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87354A -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354A
KR20070087354A KR1020060017684A KR20060017684A KR20070087354A KR 20070087354 A KR20070087354 A KR 20070087354A KR 1020060017684 A KR1020060017684 A KR 1020060017684A KR 20060017684 A KR20060017684 A KR 20060017684A KR 20070087354 A KR20070087354 A KR 20070087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question
questions
answer
image qu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계욱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354A/ko
Priority to US11/525,840 priority patent/US20070196805A1/en
Priority to EP06124779A priority patent/EP1827012A3/en
Priority to CNA2006101686930A priority patent/CN101026706A/zh
Publication of KR2007008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35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저장부는 화질 또는 음향조절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을 저장하며, 화면 생성부는 화질 또는 음향조절 요청에 응답하여 다수의 질문 및 대응방안으로 이루어진 질의응답형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신호 처리부는 질의응답형 화면을 통해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대응방안을 기초로 화질 또는 음향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질의응답형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제공되는 기능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질의응답, OSD, 화질

Description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SD menu of question and answer typ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a는 도 2의 화면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초기 OSD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의 초기 OSD 화면 중 화면모드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c는 도 3a의 초기 OSD 화면 중 사용자 설정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되는 질의응답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2에 의한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200 :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110, 2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230 : 저장부 130, 252 : 화면 생성부
140, 270 : 제어부 260 : 표시부
본 발명은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공되는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질의응답형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되는 기능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표시장치는 화질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은 OSD(On Screen Display)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표시장치는 화질개선을 위하여 화질의 명암/밝기/선명도/색농도/색상 등의 화면모드, 차갑게/따뜻하게/보통 등의 바탕색모드, 콘트라스트, 노이즈 등 다양한 항목(factor)을 설정하도록 하는 OSD 화면을 각 항목 별로 여러 단계를 거쳐 제공하며, 사용자는 각 항목 별로 제공된 OSD 화면에서 각 항목의 설정값을 조정하여 화질이 조정되도록 요청한다.
그러나, 상술한 다양한 OSD 화면은 화질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거나 제품의 사용 설명서를 숙지한 사용자에게는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그렇지 못 한 사용자에게는 번거로움과 불편함만을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선호하는 화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화질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종래의 OSD를 통해 제공되는 화질개선과 같은 다양한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빈도수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종래의 표시장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을 수동으로 설정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클레임이 제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단계 또는 여러 화면을 거쳐 설정된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통합형 화면을 제공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을 사용자에게 직접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공되는 기능을 조정하도록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는, 화질 또는 음향조절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화질 또는 음향조절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질문 및 대응방안으로 이루어진 질의응답형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화면 생성부; 및 상기 질의응답형 화면을 통해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대응방안을 기초로 화질 또는 음향을 조절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다수의 질문 별로 상기 각 질문과 연관 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설정값들이 저장되며,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은 상기 각 질문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각 질문의 대응방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어 설정된 설정값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다수의 질문 및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은 룩업테이블형태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대응방안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질문 별로 제공되는 상기 대응방안은 적어도 두 개의 레벨로 표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은 고저, 강약 및 상하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된다.
상기 화면 생성부는 상기 질의응답형 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처리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되는 질의응답형 화면은 내장형 표시기기 및 외장형 표시기기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화질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은 명암, 밝기, 휘도, 선명도, 노이즈, 저계조, 화이트 밸런스 및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질문이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은, 화질 또는 음향조절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이루어진 질의응답형 화면의 표시요청신호가 수신되는 단 계; 상기 요청된 질의응답형 화면이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되는 단계; 상기 신호처리되는 질의응답형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질의응답형 화면을 통해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각 질문에 대해 선택된 대응방안을 기초로 화질 또는 음향을 재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각 질문에 대한 선택방안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은 상기 각 질문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각 질문의 대응방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어 설정된 설정값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저장부(120), 화면 생성부(130) 및 제어부(140)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100)는 내장형 표시기기(미도시) 또는 외장형 표시기기(미도시)에 OSD 화면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텔레비전, DVDP(Digital Video Disk Player), 셋탑박스 등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설정 또는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되거나 적 외선과 같은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제어기로 구현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질의응답형 화면(100a)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질의응답형 화면은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질의응답형 방식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화면으로서,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내장형 표시기기(미도시) 또는 외장형 표시기기(미도시)에 표시된 질의응답형 화면(100a)에서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을 선택한다.
