size.

영상출력부는 LCD 모니터, 브라운관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신호처리부(140), 영상재생부(151) 및 자막처리부(152)는 소정의 동기 신호(synchronize signal)에 따라 신호를 재생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사 및 영상화면과 반주가 일치해지도록 한다.The image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screen such as an LCD monitor or a CRT. On the other h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40, the image reproducing unit 151 and the subtitle processing unit 152 reproduces the signal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signal, the accompaniment of the lyrics and the video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match Let it go.

동기 신호는 제어부(120) 또는 소정의 오실레이터 회로(oscillater circuit)에 의해 생성되어, 오디오신호처리부(140), 영상재생부(151) 및 자막처리부(152)에 제공된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20 or a predetermined oscillator circuit and provided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140, the image reproducing unit 151, and the subtitle processor 152.

음성입력부(18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음성입력부(180)는 마이크(microphone)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처리부(170)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음성입력부(180)는 무선 마이크(Wireless microphone)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음성처리 부(170)는 사용자의 음성을 증폭한 후, 노이즈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부(190)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7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오디오신호처리부(140)에서 재생되는 반주신호와 믹싱되어, 출력부(190)에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The voice input unit 18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 voice of a user. The voice input unit 180 may be implemented by a microphone. Accordingly, the voice of the user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voice processor 170. Preferably, the voice input unit 18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microphone. Meanwhile, the voice processor 170 amplifies the user's voice and then filters the noise signal and outputs the noise signal to the output unit 190.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processor 170 is mixed with the accompaniment signal reproduced by the audio signal processor 140 a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90 through the speaker.

한편, 점수채점부(16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원곡신호를 비교하여 점수를 채점한다. 이 경우, 음성신호 및 원곡신호의 박자 뿐만 아니라 음정 자체를 비교하여 점수를 채점할 수 있다. 박자 비교를 위해서는, 음성신호 및 원곡신호 각각의 출력 타이밍을 비교한다. 즉, 원곡신호 출력 시점과 음성신호 출력 시점이 불일치하는 회수가 많을수록 기준점수에서 더 큰 점수를 차감한다.Meanwhile, the score scoring unit 160 scores the score by comparing the user's voice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In this case, the score can be scored by comparing not only the beat of the audio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but also the pitch itself. For time signature comparison, the output timings of the audio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are compared. That is, the larger the number of discrepancies between the original signal output point and the audio signal output point, the larger the score is subtracted from the reference score.

한편, 멜로디 및 패턴 비교를 위해서는, 음성신호 및 원곡신호 각각의 주파수 응답을 비교하게 된다. 즉, 음성신호 및 원곡신호 각각에 대하여 주파수 특성을 확인한 후, 그 비교결과에 따라 채점 결과 점수를 산정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mpare the melody and the pattern, the frequency response of each of the audio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is compared. That is, after confirm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audio signal and the original music signal, the scoring result sco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사용되는 점수채점부(1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른 점수채점부(160)는 전압값검출부(161), 제1연산부(162), 및, 제2연산부(163)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coring unit 160 used in the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ing unit 160 according to FIG. 2 includes a voltage value detector 161, a first operator 162, and a second operator 163.

전압값검출부(161)는 음성신호 및 반주신호를 믹싱한 합성신호와 원곡신호 각각의 주파수 특성을 체크한 후, 그 주파수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전압값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합성신호 및 원곡신호 각각을 소정 시간 주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구간하에서 각 신호를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ation)하여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변환된 각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값을 출력한다.The voltage value detector 161 check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mixed with the audio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outputs a voltage valu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Specifically, each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signal signal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time periods, and each signal is Fourier Transformed into each frequency section to be converted into a frequency signal. Accordingly, a voltage value having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frequency of each converted signal is output.

제1 연산부(162)는 합성신호 및 원곡신호의 각 구간에서 전압값검출부(161)에 의해 검출된 전압값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그 차이값에 비례하는 크기의 차감값을 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차감값의 범위가 0~5점으로 한정된 경우, 양 신호간의 음정차이(즉, 주파수 크기 차이)가 크다면, 4 또는 5점으로 차감값을 산정하고, 음정차이가 작다면 1 또는 2점으로 산정할 수 있다. The first calculator 162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values detected by the voltage value detector 161 in each section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signal. As a result, a subtraction value of a magnitud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Specifically, when the range of the subtraction value is limited to 0 to 5 points, if the pitch difference (i.e., the difference in frequency magnitude) between both signals is large, the subtraction value is calculated to 4 or 5 points, and if the pitch difference is small 1 Or it can calculate by two points.

