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44479A -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479A
KR20070044479A KR1020077005096A KR20077005096A KR20070044479A KR 20070044479 A KR20070044479 A KR 20070044479A KR 1020077005096 A KR1020077005096 A KR 1020077005096A KR 20077005096 A KR20077005096 A KR 20077005096A KR 20070044479 A KR20070044479 A KR 2007004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parallax barrier
barrier layer
for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라 이마이
아끼라 나까가와
도시히로 마쯔모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47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차 배리어층이 종래보다도 높은 위치 정밀도로 배치되어, 종래보다도 고품위의 입체 표시가 가능한 3차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3차원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측에 배치된, 투명 재료로 형성된 제1 기판(11)과, 제1 기판(1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기판(21)과, 제1 기판(11)과 제2 기판(21)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0)과, 제1 기판의 관찰자측의 표면에 직접 형성된 시차 배리어층(12)을 갖는다. 편광판(40)은 시차 배리어층(12)이 형성된 관찰자측 기판(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층, 액정층, 표시 매체층, 대판 패널, 블랙 매트릭스층

Description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SUBSTRATE WITH PARALLAX BARRIER 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3차원 표시 장치(100)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2의 (a)∼(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대향 기판(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대향 기판(10)을 이용하여, 대판 패널로부터 복수의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3차원 표시 장치(200)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향 기판
11 : 제1 기판
12 : 시차 배리어층
13 : 컬러 필터층
14 : 블랙 매트릭스
20 : TFT 기판
21 : 제2 기판
30 : 액정층
40 : 편광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3차원 표시 장치(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과, 그와 같은 시차 배리어층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패널의 관찰자측에 시차 배리어층(패럴랙스 배리어)를 구비하는 3차원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95167호 공보에는 도 4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3차원 표시 장치(200)가 개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3차원 표시 장치(200)는 표시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52)과, 액정 패널(52)의 표면에 접촉된 좌우의 영상을 분리하는 광학 분리 수단으로서의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패럴랙스 배리어)(53)을 구비하고 있다.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53)은 글래스 혹은 투명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81) 위에 다수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차광부를 갖는 시차 배리어층(82)이 형성된 것이며,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53)의 기판(81)의 표면이 액정 패널(52)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액정 패널(52)은 글래스 기판(72) 및 글래스 기판(74) 사이에 액정층(73)이 설치되어 있으며, 관찰자측(광 출사측)의 글래스 기판(72)에는 출사측 편광판(71) 이 배치되어 있고, 백 라이트(51)측(광 입사측)의 글래스 기판(74)에는 입사측 편광판(7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액정 패널(52)의 액정층(73)에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1 열 걸러 표시된다. 백 라이트(51)로부터의 광을 투과한 우안용 영상은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53)에 의해 분리되어, 관찰자의 좌안에는 좌안용 영상만이 우안에는 우안용 영상만이 관찰되어서 입체 영상이 인식된다.
이 3차원 표시 장치(200)에서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53)과 액정 패널(52)이 서로 접촉하는 계면에서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 액정 패널(52)의 편광판(71)의 표면에 반사 방지 코팅(76)이 실시되고 있다. 그 결과, 접촉면의 액정 패널(52)측에서 반사되는 광이 감소되어, 편광판(71)측에서 반사되는 광과의 간섭에 의한 간섭 줄무늬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술한 3차원 표시 장치(200)를 포함하는 종래의 3차원 표시 장치(예를 들면, 상기 공보의 도 4∼도 7)에서는 편광판(71)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52)에 대하여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53)이 외부 부착되어 있다. 즉, 시차 배리어층(82)과 화소(액정층(73)) 사이에 액정층(73)측으로부터 표시 패널의 관찰자측 기판(72), 편광판(71), 반사 방지 코팅(76), 기판(81)이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81)을 외부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따라서, 시차 배리어층(82)과 화소 간의 거리(간격)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 거리를 표시면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하기 어렵다. 또한, 시차 배리어층(82)과 화소와의 위치 정렬(표시면 내 방향에서의 위치 정렬)을 높은 정밀도로 행하기도 어렵다.
