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73154A -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154A
KR20070073154A KR1020060000724A KR20060000724A KR20070073154A KR 20070073154 A KR20070073154 A KR 20070073154A KR 1020060000724 A KR1020060000724 A KR 1020060000724A KR 20060000724 A KR20060000724 A KR 20060000724A KR 20070073154 A KR20070073154 A KR 20070073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plasma display
error diffusion
pixel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영
안병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154A/en
Priority to CNA2006101596031A priority patent/CN1924975A/en
Publication of KR2007007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154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화상처리 속도를 개선하고, 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an image processing speed and improving a gradation expression power.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역감마 보정하는 역감마 보정부 및 상기 역감마 보정된 영상 신호의 데이터 중에서 동일 라인의 인접 픽셀간에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하프톤부를 포함한다.The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that inversely gamma corrects an imag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 half that spreads an arbitrary predetermined error value between adjacent pixels on the same line among data of the inverse gamma corrected image signal. It includes a tonal part.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Plasma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 of}Plasma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1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implementing an image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device.

도 2a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음극선관의 휘도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2A is a graph compar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of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 cathode ray tube.

도 2b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역감마 보정을 나타낸 그래프.2B is a graph showing inverse gamma correction in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device.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더링 방법을 나타낸 도.3A and 3B illustrate a dithering method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차 확산 방법을 나타낸 도.4A and 4B illustrate an error diffusion method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6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을 시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rror diffus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im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9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500: 역감마 보정부 510: 이득 제어부500: reverse gamma correction unit 510: gain control unit

520: 하프톤부 530: 서브필드 맵핑부520: halftone unit 530: subfield mapping unit

540: APL 계산부 550: 서스테인 개수 제어부540: APL calculation unit 550: sustain number control uni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처리 속도를 개선하고, 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an image processing speed and improving gray scale expression.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 형성된 격벽이 하나의 단위 방전 셀을 이루는 것으로, 각 셀 내에는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Ne+He)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전술한 단위 방전 셀은 복수개가 모여 하나의 화소(Pixel)를 이룬다. 예컨대, 적색(Red, R) 셀, 녹색(Green, G) 셀, 청색(Blue, B) 셀이 모여 하나의 픽셀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단위 방전 셀에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어 방전이 될 때, 불활성 가스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 Violet rays)을 발생하고 격벽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얇고 가벼운 구성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표시장치 로서 각광받고 있다.In general, a plasma display panel is a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a front panel and a rear panel to form a unit discharge cell, and each cell includes neon (Ne), helium (He), or a mixture of neon and helium (Ne + He). An inert gas containing a main discharge gas such as and a small amount of xenon is filled. A plurality of unit discharge cells described above are gathered to form one pixel. For example, a red (R) cell, a green (G) cell, and a blue (B) cell may form one pixel. When a high frequency voltage is applied to such a unit discharge cell to discharge, an inert gas generates vacuum ultra violet rays and emits phosphor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o realize an image. Such a plasma display panel has a spotlight as a next generation display device because of its thin and light configuration.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implementing an image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프레임 기간을 방전횟수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서브필드로 나누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계조값에 해당하는 서브필드 기간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발광시켜줌으로써 화상이 구현된다.As shown in FIG. 1,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divides one frame period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having different discharge times, and emits a plasma display panel in a subfield period corresponding to a gray value of an input image signal. An image is implemented.

각 서브필드는 방전을 균일하게 일으키기 위한 리셋 기간,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으로 나뉘어진다. 예를 들어, 256 계조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1/60 초에 해당하는 프레임 기간(16.67ms)은 8개의 서브필드들로 나누어지게 된다.Each subfield is divided into a reset period for uniformly generating a discharge, an address period for selecting a discharge cell, and a sustain period for implementing gray sca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charges. For example, when the image is to be displayed with 256 gray levels, the frame period (16.67 ms) corresponding to 1/60 second is divided into eight subfields.

아울러, 8개의 서브 필드들 각각은 리셋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다시 나누어지게 된다. 여기서, 서스테인 기간은 각 서브필드에서 2n(n=0,1,2,3,4,5,6,7)의 비율로 증가된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서스테인 기간이 달라지게 되므로 화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eight subfields is divided into a reset period, an address period, and a sustain period. Here, the sustain period is increased at a rate of 2n (n = 0, 1, 2, 3, 4, 5, 6, 7) in each subfiel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stain period is changed in each subfield, gray levels of an image can be realized.

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휘도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 도 2b와 같다.The brightness characteristics of the plasma display according to this are as shown in FIG. 2B.