질의응답형 화면(100a)으로의 진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조작에 의해 초기 OSD 화면을 먼저 표시한 후, 표시된 초기 OSD 화면에서 질의응답형 화면(100a)과 관련된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별도의 진입키(미도시)를 마련함으로써 초기 OSD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없이 질의응답형 화면(100a)을 다이렉트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을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형태로 저장한다. 여기서,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은 적어도 두 개의 레벨로 표현된다.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은 고저레벨, 강약레벨 및 상하레벨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각 질문 및 대응방안은 각 질문과 관련된 다수의 서브항목 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화면 생성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수의 질문 및 대응방안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형 화면(100a)을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면 생성부(130)는 질의응답형 화면(100a)을 OSD 처리한다. OSD 처리되는 질의응답형 화면(100a)은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거나 그래픽 처리되거나 또는 텍스트와 그래픽이 혼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질의응답형 화면(100a)의 표시요청신호가 출력되면,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수의 질문 및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한 후, 독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질의응답형 화면(100a)을 신호처리하도록 저장부(120) 및 화면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화면 생성부(130)에서 신호처리된 질의응답형 화면(100a)이 내장형 표시기기(미도시) 또는 외장형 표시기기(미도시)에 표시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및 질의응답형 화면(100a)을 통해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대응방안대로 레지스터(미도시)를 재설정하고, 각 질문에 대한 기능을 재수행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선택된 각 대응방안이 저장부(120)에 최초 선택된 대응방안과 함께 저장되도록 저장부(12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수신부(220), 저장부(230), 신호 입력부(240), 신호 처리부(250), 표시부(260) 및 제어부(270)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수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70)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수신부(120), 저장부(120) 및 제어부(14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200)는 영상 소스원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표시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고, 다양한 OSD 화면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텔레비전, DVDP(Digital Video Disk Player), 셋탑박스 등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가능하다.
다수의 키, 버튼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질개선과 관련된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사용자 설정화면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질의응답형 화면은 화질개선과 관련된 기능을 다양한 질문형태로 표시하고, 각 질문에 대응되는 대응방안을 같이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가이드화면이다. 질의응답형 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표시부(260)에 표시된 질의응답형 화면에서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을 선택한다.
질의응답형 화면으로의 진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의 조작에 의해 초기 OSD 화면을 먼저 표시한 후, 표시된 초기 OSD 화면 중 질의응답형 화면과 관련된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진입할 수 있다. 초기 OSD 화면은 화질개선을 위한 각 항목(예를 들어, 명암, 밝기, 화면모드 등)의 설정값을 사용자가 직접 조정하도록 하 는 화면이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 별도의 진입키(미도시)를 마련함으로써 질의응답형 화면을 다이렉트로 표시할 수도 있다.
수신부(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송출된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저장부(230)는 화질개선기능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을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여기서,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은 적어도 두 개의 레벨로 표현된다.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은 고저레벨, 강약레벨 및 상하레벨 중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각 질문 및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이 각 질문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다수의 서브항목의 조합에 의해 완성되는 경우, 저장부(230)는 각 질문 별로 다수의 서브항목과 각 서브항목의 설정값을 대응방안별로 저장한다. 즉, 저장부(230)에는 각 질문과 관련된 다수의 서브항목 및 각 서브항목의 설정값이 저장된다.
다음의 [표 1]은 저장부(230)에 저장되는 다수의 질문 및 각 질문과 관련된 다수의 서브항목의 일 예를 보여준다.
