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418A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14418A KR20060114418A KR1020050036352A KR20050036352A KR20060114418A KR 20060114418 A KR20060114418 A KR 20060114418A KR 1020050036352 A KR1020050036352 A KR 1020050036352A KR 20050036352 A KR20050036352 A KR 20050036352A KR 20060114418 A KR20060114418 A KR 200601144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diode
- region
- image sensor
- cmos image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03—Pixels having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10F39/8033—Photosensitive are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0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다이오드의 표면에 잔류하는 디펙트를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포토다이오드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판에 앤형 이온을 주입하여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표면으로 부터 소정 깊이까지 비정질화시키는 단계;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비정질화된 영역을 단결정화시키는 단계; 상기 비정질화된 영역에 피형 이온을 주입하여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that removes the defect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hotodiode, so that the photodiode can be operated efficiently, and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ed by Forming an annular region of the photodiode; Implanting ions into the anneal region of the photodiode to amorphize from a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Perform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o single crystallize the amorphous region;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comprising the step of implanting the implanted ions into the amorphous region to form the ann region of the photodiode.
Description
도1은 시모스 이미지센서에서의 한 단위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one unit pixel in a CMOS image sensor.
도2는 도1에 도시된 단위회소를 이루는 4개의 모스트랜지스터의 공정단면도.FIG. 2 is a process cross-sectional view of four MOS transistors forming a unit cycle shown in FIG.
도3은 도2에 도시된 4개의 모스트랜지스터의 공정평면도.3 is a process plan view of four MOS transistors shown in FIG.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미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5a 내지 도5g는 종래기술에 의한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단면도.5A to 5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6a 내지 도6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단면도.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기판 31 : 소자분리막30
32 : 감광막 패턴 33 : 게이트 패턴32: photosensitive film pattern 33: gate pattern
34 : 감광막 패턴 35 :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34: photosensitive film pattern 35: anneal region of photodiode
36 : 플로팅 노드 37 : 감광막 패턴36: floating node 37: photoresist pattern
38 : 감광막 패턴 39 : 포토다이오드의 피형영역38: photoresist pattern 39: photodiode area of photodiode
본 발명은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포토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an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diode of a CMOS image sensor.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중 이미지센서는 광학 영상(optical imag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장치로서, 대표적인 이미지센서 소자로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와 시모스 이미지센서를 들 수 있다.In general, an image sensor of a semiconductor device i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onverts an optical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Representative image sensor devices includ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nd a CMOS image sensor.
그 중에서 전하결합소자는 개개의 MOS(Metal-Oxide-Silicon) 캐패시터가 서로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으면서 전하 캐리어가 캐패시터에 저장되고 이송되는 소자이며, 시모스 이미지센서는 제어회로(control circuit) 및 신호처리회로(signal processing circuit)를 주변회로로 사용하는 시모스 기술을 이용하여 각 화소(pixel)수에 대응하는 모스 트랜지스터(통상적으로 4개의 모스트랜지스터)를 만들고 이것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소자이다.Among them, the charge-coupled device is a device in which charge carriers are stored and transported in the capacitor while individual metal-oxide-silicon (MOS) capacitors are located very close to each other. By using CMOS technology that uses a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peripheral circuit, a MOS transistor (typically four MOS transisto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ixels is made and sequentially output using the MOS transistor.