시차 배리어층(82)과 화소(액정층(73)) 간의 거리에 면내 변동이 있으면, 간섭 줄무늬나 므와레 줄무늬가 발생되거나, 혹은 표시 휘도에 변동이 발생하기도 하여, 표시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표시면 내 방향에서의 위치 정렬 정밀도가 낮으면, 화소 개구율이 저하되어 므와레 줄무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액정층(73)과 관찰자 사이에 많은 계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계면에서의 반사 등에 의한 광의 손실에 기인하는 표시 품위의 저하가 문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는 표시 패널의 고정밀화가 진행됨에 따라 현재화(顯在化)된다. 또한, 대판의 기판을 이용하여 일련의 프로세스 순서에 따라 대판의 패널을 제작하고, 이것을 분단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작은 패널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접착을 대판의 패널 단계에서 행하면 상기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서 수율이나 제조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을 접착한 상태에서는 분단이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시차 배리어층이 종래보다도 높은 위치 정밀도로 배치되어, 종래보다도 고품위의 영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표시 장치는 2 방향의 시점에 대하여 상이한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예를 들면 입체 표시가 가능한 3차원 표시 장치(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와 같은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은, (a) 서로 대향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고, 투명 재료로 형성된 제1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b)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주면 위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시차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상기 제1 기판의 제2 주면 위에, 상기 시차 배리어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제1 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공정 (b)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공정 (c)는 상기 제1 기판을 개재하여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에 대하여 위치 정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는 상기 시차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차 배리어층은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c)는 상기 제1 층으로서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되거나, 혹은 상기 제1 층으로서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물론 공정 (c)는 컬러 필터층과 블랙 매트릭스층 둘 다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되고, 다른 구성 요소를 제1 층으로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공정 (c)는 상기 제1 층을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3차원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A)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B) 상기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어 다른 기판을 고정하는 공정과, (C) 상기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다른 기판 사이에 표시 매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공정 (B) 또는 공정 (C) 후에 (D) 상기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과 상기 다른 기판이 서로 고정된 패널을 복수의 작은 패널로 분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표시 매체층은 액정층이다. 이 경우, 공정 (D) 후에 상기 시차 배리어층의 관찰자측의 표면에 편광판을 배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관찰자측에 배치된 투명 재료로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표시 매체층과, 상기 제1 기판의 관찰자측의 표면에 직접 형성된 시 차 배리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관찰자측에 배치된 투명 재료로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과, 상기 제1 기판의 관찰자측에 설치된 편광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형성된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시점으로부터 본 경우 각각에 상이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시점」이란, 예를 들면 1명의 관찰자의 우안 및 좌안 각각의 위치이며, 관찰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각 관찰자의 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1명의 관찰자에 대하여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시 가능한 3차원 표시 장치로서 실현되어,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텔레비전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관찰자에 대해서는 각각 상이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실현되어,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자동차의 운전석의 드라이버에게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영상을 표시하고, 또한 조수석의 동승자에게 텔레비전 방송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으로서 이용 가능한다. 「상이한 영상」에는 영상 상호 간의 관련은 특별히 필요하게 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 시할 수 있는 장치를 예시한다. 단,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3차원 표시 장치(100)의 모식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3차원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측에 배치된 투명 재료로 형성된 제1 기판(11)과, 제1 기판(1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기판(21)과, 제1 기판(11)과 제2 기판(21)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0)과, 제1 기판의 관찰자측의 표면에 직접 형성된 시차 배리어층(12)을 갖는다.
제1 기판(11)의 액정층(30)측에는 컬러 필터층(13) 및 블랙 매트릭스(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극(예를 들면, 대향 전극)이나 배향막(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층(12)은 차광부(12a)와 투광부(12b)를 갖는다. 차광부(12a) 및 투광부(12b)는 화소 배열에 따라 소정의 화소를 투과한 광이 관찰자의 우안 또는 좌안에 도달하도록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기판(11)의 두께 및 투광부(12b)의 배열은 액정 패널의 사이즈나 관찰 거리(설계값)에 따라 결정된다.
