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9553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제은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제은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553A
KR20060119553A KR1020050042672A KR20050042672A KR20060119553A KR 20060119553 A KR20060119553 A KR 20060119553A KR 1020050042672 A KR1020050042672 A KR 1020050042672A KR 20050042672 A KR20050042672 A KR 20050042672A KR 20060119553 A KR20060119553 A KR 20060119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bank
question
program
stored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4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553A/ko
Publication of KR2006011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55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제은행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인식 프로그램, 음성입력 프로그램 및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부; 문제를 입력하거나 문제를 풀 때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키가 포함된 다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와 완성된 문제들이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및 문제은행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고,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제를 불러내서 출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음성 녹음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오답 노트를 직접 작성함으로써 컨텐츠 사용료의 부담을 덜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오답 노트를 작성하여 학습자가 필요한 학습을 반복적으로 하여 학습 효과를 높여 준다.
문제은행, 오답 노트, 학습, 문자인식 프로그램, 음성입력 프로그램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제은행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tem Pool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업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이용자의 서비스 제공 요구에 따라 학습 컨텐츠 시스템이 행하는 업무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한 문제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한 문제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제 출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무선 기지국
124: 기지국 제어기 130: 이동통신 교환국
140: 게이트웨이 150: 인터넷망
160: 컨텐츠 제공 서버 170: 데이터베이스
230: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 240: 웹 서버
250: 학습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260: 학습자 이력 성적 관리 데이터베이스
400: 이동통신 단말기 402: 프로그램 메모리부
404: 키입력부 406: LCD 표시부
408: 임시 데이터 저장부 410: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412: 부가장치 처리부 414: 카메라
416: 가입자 정보 저장부 418: 마이크로프로세서
420: 디지털 신호 처리부 422: 베이스밴드 변환부
424: 스피커 426: 마이크로폰
428: RF 신호 처리부 430: RF 안테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제은행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를 입력하고,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보기를 하나씩 입력하며,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한 해설을 입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제은행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생들의 학습 방법은 통상 오프라인 상에서의 학습 방법과 온라인 상에서의 학습 방법으로 대별될 수 있다.
오프라인 상에서의 학습은 전통적인 방식으로서, 교과서, 학습지, 문제집 등을 이용하여 학습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험생 또는 학생들은 많은 교과서와 문제집, 학습지 등을 한꺼번에 가지고 다녀야 하는데, 보아야 할 책의 수가 많아지면서 부피 및 무게가 커져서 많은 교재를 전부 가지고 다닐 수는 없게 되었다. 또한, 문제집이나 참고서를 구입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한편, 이러한 책들은 매년 약간씩 수정되므로 해가 지나면 다시 볼 수 없어 새로운 교재를 구입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부담이 더욱더 증가하는 현실이다.
한편, 최근에는 컴퓨터를 학습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컴퓨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 및 문제풀이를 할 수 있는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사용의 확산으로 인하여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이 제안되고 있다. 즉, 컴퓨터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 서버에 접속한 후, 학 습 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학습 및 문제풀이를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무선 기지국(120)으로 송신하고, 무선 기지국(120)에서는 수신된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에서는 컨텐츠 제공 요청 신호에 따라 게이트웨이(140)와 인터넷망(150)을 거쳐 컨텐츠 제공 서버(160)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160)는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60)는 각종 학습 컨텐츠 멀티미디어 파일과 학습자 이력 관리 파일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70)를 내장 또는 외장으로 구비한 컨텐츠 제공 서버(160)이다.
도 2는 종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사이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업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서비스 업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면 게이트웨이(140)를 경유하여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에 접촉하고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은 학습자에게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은 인터넷망(150)과의 연결을 위한 웹 서버(240), 학습 컨텐츠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학습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50), 학습자의 등록 항목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학습자 이력 성적 관리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한다.