도1은 시모스 이미지센서에서의 한 단위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one unit pixel in a CMOS image sensor.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한 단위화소 내에는 1개의 포토다이오드(10)와 4개의 앤모스트랜지스터(11,12,13,14)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앤모스트랜지스터(11,12,13,14)는 포토다이오드(10)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전하감지노드(N)로 운송하 기 위한 전달 모스트랜지스터(11)와, 다음 신호검출을 위해 전하감지노드(11)에 저장되어 있는 전하를 배출하기 위한 리셋 모스트랜지스터(12)와, 소스 팔로워(Source Follower) 역할을 하는 드라이브 모스트랜지스터(13) 및 스위칭(Switching) 역할로 어드레싱(Addressing)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셀렉트 모스트랜지스터(14)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one unit pixel includes one
이렇게 4개의 모스트랜지스터(11,12,13,14)와 하나의 포토다이오드(10)가 하나의 단위화소를 이루며, 시모스 이미지센서에 구비되는 단위화소의 수에 따라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픽셀어레이에 구비되는 포토다이오드(10)와 그에 대응하는 단위화소용 모스트랜지스터의 수가 정해지는 것이다.Four
도2는 도1에 도시된 단위회소를 이루는 4개의 모스트랜지스터의 공정단면도로서, 4개의 모스트랜지스터(11,12,13,14)가 각각 게이트로 신호(Tx,Rx,Dx,Sx)를 전달받아 포토다이오드(PD)에 전달된 빛이 출력단(Output)으로 전달되도록 구현되어 있다.FIG. 2 is a process cross-sectional view of four MOS transistors constituting a unit circuit shown in FIG. 1, and four
도3은 도2에 도시된 4개의 모스트랜지스터의 공정평면도이다.3 is a process plan view of four MOS transistors shown in FIG.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다이오드(10)에서 전달된 빛에 의해 모아진 전자를 전자를 출력단(Output)으로 전달하기 위해 4개의 모스트랜지스터(11, 12, 13, 14)의 게이트 패턴(Tx,Rx,Dx,Sx)이 각각 배치되고, 액티브영역(101 ~ 104)이 게이트 패턴(Tx,Rx,Dx,Sx)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As shown in FIG. 3, gate patterns Tx of four
여기서 액티브영역(101)이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모아진 전자를 전달받는 센싱노드이다.In this case, the
한 단위소자의 동작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포토다이오드(10)에 전달된 빛에 의해 모아진 전자가 전달트랜지스터(11)를 통해 센싱노드(101)에 전달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one unit device briefly, electrons collected by light transmitted to the
센싱노드(101)는 드라이빙 트랜지스터(13)의 게이트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빙 트랜지스터(13)은 센싱노드(101)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일측단에 접합된 액티브영역(103)의 전압레벨을 드라이빙하게 된다. 이어서 셀렉트 트랜지스터(104)가 턴온되어 액티브영역(103)에 인가된 전압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Since the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미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포토다이오드(10, PD)가 형성된 기판(20) 상부에 단위 화소(Pixel)를 이루는 청색(Blue), 적색(Red), 녹색(Green) 등의 칼라필터 어레이(CFA; Color Filter Array, 24)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소위 오버코팅 레이어(OCL; Over-Coating Layer, 25)라고 하는 평탄화막이 형성되어 있고, 칼라필터 어레이(14)와 오버랩되는 영역의 상부에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렌즈(Microlens, 16)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a color filter array (CFA) such as blue, red, and green, which form unit pixels on the
다층의 절연막(22) 사이에는 다층의 배선(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선(23)은 포토다이오드(10)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데, 금속으로 형성되는 배선은 광차단막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또한, 포토다이오드(10)에 인접한 기판(20) 상에는 복수의 모스트랜지스터(A영역)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4Tr 구조의 단위 화소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달 트랜지스터, 셀렉트 트랜지스터, 리셋 트랜지스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가 배 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MOS transistors (region A) are formed on the
마이크로렌즈(26) 상에는 스크래치(Scratch) 등으로부터 마이크로렌즈(26)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막(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29는 소자분리막을 나타내는 것이다.A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이크로 렌즈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직접적으로 입력받아 마이크로 렌즈로 전해주는 매크로 랜즈가 배치된다.Also, although not shown here, a macro lens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cro lens to directly receive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 the light to the micro len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에서 플로팅 노드(SD)로 전달된 전자에 의해 드라이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조절되고, 그 조절된 전압에 대응하여 드라이빙 트랜지스터의 소스단을 드라이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of the driving transistor is controlled by electrons transferred from the photodiode to the floating node SD,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regulated voltage.
도5a 내지 도5g는 종래기술에 의한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단면도이다.5A to 5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은 먼저, 기판(20)에 매립된 형태의 소자분리막(21)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A,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rst, an
이어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22)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막 패턴(22)을 이용해서, 포토다이오드와 인접소자간의 펀치스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이온주입을 진행한다. 이 때 인접소자는 문턱전압이 ~ 0V가 될 수 있도록 매우 낮은 도핑을 실시하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B, the
이어서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패턴(23)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C, the
이어서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24)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 막 턴(24)을 이용하여 이온주입공정을 진행하여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25)을 형성한다. 이어서 감광막 패턴(24)을 제거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D, the
이어서 도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27)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막 패턴(27)을 이용하여 이온주입 공정을 진행하여 플로팅노드(26)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E, the
이어서 감광막 패턴(27)을 제거한다.Next, the
이어서 도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28)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막 패턴(28)을 이용하여 이온주입 공정을 진행하여 포토다이오드의 피형영역(29)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F, the
이어서 도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28)을 제거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G,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모스 이미지센서를 제조하고 있는데, 최근에 매우 작은 이온주입으로도 포토다이오드가 형성된 지역에 디펙트(defect)가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 이 디펙트는 빛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전하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MOS image sensor is manufactured. Recently, even with very small ion implantation, defects have been observed in the region where the photodiode is formed. This defect has a fatal problem that can result in the loss of charge generated by irradiation of light.