도 2a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음극선관의 휘도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2A is a graph compar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of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 cathode ray tube.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Cathode-Ray Tube, CRT) 및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표시되는 광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계조를 표현하므로, 통상적으로 비선형의 휘도 특성을 갖는다. 이와 달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on)/오프(off)를 할 수 있는 방전 셀의 매트릭스 어레이를 이용하여 광 펄스의 수를 변조하여 계조를 표현하므로, 선형의 휘도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계조 표현 방법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법이라 한다.As shown in FIG. 2A, a cathode-ray tube (CR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express a desired gray level by controlling the displayed light in an analog manner with respect to an input video signal. , Typically has nonlinear luminance characteristics. In contrast, since the plasma display device expresses gray scales by modulating the number of light pulses using a matrix array of discharge cells that can be turned on / off,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has a linear luminance characteristic. The gray scale expression method of the plasma display device is called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이때, 음극선관(CRT)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전류 대비 밝기 특성이 2.2승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방송 신호와 같은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는 2.2승수의 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선형적인 밝기 특성을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역감마 보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역감마 보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 도 2b와 같다.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because the brightness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display current is proportional to 2.2 multipliers, the input external video signal such as a broadcast signal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verse of the 2.2 multiplier. Therefore,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linear brightness characteristic needs to perform inverse gamma correction on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is inverse gamma corr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도 2b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역감마 보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2B is a graph illustrating inverse gamma correction in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apparatus.

도 2b에서, 목표 휘도는 보정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역감마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실제 휘도는 역감마 보정후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측정된 휘도값이며, PDP 휘도는 역감마 보정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된 휘도값 3이하를 나타낸 것이다.In FIG. 2B, the target luminance represents an ideal inverse gamma result to be corrected, the actual luminance is a measured luminance value as a result after the inverse gamma correction, and the PDP lumin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easured luminance value 3 in the absence of inverse gamma correction. It is shown.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휘도는 '0'에서'60'까지 61단계의 계조값이 각각 다른 휘도값으로 표현된다. 이와 달리, 실제 휘도는 '0'에서 '60'까지 61단계의 계조값이 단지 8가지의 휘도값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역감마 보정이 수행될 때 어두운 영역에서 충분한 계조 표현을 할 수 없게 되어 영상이 뭉쳐 보이는 의사윤곽(Contour Noise)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target luminance is expressed as luminance values having different levels of 61 gray levels from '0' to '60'. In contrast, the actual luminance is expressed by only eight luminance values of 61 gray levels from '0' to '60'. Therefore, when the inverse gamma correction is performed in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express enough gray scales in a dark area, thereby generating a contour noise in which images are aggregated.

이러한, PDP의 부족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하여 디더링 (dithering) 방법 및 오차 확산(error diffusion) 방법 등의 하프톤(half tone)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express the insufficient gray level of the PDP, a half tone method such as a dithering method and an error diffusion method is used.

먼저, 디더링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다.First, the dithe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더링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2×2 디더 마스크이며, 도 3b는 2×2 디더 마스크에 의한 디더 마스크 패턴이다. 3A and 3B illustrate dithering methods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3A is a conventional 2 × 2 dither mask, and FIG. 3B is a dither mask pattern by a 2 × 2 dither mask.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더링 방법은 각 픽셀(pixel)의 계조값을 디더 마스크(310)의 특정 문턱(threshold)값과 비교하여 자리 올림(carry) 발생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이다. 이때, 자리 올림이 발생된 픽셀에 대하여 온(on)을, 그렇지 않은 픽셀에 대하여 오프(off)를 시킴으로써 부족한 계조 표현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디더링 방법은 적당한 노이즈를 부가하여 의사윤곽이 눈에 띄지 않도록하는 방법이다. 종래에는 PDP의 다수의 프레임, 다수의 라인 및 다수의 열에 대응하는 3차원 디더 마스크 패턴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였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dithering method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carry occurs by comparing a gray value of each pixel with a specific threshold value of the dither mask 310. . At this time,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gray scale expression power that is insufficient by turning on the off-pixel and turning off the off-pixel. In addition, the dithering method is a method that adds an appropriate noise so that the pseudo contour is not visible. Conventionally, a three-dimensional dither mask patter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rames, a plurality of lines, and a plurality of columns of a PDP has been repeatedly used.

하지만, 디더링 방법은 정지된 영상이나 균일한 값을 갖는 지역에 대해 디더 패턴이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리 올림을 발생시킬 때 문턱값보다 얼마나 큰지 적은지를 나타내는 오차가 전혀 고려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dither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dither patterns are visible for still images or regions having a uniform valu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indicating how large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is not considered at all when generating a digitization.

또 다른 방법인 오차 확산(error diffusion)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 도 4와 같다.An error diffusion method, which is another method,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차 확산 방법을 나 타낸 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공간적인 오차 확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오차 확산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A and 4B illustrate an error diffusion method of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panel. 4A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onventional spatial error diffusion method, and FIG. 4B is a block diagram for performing the error diffusion of FIG. 4A.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 확산 방법은 해당 픽셀이 양자화(Quantization)될 때 발생하는 오차를 이웃하는 픽셀에 영향을 주게 함으로써 버려지는 오차에 대한 보정을 공간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As shown in FIG. 4A, the error diffusion method is a method for spatially correcting an error that is discarded by causing an error generated when the corresponding pixel is quantized to affect neighboring pixels.