도 3은 이용자의 서비스 제공 요구에 따라 학습 컨텐츠 시스템이 행하는 업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용자인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 즉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학습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에 접속하여 학습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면(S302), 학습자에게 시스템에서 학습 컨텐츠 서비스의 내용을 나타내는 메뉴를 전송, 이 컨텐츠 서비스의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개시하는 단계(S304), 학습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에서는 그 서비스에 해당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6),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원하는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 신호를 받는 단계(S308),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에서 학습자 등록을 위한 등록 항목을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 그 등록 항목을 개시하는 단계(S310)와 학습자의 등록 항목 정보를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의 학습자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312), 학습자 이력 데이터베이스 등록 완료 단계(S314)를 거쳐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에서 학습자 단말기에 해당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S316), 컨텐츠 파일 전송 완료를 확인하는 단계(S318),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320), 학습자로부터 해답 입력받기 단계(S322), 학습 컨텐츠 업무 시스템(230)에서 문제를 채점하는 단계(S324), 및 정·오답 및 점수를 전송하는 단계(S326)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22, S324와 S326은 시스템 서버에서 행할 수도 있고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 컨텐츠 파일을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시, 동시에 다운로드시켜, 사용자 단말기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문제 출제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에 이 컨텐츠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 사용에 따른 데이터 이용료 및 컨텐츠 사용료를 동시에 과금받게 되어 컨텐츠 사용료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또한, 이미 만들어진 컨텐츠를 사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를 입력하고,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보기를 하나씩 입력하며,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한 해설을 입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제은행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은행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인식 프로그램, 음성입력 프로그램 및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부; 문제를 입력하거나 문제를 풀 때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키가 포함된 다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와 완성된 문제들이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및 문제은행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고,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제를 불러내서 출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촬영된 영상에서 프로그램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추출하고,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촬영된 영상에서 문제를 추출하고, 문제를 저장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저장된 문제를 편집한 후 저장하는 단계; (c)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단계 (c)에서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 아닌 경우 정답을 직접 입력받거나 영상 촬영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 (e) 단계 (c)에서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인 경우 촬영된 영상에서 보기를 추출하고, 보기를 저장하는 단계; (f) 단계 (e)에서 저장된 보기를 편집한 후 저장하는 단계; (g)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h) 영상 촬영을 통해 해설을 입력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단계; 및 (i) 저장된 문제에 해당되는 보기, 정답 및 해설을 구성하여 완성된 문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를 프로그램 메모리부 내부에 있는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문제를 저장하는 단계; (b) 음성 신호가 출력될 때 표시될 안내문을 입력받는 단계; (c)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단계 (c)에서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 아닌 경우 정답을 직접 입력받거나 영상 촬영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 (e) 단계 (c)에서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인 경우 영상 촬영을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보기를 추출하고, 보기를 저장하는 단계; (f) 단계 (e)에서 저장된 보기를 편집한 후 저장하는 단계; (g)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h) 영상 촬영을 통해 해설을 입력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단계; 및 (i) 저장된 문제에 해당되는 보기, 정답 및 해설을 구성하여 완성된 문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선택된 문제를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오고, 불러온 문제의 형태에 따라 LCD 표시부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문제를 출 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선택된 문제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오는 단계; (b) 선택된 문제가 음성 형태 문제인지 문자 형태 문제인지 문제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 (c) 단계 (a)에서 선택된 문제가 음성 형태 문제로 판단될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형태의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d) 단계 (b)에서 선택된 문제가 문자 형태 문제로 판단될 경우 LCD 표시부를 통해 문자 형태의 문제를 표시하는 단계; (e) 선택된 문제가 객관식 문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단계 (e)에서 저장된 문제가 객관식 문제인 경우, 보기를 불러온 후 순서를 랜덤하게 재배치하는 단계; (h) 키입력부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단계; (i)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답을 LCD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j) 저장된 정답의 해설 첨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k) 단계 (j)에서 첨부된 해설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해설을 출력하거나 LCD 표시부에 해설을 표시하고, 단계 (j)에서 첨부된 해설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문제 출제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문제은행에서의 문제 출제 과정을 나타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프로그램 메모리부(402), 키입력부(404), LCD( 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406), 임시 데이터 저장부(408),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410), 부가장치 처리부(412), 카메라(414),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416),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418),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420), 베이스밴드(Baseband) 변환부(422), RF 신호 처리부(428), 스피커(424), 마이크로폰(426) 및 RF 안테나(430)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부(402)에는 카메라(414)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문제은행 데이터(문제, 보기, 정답 및 해설)를 추출하기 위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문제 입력, 해설 입력을 위한 음성입력 프로그램 및 문제은행의 구성 데이터를 편집, 구성하기 위한 문제은행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은 카메라(414)로부터 촬영된 영상에서 숫자와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숫자와 문자 정보들을 통해 문제은행의 구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입력 프로그램은 마이크로폰(426)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녹음하고,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해 문제, 안내문 및 해설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문제은행 프로그램은 저장된 문제에 해당되는 보기, 정답 및 해설을 구성하고 편집하는 기능, 객관식 문제의 경우에는 보기의 순서를 랜덤하게 배치하는 기능 및 학습 후, 틀린 문제에 대해서는 오답률을 계산하여 오답률이 높은 문제의 경우 출제 빈도수를 높이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문자인식이란 각종 문자를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컴퓨터 등의 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문자인식의 처리 단계는 1. 전처리(Pre-processing), 2. 문서 구조 분석, 등록, 3. 문자 분리, 4.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5. 후처리(Post-processing)의 순으로 진행된다.