화질개선항목 질 문 항 목
1: 명암비 선명한 화질을 원하십니까? WS, CE
2: 노이즈 노이즈를 제거할까요? NR, 코어링, LNA
3: 저계조 어두운 부분을 밝게 변경할까요? 밝기, Black Stretch
4: 움직임 영화같은 느낌을 원하십니까? Pull Down, IPC 보간
5: 색상 자연스러운 색을 원하십니까? 색상레벨, CSC
6: 화이트밸런스 시원한 느낌의 화질을 원하십니까? 색상온도, Blue Stretch
7: 샤프니스 뚜렷한 윤곽을 원하십니까? DEP, 샤프니스, Peaking
8: 휘도 밝은 화면을 원하십니까? 감마커브, 콘트라스트
[표 1]을 참조하면, 명암비는 WS와 CE의 조합에 의해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WS(White Stretch)의 약어로서 화이트 색상의 비율을 증가하여 보다 청명한 화이트색상을 만들어 주는 기능이며, CE(Contrast Enhancer)는 감마 커브(Gamma Curve)를 S자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선명한 화질을 만드는 기능을 나타낸다.
또한, 노이즈는 NR, 코어링 및 LNA의 조합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NR은 시공간적으로 영상을 비교하여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법이며, 코어링은 영상신호의 블랙영역에 있는 노이즈를 디코딩과정에서 제거하는 기능이며, LNA(Low Noise Amplifier)는 튜너의 앞단에서 입력신호의 신호대 잡음비(N/R)를 증가시켜 신호 대비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기능이다.
또한, 저계조표현과 관련된 밝기(Brightness)는 블랙 레벨을 제어하여 저계조 부분의 신호를 표현하는 기능이며, Black Stretch는 블랙 레벨은 그대로 유지하고 저계조 커브 부분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함으로써 저계조 표현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또한, 움직임과 관련된 Pull Down은 3:2 Inverse Pull Down의 유무를 나타내는 기능, IPC 보간은 보간의 유무를 나타내는 기능으로서 움직이는 영상이 부자연스러울때 유용하다.
또한, 색상과 관련된 색상레벨은 색상의 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이며, CSC(Color Space Converter)는 YUV 신호를 RGB로 변환하거나 역변환하여 색상의 좌표를 다르게 설정하는 기능이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와 관련된 색상온도(Color Temperature)는 그레이/화이트 레벨의 온도로서, 일반적으로 차가운 모드, 따뜻한 모드 및 보통 모드를 가지며, Blue Stretch는 RGB 색상 중 블루색상을 강화(stretch)하여 시원한 느낌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또한, 샤프니스(sharpness)와 관련된 DEP(Detail Enhance Processor)는 영상신호의 저역, 중역 및 고역을 부분적으로 향상시켜 보다 디테일한 영상을 구현하는 기능이며, 샤프니스는 영상신호의 윤곽을 보다 뚜렷하게 조절하는 기능이며, Peaking은 영상신호의 저역, 중역 및 고역을 향상시키는 항목으로 일반적으로 디코딩과정에서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휘도와 관련된 감마 커브는 감마 수치를 변경하여 영상을 어둡게 만들거나 중간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이며, 콘트라스트는 영상신호를 전체적으로 증폭시켜 전체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표 2]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첫째 질문, 첫째 질문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다수의 항목, 각 항목과 관련된 서브항목 및 각 서브항목의 레벨이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일 예이다.