제2 기판(21)의 액정층(30)측에는 예를 들면 화소 전극, TFT, 신호 배선 및 배향막이 필요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여기서,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은 전형적으로는 글래스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이며, 필요에 따라 그 표면에 무기계의 보호막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은 전극, TFT, 신호 배선 등의 회로 소자나, 컬러 필터층(13), 블랙 매트릭스(14) 및 편광판(40) 등의 표시를 행하기 위해 직접 기여하는 광학 소자는 포함하지 않는다. 덧붙여서, 제2 기판(21)은 반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투명성이 필요없기 때문에 반도체 기판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기판(11)에 컬러 필터층(13), 블랙 매트릭스(14), 전극이나 배향막을 형성한 것을 대향 기판(10)이라 하고, 제2 기판(21)에 전극, TFT, 신호 배선 등의 회로 소자나 배향막을 형성한 것을 TFT 기판(20)이라 한다. 또한, 여기서는 TFT를 구비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MIM을 구비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이어도 되며, 수동형의 표시 장치이어도 된다. 대향 기판(10) 및 TFT 기판(20)은 후술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에서 한쌍의 기판으로서 서로 접합된다.
본 실시 형태의 3차원 표시 장치(100)는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3차원 표시 장치와 같이 시차 배리어층이 형성된 기판(53)을 표시 패널(52)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관찰자측의 제1 기판(11)의 주면 위에 시차 배리어층(12)이 직접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3차원 표시 장치(100)에서 시차 배리어층(12)은 기판(11)과 편광판(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3차원 표시 장치(100)에서는 시차 배리어층(12)과 액정층(30) 사이에 기판(53)(도 4 참조)이나 이것을 외부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시차 배리어층(12)과 액정층(30) 간의 거리에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시차 배리어층(12)과 액정층(30) 사이에 존재하는 계면의 수가 종래의 3차원 표시 장치보다도 적기 때문에, 반사 등에 의한 광의 로스가 적다.
특히, 하기에 설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대향 기판(10)을 제조하면, 시차 배리어층(12)과 컬러 필터층(13)이나 블랙 매트릭스(14)에 대한 위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제1 기판(11)에 시차 배리어층(12)을 미리 형성해둠으로써, 대판 패널을 제작하고 나서, 이것을 분리하는 제조 프로세스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략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a)∼(d)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대향 기판(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제1 기판(11)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1)의 주면 위에 시차 배리어층(12)을 형성한다. 시차 배리어층(12)은 차광부(12a)와 투광부(12b)가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층(12)을 형성하는 재료는 차광성을 갖는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차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시차 배리어층(12)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용하는 재료에 따라 공지의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덧붙여서, 대향 기판(10)을 제작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에서 손상되기 어려우면서, 또한 비교적 얇은 막이지만 충분한 차광성을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부터 금속 재료(예를 들면, 크롬) 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후의 컬러 필터층(13)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 정렬을 위한 제1 얼라이먼트 마크(1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차 배리어층(12)을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시차 배리어층(12)을 형성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얼라이먼트 마크(12)를 형성하는 위치는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후에 형성하는 컬러 필터층(13) 등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기판(11)의 단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시차 배리어층(12)의 패턴을 이용하여 위치 정렬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15)의 형성을 생략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1)의 시차 배리어층(12)이 형성된 주면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주면(이면)에 컬러 필터층(13)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3색(예를 들면, R, G 및 B 또는 C, M 및 Y)의 색층을 순차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시차 배리어층(12)이 형성된 제1 기판(11)의 이면에 컬러 필터층(13)의 제1 색층(13a)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다. 이 때, 제1 얼라이먼트 마크(15)를 제1 기판(11)을 개재하여 예를 들면 CCD 카메라에 의해 검출하여, 제1 색층(13a)의 위치 정렬을 행한다. 위치 정렬에는 투과광을 이용하여도 되며 반사광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CCD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1 색층(13a)을 형성하는 경우, 제1 얼라이먼트 마크(15)에 중첩되지 않도록 제1 기판(11)의 이면의 거의 전면에, 제1 색층(13a)으로 되는 제1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제1 얼라이먼트(15) 을 이용하여 포토마스크의 위치 정렬을 행하여 제1 감광성 수지층을 노광한다. 그 후, 현상 등의 후공정을 거쳐 제1 색층(13a)이 형성된다.