전처리는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변환된 문자의 기울어짐을 교정하거나 그림자와 같은 잡영을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문서 구조 분석, 등록은 문서의 구성 요소인 이미지와 문자(숫자)를 분리하거나 순서를 지정하거나 문서 형식을 정의하는 작업을 말한다. 문자 분리는 각 문자열의 영상을 추출하여 행별이나 단어별로 분리한 후, 각각의 개별 문자를 다시 분리하는 작업을 말한다. 패턴 매칭은 분리된 각각의 문자 영상에서 패턴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장 유사한 특징을 갖는 모델로 분류하여 후보 문자를 추출하고 신뢰도를 계산하는 작업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후처리는 사전에 기반하여 단어나 조사들의 인식 오류를 수정하거나 상호참조에 의한 인식 오류를 수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물론, 앞에서 간단하게 설명한 문자인식 방법 외에도 현재 다양한 문자인식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국내외에 다양한 문서 인식 제품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문서 인식 제품으로는 'Anypage'(삼성), 'Armi'(합산), '글눈'(HiArt)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인식 기술은 현재 개발되 어 사용되고 있는 모든 문자인식 기술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문자인식 기술은 사실상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키입력부(404)에는 문제은행의 구성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기능키, 문제의 보기를 선택하거나 직접 정답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 카메라(414)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 및 음성 녹음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한다.
LCD 표시부(406)는 배터리(Battery)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 시각 등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다. 또한, LCD 표시부(406)는 문제은행의 구성 데이터를 편집하여 문제를 입력하는 과정과 문제의 보기를 선택하여 정답을 입력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한다.
임시 데이터 저장부(408)는 카메라(414)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의 이미지 데이터와 마이크로폰(426)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의 음성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400) 카메라(414)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410)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인식한 문제은행의 구성 데이터와 음성입력 프로그램이 녹음한 음성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418)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등 반영구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410)에는 문제은행 데이터와 음성 신호를 편집하여 완성된 문제가 저장된다. 결국,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410)에는 문제은행의 구성 데이터와 음성 신 호를 저장하는 영역과 완성된 문제를 저장하는 영역이 분리되어 존재한다.
부가장치 처리부(412)는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부가적으로 연결되거나 장착되는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기능, 캠코더 기능, 오디오 기능 등을 가지는 부가장치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414)는 소형 렌즈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00) 내부에 장착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문제은행 데이터로 입력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416)에는 단말 식별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전자적 고유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개인 보안키,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416)는 카드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400) 내부의 슬롯(Slot)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400)와 음성 패킷망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18)는 카메라(414)가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와 마이크로폰(426)을 통하여 입력한 음성 신호를 임시 데이터 저장부(408)로 읽어들여 프로그램 메모리부(402)에 있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이미지 데이터에서 문제은행의 구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음성 신호를 녹음하고, 추출된 문제은행의 구성 데이터와 녹음된 음성 신호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 또한, 학습자가 문제은행 데이터와 음성 신호를 편집하여 문제를 입 력하고자 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418)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된 문제은행 데이터와 음성 신호를 불러들이고, 프로그램 메모리부(402)의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문제은행 데이터와 음성 신호를 편집하여 완성된 문제를 작성하고, 완성된 문제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20)는 문제은행 구성에 필요한 음성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코딩(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하고 다중 경로 잡음의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42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422)와 음성 신호(SPEECH)를 주고 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422)로부터 문제은행 구성에 필요한 문제 파일과 해설 파일을 수신한다(RX DATA).
