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91128A -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128A
KR20070091128A KR20077012394A KR20077012394A KR20070091128A KR 20070091128 A KR20070091128 A KR 20070091128A KR 20077012394 A KR20077012394 A KR 20077012394A KR 20077012394 A KR20077012394 A KR 20077012394A KR 20070091128 A KR20070091128 A KR 20070091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ata
signal
orthogonal
ph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07701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후쿠오카
이사무 요시이
겐이치 미요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12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1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phase modulations of a singl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스트림 수신측에서의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 이 장치에 있어서, IQ 분리부(110, 112)는 다중화하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제 1 데이터 변조 심볼을 제 1 동상 성분 및 제 1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고, 또한, 다중화하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 중 다른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되는 제 2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2 동상 성분 및 제 2 직교 성분으로 분리한다. IQ 변환부(114)는 제 1 동상 성분을 제 3 직교 성분으로 변환하고, 또한, 제 2 직교 성분을 제 4 동상 성분으로 변환한다. 멀티 코드 다중부는 제 1 직교 성분 및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1 다중 신호를 얻고, 또한, 제 2 동상 성분 및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2 다중 신호를 얻는다. IQ 합성부(124)는 제 1 다중 신호 및 제 2 다중 신호를 서로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얻는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ATA MULTIPLEXING METHOD}
본 발명은 확산된 데이터 스트림의 송수신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에 의한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는, 음성 데이터 이외에 화상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 등, 여러 가지 정보가 통신의 대상물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데이터 통신의 고속화 및 대용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 고속 전송을 행하는 경우, 멀티패스에 의한 지연파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어,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에 의해 수신 특성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대책 기술의 일례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조합된 MC(Multi Carrier)-CDMA 방식(OFCDM 방식이라고도 말함)에 대한 다양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MC-CDMA 방식에는, 크게 나누어서, 시간축 방향의 확산 및 주파수축 방향의 확산이 있다(예컨대, 비특허 문헌 1 참조).
주파수 방향 확산을 이용한 무선 송신 방법에서는, 변조 심볼의 확산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칩이, 동일 시각에서 각각 상이한 서브캐리어에 배치된다. 한편, 시간 방향 확산을 이용한 무선 송신 방법에서는, 복수의 칩이 동일 주파수에 있어서 시계열로 배치된다.
또한, MC-CDMA 방식에서는,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된 변조 방식이나 그 밖의 전송 파라미터 등에 의해서 채널 코덱을 받은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일 프레임 내에 코드 다중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 특성은, 그 변조 방식이나 파라미터의 설정에 따라서 변동한다. 예를 들면, 주파수 방향 확산을 이용하는 편이 양호한 수신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으면, 시간 방향 확산을 이용하는 편이 양호한 수신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예컨대, 비특허 문헌 2 참조).
비특허 문헌 1: 「OFCDM에서의 시간축 확산에 관한 검토」, 신학기보, RCS2001-179
비특허 문헌 2: 「2차원 확산을 이용하는 VSF-OFCDM과 그 특성」, 신학기보, RCS2002-61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무선 송신 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코드 다중화하는 경우, 직교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의 확산 방향을 다른 데이터 스트림의 확산 방향에 맞출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코드 다중화되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 중에, 수신 특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는 확산 방향이 주파수 방향인 것과 시간 방향인 것이 존재했을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서는, 수신 특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지 않는 방향의 확산 또는 이차원 확산(즉, 주파수 방향 확산 및 시간 방향 확산의 양쪽)이 실시된다. 