이 제1 색층(13a)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1 기판(11)의 이면에 제2 얼라이먼트 마크(1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색층(13a)을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1 색층(13a)을 형성하는 프로세스로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색층(13a)에 계속되는 제2 색층(13b) 및 제3 색층(13c)을 형성하는 각 공정에서,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이용하여 위치 정렬함으로써, 3개의 색층(13a, 13b 및 13c) 간의 위치 정렬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이용하여 위치 정렬을 행하면, 위치 정렬 정밀도는 약 10㎛ 이내로 된다. 또한, 제1 색층(13a)의 패터닝 정밀도(폭의 변동)는 약 3㎛ 이내이다. 따라서, 제1 색층(13a)과 제2 색층(13b) 간의 위치 정렬 마진으로서, 최대 약 25㎛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2 얼라이먼트 마크(16)를 이용하면, 종래의 컬러 필터층의 형성 프로세스와 동일한 얼라이먼트 정밀도(약 3㎛) 이하가 얻어진다. 제2 얼라이먼트 마크(16)를 형성하는 위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2 색층(13b) 및 제3 색층(13c)의 형성 과정에서,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및 제3 감광성 수지층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14)를 형성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대향 전극, 배향막(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형성함으로써 대향 기판(10)이 얻어진다. 여기서 예시한 대향 기판(10)은 TFT형 액 정 표시 장치용 컬러 필터 기판(CF 기판)으로서 이용된다.
덧붙여서, 여기서는 제1 기판(11)의 이면에 시차 배리어층(12)과 소정에 배치 관계를 갖는 층으로서, 최초로 컬러 필터층(13)(제1 색층(13a))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블랙 매트릭스(14)를 형성하여도 되며, 다른 층을 형성하여도 된다. 물론, 컬러 필터층(13) 및 블랙 매트릭스(14)의 한쪽이 생략되어도 된다. 어느 경우에서도, 위치 정렬이 필요한 최초의 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향 기판(10)이 시차 배리어층(12)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프로세스를 채용하여, 대판 패널로부터 복수의 표시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대판 패널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양산하는 방법은 현재 널리 채용되고 있어서 공지의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공정 S1a에서, 시차 배리어층(12)을 갖는 대판의 CF 기판(10)을 준비한다. CF 기판(10)은 제1 기판(11)으로서 대판의 글래스 기판을 이용하며,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S1b에서, 대판의 TFT 기판(20)을 준비한다. 대판의 TFT 기판(20)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공정 S2에서, 대판의 CF 기판(10)과 대판의 TFT 기판(20)을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서로 접합하여, 고정하고, 대판 패널을 제작한다. 접합 공정은 시일제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행된다.
다음으로, 공정 S3에서, 예를 들면, 대판 패널을 복수의 작은 패널로 분단하고, 액정 재료를 주입·밀봉한다. 이 때, 액정 재료의 주입·밀봉 공정을 먼저 실행하고 나서, 대판 패널을 분단하여도 된다.
이 후, 공정 S4에서, 얻어진 작은 패널에 필요에 따라 편광판(40), 이면측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을 접합하고, 또한 구동 회로, 전원 회로나 백 라이트 등을 장착하여, 3차원 표시 장치(100)가 얻어진다.