베이스밴드 변환부(422)는 RF 신호 처리부(428)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420), 스피커(424) 및 마이크로폰(426) 사이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베이스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422)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428)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428)의 전력(POWER)을 제어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428)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RF 신호 처리부(428)는 RF 안테나(43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밴드 변환부(422)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424)는 베이스밴드 변환부(422)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426)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즉, 마이크로폰(426)을 통하여 문제은행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고,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해 녹음된 문제 데이터와 해설 데이터가 재생되면 음향 성분은 스피커(424)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의 문제은행 제공 방법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 문제은행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스터디 그룹 등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한 문제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프로그램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제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10).
단계 S51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는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글자를 수정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편집한 후 편집 결과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20).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30).
단계 S530에서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라고 판단한 경우 촬영된 영상에서 프로그램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기를 추출 하고, 추출된 보기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32).
단계 S532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보기는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글자를 수정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편집한 후 편집 결과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34).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가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36), 단계 S536에서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킨 것으로 판단한 경우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른 보기를 추출하여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보기는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편집된 후 편집 결과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계 S536에서 보기 추가 작업을 종료시킨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계 S54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보기 추가 작업은 이미 추가된 보기에 대해서는 선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S530에서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 아닌 경우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정답을 직접 입력받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답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답을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40).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설을 추출하고, 추출된 해설을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는 베이스밴드 변환부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코딩(Coding)하여 잡음을 제거하 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내지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메모리부의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녹음 명령에 따라 해설 데이터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50).
문제은행 프로그램은 저장된 문제에 해당되는 보기, 정답 및 해설을 구성하고 완성된 문제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60).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한 문제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문제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음성 신호는 베이스밴드 변환부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코딩(Coding)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내지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메모리부의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녹음 명령에 따라 문제 데이터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S610),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한 문제 등록 과정은 방송 회화를 녹음하여 문제로 등록함으로써 회화 학습도 겸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부의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재생 명령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로 보내게 되고, 보내진 문제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변환부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문제은행 프로그램은 문제가 출력될 때 표시될 안내문을 학습자로부터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입력받는다(S620). 여기서, 안내문은 단순히 문제가 출력될 때 표시될 안내문뿐만 아니라 그림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출제될 때 표시될 그림을 입력받는 것도 포함한다.
단계 S630 내지 단계 S640은 도 5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계 S530 내지 단계 S540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단계 S630에서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라고 판단한 경우 촬영된 영상에서 프로그램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기를 추출하고, 추출한 보기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632).
단계 S632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보기는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글자를 수정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편집한 후 편집 결과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634).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가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36), 단계 S636에서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킨 것으로 판단한 경우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른 보기를 추출하여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보기는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편집된 후 편집 결과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계 S636에서 보기 추가 작업을 종료시킨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계 S64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보기 추가 작업은 이미 추가된 보기에 대해서는 선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S630에서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 아닌 경우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정답을 직접 입력받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답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답을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S640).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설을 추출하고, 추출된 해설을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는 베이스밴드 변환부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코딩(Coding)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내지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메모리부의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녹음 명령에 따라 해설 데이터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650).
문제은행 프로그램은 저장된 문제에 해당되는 보기, 정답 및 해설을 구성하고 완성된 문제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66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제 출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문제가 선택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선택된 문제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온다(S710). 상기 문제를 불러오는 단계는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 오답률을 계산하여 오답률이 높은 문제의 출제 빈도수를 높여서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는 선택된 문제가 음성 형태 문제인지 문자 형태 문제인지 문제 형태를 판단한다(S720).
단계 S720에서, 선택된 문제가 음성 형태 문제로 판단된 경우 마이크로프로 세서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의 문제들 중에서 음성 형태 문제를 불러오고, 불러온 음성 형태 문제는 스피커로 출력된다(S722).
단계 S720에서, 선택된 문제가 문자 형태 문제로 판단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의 문제들 중에서 문자 형태 문제를 불러오고, 불러온 문자 형태 문제를 LCD 표시부에 나타낸다(S730).