여기서, 오차 확산 방법은 이웃하는 픽셀들 즉 이전 라인의 세 개 픽셀(a, b, c)과 바로 옆 픽셀(d)에서 발생한 각각의 오차값에 특정한 계수를 곱한다. 이후, 상기 계수를 곱한 오차값들을 중심 셀(i) 값에 더한 후 양자화를 실시한다. Here, the error diffusion method multiplies each error value generated in neighboring pixels, that is, three pixels (a, b, c) of the previous line and the immediately adjacent pixel (d) by a specific coefficient. Subsequently, error value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oefficients are added to the center cell (i) and then quantized.

이후, 상기 양자화로 발생하는 오차값을 다시 라인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를 매 픽셀마다 반복하는 방법이다. Thereafter, the error value generated by the quantization is stored in the line memory again and repeated for every pixel.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 확산 블록은 공간적인 피드백 루틴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목표 휘도에 가장 근사한 휘도값을 맵핑하여 출력한다. As shown in FIG. 4B, the error diffusion block maps and outputs the luminance value closest to the target luminance by repeatedly performing a spatial feedback routine.

또한, 도 4b에서, 동작하는 과정은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4B, the operation may be expressed by Equations 1 and 2 below.

Figure 112006000406550-PAT00001
Figure 112006000406550-PAT00001

Figure 112006000406550-PAT00002
Figure 112006000406550-PAT00002

여기서, 수학식 1, 수학식 2 및 도 4b의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Here, the parameters of Equation 1, Equation 2 and FIG. 4B are defined as follows.

- n은 현재의 프레임(frame)을 나타낸다.n represents the current frame.

- F(i,j)는 상기 역감마 보정후 입력되는 계조값이다. F (i, j) is a gray level value input after the inverse gamma correction.

- Q블록은 양자화 블록이다.Q block is a quantization block.

- B(i,j)는 양자화된 계조값이다.B (i, j) is the quantized grayscale value.

- E(i,j)는 양자화에서 발생되는 오차값이다.E (i, j) is the error that occurs in quantization.

- f(i,j)는 역감마 보정후 입력되는 계조값에 양자화 오차값을 더한 값이다.f (i, j) is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quantization error value to an input grayscale value after inverse gamma correction.

즉, f(i,j)는 현재 프레임에서의 F(i,j)에 이웃하는 픽셀의 오차값과 H블록에서 오차 확산 계수 h(i,j)를 곱하여 더한 값이다.That is, f (i, j)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error value of the pixel neighboring F (i, j) in the current frame by the error diffusion coefficient h (i, j) in the H block.

하지만 이러한 오차 확산 방법에서는 시간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예컨대, 중심 셀(i)에 바로 옆 픽셀(d)의 오차를 확산하는 것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this error diffusion method is difficult in time. For example, spreading the error of the pixel 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center cell i cause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hardware.

즉, 일례로 들어오는 순서대로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바로 옆 픽셀의 오차의 계산이 끝난 후 그 픽셀의 오차가가 현재 픽셀의 오차계산에 바로 사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위 모든 과정이 하드웨어적으로 한 클락(Clock)안에 수행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n processing data in the order of incoming data, all the above steps are done in hardware because the error of the pixel immediately after the calculation of the error of the next pixel is finished should be used in the error calculation of the current pixel. It becomes difficult to perform in the clock.

더욱이 이러한 오차확산의 시간적인 문제는 정수 오차확산과 다채널 모드에서 더욱 심화된다. 이는 오차확산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까지 야기 시킬 뿐만 아니라 심지어 그로 인해 화면 깨짐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the temporal problem of error diffusion is intensified in integer error diffusion and multichannel mode. This not only causes the problem of error diffusion, but also causes the screen to break.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처리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the speed of image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gray scale express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발명의 구성에서 나타나는 효과에 의해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hing,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역감마 보정하는 역감마 보정부 및 상기 역감마 보정된 영상 신호의 데이터 중에서 동일 라인의 인접 픽셀간에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하프톤부를 포함한다.The plasm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redetermined gamma correction unit between the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for performing an inverse gamma correction of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adjacent pixels of the same line among the data of the inverse gamma corrected image signal It includes a halftone portion for diffusing the error value of.

또한, 상기 오차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rror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0".

또한, 상기 오차값은 랜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rror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dom.

또한, 상기 하프톤부는 정수오차확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lfton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er error diffusion.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둘 이상의 채널로 구분하고, 상기 채널을 하나의 클럭 신호에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다채널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In addition,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uses a multi-channel mode in which image signal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or more neighboring pixel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channels, and the channels are synchronized with one clock signal and output. Shall be.

또한, 상기 하프톤부는 현재 라인의 픽셀에 이전 라인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lftone unit may be configured to diffuse an error value of a previous line into a pixel of a current line.