질문 항목 서브항목 약 레벨 중 레벨 강 레벨 선 택 된 대응방안
선명한 화질을 원하십니까? WS 틸트(tilt) 70 80 90
이득(gain) 330 350 380
CE upper gain 10 20 30
lower gain 10 20 30
[표 2]를 참조하면, '선명한 화질을 원하십니까'와 관련된 항목은 WS와 CE가 설정되어 있으며, 각 항목 별 서브항목의 레벨은 약, 중 및 강 레벨로 구분되어, 구분된 레벨 별로 적정값이 설정되어 있다. 즉, 선명한 화질을 약하게 하려는 경우 틸트, 이득, upper gain 및 lower gain의 수치는 작게 설정되고, 강하게 하려는 경우에는 수치는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기선택된 대응방안은 '강'이므로, 선명도와 관련된 항목은 강하게 조정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변경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입력부(240)는 영상 소스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신호 입력부(240)는 방송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신호,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신호 등 다양한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다수의 단자 또는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처리부(250)는 신호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화질을 고려하여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한 후, 표시부(260)로 출력한다.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200)가 디지털 기기인 경우, 신호 처리부(25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로 구현되어 영상신호를 디지털처리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50)는 화면 생성부(252)를 갖는다. 화면 생성부(252)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OSD 화면을 생성한 후,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 특히, 화면 생성부(252)는 화질개선을 위한 초기 OSD 화면 및 질의응답형으로 이루어진 질의응답형 화면을 생성한다.
도 3a는 도 2의 화면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초기 OSD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의 초기 OSD 화면 중 화면모드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c는 도 3a의 초기 OSD 화면 중 사용자 설정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되는 질의응답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초기 OSD 화면의 표시가 요청되면 화면 생성부(252)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초기 OSD 화면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OSD 화면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의 방향키 등을 조작하여 '화면'을 선택하면, 본 발명은 화질개선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여 화면모드, 명암, 밝기, 선명도, 바탕색, 화면잡음제거의 유무 등 화질개선과 관련된 다수의 항목을 일일이 조정하여 선호하는 화질이 표시되도록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면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여 화면모드를 선택하면, 화면 생성부(252)는 화면모드에 포함되는 다수의 모드, 즉, '선명한 화면, 표준화면 및 사용자 조정'이 표시되는 OSD 화면을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여 원하는 화면모드를 최종 선택한다.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여 초기 OSD 화면의 '질의응답형 화면'을 선택하면, 화면 생성부(252)는 도 3c와 같은 질의응답형 OSD 화면을 생성한다. 질의응답형 OSD 화면은 질의응답형 화면모드로 진입됨으로써 생성되는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도 3a 및 도 3b와 같은 복잡한 절차없이 쉽게 화질을 개선하도록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화질개선과 관련된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은 3개가 제시되어 있다. 3개의 대응방안은 약/중/강레벨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첫째 질문 "선명한 화질을 원하십니까?"에 대해서 보다 선명한 화질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강'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방안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질문들에 대하여 대응방안이 선택되고, 최종적으로 '완료'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선택된 대응방안에 근거하여 화질처리를 재수행하도록 신호 처리부(250)를 제어한다.
또는, '완료'라는 항목없이,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이 선택되는 즉시, 선택된 대응방안이 반영되어 화질처리를 재수행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 조정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260)는 신호 처리부(25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며, 화면 생성부(252)에서 신호처리된 초기 OSD 화면, 질의응답형 화면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260)는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 다양한 표시기기로 구현가능하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및 기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초기 OSD 화면의 표시요청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270)는 저장부(23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도 3a와 같은 초기 OSD 화면을 표시하도록 저장부(230), 화면 생성부(252) 및 표시부(260)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된 초기 OSD 화면 중 '질의응답형 화면'이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도 3c와 같은 질의응답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저장부(230), 화면 생성부(252) 및 표시부(260)를 제어한다.