제2 연산부(163)는 분할된 각 구간 하에서 산정된 차감값을 합산한 후, 합산값을 소정의 기준점수로부터 감산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총 합산된 차감값이 35점이라면, 기준점수 100점으로부터 35점을 차감하여, 최종 점수는 65점으로 연산한다. 감산 결과값은 채점 결과 점수로써 출력부(190)에 제공되며, 출력부(190)는 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The second calculator 163 adds the subtraction values calculated under each divided section, and then subtracts the sum value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score. For example, if the total sum is 35 points, 35 points are subtracted from 100 points, and the final score is calculated to be 65 points. The subtraction result value is provided to the output unit 190 as a scoring result score, and the output unit 190 displays it on the screen.

한편, 제1 연산부(162)는 각 신호에 대하여 검출된 전압값이 차이가 나는 구간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차감값을 산정할 수도 있다. 가령, 합성신호 및 음성신호가 각각 90개의 구간으로 분할된 경우, 제1 연산부(162)는 각 신호 별로 검출된 전압값이 소정 값 이상 차이가 나는 구간을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카운트된 구간이 30구간이라면, 제2 연산부(163)는 전체 (100*60)/90≒67점을 최종 채점 결과점수로써 출력부(190)로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원곡신호와 음정 자체를 비교함으로써, 훨씬 더 정확한 채점이 가능해진다.Meanwhile, the first calculator 162 may calculate the subtraction value by counting the number of sections in which the detected voltage value is different for each signal. For example, when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90 sections, the first calculator 162 counts sections in which the detected voltage value of each signal differ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ly, if the counted section is 30 sections, the second calculating unit 163 provides the total (100 * 60) / 90 ≒ 67 points to the output unit 190 as the final scoring result score. As described above, by comparing the original music signal with the pitch itself, much more accurate scoring is possible.

한편, 박자까지 고려하는 경우에는, 제1 연산부(162)는 합성신호 및 음성신호 각각의 출력 타이밍을 비교하여, 차감값을 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산부(163)는 제1 연산부(162)에서 산정한 차감값을 전부 합산하여, 기준점수로부터 감산하여 최종 채점 결과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considering the time signature, the first calculating unit 162 may calculate the subtraction value by comparing the output timing of each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ccordingly, the second calculating unit 163 can calculate the final scoring result by adding up all the deduction values calculated by the first calculating unit 162 and subtracting from the reference sco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dio re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먼저 동작모드가 선택된다. 동작모드로는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MP3 재생모드, 노래방 기능을 구현하는 노래방 모드등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mode is first selected. The operation mode may be an MP3 playback mode for playing and outputting an MP3 music file and a karaoke mode for implementing a karaoke function.

MP3 재생모드가 선택되면, 본 휴대용 오디오 재생 장치는 통상의 MP3 플레이어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MP3 재생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노래방 모드로 선택된 경우로 가정하여 본 오디오 재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When the MP3 playback mode is selected, the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operates in the same way as a normal MP3 player. Therefore, description of the case where the MP3 playback mode is selected will be omitted, and the audio reprod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case is selected as the karaoke mode.

먼저, 소정 노래가 선곡되면(S310), 선곡된 노래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한다(S320). 선택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선곡된 노래가 속한 장르 정보, 노래 템포, 가수명, 분위기 등에 따라,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경우, 장르 정보, 가수명, 분위기 등은 선곡된 노래의 반주신호에 부가된 부가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노래 템포는 소정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반주신호 음절 개수를 카운트하여 확인할 수 있다.First, when a predetermined song is selected (S310),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is selected (S320). The selection method may be variously set. That is, corresponding video data is selected according to genre information, song tempo, singer name, mood, etc. to which the selected song belongs. In this case, genre information, a singer's name, and mood may be confirmed through additional information added to the accompaniment signal of the selected song. The song tempo can be confirmed by counting the number of syllables of the accompaniment signal output per predetermined unit time.

이에 따라,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여 영상화면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출력하게 된다(S330). 이 경우, 선곡된 노래의 반주신호 및 가사신호도 영상화면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S330).Accordingly, the selected video data is reproduced and the video screen signal is output on the display screen (S330). In this case,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the lyrics signal of the selected song are also output through the speak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ideo screen signal (S330).