이 때문에, 수신 특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지 않는 방향의 확산 또는 이차원 확산이 실시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요 Eb/N0(또는 소요 ES/N0)가 커져, 수신 특성이 열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스트림 수신측에서의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1 동상(同相) 성분 및 제 1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고, 또한, 상기 제 2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2 동상 성분 및 제 2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제 1 동상 성분을 제 3 직교 성분으로 변환하고, 또한, 상기 제 2 직교 성분을 제 4 동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1 다중 신호를 얻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2 다중 신호를 얻는 다중 수단과, 상기 제 1 다중 신호 및 상기 제 2 다중 신호를 서로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얻는 합성 수단을 갖는 구성을 채택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다중 방법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데이터 다중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1 동상 성분 및 제 1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고, 또한, 상기 제 2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2 동상 성분 및 제 2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제 1 동상 성분을 제 3 직교 성분으로 변환하고, 또한, 상기 제 2 직교 성분을 제 4 동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1 다중 신호를 얻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2 다중 신호를 얻는 다중 단계와, 상기 제 1 다중 신호 및 상기 제 2 다중 신호를 서로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얻는 합성 단계를 갖도록 하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스트림 수신측에서의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각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과 각 신호 성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확산 방향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확산 다중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확산 다중 방법 결정부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요 Eb/N0 특성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각 데이터 스트림의 각 신호 성분이 개별적으로 확산되지 않은 경우의 다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각 데이터 스트림의 각 신호 성분이 개별적으로 확산되는 경우의 다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MC-CDMA 방식의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100)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무선 송신 장치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데이터 스트림 A, B를 다중화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다중화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수는 3 이상이더라도 무방하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변조부(102, 104), 직렬/병렬 변환(S/P)부(106, 108), IQ 분리부(110, 112), IQ 변환부(114), 확산부(116, 118), 다중부(120, 122), IQ 합성부(124), 제어 정보 다중부(126),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28), GI(Guard Interval) 삽입부(130), 안테나(132), 확산 방향 결정부(134), 확산 코드 생성기(136, 138)를 갖는다. 변조부(102), S/P부(106) 및 IQ 분리부(110)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성은, 데이터 스트림 A를 개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으며, 변조부(104), S/P부(108) 및 IQ 분리부(112)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성은 데이터 스트림 B를 개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변조부(102)는 데이터 스트림 A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여 동상 성분(Ich 성분) 및 직교 성분(Qch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변조부(102)는 데이터 스트림 A의 송신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에 따라서 선택된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 스트림 A를 변조한다. 사용되는 변조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및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들 수 있다. 변조부(102)는 선택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콘스텔레이션(constellation) 상에 데이터를 맵핑함으로써 데이터 변조를 한다.
변조부(104)는 데이터 스트림 B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여 동상 성분(Ich 성분) 및 직교 성분(Qch 성분)으로 이루는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변조부(104)는 데이터 스트림 B의 송신처와의 사이의 전파로의 상태에 따라서 선택된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 스트림 B를 변조한다. 사용되는 변조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QPSK 및 16QAM 등을 들 수 있다. 변조부(104)는 선택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콘스텔레이션 상에 데이터를 맵핑함으로써 데이터 변조를 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B는 데이터 스트림 A와는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로 채널 코덱을 받는 데이터 스트림이다.
S/P부(106)는 변조부(102)에 의해 생성된 각 변조 심볼을 직렬/병렬 변환한다. 또한, S/P부(108)는 변조부(104)에 의해 생성된 각 변조 심볼을 직렬/병렬 변환한다.
IQ 분리부(110)는 S/P부(106)에 의해 직렬/병렬 변환된 각 변조 심볼을 Ich 성분 및 Qch 성분으로 분리한다. IQ 분리부(110)에서의 분리에 의해서 얻어진 Ich 성분 및 Qch 성분은 IQ 변환부(114)에 출력된다. 또한, IQ 분리부(112)는 S/P부(108)에 의해서 직렬/병렬 변환된 각 변조 심볼을 Ich 성분 및 Qch 성분으로 분 리한다. IQ 분리부(112)에서의 분리에 의해서 얻어진 Ich 성분 및 Qch 성분은 IQ 변환부(114)에 출력된다.
확산 방향 결정부(134)는 각 데이터 스트림 A, B에 대하여 설정된 전송 파라미터나, 전파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전파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IQ 변환부(114), 확산 코드 생성기(136, 138) 및 제어 정보 다중부(126)에 출력한다.