여기서, 시차 배리어층(12)을 금속 재료로 형성해두면, 시차 배리어층(12)의 두께는 비교적 얇기 때문에(예를 들면, 0.1∼0.2㎛), 편광판(40)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층에 의해 투광부(12b)가 매립되어, 시차 배리어층(12)과 편광판(4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아 반사에 의한 광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접착층의 굴절율을 제1 기판(11)의 굴절율로 정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드에 따라서는 CF 기판(10)과 편광판(40) 사이에 위상차판(도시 생략)이 배치된다. 이 경우, 상술한 설명에서의 편광판(40)을 위상차판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덧붙여서, 여기서는 대판 패널을 제작한 후에 액정 재료의 주입·밀봉 공정을 행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지만, 액정 재료를 기판(10) 또는 기판(20) 위에 적하하고, 그 후에 기판(10)과 기판(20)을 접합하는 프로세스를 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차 배리어층(12)이 미리 형성된 대판의 CF 기판(10)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을 제작하는 프로세스를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판 패널로부터 40면의 표시 패널을 제작하는 경우, 종래 분단한 개별 표시 패널에 대하여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53)을 위치 정렬하는 공정을 40회 행였던 것을 1회로 할 수 있다. 물론,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53)을 접합하는 공정 그 자체도 필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차 배리어층이 종래보다도 높은 위치 정밀도로 배치되어, 종래보다도 고품위의 입체 표시가 가능한 3차원 표시 장치를 높은 양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상이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도 2의 (b)의 차광부(12a) 및 투광부(12b)의 배치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즉, 소정의 화소를 투과한 광이 상호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2 이상의 관찰자에게 도달하도록 차광부(12a) 및 투광부(12b)를 배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액정층 이외의 표시 매체층을 갖는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전기 영동형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차 배리어층과 컬러 필터층이나 블랙 매트릭스가 종래보다도 높은 위치 정밀도로 배치될 수 있어, 종래보다도 고품위의 입체 표시 또는 복수의 관찰자의 시점에 따른 영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7)

  1. (a) 서로 대향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고, 투명 재료로 형성된 제1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b)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주면 위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시차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상기 제1 기판의 제2 주면 위에, 상기 공정 (b)에 의해 형성된 상기 시차 배리어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제1 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d) 상기 제1 기판의 제2 주면 위에, 상기 공정 (c)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제2 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b)는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제1 층을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제1 기판을 개재하여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에 대하여 위치 정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공정 (d)는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에 대하여 위치 정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는 상기 시차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배리어층은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제1 층으로서 컬러 필터의 제1 색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공정 (d)는 상기 제2 층으로서 컬러 필터의 제2 색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제1 층으로서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공정 (d)는 상기 제2 층으로서 컬러 필터의 제1 색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e) 상기 제1 기판의 제2 주면 위에, 상기 공정 (c) 및 공정 (d)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층 및 제2 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제3 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는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에 대하여 위치 정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는 상기 제3 층으로서 컬러 필터의 제3 색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는 상기 제3 층으로서 컬러 필터의 제3 색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f) 상기 제1 기판의 제2 주면 위에, 상기 공정 (c), 공정 (d) 및 공정 (e)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색층, 제2 색층 및 제3 색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f) 상기 제1 기판의 제2 주면 위에, 상기 공정 (c), 공정 (d) 및 공정 (e)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색층, 제2 색층 및 제3 색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e) 상기 제1 기판의 제2 주면 위에, 상기 공정 (c) 및 공정 (d)에 의해 형 성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 및 상기 제1 색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제2 색층 및 제3 색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는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에 대하여 위치 정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17. (a) 서로 대향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고, 투명 재료로 형성된 제1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b)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주면 위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시차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상기 제1 기판의 제2 주면 위에, 상기 공정 (b)에 의해 형성된 상기 시차 배리어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제1 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층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 관계를 갖는 제2 층을 형성할 때의 위치 정렬에 이용하기 위한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077005096A 2002-07-29 2003-07-16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Ceased KR20070044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0348 2002-07-29