또한, 상기 하프톤부는 현재 라인의 픽셀에 동일 라인의 픽셀 중 적어도 두 픽셀 전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lftone unit may spread an error value of at least two pixels before pixels of the same line to pixels of the current lin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역감마 보정하는 역감마 보정부 및 상기 역감마 보정된 영상 신호의 데이터 중에서 동일 라인의 인접 픽셀간에는 오차확산하지 않는 하프톤부를 포함한다.The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does not spread the error between adjacent pixels on the same line among the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for inverse gamma correction of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data of the inverse gamma corrected image signal It does not include a halftone por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역감마 보정하는 역감마 보정 단계 및 상기 역감마 보정된 영상 신호의 데이터 중에서 동일 라인의 인접 픽셀간에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하프톤 단계를 포함한다.The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verse gamma correction step of inverse gamma correction of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adjacent pixels of the same line among the data of the inverse gamma corrected image signal. The liver includes a halftone step of spreading a predetermined random error value.

또한, 상기 오차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rror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0".

또한, 상기 오차값은 랜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rror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dom.

또한, 상기 하프톤 단계에서 정수오차확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er error diffusion in the halftone step.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둘 이상의 채널로 구분하고, 상기 채널을 하나의 클럭 신호에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다채널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a multi-channel mode is used in which image signal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or more neighboring pixel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channels, and the channels are synchronized with one clock signal and output.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하프톤 단계에서 현재 라인의 픽셀에 이전 라인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halftone step, the error value of the previous line is diffused to the pixel of the current line.

또한, 상기 하프톤 단계에서 현재 라인의 픽셀에 동일 라인의 픽셀 중 적어도 두 픽셀 전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halftone step, an error value of at least two pixels before the pixels of the same line is diffused to the pixels of the current lin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처리 방법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역감마 보정하는 역감마 보정 단계 및 상기 역감마 보정된 영상 신호의 데이터 중에서 동일 라인의 인접 픽셀간에는 오차확산하지 않는 하프톤 단계를 포함한다.The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verse gamma correction step of inverse gamma correction of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adjacent pixels of the same line among the data of the inverse gamma corrected image signal. The liver includes a halftone step of error diffus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역감마 보정부(500), 이득 제어부(510), 하프톤부(520), 서브필드 맵핑부(530), APL(Average Picture Level) 계산부(540), 서스테인 펄스개수 제어부(550)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6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500, a gain control unit 510, a halftone unit 520, a subfield mapping unit 530, and an APL ( An average picture level calculator 540, a sustain pulse number controller 550, and a plasma display panel 560.

역감마 보정부(500)는 미리 저장된 감마 데이타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계조값에 따른 출력 계조값을 보정하여 표시되는 휘도값을 선형적으로 변환시킨다.The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500 linearly converts the displayed luminance value by correcting the output gray value according to the gray value of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prestored gamma data.

이득 제어부(510)는 역감마 보정부(500)에 의해 보정된 적색(Red), 녹색 (Green) 및 청색(Blue)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User) 또는 세트 메이커(Set maker)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이득값을 곱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별로 이득(gain)을 조정한다. 이때, 이득 제어부(510)에 의해 사용자 또는 세트 메이커는 자신이 원하는 색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The gain controller 510 may be adjusted by a user or a set maker with respect to the red, green, and blue image signals corrected by the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500. Adjust the gain by red, green and blue by multiplying the gain values. In this case, the gain controller 510 may set a color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or the set maker.

하프톤부(520)는 이득 제어부(5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양자화한 후 그에 대해서 발생되는 오차 성분을 인접 픽셀들로 확산시킴으로써, 계조값에 따라 표시되는 휘도값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을 오차 확산 방법이라 하며, 이 외에도 하프톤부(520)는 디더 마스크를 통한 디더링 방법을 이용하여 하프토닝 할 수 있다.The halftone unit 520 quantizes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gain control unit 510 and diffuses an error component generated therein into adjacent pixels, thereby finely adjusting the luminance value displayed according to the gray scale value to adjust the gray scale expression power. Improve. Such a method is referred to as an error diffusion method, and in addition, the halftone unit 520 may be half-toned by using a dithering method through a dither mask.

여기서, 본 발명의 의한 하프톤부(520)는 종래와 차별적으로 동일 라인의 인접 픽셀 간에는 오차확산 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오차값을 확산하여 오차확산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 이하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Here, the halftone unit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the speed of error diffusion by diffusing an arbitrary error value that is not preset or spreading a predetermined error value between adjacent pixels of the same line,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ar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6.

서브필드 맵핑부(530)는 하프톤부(52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미리 설정된 서브필드 맵핑 테이블에 맵핑하여 출력한다. 이후,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정렬부는 서브필드 맵핑부(530)에서 맵핑된 데이터를 시간적인 데이터로 정렬하여 구동 장치를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60)로 공급하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The subfield mapping unit 530 maps and outputs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halftone unit 520 to a preset subfield mapping table. Subsequently, the data alignment unit (not shown) aligns the data mapped by the subfield mapping unit 530 into temporal data and supplies the data to the plasma display panel 560 through a driving device to implement an image.