사용자는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반주에 맞게 음성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반주신호에 믹싱하여 출력한다(S340). 결과적으로 반주신호의 최종 음절까지 출력이 완료되면(S350), 원곡신호와 비교하여 채점하게 된다(S360). 구체적인 채점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user inputs a voice to accompaniment using a microphone or the like. Accordingly, the input voice signal is mixed with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output (S340). As a result, when the output is completed up to the last syllable of the accompaniment signal (S350),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song signal is scored (S360). A specific scoring method is mentioned later.

도 4는 선곡된 노래의 장르에 따라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process of selecting corresponding image data according to a genre of a selected song.

도 4의 흐름에 따르면, 노래가 발라드 장르에 속한다면(S410), 발라드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한다(S420). 발라드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로는 잔잔한 호수 장면, 로맨틱 영화, 발라드 가수의 뮤직비디오 등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ow of FIG. 4, if the song belongs to the ballad genre (S410),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ballad is selected (S420).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ballad may be data such as a calm lake scene, a romantic movie, a music video of a ballad singer, and the like.

한편, 노래가 댄스 장르라면(S430), 댄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한다(S440). 예를 들어, 격렬한 자동차 경주 장면, 액션 영화, 댄스 가수의 뮤직비디오 등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ong is a dance genre (S430), the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dance is selected (S440). For example, the data may be a violent car race scene, an action movie, a music video of a dance singer, and the like.

노래가 트로트 장르라면(S450), 트로트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재생한다(S460). 예를 들어, 흥겨운 고향 장터 장면, 트로트 가수의 뮤직 비디오 등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If the song is a trot genre (S450),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trot is reproduced (S460). For example, it may be data such as an exciting home market scene, a trot singer's music video,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노래 분위기와 매칭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제조자 또는 사용자는 영상데이터 저장 시에 노래 장르 별로 지정하여 저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lect image data that matches the song mood, the manufacturer or user of the portabl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designates and stores each song genre when storing the image dat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에서의 채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oring method in the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따르면, 노래가 선곡되어 반주신호, 자막신호, 영상화면신호 등이 출 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음성신호가 입력되면(S510), 입력된 음성신호는 증폭, 필터링 등의 소정 처리를 거쳐서 반주신호와 믹싱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S520). 이 경우, 음성신호 및 반주신호가 믹싱된 합성신호와 원곡신호를 비교하기 위해서, 각 신호를 소정 시간 주기 별로 분할한다(S530). 이에 따라, 분할된 각 시간 구간하에서 합성신호 및 원곡신호를 각각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주파수 크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검출한다(S530). 이를 위해, 각 주파수 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필터나, F/V 변환회로(Frequency to Voltage conver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a song is selected and an accompaniment signal, a caption signal, a video screen signal, and the like are output, when an audio signal is input (S510), the input voice signal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process such as amplification and filtering. The accompaniment signal is mixed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S520). In this case, in order to compare the synthesized signal mixed with the audio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the original signal signal, each signal is divided at predetermined time periods (S530). Accordingly,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signal are converted into frequency signals under each divided time interval, and the frequency magnitude is checked, and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frequency is detected (S530). To this end, a filter for dividing each frequency signal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 frequency to voltage converter, or the like may be used.

이에 따라, 각 주기 별로 검출된 전압값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다(S540). 연산된 차이값이 소정 크기 이상이라면, 합성신호 및 원곡신호가 어느 정도 차이가 난다는 의미, 즉, 사용자의 음이 원곡신호와 다르다는 표시가 된다. 차이값이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차이값에 대응되는 차감값을 산정한다(S550). 이에 따라, 반주신호의 최종 주기까지 출력이 완료되면, 전체 구간에서 산정된 차감값을 합산하여(S560), 기준 점수에서 차감한다(S570).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채점 결과 점수를 연산하게 된다(S570).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이값이 소정 크기 이상인 구간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최종 채점 결과점수를 연산할 수도 있다. 또한, 박자가 틀린 구간도 카운트하여, 채점 결과 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etected voltage values for each period is calculated (S540). If the calculated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it means that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music signal are somewhat different, that is, the user's sound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usic signal.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ize, a subtra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S550). Accordingly, when the output is completed by the final period of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deduction value calculated in the entire section is added (S560), and subtracted from the reference score (S570). Accordingly, the scoring result score is finally calculated (S570). As described above, the final scoring result score may be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sections having a difference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In addition, the interval of the wrong beat may be counted and reflected in the scoring result score.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described above,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라오케 시스템, TV, PC, 노트북 PC, MP3 플레이어, 휴대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된 다양한 기기에서 노래방 기능을 구현하는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ortable audio p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Karaoke functions in various devices including a display screen, such as a karaoke system, a TV, a PC, a notebook PC, an MP3 player, a mobile phone, and the like, are described. Will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to imple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래가 선곡되면, 해당 노래의 분위기와 매칭되는 영상화면신호를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줌으로써, 노래를 부르고자 하는 사용자의 흥미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ong is selected, by selectively playing 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od of the song, the interest of the user who wants to sing the song can be increased.