전송 파라미터로서는, 송신 데이터에 있어서의 변조 부호화 방식, 확산율 및 코드 다중수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이것은, 수신측으로부터의 데이터량의 요구나, 송신측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량 등에 기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메일을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즉, 데이터 스트림 수신측)는 적은 정보량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16QAM보다도 다치수(多値數)가 작은 QPSK를 사용하는 한편, 텔레비전 전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많은 정보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QPSK보다도 다치수가 큰 16QAM을 사용하는 등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전송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확산 방향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다치수의 변화에 따라서 시간 방향 확산 또는 주파수 방향 확산의 우선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치수가 소정값 이상인 변조 방식이 사용될 때에는, 시간 방향 확산의 우선도가 올라가서(환언하면, 주파수 방향 확산의 우선도가 내려가서) 시간 방향 확산이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전파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는, 수신 사용자마다의 전파 환경 정보(지연 스프레드 및 도플러 주파수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처해 있는 상황,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100)로부터의 거리, 조망 환경 또는 섀도잉 환경, 셀 에지, 고속 이동 환경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피드백되는 정보이다. 이러한 전파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확산 방향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지연 스프레드 또는 도플러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서 시간 방향 확산 또는 주파수 방향 확산의 우선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연 스프레드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시간 방향 확산보다도 주파수 방향 확산인 쪽이 직교성의 붕괴가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시간 방향 확산의 우선도가 올라가서(환언하면, 주파수 방향 확산의 우선도가 내려가서) 시간 방향 확산이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도플러 주파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주파수 방향 확산보다도 시간 방향 확산인 쪽이 직교성의 붕괴가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주파수 방향 확산의 우선도가 올라가서(환언하면, 시간 방향 확산의 우선도가 내려가서) 주파수 방향 확산이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가 얻어지고 있지 않은 통신 초기의 경우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전파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없지만, 이 경우에도 하향 회선의 전송 파라미터는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IQ 변환부(114)는 확산 방향 결정부(134)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IQ 분리부(110)로부터 입력된 Ich 성분 및 Qch 성분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IQ 변환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Qch 성분을 Ich 성분으로 변환하는 경우, 입력된 Qch 성분의 위상을 90° 회전함으로써 Ich 성분을 얻는다. 이 경우, IQ 분리부(110)로 부터 입력된 Ich 성분 및 IQ 변환에 의해서 얻어진 Ich 성분은 확산부(116)에 출력된다.
또한, IQ 변환부(114)는 확산 방향 결정부(134)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IQ 분리부(112)로부터 입력된 Ich 성분 및 Qch 성분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IQ 변환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Ich 성분을 Qch 성분으로 변환하는 경우, 입력된 Ich 성분의 위상을 90° 회전함으로써 Qch 성분을 얻는다. 이 경우, IQ 분리부(112)로부터 입력된 Qch 성분 및 IQ 변환에 의해서 얻어진 Qch 성분은 확산부(118)에 출력된다.
확산 코드 생성기(136)는 각 Ich 성분의 확산에 이용되는 확산 코드를 생성한다. 확산 코드의 주파수 방향의 확산율 또는 시간 방향의 확산율은 확산 방향 결정부(134)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Ich 성분의 확산 방향이 주파수 방향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주파수 방향의 확산율 SFF를 갖는 확산 코드가 각 Ich 성분에 대응되게 생성되어, 확산부(116)에 출력된다. 또는, Ich 성분의 확산 방향이 시간 방향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시간 방향의 확산율 SFT를 갖는 확산 코드가 각 Ich 성분에 대응되게 생성되어, 확산부(116)에 출력된다. 사용되는 확산율 SFF, SFT는 모두 고정값이더라도 가변값이더라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고정값으로 한다.
확산 코드 생성기(138)는 각 Qch 성분의 확산에 이용되는 확산 코드를 생성한다. 확산 코드의 주파수 방향의 확산율 또는 시간 방향의 확산율은 확산 방향 결정부(134)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이 주파수 방향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주파수 방향의 확산율 SFF를 갖는 확산 코드가 각 Qch 성분에 대응되게 생성되어, 확산부(118)에 출력된다. 또는,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이 시간 방향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시간 방향의 확산율 SFT를 갖는 확산 코드가 각 Qch 성분에 대응되게 생성되어, 확산부(118)에 출력된다. 사용되는 확산율 SFF, SFT는 모두 고정값이더라도 가변값이더라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고정값으로 한다.
