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459A - Door assembly - Google Patents
Doo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2459A KR20070002459A KR1020050058008A KR20050058008A KR20070002459A KR 20070002459 A KR20070002459 A KR 20070002459A KR 1020050058008 A KR1020050058008 A KR 1020050058008A KR 20050058008 A KR20050058008 A KR 20050058008A KR 20070002459 A KR20070002459 A KR 200700024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frame
- door
- slip member
- handle cover
- door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안정적으로 조작되는 건조기의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or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assembly of a dryer that is operated more stably.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도어 어셈블리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보스부를 가지며, 중앙부가 개구된 프론트 프레임;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도어 글래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 주위에 안착되는 미끌림 방지부재;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의 테두리를 덮으며, 상기 제1보스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연장부가 구비된 핸들 커버부; 상기 핸들 커버부의 연장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제1보스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door assembly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t least one first boss portion protruding inwardly, the front frame having a central opening; A door glas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shield the opened portion of the front frame; An anti-slip member seated around an inner edge of the front frame; A handle cover part covering an edge of the anti-slip member, the extension part having a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ss part; A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boss portion of the front frame by passing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handle cover portion; The rear frame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fram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ypical drum dry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도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ssembly for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손잡이 구조의 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structur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핸들 커버부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cover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끌림 방지부재의 부분절단 사시도. Figure 7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the anti-slip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Figure 8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hand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캐비닛 10 : 도어 어셈블리2: cabinet 10: door assembly
20 : 프론트 프레임 21 : 데코 판넬20: front frame 21: deco panel
25 : 제1보스부 30 : 도어 글래스25: first boss portion 30: door glass
31 : 커버 글래스 40 : 리어 프레임31: cover glass 40: rear frame
50 : 핸들 커버부 50a : 핸들부50: handle
60 : 미끌림 방지부재60: slip prevention memb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도어가 장착된 드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m dryer equipped with a door of an improved structure.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등의 피건조대상물에 고온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인데, 드럼 구동 방식의 건조기(이하 '드럼 건조기'라 한다)는 드럼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세탁물을 끌어올린 후 낙하시키므로 보다 신속하게 건조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상기 건조기능 외에 세탁물을 세탁시키는 기능이 추가되어 세탁 및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세탁 겸용 건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general, a dryer is a device that supplies hot dry air to a dry object, such as laundry, to be dried, and is dried. A drum-driven dr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um dryer) pulls the laundry as the drum rotates. Since it is raised and dropped, the drying work can be completed more quickly.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laundry combined dryer that performs laundry and drying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drying function is added, and thus a trend is being developed and used.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drum dryer.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드럼 건조기는 캐비닛(2), 드럼(3), 히터(미도시), 그리고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drum dryer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되는 개구부(2a)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는 터브(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의 내측에는 상기 드럼(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Here, an opening 2a through which laundry is enter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드럼(3)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각도 간격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터가 설치되는데, 상기 리프터(4)는 상기 드럼(3)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럼(3)의 회전시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들어올렸다가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At least one lifter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는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한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미도시)와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따라서, 건조작동 중에 상기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고온 건조한 열풍은 상기 드럼(3) 내부로 공급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a heater (not shown) for generating dry hot air and a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또한,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벨트에 의해 상기 구동력을 세탁축에 전달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이 적용되거나,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직접 세탁축에 전달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indirect driving method of rotating the drum b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washing shaft by a belt may be applied as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or directly transferr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to the washing shaft. Direct drive to rotate may be applied.
그리고, 상기 캐비닛(2) 상부의 후방에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9)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 패널(9)의 내부에는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품이 장착된다. In addition, a rear side of the
한편,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2a) 주변 일측에는 도어(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0)는 후크(11) 및 래치 어셈블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후크(11)는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34)는 상기 개구부(2a)의 테두리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개구부(2a) 테두리의 일측에 고정된 힌지부(13)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여기서,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도어(10)를 잠그면 상기 후크(11)는 래치 어셈블리(12)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10)가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반 면에, 상기 도어(10)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도어(10)를 당기면 상기 후크(11)가 래치 어셈블리(12)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10)가 개방된다. 상기 도어(10)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손잡이(10a)가 구비된다. Here, when the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force to lock th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의 손잡이는 사출물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사용자의 손에 습기가 묻은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가 미끄러워서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handl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ade of an injection molding or a metal material, when the user's hand is w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ndle is slippery and difficult to operat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 구조의 도어 어셈블리를 갖는 건조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having a door assembly of a more improved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보스부를 가지며, 중앙부가 개구된 프론트 프레임;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도어 글래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 주위에 안착되는 미끌림 방지부재;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의 테두리를 덮으며, 상기 제1보스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연장부가 구비된 핸들 커버부; 상기 핸들 커버부의 연장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제1보스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t least one first boss portion protruding inwardly, the front frame having a central opening; A door glas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shield the opened portion of the front frame; An anti-slip member seated around an inner edge of the front frame; A handle cover part covering an edge of the anti-slip member, the extension part having a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ss part; A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boss portion of the front frame by passing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handle cover portion; In addition, the rear fram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frame.