또한, 하드디스크 메모리를 이용함으로써, 반주신호파일이나 원곡신호파일을 MP3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점 과정에서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반주신호가 믹싱된 합성신호와 원곡신호 간의 음정을 비교하여 정확한 채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by using the hard disk memory, the accompaniment signal file or the original music signal file can be stored as an MP3 file. Accordingly, in the scoring process, accurate scoring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pitch between the synthesized signal mixed with the user's voice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또한, 휴대용이므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노래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rtable, anytime, anywhere can easily implement karaoke funct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주데이터, 가사데이터, 원음데이터 및 영상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accompaniment data, lyrics data, original sound data, and image data; 소정의 노래를 선택하기 위한 선곡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부;An input unit providing a function of receiving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song; 상기 선곡명령에 대응되는 반주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반주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신호처리부;An audio signal processor which reads accompani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music selection command from the memory unit and reproduces the accompaniment signal; 상기 선곡명령에 대응되는 가사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가사신호를 재생하는 자막처리부;A caption processing unit which reads lyrics data corresponding to the music selection command from the memory unit and reproduces the lyrics signal;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데이터 중 상기 선곡명령에 의해 선택된 노래에 대응되는 소정의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selecting predetermine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by the selection command from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 및 상기 자막처리부 각각으로부터 재생되는 상기 반주신호, 상기 가사신호 및, 상기 영상화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lyrics signal, and the video screen signal reproduced from each of the audio signal processor and the subtitle proces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영상화면신호를 재생하는 영상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And a video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 video screen signal by reading the video data selected by the controller from the memor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MP3 파일을 재생하는 MP3 재생모드 및 노래방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According to a mode selec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 one of the MP3 playback mode for playing back the MP3 files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karaoke mode for performing the karaoke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는,The audio signal processor, 상기 제어부가 상기 MP3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MP3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And when the controller operates in the MP3 playback mode, the MP3 file pre-stored in the memo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외부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입력부; 및,A voice input unit providing a function of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And,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시킨 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And amplify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put un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메 모리로부터 상기 반주신호에 대응되는 원곡신호를 독출하여 상기 합성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채점 결과 점수를 연산하는 점수채점부;를 더 포함하며,A score grading unit that synthesizes the voice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to generate a synthesized signal, and then calculates a predetermined scoring result score by reading the original mus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signal from the memory and comparing the synthesized signal with the synthesized signal; Mo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주신호, 가사신호, 및, 영상화면신호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채점 결과 점수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put unit to display the scoring result score on the screen when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lyrics signal, and the video screen signal are outpu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점수채점부는,The score scoring unit, 상기 합성신호 및 상기 원곡신호를 각각 소정 시간 주기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구간하에서 상기 합성신호 및 상기 원곡신호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검출하는 전압값검출부; A voltage value detector for dividing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into predetermined time periods and detecting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o frequencies of each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the original signal under each divided section; 소정 구간에 검출된 상기 합성신호 및 상기 원곡신호 각각의 전압값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 후, 상기 차이값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차감값을 산정하는 제1 연산부; 및,A first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after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synthesized signal detect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voltage value of each of the original signal signal; And, 상기 분할된 각 구간 하에서 산정된 차감값을 합산한 후, 합산값을 소정의 기준점수로부터 감산하여, 감산 결과 값을 상기 채점 결과 점수로써 상기 출력부로 제공하는 제2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And a second operation unit which adds the subtraction value calculated unde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subtracts the sum value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score, and provides a subtraction result value to the output unit as the scoring result score. Portable audio play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반주신호 및 상기 원곡신호는 각각 MP3 파일 포맷 신호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And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the original song signal are MP3 file format signals, respectivel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선곡명령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장르, 템포, 가수명, 분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And confirm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of the genre, tempo, singer name, and mood of the song selected by the selection command, and then selec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상기 메모리부는,The memory unit, 하드 디스크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A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comprising a hard disk memory. 복수개의 영상데이터가 저장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오디오 재생방법에 있어서,In the audio playback method of a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that stores a plurality of video data, (a) 소정의 노래를 선택하기 위한 선곡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곡명령에 대응되는 반주신호 및 가사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단계;(a)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song is input, reproducing and outputting an accompaniment signal and a lyric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b) 상기 복수개의 영상데이터 중 상기 노래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영상화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b) selectively reproduc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from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and outputting a video screen signal; (c)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반주신호에 믹싱하여 출력하는 단 계; 및(c) mixing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outputting the mixed accompaniment signal; And (d) 상기 반주신호, 상기 가사신호 및 상기 영상화면신호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음성신호의 입력상태에 대응되는 점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방법.(d) outputting a score corresponding to an input state of the audio signal when output of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lyrics signal, and the video image signal is completed.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MP3 파일을 재생하는 MP3 재생모드 및 노래방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명령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whether to receive a m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one of an MP3 playback mode for playing an MP3 file and a karaoke mode for performing a karaoke function; 상기 MP3 재생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If it is determined that a m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MP3 playback mode is received, play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MP3 music file; And, 상기 노래방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a) 내지 (d)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m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karaoke mode has been received, performing the steps (a) to (d).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b)단계는,In step (b), 복수개의 노래를 노래 장르별로 분류한 후, 각 장르별로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Classifying a plurality of songs by song genres, and designating and stor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genre; And, 상기 선곡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곡명령에 의해 선택된 노래가 속하는 장르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 오 재생방법.And when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selec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genre to which the song selected by the selection command belongs.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b)단계는,In step (b), 복수개의 노래를 노래 템포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템포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템포 그룹별로 영상데이터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Classifying a plurality of songs into at least one tempo group according to a song tempo, and then designating and storing image data for each tempo group; 상기 선곡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곡명령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템포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tempo of a song selected by the selection command when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And, 상기 선택된 노래의 템포가 속한 템포 그룹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방법.And selec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tempo group to which the tempo of the selected song belongs.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d)단계는,In step (d),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반주신호가 믹싱된 합성신호와 상기 원곡신호 각각의 주파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소정 시간 주기마다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magnitude of each of the synthesized signal mixed with the audio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the original music signal at predetermined time periods; 각 시간 주기마다 검출되는 전압값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 후, 상기 차이값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차감값을 산정하는 단계;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after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voltage values detected at each time period; 상기 각 시간 주기마다 산정된 차감값을 합산하는 단계; 및,Summing calculated deduction values for each time period; And, 소정의 기준점수로부터 상기 합산값을 감산한 후, 감산 결과값을 채점 결과 점수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방법.Subtracting the sum value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score and outputting the subtraction result value as a scoring result score.
KR1020050033177A 2005-04-21 2005-04-21 Portable audio player with karaok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Abandoned KR200601106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77A KR20060110689A (en) 2005-04-21 2005-04-21 Portable audio player with karaok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77A KR20060110689A (en) 2005-04-21 2005-04-21 Portable audio player with karaok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689A true KR20060110689A (en) 2006-10-25