확산부(116)는 IQ 변환부(114)로부터 입력된 각 Ich 성분을, 확산 코드 생성기(136)로부터 입력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Ich 확산 칩을 생성한다.
또한, 확산부(118)는 IQ 변환부(114)로부터 입력된 각 Qch 성분을, 확산 코드 생성기(138)로부터 입력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Qch 확산 칩을 생성한다.
다중부(120)는 확산부(116)에 의해서 생성된 각 Ich 확산 칩을 서로 다중화하여, Ich 다중 신호를 생성한다. 즉, 확산 코드 생성기(136), 확산부(116) 및 다중부(120)의 조합은 각 Ich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는 멀티 코드 다중부를 구성한다.
다중부(122)는 확산부(118)에 의해서 생성된 각 Qch 확산 칩을 서로 다중화하여, Qch 다중 신호를 생성한다. 즉, 확산 코드 생성기(138), 확산부(118) 및 다중부(122)의 조합은 각 Qch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는 멀티 코드 다중부를 구성한다.
IQ 합성부(124)는 다중부(120)에 의해서 생성된 Ich 다중 신호 및 다중부(122)에 의해서 생성된 Qch 다중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정보 다중부(126)는 IQ 합성부(124)에 의해서 생성된 합성 신호에, 확산 방향 결정부(134)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를 다중화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IFFT부(128)는 제어 정보 다중부(126)에 의해서 생성된 송신 신호에 대하여 IFFT를 실행한다. GI 삽입부(130)는 IFFT 후의 송신 신호의 소정 위치에 GI를 삽입하고, GI 삽입 후의 송신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처리(D/A 변환, 업컨버트 등)를 실시하고 나서, 안테나(132)를 거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확산 다중 처리 동작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합성 신호의 각 신호 성분(즉, 다중 후의 Ich 성분 및 다중 후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이 각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2는 각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과 각 신호 성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확산 방향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무선 통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확산 다중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 예시에 있어서는, 확산 방향 결정부(134)에 의해서, 다중 후의 Ich 성분의 확산 방향이 주파수 방향으로 결정되고 또한 다중 후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이 시간 방향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 다중 후의 Ich 성분의 확산 방향 및 다중 후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을, 각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대신에, 각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량, 확산율, 송신처의 지연 스프레드 또는 송신처의 도플러 주파수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먼저, IQ 분리부(110)에서, 데이터 스트림 A에 포함되는 데이터 신호의 변조 심볼이 Ich 성분(Sa(I)) 및 Qch 성분(Sa(Q))으로 분리되고(ST1010), 또한, IQ 분리부(112)에서, 데이터 스트림 B에 포함되는 데이터 신호의 변조 심볼이 Ich 성분(Sb(I)) 및 Qch 성분(Sb(Q))으로 분리된다(ST1020).
여기서, 데이터 스트림 A에 포함되는 데이터 신호의 변조 심볼의 변조 방식이 QPSK이고, 데이터 스트림 B에 포함되는 데이터 신호의 변조 심볼의 변조 방식이 16QAM이라고 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 방향 결정부(134)에서는, 다중 후의 Ich 성분의 확산 방향은 주파수 방향으로 결정되고, 다중 후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은 시간 방향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Sa(I)는 IQ 변환부(114)에서의 IQ 변환의 대상으로 되지 않고, 그대로 확산부(116)에 출력된다(ST1030). 한편, Sa(Q)는 IQ 변환부(114)에서의 IQ 변환의 대상으로 되어, 위상 회전에 의해서 Ich 성분(Sa(Q)')으로 변환되고, Sa(Q)'는 확산부(116)에 출력된다(ST1040).
또한, Sb(I)은 IQ 변환부(114)에서의 IQ 변환의 대상으로 되어, 위상 회전에 의해서 Qch 성분(Sb(I)')으로 변환되고, Sb(I)'는 확산부(118)에 출력된다(ST1050). 한편, Sb(Q)는 IQ 변환부(114)에서의 IQ 변환의 대처로 되지 않고, 그대로 확산부(118)에 출력된다(ST1060).