저장된 문제의 보기 첨부 여부에 따라 객관식 문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단계 S740에서 저장된 문제가 객관식 문제인 경우, 보기를 불러온 후 순서를 랜덤하게 재배치하고(S742), 단계 S740에서 저장된 문제가 객관식 문제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S750을 수행한다. 여기서, 보기를 불러오는 단계는 문제를 출제할 때마다 보기의 순서를 랜덤하게 바꿔서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객관식 문제인 경우, 보기 선택을 통하여 정답을 입력받고, 객관식 문제가 아닌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통하여 정답을 입력 받는다(S750).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답을 LCD 표시부에 나타낸다(S760).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는 저장된 정답의 해설 첨부 여부를 판단한다(S770).
단계 S770에서, 첨부된 해설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데이터를 불러오고,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해설을 불러오고, LCD 표시부에 나타낸다(S772).
단계 S770에서, 첨부된 해설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문제 출제 과정을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음성 녹음을 이용한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오답 노트를 직접 작성함으로써 컨텐츠 사용료의 부담을 덜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오답 노트를 작성하여 학습자가 필요한 학습을 반복적으로 하여 학습 효과를 높여 준다.

Claims (27)

  1.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 상기 음성입력 프로그램 및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부;
    문제를 입력하거나 상기 문제를 풀 때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키가 포함된 다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
    상기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와 완성된 상기 문제들이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상기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통한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를 불러내서 출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숫자와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숫자와 상기 문자 정보들을 통해 상기 문 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문제, 보기, 정답 및 해설을 포함하는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 프로그램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문제나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음성 신호를 통해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문제, 상기 해설을 입력하고, 상기 문제은행 출제 과정에서 저장된 상기 문제, 상기 해설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은 저장된 상기 문제에 해당되는 보기, 정답 및 해설을 구성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은 상기 문제은행의 상기 문제가 객관식 문제인 경우, 보기의 순서를 랜덤하게 배치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은 틀린 문제에 대해서는 오답률을 계산하여 상기 오답률이 높은 문제의 경우, 출제 빈도수를 높이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과 완성된 상기 문제를 저장하는 영역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와 완성된 상기 문제를 저장하거나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은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프로그램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추출하고,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문제를 추출하고, 상기 문제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저장된 상기 문제를 편집한 후 저장하는 단계;
    (c) 저장된 상기 문제 유형이 객관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저장된 상기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정답을 직접 입력받거나 영상 촬영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
    (e) 상기 단계 (c)에서 저장된 상기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보기를 추출하고, 상기 보기를 저장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에서 저장된 상기 보기를 편집한 후 저장하는 단계;
    (g)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h) 영상 촬영을 통해 해설을 입력받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단계; 및
    (i) 저장된 상기 문제에 해당되는 상기 보기, 상기 정답 및 상기 해설을 구성하여 완성된 문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은행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문제은행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스터디 그룹 등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문제를 추출하고,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문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저장된 상기 문제는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글자를 수정하거나 학습자의 편의에 맞게 편집한 후 편집 결과를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단계 (c)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보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보기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저장된 상기 보기는 상기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글자를 수정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편집한 후 편집 결과를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g)의 상기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킨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른 보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보기는 편집한 후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단계 (g)의 상기 보기 추가 작업을 종료시킨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단계 (h)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g)의 상기 보기 추가 작업은 이미 추가된 보기에 대해서는 선택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해설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해설을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는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코딩(Coding)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내지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부의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녹음 명령에 따라 해설 데이터를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문제은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8.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음성 신호를 프로그램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문제에 해당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될 때 표시될 안내문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유형이 객관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저장된 상기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정답을 직접 입력받거나 영상 촬영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
    (e) 상기 단계 (c)에서 저장된 상기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라고 판단한 경우 영상 촬영을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보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보기를 저장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에서 저장된 상기 보기를 편집한 후 저장하는 단계;