APL 계산부(540)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한 프레임 동안 APL (Average Picture Level)값을 계산한다. 계산된 APL값에 따라 서스테인 펄스 개수의 가중치, 즉 한 프레임 동안의 휘도값이 결정된다. APL값의 정보는 서스테인 펄 스개수 제어부(550)로 제공되고, 상기한 서스테인 펄스개수 제어부(550)는 매 프레임 마다 전체 화면의 서스테인 개수를 조절하여 전력소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준다.The APL calculator 540 calculates an average picture level (APL) value for one frame of an externally input image signal. The weight of the sustain pulse number, that is, the luminance value for one fr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PL value. Information of the APL value is provided to the sustain pulse number control unit 550, and the sustain pulse number control unit 550 adjusts the sustain number of the entire screen every frame to maintain constant power consumption at all times.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이 있는 하프톤 부의 기능 및 효과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halftone part hav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n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1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은 종래와 차별적으로 동일라인의 인접 픽셀 간에는 오차확산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중심 셀(i)에 인접 셀들의 오차를 확산할 때 동일라인의 셀 중 바로 옆 픽셀의 오차는 확산하지 않는 것이다. 일례로 현재 라인의 바로 옆 픽셀의 오차값 대신 이전 라인의 픽셀(d)을 하나 더 추가하여 오차확산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and does not perform error diffusion between adjacent pixels on the same line. That is, when the error of adjacent cells is diffused to the center cell i, the error of the next pixel among the cells of the same line is not diffused. For example, error diffus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one more pixel d of the previous line instead of the error value of the pixel next to the current line.

즉, 이전 라인의 네 개 픽셀(a, b, c, d)에서 발생한 오차값에 정해진 계수를 곱하여 이 값들을 중심 셀(i)에 더한 후 그 셀의 양자화를 실시하여 다시 다음 셀에 오차확산 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바로 옆 픽셀의 오차확산 하지 않음으로써 화상처리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 도 7과 같다.That is, by multiplying the error values generated in the four pixels (a, b, c, d) of the previous line by the predetermined coefficients, these values are added to the center cell (i), and then quantized, and the error spreads to the next cell again. To do i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peed of image processing can be improved by not diffusing the error of the immediately adjacent pixel, as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을 시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im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확산은 픽셀에 들어오는 순서대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 즉, 클럭 신호(Clock)에 맞춰서 오차(Error)에 대한 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 error diffusion processes data in the order in which the pixels enter. That is, the calculation of the error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lock signal Clock.

일례로 도 7과 같이 한 클럭 신호에 맞춰서 중심 픽셀에 대한 인접 픽셀의 오차(예:Error1*7/16)를 계산하고, 또 그들의 합(예:Error Sum2)을 계산함으로써 단위 픽셀에 해당하는 오차확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rror corresponding to the unit pixel by calculating an error (eg, Error1 * 7/16) of adjacent pixel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ixel and calculating their sum (eg, Error Sum2) in accordance with one clock signal as shown in FIG. 7. A diffusion step can be performed.

그러나 여기서 각 중심 셀에 대한 오차를 계산할 때에 Error Sum3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전 데이터 즉, Error2의 계산이 미리 되어 있어야 한다. 역시 Error Sum4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전 데이터 즉, Error3의 계산이 미리 되어 있어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calculate Error Sum3 when calculating the error for each center cell, previous data, that is, the calculation of Error2, must be pre-arranged. Again, in order to calculate Error Sum4, previous data, that is, the calculation of Error3, should be calculated in adv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계산함에 따라 발생하는 시간적인 지연 문제를 바로 옆 픽셀을 오차확산 하지 않음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time delay problem caused by the sequential calculation as described above by not error diffusion the next pixel.

이러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데, 다음의 제 2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 도 8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but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은 종래와 차별적으로 동일라인의 인접 픽셀 간에는 오차확산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중심 셀(i)에 인접 셀들의 오차를 확산할 때 동일라인의 셀 중 바로 옆 픽셀의 오차는 확산하지 않는 것이다. 예컨대, 현재 라인의 바로 옆 픽셀의 오차값 대신 현재 동일 라인의 픽셀 중 적어도 두 픽셀 전의 픽셀(a)을 하나 더 추가하여 오차확산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rror diffusion is not performed between adjacent pixels on the same line. That is, when the error of adjacent cells is diffused to the center cell i, the error of the next pixel among the cells of the same line is not diffused. For example, the error diffus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one more pixel (a) before at least two pixels among the pixels on the same line instead of the error value of the pixel immediately adjacent to the current line.