질의응답형 화면이 표시된 후, 각 질의에 대응되는 방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의 조작에 의해 선택완료되면, 제어부(270)는 선택된 대응방안을 기초로 영상신호의 화질을 재처리하도록 신호 처리부(250)를 제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화질로 개선된 영상이 표시부(260)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3c에서 첫번째 질문에 대하여 '강', 두번째 질문에 대하여 '강', 세번째 질문에 대하여 '중'이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표 2]에서와 같이 각 레벨에 대해 설정된 값으로 화질처리를 재수행하도록 신호 처리부(250)를 제어한다. 이로써, 표시부(26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로 개선된 영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선택된 각 질문 별 대응방안이 저장부(230)에 저장되도록 저장부(2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선택된 대응방안이 최초 저장된 대응방안과 함께 저장되거나 또는 최초 저장된 대응방안을 삭제하고 갱신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질의응답형 화면'을 통해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이 선택되는 즉시, 선택된 대응방안을 반영하여 화질처리를 재수행하도록 신호처리부(2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의한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도 3c와 같은 질의응답형 화면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7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질의응답형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형 화면을 생성하도록 화면 생성부(252)를 제어한다(S410, S420). 즉, 제어부(270)는 저장부(230)로부터 질의응답형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화면 생성부(252)로 제공하며, 제공된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표시가능한 질의응답형 화면을 생성한 후 표시부(260)로 제공하도록 화면 생성부(252)를 제어한다. 여기서, 화면 생성부(252)는 질의응답형 화면을 OSD 처리한다.
S420단계가 수행되면, 제어부(270)는 생성된 질의응답형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60)를 제어한다(S430). 표시되는 질의응답형 화면은 질의응답형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화질을 설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S430단계가 수행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 및 '완료'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선택된 대응방안을 기초로 화질개선기능을 재수행하도록 신호 처리부(250)를 제어한다(S440, S450, S460). 이로써, 표시부(26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응방안에 대응되도록 신호처리된 영상이 최종 표시된다.
S460단계 이후, S440단계에서 선택된 대응방안의 저장이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면, 제어부(270)는 선택된 대응방안이 각 질문별로 갱신되도록 저장부(230)를 제어한다(S470, S480).
반면, S440단계에서 선택된 대응방안의 저장이 사용자로부터 요청되지 않으면, 제어부(270)는 이전에 선택된 대응방안을 유지하도록 저장부(230)를 제어한다(S490).
따라서, 사용자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은 OSD 화면을 이용하여 선호하는 화질을 설정하거나, 또는 도 3c와 같은 하나의 질의응답형 화면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선호하는 화질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은 화질개선과 관련된 기능을 실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화질뿐만 아니라 음향, 채널 등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질의응답형 OSD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은 질의응답형 화면을 개인별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c와 같은 질의응답형 화면에 사용자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메뉴를 할당한 후,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 별로 각 질문의 대응방안을 저장함으로써 개인별로 선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제품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질문 및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을 사용자에게 직접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제공되는 기능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각 기능을 조정하는 데 필요한 다수의 항목들을 통합하여 질문으로 표현하고, 여러 화면 또는 여러 단계에 걸쳐 조정되었던 기능을 하나의 화면에 통합하여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또한,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질문 및 각 질문의 대응방안을 개인별로 저장함으로써 개인별 취향을 고려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질문에 대한 대응방안이 선택되는 즉시, 선택된 대응방안이 반영되는 화질처리를 재수행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 조정의 편의성을 제 공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상승시키면서 더불어 사용자의 선호 화질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선호화질조사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7)

  1. 화질 또는 음향조절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화질 또는 음향조절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질문 및 대응방안으로 이루어진 질의응답형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화면 생성부; 및
    상기 질의응답형 화면을 통해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대응방안을 기초로 화질 또는 음향을 조절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다수의 질문 별로 상기 각 질문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설정값들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은 상기 각 질문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각 질문의 대응방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어 설정된 설정값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문 및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은 룩업테이블형태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대응방안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문 별로 제공되는 상기 대응방안은 적어도 두 개의 레벨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은 고저, 강약 및 상하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생성부는 상기 질의응답형 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되는 질의응답형 화면은 내장형 표시기기 및 외장형 표시기기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은 명암, 밝기, 휘도, 선명도, 노이즈, 저계조, 화이트 밸런스 및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질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11. 화질 또는 음향조절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 및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이루어진 질의응답형 화면의 표시요청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질의응답형 화면이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되는 단계;
    상기 신호처리되는 질의응답형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질의응답형 화면을 통해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에 대한 대응방안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각 질문에 대해 선택된 대응방안을 기초로 화질 또는 음향을 재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문 각각은 상기 각 질문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각 질문의 대응방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어 설정된 설정값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문 별로 제공되는 상기 대응방안은 적어도 두 개의 레벨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은 고저, 강약 및 상하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응답형 화면은 OSD(On Screen Display)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조절과 관련된 다수의 질문은 명암, 밝기, 휘도, 선명도, 노이즈, 저계조, 화이트 밸런스 및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질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응답형 화면제공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각 질문에 대한 선택방안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형 화면제공방법.