    (g) 보기 추가 작업을 계속 진행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h) 영상 촬영을 통해 해설을 입력받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해설에 해당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단계; 및
    (i) 저장된 상기 문제에 해당되는 상기 보기, 상기 정답 및 상기 해설을 구성하고 완성된 문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음성 신호는 베이스밴드 변환부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코딩 (Coding)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내지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녹음 명령에 따라 문제 데이터를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문제은행 입력 방법은 방송 회화를 녹음하여 문제로 등록함으로써 회화 학습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상기 안내문은 단순히 상기 문제가 출력될 때 표시될 문자 형태의 안내문 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상기 문제가 출제될 때 표시될 상기 이미지를 입력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음성 신호는 베이스밴드 변환부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코딩(Coding)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내지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입력 프로그램의 녹음 명령에 따라 해설 데이터를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제은행의 구성에 필요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
  23.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선택된 문제를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오고, 불러온 상기 문제의 형태에 따라 LCD 표시부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출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선택된 상기 문제를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오는 단계;
    (b) 선택된 상기 문제가 음성 형태 문제인지 문자 형태 문제인지 문제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선택된 상기 문제가 상기 음성 형태 문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음성 형태의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상기 문제가 상기 문자 형태 문제로 판단된 경우 상기 LCD 표시부를 통해 상기 문자 형태의 문제를 표시하는 단계;
    (e) 선택된 상기 문제의 보기 첨부 여부에 따라 객관식 문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에서 저장된 상기 문제가 상기 객관식 문제인 경우, 상기 보기를 불러온 후 순서를 랜덤하게 재배치하는 단계;
    (h)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단계;
    (i)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정답을 상기 LCD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j) 저장된 상기 정답의 해설 첨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k) 상기 단계 (j)에서 첨부된 상기 해설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해설을 출력하거나 상기 LCD 표시부에 상기 해설을 표시하고, 상기 단계 (j)에서 첨부된 상기 해설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문제 출제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문제은행에서의 문제 출제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문제은행 프로그램에서 오답률을 계산하여 상기 오답률이 높은 문제의 출제 빈도수를 높여서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문제은행에서의 문제 출제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선택된 상기 문제가 상기 음성 형태 문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의 문제들 중에서 상기 음성 형태 문제를 불러오고, 불러온 상기 음성 형태 문제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문제은행에서의 문제 출제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선택된 상기 문제가 상기 문자 형태 문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의 문제들 중에서 상기 문자 형태 문제를 불러오고, 불러온 상기 문자 형태 문제를 상기 LCD 표시부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문제은행에서의 문제 출제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문제를 출제할 때마다 상기 보기의 순서를 랜덤하게 바꿔서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문제은행에서의 문제 출제 방법.
KR1020050042672A 2005-05-20 2005-05-2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제은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ithdrawn KR20060119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72A KR20060119553A (ko) 2005-05-20 2005-05-2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제은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72A KR20060119553A (ko) 2005-05-20 2005-05-2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제은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53A true KR20060119553A (ko) 2006-11-24

Family

ID=3770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672A Withdrawn KR20060119553A (ko) 2005-05-20 2005-05-2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제은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5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3722B2 (en) Cradle for mobile telephone, videophone system, karaoke system, car navigation system, and emergency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KR20000059925A (ko) 음악파일의 전송방법 및 그 장치
CN109117235A (zh) 一种业务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相关设备
KR20190100694A (ko) 사용자 필기 데이터 기반의 학습 성취도 판단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CN106686639A (zh) 用于智能语音交互设备的网络配置方法、装置及相关设备
JP4268667B2 (ja) 音声情報記録装置
CN106686226A (zh) 一种终端音频播放方法及系统
JP2002132134A (ja) 学習方法、学習システム、学習管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2021012341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362249B1 (ko) 통합메세징시스템을 이용한 어학교육시스템 및 그것을활용한 학습관리방법
KR2006011955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제은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8044039A1 (en) Communications systems
CN113842632B (zh) 智能棋牌设备及智能棋牌系统
CN112968990B (zh) 一种儿童通讯辅助设备
CN109088813B (zh) 基于生物识别信息的语音通知传输方法及设备
KR20050030711A (ko) 바코드 인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N103685523B (zh) 一种对多媒体数据进行处理的方法和装置
KR20060109567A (ko)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의 맞춤형 외국어 학습서비스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1078992A (zh) 一种听写内容生成方法及电子设备
KR20040096436A (ko) 통신망을 통하여 골프 레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207006B1 (ko)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162188B1 (ko)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교육 방법 및 시스템
JP2002132609A (ja) 通信端末、プログラム格納媒体および記録媒体
KR100742543B1 (ko) 다국어 지원 독서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이용한 독서방법
CN103778359A (zh) 多媒体信息处理系统及多媒体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