확산부(116)에서는, Sa(I)가 주파수 방향으로 확산되고(ST1070), 또한, Sa(Q)'도 주파수 방향으로 확산된다(ST1080). Sa(I)의 확산에 이용하는 확산 코드와 Sa(Q)'의 확산에 이용하는 확산 코드는 서로 직교한다.
확산부(118)에서는, Sb(I)'가 시간 방향으로 확산되고(ST1090), 또한, Sb(Q)도 시간 방향으로 확산된다(ST1100). Sb(I)'의 확산에 이용하는 확산 코드와 Sb(Q)의 확산에 이용하는 확산 코드는 서로 직교한다.
다중부(120)에서는, 주파수 방향으로 각각 확산된 Sa(I) 및 Sa(Q)'가 서로 다중화되어,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에 상당하는 다중 신호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다중부(122)에서는, 시간 방향으로 각각 확산된 Sb(I)' 및 Sb(Q)가 서로 다중화되어,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에 상당하는 다중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각 다중 신호는 IQ 합성부(124)에 의해서 합성되어, 합성 신호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중화하는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서, 변조 심볼을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여, 어느 한쪽의 성분을 변환하여 다른쪽의 성분을 얻고, 변환의 대상으로 되지 않은 성분과 변환에 의해서 얻어진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다중 신호를 얻는다. 즉, 각 데이터 스트림의 신호 성분을 동상 성분이거나 직교 성분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하고 나서, 복수 데이터 스트림의 다중 신호(즉, 전술한 합성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다중 후의 Ich 성분과 다중 후의 Qch 성분 사이에 서로 직교의 관계를 갖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드 다중화하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있어서의 최적의 확산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 모든 데이터 스트림의 확산 방향을 어느 하나의 데 이터 스트림에 있어서 최적의 확산 방향으로 맞출 필요를 없앨 수 있고, 각 데이터 스트림의 소요 Eb/N0(또는, 소요 ES/N0)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데이터 스트림 수신측에서의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의 신호 성분을 Ich 성분에 치우치게 하고, 다른 데이터 스트림의 신호 성분을 Qch 성분에 치우치게 한다. 또한, 그 Ich 성분을, 다중 후의 Ich 성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고, 또한, 그 Qch 성분을 다중 후의 Qch 성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확산 방향으로 확산한다. 이 때문에, 각 데이터 스트림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수신 특성이 얻어지는 방향의 확산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기본적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데이터 스트림 A, B를 다중화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다중화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수는 3 이상이더라도 무방하다.
도 4의 무선 통신 장치(200)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확산 방향 결정부(134) 대신에 확산 다중 방법 결정부(202)를 갖는다.
확산 다중 방법 결정부(202)는 각 데이터 스트림 A, B에 대하여 설정된 전송 파라미터나, 전파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전파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각의 확산 다중 방법, 예를 들어 확산 방향 및 코드 다중수 등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IQ 변환부(114), 확산 코드 생성기(136, 138) 및 제어 정보 다중부(126)에 출력한다. 이하, 확산 다중 방법 결정부(202)의 확산 다중 방법 결정 동작에 대해서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확산 다중 방법 결정부(202)의 확산 다중 방법 결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송 파라미터 및 전파 환경 정보를 취득한다(ST2010). 여기서는, 데이터 스트림 A의 전송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QPSK), 부호화율(1/2), 확산율(4), 코드 다중수(2)가 취득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의 송신처의 전파 환경 정보로서, 지연 스프레드(300㎱), 도플러 주파수(100㎐)가 취득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B의 전송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16QAM), 부호화율(1/3), 확산율(4), 코드 다중수(1)가 취득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B의 송신처의 전파 환경 정보로서, 지연 스프레드(30㎱), 도플러 주파수(300㎐)가 취득된다. 또한, 각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량은 확산율과 코드 다중수와의 곱에 의해서 특정된다. 즉, 데이터 스트림 A는 확산율이 「4」인 확산 코드 2개분에 상당하는 데이터량을 갖고, 데이터 스트림 B는 확산율이 「4」인 확산 코드 1개분에 상당하는 데이터량을 갖는다.