KR1020060017684A 2006-02-23 2006-02-23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 Withdrawn KR20070087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684A KR20070087354A (ko) 2006-02-23 2006-02-23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
US11/525,840 US20070196805A1 (en) 2006-02-23 2006-09-25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viding question-and-answer screen on OSD
EP06124779A EP1827012A3 (en) 2006-02-23 2006-11-24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viding question-and-answer screen on OSD
CNA2006101686930A CN101026706A (zh) 2006-02-23 2006-12-22 在屏上显示器上提供问-答屏幕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684A KR20070087354A (ko) 2006-02-23 2006-02-23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354A true KR20070087354A (ko) 2007-08-28

Family

ID=3796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684A Withdrawn KR20070087354A (ko) 2006-02-23 2006-02-23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96805A1 (ko)
EP (1) EP1827012A3 (ko)
KR (1) KR20070087354A (ko)
CN (1) CN1010267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0988A1 (en) * 2006-05-04 2007-11-08 Syntax Brillian Corp. Optimum initial settings for a display device
US20110242330A1 (en) * 2010-03-31 2011-10-06 Wohler Technologie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Broadcast Signals
US9026088B1 (en) * 2012-05-29 2015-05-05 West Corporation Controlling a crowd of multiple mobile station devices
JP6661915B2 (ja) * 2014-08-08 2020-03-1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9777A1 (fr) * 1990-03-16 1991-09-20 Europ Rech Electr Lab Procede de commande d'appareils d'un reseau domestique integre, et dispositif de mise en óoeuvre.
US5499040A (en) * 1994-06-27 1996-03-12 Radi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calibration and control
JP4427125B2 (ja) * 1999-04-07 2010-03-03 富士通株式会社 表示特性認識装置、表示特性認識プログラム記憶媒体、表示特性調整装置および表示特性調整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3205483A (ja) * 2001-11-07 2003-07-22 Sony Corp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装置の制御方法
JP3759582B2 (ja) * 2001-11-22 2006-03-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4128900A (ja) * 2002-10-02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操作メニューのカスタマイズ方法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6706A (zh) 2007-08-29
EP1827012A3 (en) 2010-04-21
EP1827012A2 (en) 2007-08-29
US20070196805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122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screen of video apparatus
JP2822258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88654B1 (ko)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US9307216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using adjustment images
US2008006232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50084234A1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KR20070087354A (ko) 질의응답형 화면제공장치 및 방법
KR20130130645A (ko) 리모콘 조작 가능한 전자 기기
KR20080012054A (ko) 영상처리장치 및 정보표시방법
JPH06245167A (ja) モニタ装置
US55394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ing a display position of a small-sized picture on a display screen of a television receiver
US8212936B2 (en) Picture quality control apparatus, method therefor, picture quality processing apparatus, programs for the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at program therein
US201000534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tural color gamut viewing mode for laser television
JP4412956B2 (ja) 映像表示装置
JP2008193645A (ja) 明るさ補正装置、その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2009170999A (ja) 表示装置
US20050215903A1 (e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adaptive display control
JP4963577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8079021A (ja) 映像処理装置
JP2006314014A (ja) 表示システム
JP4948999B2 (ja) 調整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及び表示装置
JP5189810B2 (ja) 画質制御装置及び画質制御方法
JP507274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8102328A (ja) 表示制御装置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