즉, 이전 라인의 세 개 픽셀(b, c, d)과 동일 라인의 적어도 두 픽셀 전의 픽셀(a)에서 발생한 오차값에 정해진 계수를 곱하여 이 값들을 중심 셀(i)에 더한 후 그 셀의 양자화를 실시하여 다시 다음 셀에 오차확산 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여 바로 옆 픽셀의 오차확산 하지 않고도 오차확산 방법을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상처리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오차확산 방법을 시간에 구애받지 않음으로써 하드웨어적으로 구현이 용이하도록 하여 화상처리의 정밀도에 보다 기여할 수 있다.That is, by multiplying the error value generated in the three pixels (b, c, d) of the previous line by the pixel (a) at least two pixels before the same line, and adding these values to the center cell (i), Quantization is performed to allow error diffusion to the next cell. In this way, the error diffusion method can be used without the error diffusion of the immediately adjacent pixel, thereby improving the speed of image processing. In addition, since the error diffusion method is not limited in time, the hardware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hardware, thereby contributing more to the precision of image processing.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오차확산 방법은 오차확산의 하드웨어적인 구현이 더욱 힘들어지는 예컨대 정수오차확산과 다채널모드에 보다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일례로 본 발명은 오차확산의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정수 오차확산 시 단위 오차확산이 한 클럭 신호 안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rror diffu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usefully used in integer error diffusion and multi-channel mode, for example, the hardware implementation of error diffusion is more difficul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mproves the speed of error diffusion to enable unit error diffusion in one clock signal during integer error diffusion.

또한, 다른 예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둘 이상의 채널로 구분하고, 상기 채널을 하나의 클럭 신호에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다채널 모드에서도 오차확산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 도 9와 같다. In another example, an error diffusion method is possible in a multi-channel mode in which image signal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or more neighboring pixel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channels, and the channels are synchronized with one clock signal and output. An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는 2채널 모드에서 각 채널을 구별하여 오차확산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고, 도 9b는 2채널 모드에서 각 채널을 구별하지 않고 오차확산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error diffusion by distinguishing each channel in a two-channel mode, and FIG.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error diffusion without distinguishing each channel in a two-channel mode.

도 9a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은 종래와 차별적으로 동일라인의 인접 픽셀 간에는 오차확산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일례로 동일라인의 중심 픽셀 바로 옆 픽셀의 오차값을 "0"으로 설정해 놓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9A,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rror diffusion between adjacent pixels of the same line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The error value can be set to "0".

또한, 이는 동일라인의 중심 픽셀 바로 옆 픽셀의 계수(C4)를 "0"으로 설정하여 오차확산 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oefficient C4 of the pixel immediately next to the center pixel of the same line to "0" so as not to spread the error.

즉, 중심 셀(i)에 인접 셀들의 오차를 확산할 때 동일라인의 셀 중 바로 옆 픽셀의 오차는 확산되지 않도록 하여 오차확산의 속도를 향상시켜 다채널 모드 예컨대 도 9a 와 같은 2채널 모드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error of adjacent cells is diffused to the center cell (i), the error of the next pixel among the cells of the same line is not spread so that the speed of error diffusion is improved. It can be implemented.

여기서, 2채널 모드에서의 오차확산은 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데이터가 입력되는 픽셀을 각 채널별로 구분하여 오차확산 할 수도 있고, 도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널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rror diffusion in the two channel mode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the pixel into which each data is input for each channel as shown in FIG. 9A, and processing may be performed without distinguishing the channel as shown in FIG. 9B. Can be.

즉, 9a 에서는 각 채널별 즉, 일례로 방전 셀을 a셀과 c셀로 이루어진 채널, b셀과 d셀로 이루어진 채널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채널별로 오차확산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일례로 a와 c셀로 이루어진 채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at is, in 9a, data can be supplied by dividing each channel, that is, a discharge cell into a channel consisting of a cells and c cells, and a channel consisting of b cells and d cells, for example. In this case, error diffusion may be performed for each channel. For example, a channel consisting of a and c cells is as follows.

즉, c3를 중심 픽셀(i)로 두고, a셀과 c셀로 이루어진 같은 채널의 픽셀 중 이전 라인의 세 개 픽셀(a2, a3, a4)에서 발생한 오차값에 정해진 계수(C1, C2, C3)를 곱하여 이 값들을 중심 셀(i)에 더한 후 그 셀의 양자화를 실시하여 다시 다음 셀에 오차확산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같은 채널의 바로 옆 픽셀(c2)은 계수 (C4)를 "0"으로 설정하여 실질적으로 오차확산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coefficients (C1, C2, C3) defined for the error value generated at the three pixels (a2, a3, a4) of the previous line among the pixels of the same channel consisting of a cell and c cell with c3 as the center pixel (i). Multiply these values by adding them to the center cell (i), and then quantize the cells to allow error diffusion to the next cell. Here, the pixel c2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ame channel may set the coefficient C4 to “0” so as not to substantially spread an error.

또한, 상기한 이전 라인의 계수들(C1, C2, C3)은 예컨대 APL 또는 오차의 레벨 등 경우에 따라 1 개 이상의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값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other values may be applied to the coefficients C1, C2, and C3 of the previous line, for example, using information stored in one or more tables, for example, APL or error leve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차의 적용 방향을 위 라인에서 아래 라인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아래라인에서부터 위쪽 라인으로 확산되는 것도 일례로 메모리 제어 블록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application direction is illustrated from the upper line to the lower line, but the diffusion of the error line from the lower line to the upper line may be applied using, for example, a memory control block.