그리고, 취득된 전송 파라미터 및 전파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소요 Eb/N0 특성을 선택한다(ST2020). 구체적으로는, 확산 다중 방법 결정부(202)에는, 복수의 소요 Eb/N0 특성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데이터 스트림 A, B에 대해서, 취득된 전송 파라미터 및 전파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소요 Eb/N0 특성을, 저장되어 있는 것 중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모든 다중 패턴을 열거한다. 또한, 다중 패턴마다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소요 Eb/N0을 추정한다(ST2030). 다중 패턴의 예는 도 7 및 도 8에 표시되어 있다. 도 7은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이 개별적으로 확산되지 않은 경우의 다중 패턴(ID#1, ID#2)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은 각 데이터 스트림의 각 신호 성분이 개별적으로 확산되는 경우의 다중 패턴(ID#3~ID#11)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각 다중 패턴에 대해서 추정된 소요 Eb/N0로부터, 합계의 소요 Eb/N0가 가장 작게 되는 다중 패턴을 선택한다(ST2040). 또는, 사용자로부터 피드백된 수신 SNR을 참조하여, 그 수신 SNR을 만족할 수 있는 다중 패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ID#4의 다중 패턴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 Ich 성분의 확산 방향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향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을 확산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확산 방향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향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을 확산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부호화율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확산 방향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향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을 확산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확산율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확산 방향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향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를 확산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송신처의 지연 스프레드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확산 방향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향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을 확산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송신처의 도플러 주파수에 근거하여 추정되 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확산 방향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향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을 확산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부호화율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확산율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송신처의 지연 스프레드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한다.
또한,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송신처의 도플러 주파수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데이터 스트림 A, B의 양쪽의 소요 Eb/N0에 따라서, 합성 신호의 Ich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합성 신호의 Qch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각 데이터 스트림 A, B의 각 신호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한다.
따라서, 서로 다중화하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의 상호 관계에 근거하여 최적의 확산 다중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 품질의 지표로서 소요 Eb/N0을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소요 Eb/N0 대신에 소요 ES/N0이더라도 무방하고, SNR(Signal to Noise Ratio)이더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도이다. 실시예 1, 2에서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무선 송신 장치로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100, 20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0) 또는 무선 통신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신호 중 데이터 스트림 A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의 무선 통신 장치(300)는 안테나(302), GI 제거부(304), FFT(Fast Fourier Transform)부(306), 채널 추정부(308), 제어 정보 취출부(310), IQ 분리부(312), 다중 분리부(314, 316), 역확산부(318, 320), IQ 변환부(322), IQ 합성부(324), 병렬/직렬 변환(P/S)부(326), 복조부(328), 역확산 방향 방법 결정부(330) 및 역확산 코드 생성기(332, 334)를 갖는다.
GI 제거부(304)는 무선 통신 장치(100)(또는, 무선 통신 장치(200))의 송신 신호를 안테나(302)를 거쳐서 수신하고, 수신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처리(다운컨버트, A/D 변환 등)를 실시하여, 무선 처리 후의 수신 신호의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GI를 제거한다. FFT부(306)는 GI 제거 후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FFT를 실행한다. 채널 추정부(308)는 FFT 후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고, FFT 후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서브캐리어(톤(Tone)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음)마다의 가중치 부여를 실시한다.
제어 정보 취출부(310)는 FFT 후의(본 실시예에서는, FFT 및 가중치 부여 후의) 수신 신호로부터 제어 정보를 취출한다. 수신 신호로부터 취출된 제어 정보는 역확산 방향 방법 결정부(330)에 출력된다.
추출 수단으로서의 IQ 분리부(312)는 제어 정보 취출 후의 수신 신호를 분리하여, 다중화된 Ich 확산 칩으로 이루어지는 Ich 다중 신호 또는 다중화된 Qch 확산 칩으로 이루어지는 Qch 다중 신호를 추출한다. Ich 다중 신호는 다중 분리부(314)로, Qch 다중 신호는 다중 분리부(316)로, 각각 출력된다.
역확산 방향 방법 결정부(330)는 제어 정보 취출부(310)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에 표시된 확산 방향 또는 확산 다중 방법을, 역확산 방향 또는 역확산 방법(즉, 역확산 방향 및 다중 분리 방법)으로서 결정하여, 다중 분리부(314, 316), 역확산 코드 생성기(332, 334) 및 IQ 변환부(322)에 통지한다.