따라서 이의 해결책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solution is urgently needed.
본 발명은 포토다이오드의 표면에 잔류하는 디펙트를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포토다이오드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to remove defect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hotodiode, so that the photodiode can operate efficiently.
본 발명은 기판에 앤형 이온을 주입하여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표면으로 부터 소정 깊이까지 비정질화시키는 단계;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비정질화된 영역을 단결정화시키는 단계; 상기 비정질화된 영역에 피형 이온을 주입하여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mplanting the ant-type ions into the substrate to form an anneal region of the photodiode; Implanting ions into the anneal region of the photodiode to amorphize from a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Perform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o single crystallize the amorphous region;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comprising the step of implanting the implanted ions into the amorphous region to form the ann region of the photodiode.
본 발명은 시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조할 때에 소자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진행하는 STI형 소자분리막 형성공정 및 이온주입과 열처리공정에 의해서, 구현되는 포토다이오드 영역내에서 생성된 많은 전하의 손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loss of a lot of charge generated in the photodiode region implemented by the STI-type device isolation film forming process and ion implantation and heat treatment process to increase the integration of the device when manufacturing the CMOS image sensor will be.
포토다이오드에서의 전하 전달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이온주입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포토다이오드의 잔류 디펙트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표면쪽의 피형 불순물을 주입하기 전에 게르마늄 이온주입 공정을 진행하여 피형이 될 영역을 비정질화한 후, 이에 발생된 데미지를 제거하기 위해 저온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charge transfer efficiency in the photodiode, the residual defect of the photodiode formed by the ion implantation process should be removed. To this end, the germanium ion implant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implanting the surface impurities. After the region is amorphous, a low temperature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remove the damage generated therefrom.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6a 내지 도6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단면도이다.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은 먼저, 기판(30)에 매립된 형태의 소자분리막(31)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6A,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MOS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rst, an
소자분리막(31)은 소자가 형성될 지역을 확보하고자, 소자가 생성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형성시키게 되는데, STI 형태의 소자분리막(3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판 표면에 많은 데미지 층을 남기게 된다. 이 때 생기는 데미지 층이 후속 포토다이오드가 형성된 영역의 디펙트로 작용하기도 한다.The
이어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32)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막 패턴(32)을 이용해서, 포토다이오드와 인접소자간의 펀치스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이온주입을 진행한다. 이 때 인접소자는 문턱전압이 ~ 0V가 될 수 있도록 매우 낮은 도핑을 실시하게 된다.6B, the
이어서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패턴(33)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C, a
이어서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34)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막 턴(34)을 이용하여 이온주입공정을 진행하여 포토다이오드의 앤형영역(35)을 형성한다. 앤형영역을 형성할 때에 넓은 영역을 확보하고자 높은 에너지와 전하를 용이하게 잘 생성될 수 있도록 저농도로 도핑하게 된다. 또한 푸른색 계통의 빛에 대한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약 1um 이하의 범위로 형성하도록 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D, the
이어서 감광막 패턴(34)을 제거한다.Subsequently, the
이어서 도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37)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막 패턴(37)을 이용하여 이온주입 공정을 진행하여 플로팅노드(36)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E, the
이 때 주입되는 이온은 게이트패턴(33)과 플로팅노드(36)에 모두 주입된다. 이온주입 공정을 진행한 이후에는 RTP 열공정을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implanted ions are implanted into both the
이어서 감광막 패턴(37)을 제거한다.Next, the
이어서 도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38)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막 패턴(38)을 이용하여 게르마늄 이온주입을 주입하여 일정두께의 비정질층층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매우 낮은 열처리를 진행하여 서서히 단결정화시킨다.(Solid Phase Epitaxy,SPE)6F, a
이 때 게르마늄 이온의 에너지는 10 ~ 100KeV 범위로 진행하고, 이온주입시 도우즈는 5.0E13 ~ 5.0E15 atoms/cm2의 범위로 진행하며, 틸트(tilt) 조건은 0 ~ 7도로 진행한다. 이 때 열처리는 N2분위기에서 로(furnace)를 이용하여 400 ~ 600도의 범위로 1 ~ 24시간의 범위에서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energy of the germanium ion proceeds in the range of 10 to 100 KeV, the dose at the time of ion implantation proceeds in the range of 5.0E13 to 5.0E15 atoms / cm 2 , and the tilt condition is 0 to 7 degrees. At this time,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 range of 1 to 24 hours in a range of 400 to 600 degrees using a furnace in an N 2 atmosphere.