여기서, 상기 리어 프레임에는 상기 제1보스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 되고, 상기 홀 및 상기 핸들 커버부의 연장부에 형성된 홀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상기 제1보스부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어 프레임에는 상기 연장부를 클램핑하도록 돌출된 제2보스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frame may include a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ss portion, and a fastening member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boss portion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hole and an extension of the handle cover portion. In addition, the rear fram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ss portion protruding to clamp the extension portion.
상기 핸들 커버부에서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와 접하는 부분은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의 테두리에는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handle cov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nti-slip member may be opened, and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opened portion to insert the edge of the anti-slip member.
또한,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와 상기 프론트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고정 돌기가 구비되고, 대향되는 타측에는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anti-slip member and the front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ide may be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는 고무재질의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재질의 패드 상면에는 다수의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slip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pad.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pad upper surface of the rubber materi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어셈블리(10)는 프론트 프레임(20), 도어 글래스(30,31), 리어 프레임(40), 그리고 핸들 커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여기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20)은 상기 건조기의 전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데코 판넬(21)이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20)의 후방에는 커버 글래스(31)와 도어 글래스(30)가 구비되고, 상기 글래스(30, 31)들의 후방에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20)과 체결되는 리어 프레임(4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20) 및 리어 프레임(40)의 중앙부는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은 상기 커버 글래스(31) 또는 도어 글래스(30)에 의하여 차폐된다. In addition, the rear of 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20)의 배면 일측에는 핸들부(50a)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50a)에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의 일부를 이루는 핸들 커버부(5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20)의 타측에는 상기 캐비닛(2 : 도 1참조)에 형성된 개구부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힌지 연결부(70)가 구비된다. A
여기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20)과 리어 프레임(40)이 체결됨에 따라서, 상기 글래스(30,31)들 및 상기 핸들 커버부(50)는 상기 프레임들(20, 40)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 글래스(30)와 리어 프레임(40) 사이의 방수를 위하여 상기 도어 글래스(30)의 후방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방수용 링(32)이 구비된다. Here, as the
상기 도어 글래스(30)는 테두리를 따라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탄부(30a)와 상기 평탄부의 내측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진 차폐부(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방수용 링(32)은 상기 평탄부(30a)와 리어 프레임(40) 사이에서 압착되어 상기 드럼 및 터브 내의 세탁수 및 열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도어(1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부(50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캐비닛(2)의 개구부 테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연결부(70)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3, 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50a)는 상기 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대신에 내측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비교적 연속적인 외관을 이루게 된다. As shown, the
이하,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손잡이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handle of the door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손잡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20)에서 상기 핸들부(50a)의 도어반경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1보스부(25)가 돌출되고, 상기 제1보스부(25)의 내주면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70)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at least one
한편, 상기 핸들 커버부(50)에는 상기 제1보스부(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장부(55)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장부(55)에는 상기 제1보스부(25)에 연통되는 홀(55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리어 프레임(40)에는 상기 연장부(55)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제2보스부(45)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5, a
즉, 상기 핸들 커버부(50)의 연장부(55)가 제1보스부(25) 및 제2보스부(45)에 의해 클램핑 되어 있고, 체결부재(70)가 상기 리어 프레임(40)의 외측에서 제2보스부(45) 와 홀(55a) 및 제1보스부(25)를 동시에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That is,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제2보스부(45)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되 것과 같이 제1보스부(25)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핸들 커버부(50)는 상기 프레임들(20, 40)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일측에 형성된 연장부(55)를 관통하여 체결부재(70)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핸들 커버부(50)에 심한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핸들부(50a)에는 미끌림 방지부재(60)가 안착되고,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의 테두리는 핸들 커버부(50)에 의하여 덮임으로써 클램핑되어 고정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는 상기 핸들부(50a)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50a)의 내측으로 손을 집어넣으면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므로 미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slip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커버부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cov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커버부(50)의 상면 및 하면은 원호 형상을 이루고, 그의 단면은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핸들 커버부(5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커버부(50)에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20)과 접하는 면의 일부분은 개구되는데, 상기 개구된 부분의 테두리에는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고정홈(53)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또한, 상기 핸들 커버부의 일측에는 홀(55a)이 형성된 연장부(55)가 구비되는데, 상기 홀(55a)을 통하여 체결부재(70)가 삽입된다. In addition, an
한편, 도 7은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the anti-slip member.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패드(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7, the anti-slip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는 사출물로 이루어진 베이스(61)의 상부에 고무 재질의 패드(62)가 사출성형 방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는 수지재질의 베이스(61)의 상부에 고무재질의 패드(62)가 2중으로 사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베이스(61)의 상부에 상기 고무재질의 패드(62)가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the anti-slip
또한, 상기 고무재질의 패드(62) 외측면에는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돌출부(6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62a)의 형상은 줄무늬 또는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물결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무재질의 패드(62)에는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개소의 오목한 부분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64)가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20)에 형성된 핸들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돌기(64)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24)이 형성됨이 바 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at least one fixing