다중 분리부(314)는 역확산 방향 방법 결정부(330)로부터 통지된 역확산 방향 또는 역확산 방법에 따라서, Ich 다중 신호에 대하여 다중 분리를 실시한다. 다중 분리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이 Ich 성분으로 치우친 상태로 2코드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Ich 다중 신호가 2개로 복사된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이 Ich 성분으로 치우친 상태로 4코드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Ich 다중 신호가 4개로 복사된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이 Qch 성분으로 치우친 상태로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Ich 다중 신호의 복사는 실행되지 않는다. 다중 분리가 실시된 Ich 다중 신호는 역확산부(318)에 출력된다.
다중 분리부(316)는 역확산 방향 방법 결정부(330)로부터 통지된 역확산 방향 또는 역확산 방법에 따라서, Qch 다중 신호에 대하여 다중 분리를 실시한다. 다중 분리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이 Qch 성분으로 치우친 상태로 2코드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Qch 다중 신호가 2개로 복사된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이 Qch 성분으로 치우친 상태로 4코드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Qch 다중 신호가 4개로 복사된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이 Ich 성분으로 치우친 상태로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Qch 다중 신호의 복사는 실행되지 않는다. 다중 분리가 실시된 Qch 다중 신호는 역확산부(320)에 출력된다.
역확산 코드 생성기(332)는 역확산 방향 방법 결정부(330)로부터 통지된 역확산 방향 또는 역확산 방법에 따라서, Ich 다중 신호를 구성하는 각 Ich 확산 칩의 확산 코드를 생성한다. 생성된 각 확산 코드는 역확산부(318)에 출력된다. 또한, 역확산 코드 생성기(334)는 역확산 방향 방법 결정부(330)로부터 통지된 역확산 방향 또는 역확산 방법에 따라서, Qch 다중 신호를 구성하는 각 Qch 확산 칩의 확산 코드를 생성한다. 생성된 각 확산 코드는 역확산부(320)에 출력된다.
역확산부(318)는 다중 분리부(314)에서 다중 분리가 실시된 Ich 다중 신호를, 역확산 코드 생성기(332)로부터 입력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이 Ich 성분으로 치우친 상태로 2코드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Ich 다중 신호의 한쪽을, 생성된 2개의 확산 코드의 한쪽으로 역확산하고, 다른쪽의 Ich 다중 신호를, 다른쪽의 확산 코드로 역확산한다. 역확산에 의해서 얻어진 각 Ich 성분은 IQ 변환부(322)에 출력된다.
역확산부(320)는 다중 분리부(316)에서 다중 분리가 실시된 Qch 다중 신호를, 역확산 코드 생성기(334)로부터 입력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한다. 예 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이 Qch 성분으로 치우친 상태로 2코드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Qch 다중 신호의 한쪽을, 생성된 2개의 확산 코드의 한쪽으로 역확산하고, 다른쪽의 Qch 다중 신호를, 다른쪽의 확산 코드로 역확산한다. 역확산에 의해서 얻어진 각 Qch 성분은 IQ 변환부(322)에 출력된다.
IQ 변환부(322)는 역확산 방향 방법 결정부(330)로부터 통지된 역확산 방향 또는 역확산 방법에 따라서, 역확산부(318)로부터 입력된 각 Ich 성분 또는 역확산부(320)로부터 입력된 각 Qch 성분에 대하여 IQ 변환을 실시한다.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100)(또는, 무선 통신 장치(200))에서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 중 Qch 성분이 Ich 성분으로 변환되어 있었던 경우, IQ 변환부(322)는 역확산부(318)로부터 입력된 Ich 성분 중 Qch 성분으로부터 변환되어 있었던 Ich 성분을, Qch 성분으로 변환한다. 이 변환은, 예를 들면, Ich 성분의 위상을 -90° 회전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00)(또는, 무선 통신 장치(200))에서 데이터 스트림 A의 신호 성분 중 Ich 성분이 Qch 성분으로 변환되어 있었던 경우, IQ 변환부(322)는 역확산부(320)로부터 입력된 Qch 성분 중 Ich 성분으로부터 변환되어 있었던 Qch 성분을, Ich 성분으로 변환한다. 이 변환은, 예를 들면, Qch 성분의 위상을 -90° 회전함으로써 실현된다. 각 Ich 성분 및 각 Qch 성분은 IQ 합성부(324)에 출력된다.