이어서 고온열처리를 N2 분위기에서 RTP 장비를 이용하여 900 ~ 1500 범위로 10 ~ 30초 범위로 진행한다. Subsequently, the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 range of 10 to 30 seconds in a range of 900 to 1500 using a RTP equipment in an N 2 atmosphere.
이어서 이온주입 공정을 진행하여 포토다이오드의 피형영역(39)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n ion implant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the shaped
피형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은 BF2를 이용하여 에너지는 20 ~ 50KeV의 범위로 1.0E12 ~ 1.0E13 atoms/cm2의 범위로 틸트는 0 ~ 60도로 진행한다.In the process of implanting the ions of ions, the energy advances from 0 to 60 degrees in the range of 1.0E12 to 1.0E13 atoms / cm 2 in the range of 20 to 50 KeV with energy using BF 2 .
이 때 게르마늄 이온주입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바로 피형 불순물을 이옹주입하고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많은 디펙트들이 포토다이오드 영역에서 발 생되며, 이들 결함들은 쉽게 제거 되지 않는다.At this time, if the ion implantation is carried out without the germanium ion implantation process and the ion implantation is performed immediately, many defects are generated in the photodiode region, and these defects are not easily remov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에서는 전술한 디펙트들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게르마늄 이온을 주입하여 오히려 데미지를 많이 주어 일정 두께의 비정질층을 형성시킨 후 매우 낮은 열처리를 진행하여 서서히 단결정화시키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쉽게 디펙트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보다 매우 얇고 균일하게 포토다이오드영역의 표면부근에 피형영역을 만들 수 있다.Therefore,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MOS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easily remove the above-described defects, germanium ions are injected to give a lot of damage to form an amorphous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a very low heat treatment is performed to gradually single crystallize. Using technology.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suppress the defect as much as possible and to make the shaped region near the surface of the photodiode region much thinner and more uniformly than in the prior art.
이어서 도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28)을 제거한다.Then, as shown in Fig. 6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Esau.
본 발명에 의해서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포토다이오드 영역내에서 디펙트가 제거되어 입사된 빛에 대응하는 광전자를 전달하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ect may be removed in the photodiode region of the CMOS image senso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ferring the photoelectrons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light. This allows for a clearer imag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36352A KR20060114418A (en) | 2005-04-29 | 2005-04-29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36352A KR20060114418A (en) | 2005-04-29 | 2005-04-29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14418A true KR20060114418A (en) | 2006-11-06 |
Family
ID=376521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36352A Withdrawn KR20060114418A (en) | 2005-04-29 | 2005-04-29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60114418A (en) |
-
2005
- 2005-04-29 KR KR1020050036352A patent/KR20060114418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952096B2 (en) | CMOS image sensor with improved backside surface treatment | |
| US8129809B2 (en) | Imag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7405437B2 (en) |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 KR20100116048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sensor having gettering areas | |
| US20170287959A1 (en) | Image sensor | |
| JP4486043B2 (en) | CMOS imag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20060138492A1 (en) |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 KR100698100B1 (en) | CMOS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683392B1 (en) | CMOS image sensor | |
| KR20060114418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JP4115446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100843969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20060114417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20060114398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100593160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20070003013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100667499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20060114416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20060077076A (en) | CMOS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731093B1 (en) | CMOS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672686B1 (en) | CMOS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720467B1 (en) |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20060114440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
| KR100731118B1 (en) | CMOS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20060114400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MOS Image Sens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7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