물론, 상기 핸들부에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의 하면에 상기 고정돌기(64)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50a)에는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가 안착되는 위치를 정확히 안내하도록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의 형상에 대응하는 면적만큼 함몰된 가이드홈(2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and a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이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커버부(50)에 구비된 연장부(55)가 상기 제1보스부(25)의 끝단에 안착되고, 스크류등의 체결부재(70)가 상기 연장부(55)에 형성된 홀(55a)을 관통하여 제1보스부(25)에 체결되어 상기 핸들 커버부(50)가 고정된다.Then, as shown in Figure 4, the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리어 프레임(40)이 조립된 후에 상기 체결부재(70)가 상기 리어 프레임(40)에 형성된 제2보스부(45)와, 핸들 커버부(50)의 연장부(55)에 형성된 홀(55a) 및 프론트 프레임(20)에 형성된 제1보스부(25)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Of course, as shown in FIG. 5, after the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20), 핸들 커버부의 연장부(55), 그리고 리어 프레임(40)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동시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의 상면에 핸들 커버부(50)가 조립되면, 상기 핸들 커버부(50)의 개구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53)에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핸들 커버부(50)의 외측에는 테두리 커버(56)가 조립되는데, 상기 테두리 커버(56)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또한, 상기 리어 프레임(40) 및 프론트 프레임(20)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각도의 간격을 가지고 스크류들이 체결됨에 따라서 상호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핸들 커버부(50) 및 테두리 커버(56)는 상기 프레임들(20, 40)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도 상기 핸들 커버부(50) 및 프론트 프레임(20)의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 커버부(50)의 내측으로 손을 넣어 도어를 조작할 때,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60)가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므로 도어의 조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puts his hand into the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구조는 건조기 뿐만 아니라,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상기 실시예들에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오직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진다.The structur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as well as a dry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ad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ese, but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손잡이에는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가 구비되므로 상기 손잡이가 안정적으로 조작되어 개폐될 수 있다. 특히, 세탁수행 중에 사용자의 손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이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에 접촉됨 으로써 상기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Since the handle of the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anti-slip member, the handle may be stably operated and opened and closed. In particular, even when water is on the user's hand during washing, the user's hand is in contact with the anti-slip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stably.
또한, 상기 핸들 커버부는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될 뿐만 아니라, 그의 후방에 구비된 연장부를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핸들 커버부에 심한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cover may be clamped and fixed between the frames, and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astened through an extension provided at the rear thereof, thereby preventing the handle cover from being separated even when severe vibration is applied to the handle cover.
또한, 상기 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프레임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의 외관이 연속적인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중에 사용자의 옷 등이 상기 손잡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is recessed into the frame of the door, the exterior of the door can be formed in a continuous shape, and the user's clothes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y the handle during us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58008A KR101147751B1 (en) | 2005-06-30 | 2005-06-30 | Doo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58008A KR101147751B1 (en) | 2005-06-30 | 2005-06-30 | Door assembl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02459A true KR20070002459A (en) | 2007-01-05 |
| KR101147751B1 KR101147751B1 (en) | 2012-05-25 |
Family
ID=3786944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58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7751B1 (en) | 2005-06-30 | 2005-06-30 | Door assembl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4775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063305A1 (en) * | 2022-09-21 | 2024-03-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es dry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3280577A1 (en) * | 2021-07-09 | 2023-01-12 | BSH Hausgeräte GmbH |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handl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84795B1 (en) * | 2002-01-09 | 2005-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he Door of A Drum Washer |
| KR100429643B1 (en) * | 2002-01-09 | 2004-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he Door of A Drum Washer |
| KR100970639B1 (en) * | 2003-10-16 | 2010-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oor frame of drum washing machine |
-
2005
- 2005-06-30 KR KR1020050058008A patent/KR1011477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063305A1 (en) * | 2022-09-21 | 2024-03-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es dry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47751B1 (en) | 2012-05-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457580B1 (en) | door locking apparatus | |
| KR101187069B1 (en) | door assembly | |
| US10208423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 |
| US20080053159A1 (en) | Laundry machine | |
| US7934404B2 (en) | Door for a washing or drying machine | |
| KR100479102B1 (en) | opening-closing structure of door | |
| US7934400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 CN101812795B (en) |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ith door components | |
| KR101595387B1 (en) | Door assembly of garment processing device | |
| EP2754746B1 (en) |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 |
| KR101443636B1 (en) | Doo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 |
| KR100452372B1 (en) | Door of dryer | |
| KR20140073908A (en) | Door apparatus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 |
| KR20060039186A (en) | Door of washing machine | |
| US20090229315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 KR101147751B1 (en) | Door assembly | |
| DE602005007903D1 (en) | Top loading washing machine with door locking mechanism | |
| EP2740832A1 (en) |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 |
| KR20200096071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 KR200395273Y1 (en) | Front part structure of washing machine | |
| JP7732834B2 (en) | Clothes treatment equipment | |
| KR100465703B1 (en) | Door mounting structure of dryer | |
| CN215405157U (en) | Door body washing mechanism with folding auxiliary door and washing device | |
| US11946302B2 (en) | Home appliance | |
| CN101168903A (en) | Door assembly for clothes dry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5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