한편, 본 발명의 오차확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도 9b와 같이 다채널 모드에서 특별히 채널을 구분하지 않고도 오차확산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error diffu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hannel mode as shown in Figure 9b it is possible to spread the error without distinguishing the channel in particular.

즉, 도 9b에서와 같이 d2를 중심 픽셀(i)로 두고 채널의 구별없이 이전 라인의 인접한 세 개 픽셀(a2, b2, a3)에서 발생한 오차값에 정해진 계수(C1, C2, C3)를 곱하여 이 값들을 중심 셀(i)에 더한 후 그 셀의 양자화를 실시하여 다시 다음 셀에 오차확산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동일 라인의 바로 옆 픽셀(c2)은 계수(C4)를 "0"으로 설정하여 실질적으로 오차확산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9B, with d2 as the center pixel i and multiplying the error values generated at three adjacent pixels a2, b2 and a3 of the previous line without distinguishing the channel, the predetermined coefficients C1, C2 and C3 are multiplied. These values are added to the center cell (i) and then quantized to allow error diffusion to the next cell. Here, the pixel c2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ame line may set the coefficient C4 to "0" so as not to substantially spread an error.

이와 같이 동일 라인의 바로 옆 픽셀의 오차를 확산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오차값을 확산시켜 오차확산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인접 픽셀 간에 적용되는 오차값을 랜덤하게 설정하여 오차확산하는 것인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 도 10과 같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oes not diffuse the error of the pixel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ame line or improves the speed of error diffusion by spreading a predetermined random error value, randomly sets an error value applied between adjacent pixels. The error diffusion is as follows.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는 2채널 모드에서 각 채널을 구별하여 오차확산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고, 도 10b는 2채널 모드에서 각 채널을 구별하지 않고 오차확산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FIG. 10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error diffusion by distinguishing each channel in a two channel mode, and FIG. 10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error diffusion without distinguishing each channel in a two channel mode.

도 10a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은 종래와 차별적으로 동일라인의 인접 픽셀 간에는 오차확산을 하되, 적용되는 오차값을 랜덤하게 설정해놓아 메모리부에 전혀 상관없이 구현하여 오차확산 시 발생하는 시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A,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error diffusion between adjacent pixels on the same line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and randomly sets an applied error value regardless of the memory unit. It can solve the time problem that occurs during error diffusion.

또한, 이는 동일라인의 중심 픽셀 바로 옆 픽셀의 계수(C4)를 랜덤하게 설정하여 오차확산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andomly set the coefficient C4 of the pixel immediately next to the center pixel of the same line to spread the error.

즉, 중심 셀(i)에 인접 셀들의 오차를 확산할 때 동일라인의 셀 중 바로 옆 픽셀의 오차값을 랜덤한 값(C4)으로 확산되도록 하여 오차확산의 속도를 향상시켜 정수오차확산 및 다채널 모드 예컨대 도 10a 와 같은 2채널 모드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error of adjacent cells is diffused to the center cell (i), the error value of the next pixel among the cells of the same line is diffused to a random value (C4) to improve the speed of error diffusion and to increase the integer error. The channel mode, for example, can be implemented in the two-channel mode as shown in FIG. 10A.

여기서, 2채널 모드에서의 오차확산은 전술한 대로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데이터가 입력되는 픽셀을 각 채널별로 구분하여 오차확산 할 수도 있고,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널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rror diffusion in the two-channel mode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an error diffusion by dividing the pixel into which each data is input for each channel as shown in FIG. 10A. As shown in FIG. You can make it possible.

즉, 10a 에서는 각 채널별 즉, 일례로 방전 셀을 a셀과 c셀로 이루어진 채널, b셀과 d셀로 이루어진 채널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채널변로 오차확산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일례로 a와 c셀로 이루어진 채널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That is, in 10a, data may be supplied for each channel, that is, for example, by dividing the discharge cells into channels consisting of a cells and c cells and channels consisting of b cells and d cells. At this time, channel error error diffus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a channel consisting of a and c cells is as follows.

즉, c3를 중심 픽셀(i)로 두고, a 셀과 c 셀로 이루어진 같은 채널의 픽셀 중 이전 라인의 세 개 픽셀(a2, a3, a4)에서 발생한 오차값에 정해진 계수(C1, C2, C3)를 곱하여 이 값들을 중심 셀(i)에 더한 후 그 셀의 양자화를 실시하여 다시 다음 셀에 오차확산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같은 채널의 바로 옆 픽셀(c2)은 계수(C4)를 랜덤하게 설정하여 실질적으로 오차확산 속도가 지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적으로 구현이 용이하도록 랜덤 오차확산의 픽셀을 a3셀과 c2의 셀로 설정할 수도 있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That is, the coefficients (C1, C2, C3) defined for the error value generated at the three pixels (a2, a3, a4) of the previous line among the pixels of the same channel consisting of cells a and c, with c3 as the center pixel (i). Multiply these values by adding them to the center cell (i), and then quantize the cells to allow error diffusion to the next cell. Here, the pixel c2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ame channel may randomly set the coefficient C4 so that the error diffusion rate is not substantially delayed. In addition, a random error diffusion pixel may be set to a3 cell and c2 cell to facilitate implementation in hardware, or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또한, 상기한 이전 라인의 계수들(C1, C2, C3)은 예컨대 APL 또는 오차의 레벨 등 경우에 따라 1 개 이상의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값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other values may be applied to the coefficients C1, C2, and C3 of the previous line, for example, using information stored in one or more tables, for example, APL or error leve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차의 적용 방향을 위 라인에서 아래 라인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아래라인에서부터 위쪽 라인으로 확산되는 것도 일례로 메모리 제어 블록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application direction is illustrated from the upper line to the lower line, but the diffusion of the error line from the lower line to the upper line may be applied using, for example, a memory control block.