Family

ID=3761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177A Abandoned KR20060110689A (en) 2005-04-21 2005-04-21 Portable audio player with karaok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068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32B1 (en) * 2008-04-15 2009-12-15 주식회사 엔터기술 How to Select a Background Image in the Karaoke Cy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32B1 (en) * 2008-04-15 2009-12-15 주식회사 엔터기술 How to Select a Background Image in the Karaoke 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83376A (en) LDP karaoke device
US825300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match keys between music being reproduced and music being performed and audio reproduc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US7525033B2 (en) Karaoke system which displays musical notes and lyrical content
JP2007310204A (en) Musical piece practice support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4212446B2 (en) Karaoke equipment
JP7367835B2 (en) Recording/playback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the recording/playback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4839967B2 (en) Instruction device and program
JP2007233078A (en) Evalu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486941B2 (en) A karaoke device that makes you feel like singing to the audience
JP3562068B2 (en) Karaoke equipment
KR20060110689A (en) Portable audio player with karaok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0255782Y1 (en) Karaoke apparatus for practice on the instrumental accompaniments
JP3962114B2 (en) Karaoke equipment
JP2000047677A (en) Karaoke device
JP2011154290A (en) Karaoke machine for supporting singing of music partially including solitary duet
JP2005107285A (en) Musical piece reproducing apparatus
JP4007298B2 (en) Karaoke device and program
JP2005107332A (en) Karaoke equipment
JP6474292B2 (en) Karaoke equipment
JP6057079B2 (en) Karaoke device and karaoke program
JP2009008934A (en) Music playback device
JP2005250242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cording medium
JP2019045755A (en) Singing evaluation device, singing evaluation program, singing evaluation method and karaoke device
JP2006184684A (en) Music reproducing device
KR100233645B1 (en) A function control method of kara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7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