JPJP-P-2002-00220348 2002-07-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413A Division KR20050016406A (ko) 2002-07-29 2003-07-16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 및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기판의 제조 방법 및 3차원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479A true KR20070044479A (ko) 2007-04-27

Family

ID=3118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096A Ceased KR20070044479A (ko) 2002-07-29 2003-07-16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0637B2 (ko)
JP (1) JPWO2004011987A1 (ko)
KR (1) KR20070044479A (ko)
AU (1) AU2003281711A1 (ko)
TW (1) TWI224207B (ko)
WO (1) WO200401198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14B1 (ko) * 2008-06-12 2010-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정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91095A1 (en) * 2010-05-25 2011-12-0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1292249B1 (ko) * 2011-05-18 201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471916B (zh) * 2010-09-30 2015-02-01 Samsung Display Co Ltd 內建觸控螢幕面板之三維平板顯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9314B3 (de) * 2003-08-27 2005-04-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Anzeigesteuerung von unterschiedliche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und optoakustische Informationseinheit
JP4024769B2 (ja) * 2004-03-11 2007-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195415A (ja) 2004-12-13 2006-07-27 Fujitsu Ten Ltd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DE102005029431B4 (de) * 2005-06-24 2009-12-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eleuchtungsvorrichtung
GB2428344A (en) * 2005-07-08 2007-01-24 Sharp Kk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WO2007007543A1 (ja) * 2005-07-11 2007-01-18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US7697105B2 (en) * 2005-07-11 2010-04-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rallax barrier
US7813042B2 (en) * 2005-09-12 2010-10-12 Sharp Kabushiki Kaish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US7518664B2 (en) * 2005-09-12 2009-04-14 Sharp Kabushiki Kaish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having parallax optic disposed within an image display element that has an image display layer sandwiched between TFT and color filter substrates
JP4641035B2 (ja) * 2005-09-16 2011-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7086381A (ja) 2005-09-21 2007-04-05 Fujitsu Ten Ltd 液晶表示装置
JP2007083858A (ja) 2005-09-21 2007-04-05 Fujitsu Ten Ltd 車載用表示装置
JP2007086379A (ja) 2005-09-21 2007-04-05 Fujitsu Ten Ltd 車載用液晶表示装置
JP2007145158A (ja) 2005-11-28 2007-06-14 Fujitsu Ten Ltd 車載用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CN100449352C (zh) * 2006-01-19 2009-01-07 汕头超声显示器有限公司 一种自动立体显示器
JP2007283873A (ja) 2006-04-14 2007-11-01 Fujitsu Ten Ltd 表示装置および車載用表示装置
JP2008020880A (ja) 2006-06-13 2008-01-31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9230462B2 (en) * 2007-03-07 2016-01-05 Nec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KR100852515B1 (ko) * 2007-04-06 2008-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터
KR20080111939A (ko) * 2007-06-20 2008-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DE102007047470B3 (de) * 2007-09-28 2009-05-28 Visumotion Gmbh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s Parallaxenbarriereschirms auf einem Bildschirm
US8284334B2 (en) * 2007-12-03 2012-10-0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19233B1 (ko) * 2007-12-14 2014-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전계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US8331023B2 (en) * 2008-09-07 2012-12-11 Mediatek Inc. Adjustable parallax barrier 3D display
TWI392895B (zh) 2008-10-09 2013-04-11 Au Optronics Corp 可切換式平面立體顯示器
JP2010210982A (ja) * 2009-03-11 2010-09-24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KR101097306B1 (ko) * 2009-03-30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413814B (zh) 2009-07-01 2013-11-01 Hannstar Display Corp 具視差障壁層之偏光板及其製造方法、以及其應用之三次元顯示裝置
CN101957470B (zh) * 2009-07-16 2013-03-13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具视差障壁层的偏光板及其制造方法、以及其应用的三次元显示装置
JP2011099880A (ja) * 2009-11-03 2011-05-1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436193B2 (ja) * 2009-12-21 2014-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567855B2 (ja) * 2010-02-16 2014-08-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253206B1 (ko) * 2010-08-20 2013-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기능성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30063686A (ko) 2011-12-07 2013-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액정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053278B2 (ja) 2011-12-14 2016-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2画面表示装置
TW201326902A (zh) 2011-12-29 2013-07-01 Ind Tech Res Inst 立體顯示系統及其影像顯示方法
TWI467235B (zh) * 2012-02-06 2015-01-0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三維(3d)顯示器及其之顯示方法