한편, 본 발명의 오차확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도 10b와 같이 다채널 모드에서 특별히 채널을 구분하지 않고도 오차확산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error diffu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즉, 도 10b에서와 같이 d2를 중심 픽셀(i)로 두고 채널의 구별없이 이전 라인의 인접한 세 개 픽셀(a2, b2, a3)에서 발생한 오차값에 정해진 계수(C1, C2, C3)를 곱하여 이 값들을 중심 셀(i)에 더한 후 그 셀의 양자화를 실시하여 다시 다음 셀에 오차확산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동일 라인의 바로 옆 픽셀(c2)은 계수 (C4)를 랜덤하게 설정하여 실질적으로 오차확산 속도가 지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0B, with d2 as the center pixel i and multiplying the error values generated at three adjacent pixels a2, b2, and a3 of the previous line without distinguishing the channel, the coefficients C1, C2, and C3 are determined. These values are added to the center cell (i) and then quantized to allow error diffusion to the next cell. Here, the pixel c2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ame line may randomly set the coefficient C4 so that the error diffusion rate is not substantially delayed.

이처럼 본 발명은 오차확산 속도를 향상시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 시 발생하는 속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랜덤한 오차 확산 등 다양하게 실시하여 패턴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rror diffusion speed to solve the speed problem occurring in hardware implement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ttern noise by performing variously, such as random error diffusion.

또한, 오차확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써 계조 표현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ccuracy of error diffusion can be improv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ray scale expression power is improv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바로 옆 픽셀의 오차값에 의해 시간적으로 구애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봄이 상당하다.Such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n other words, if the configur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emporally bound by the error value of the immediately adjacent pixel, it is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 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은 화상처리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asma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peed of image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은 화면에 나타나는 패턴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lasma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attern noise appearing on the screen.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은 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lasma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gray scale expression power.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처리 방법은 오차확산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lasma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error diffusion.

Claims (8)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역감마 보정하는 역감마 보정부; 및An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configured to inversely gamma correct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상기 역감마 보정된 영상 신호의 데이터 중에서 동일 라인의 인접 픽셀간에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하프톤부;A halftone unit configured to diffuse an arbitrary predetermined error value between adjacent pixels of the same line among data of the inverse gamma corrected image signal; 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차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error value is "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차값은 랜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error value is rando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프톤부는 정수오차확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halftone unit is an integer error diffus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둘 이상의 채널로 구분하고, 상기 채널을 하 나의 클럭 신호에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다채널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The plasma display apparatus uses a multi-channel mode in which image signal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or more neighboring pixel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channels, and the channels are synchronized with one clock signal and output. Displa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하프톤부는 현재 라인의 픽셀에 이전 라인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halftone unit diffuses the error value of the previous line to the pixels of the current lin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하프톤부는 현재 라인의 픽셀에 동일 라인의 픽셀 중 적어도 두 픽셀 전의 오차값을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halftone unit spreads an error value of at least two pixels before pixels of the same line to pixels of the current line.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역감마 보정하는 역감마 보정부; 및An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configured to inversely gamma correct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상기 역감마 보정된 영상 신호의 데이터 중에서 동일 라인의 인접 픽셀간에는 오차확산하지 않는 하프톤부;A halftone unit which does not spread an error between adjacent pixels of the same line among data of the inverse gamma corrected image signal; 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KR1020060000724A 2006-01-03 2006-01-03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Withdrawn KR2007007315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24A KR20070073154A (en) 2006-01-03 2006-01-03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NA2006101596031A CN1924975A (en) 2006-01-03 2006-09-26 Plasma display device and its image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24A KR20070073154A (en) 2006-01-03 2006-01-03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154A true KR20070073154A (en) 2007-07-10

Family

ID=3781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724A Withdrawn KR20070073154A (en) 2006-01-03 2006-01-03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73154A (en)
CN (1) CN1924975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4975A (en)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79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white balance
JP4192168B2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400831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n average picture level being based on asymmetric cell
US77295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EP1705631A2 (en)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KR100646293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KR20050076442A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KR100793103B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70073154A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05841B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046972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67555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738816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5835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25548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25476B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57993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25549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12516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20060004393A (en)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594649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0144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KR100658359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3469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12517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