CN102707514B (zh) * 2012-05-03 2014-03-2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触控液晶透镜光栅、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5962229B2 (ja) * 2012-06-05 2016-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5933362B2 (ja) * 2012-06-19 2016-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768424B (zh) * 2012-07-02 2014-07-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双视角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03499898B (zh) * 2013-10-21 2016-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视场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113622B1 (ko) * 2013-12-24 2020-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598636B (zh) * 2014-05-23 2017-09-11 宇勤科技(深圳)有限公司 立體影像顯示屏
CN104166177B (zh) * 2014-08-15 2017-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栅及其制作方法、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06291957A (zh) * 2016-08-30 2017-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视差挡板、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0579901B (zh) * 2019-09-26 2023-01-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7703A (ja) 1988-06-06 1989-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法
JPH03230699A (ja) 1990-02-05 1991-10-14 Sharp Corp 立体画像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3091653B2 (ja) 1994-11-30 2000-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JP2983891B2 (ja) * 1995-05-30 1999-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EP0829744B1 (en) * 1996-09-12 2005-03-23 Sharp Kabushiki Kaisha Parallax barrier and display
GB2321815A (en) * 1997-02-04 1998-08-05 Sharp Kk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viewer position indicator
GB2317710A (en) * 1996-09-27 1998-04-01 Sharp Kk Spatial light modulator and directional display
JP3332822B2 (ja) * 1997-09-05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
JP3192994B2 (ja) 1997-09-19 2001-07-30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JP2000039509A (ja) 1998-07-23 2000-02-08 Toray Ind Inc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98126A (ja) * 1998-09-25 2000-04-07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1075108A (ja) 1999-09-06 2001-03-23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98322B2 (ja) * 2001-01-26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GB0119176D0 (en) * 2001-08-06 2001-09-26 Ocuity Ltd Optical switching apparatu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14B1 (ko) * 2008-06-12 2010-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정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91095A1 (en) * 2010-05-25 2011-12-0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8890776B2 (en) 2010-05-25 2014-11-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TWI471916B (zh) * 2010-09-30 2015-02-01 Samsung Display Co Ltd 內建觸控螢幕面板之三維平板顯示器
US9348447B2 (en) 2010-09-30 2016-05-24 Samsung Display Co., Ltd. 3-dimensional flat panel display with built-in touch screen panel
US10216316B2 (en) 2010-09-30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3-dimensional flat panel display with built-in touch screen panel
US10459571B2 (en) 2010-09-30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3-dimensional flat panel display with built-in touch screen panel
KR101292249B1 (ko) * 2011-05-18 201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8766891B2 (en) 2011-05-18 2014-07-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4207B (en) 2004-11-21
JPWO2004011987A1 (ja) 2005-11-24
US20050243253A1 (en) 2005-11-03
TW200407559A (en) 2004-05-16
WO2004011987A1 (ja) 2004-02-05
US7420637B2 (en) 2008-09-02
AU2003281711A1 (en) 200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4479A (ko)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JP4863112B2 (ja) 光学素子アレイ、表示装置、ならびに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8687273B2 (en) Im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parallax barrier element
TWI382207B (zh) 彩色濾光基板、多視液晶顯示裝置及彩色濾光基板的製作方法
US9766470B2 (en) Three-dimensional (3D) display device
US7868952B2 (en) Parallax barrier devic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arallax barrier device
EP256586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ouble-vision color film structure
JP3434163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US8416352B2 (en) Alignment marke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50124200A1 (en) Color filter substrat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CN101819328B (zh) 立体显示器
US20120105779A1 (en) Color filte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3d liquid crystal display
US20160223860A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dual-vis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0162625A (ja) カラー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2476A (ja) 視差バリア層付き基板の製造方法
JPWO2007007483A1 (ja) 表示装置
JP201023100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962043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CN202057928U (zh) 新型立体显示面板组件
JP2012027472A (ja) 光学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16406A (ko)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 기판 및 시차 배리어층을 갖는기판의 제조 방법 및 3차원 표시 장치
EP4071524A1 (en) Lenticular optical composite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3d display
CN102193238A (zh) 彩色滤光基板及其制造方法、多视液晶显示装置
JP2008164703A (ja) 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52041A (ja) マルチプル視野型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703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