IQ 합성부(324)는 IQ 변환부(322)로부터 출력된 Ich 성분 및 Qch 성분을 합성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장치(100)(또는, 무선 통신 장치(200))의 변조부(102)에 의해서 생성된 각 변조 심볼을 구성하고 있었던 Ich 성분 및 Qch 성분의 조합이 추출되고, 추출된 조합마다 IQ 합성을 실행한다. 이 합성에 의해서 생성된 변조 심볼은 P/S부(326)에 출력된다.
P/S부(326)는 IQ 합성부(324)에 의해서 생성된 변조 심볼을 병렬/직렬 변환한다. 복조부(328)는 병렬/직렬 변환된 변조 심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 A를 복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 200)로부터 송신된 합성 신호, 즉, 다중 후의 Ich와 다중 후의 Qch가 서로 직교하도록 다중화된 데이터 스트림 A, B 중 데이터 스트림 A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은, 상기의 실시예 1~3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 실시예는 적절히 조합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더라도 무방하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무방하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4년 12월 3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4-351092호에 근거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은 확산된 데이터 스트림을 송수신하는 기지국 장치나 이동국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1 동상(同相) 성분 및 제 1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고, 또한, 상기 제 2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2 동상 성분 및 제 2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제 1 동상 성분을 제 3 직교 성분으로 변환하고, 또한, 상기 제 2 직교 성분을 제 4 동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1 다중 신호를 얻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2 다중 신호를 얻는 다중 수단과,
    상기 제 1 다중 신호 및 상기 제 2 다중 신호를 서로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얻는 합성 수단
    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단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을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 중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방향으로 확산하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을 주파수 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 중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 방향으로 확산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고,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고,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부호화율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고,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확산율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 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고,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송신처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송신처의 양쪽의 지연 스프레드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고,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송신처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송신처의 양쪽의 도플러 주파수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고,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을,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확산 방향으로 확산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부호화율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확산율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송신처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송신처의 양쪽의 지연 스프레드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송신처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송신처의 양쪽의 도플러 주파수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양쪽의 수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합성 신호의 직교 성분의 코드 다중수 및 상기 합성 신호의 동상 성분의 코드 다중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다중 수단은, 결정된 코드 다중수에 따라서,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다중화된 동상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신호와, 다중화된 직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다중화된 동상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다중 신호를 복수의 확산 코드로 역확산하는 역확산 수단과,
    역확산된 다중 신호를 구성하는 동상 성분 중, 직교 성분의 변환에 의해서 얻어져 있었던 제 1 동상 성분을 상기 직교 성분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직교 성분과, 상기 다중 신호를 구성하는 동상 성분 중 상기 제 1 동상 성분과 상이한 제 2 동상 성분을 합성하는 합성 수단
    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16. 다중화된 동상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신호와 다중화된 직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다중화된 직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다중 신호를 복수의 확산 코드로 역확산하는 역확산 수단과,
    역확산된 다중 신호를 구성하는 직교 성분 중, 동상 성분의 변환에 의해서 얻어져 있었던 제 1 직교 성분을 상기 동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동상 성분과, 상기 다중 신호를 구성하는 직교 성분 중 상기 제 1 직교 성분과 상이한 제 2 직교 성분을 합성하는 합성 수단
    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데이터 다중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1 동상 성분 및 제 1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고, 또한, 상기 제 2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제 2 동상 성분 및 제 2 직교 성분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제 1 동상 성분을 제 3 직교 성분으로 변환하고, 또한, 상기 제 2 직교 성분을 제 4 동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와,
    상기 제 1 직교 성분 및 상기 제 3 직교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1 다중 신호를 얻고, 또한, 상기 제 2 동상 성분 및 상기 제 4 동상 성분에 대하여 멀티 코드 다중을 실시하여 제 2 다중 신호를 얻는 다중 단계와,
    상기 제 1 다중 신호 및 상기 제 2 다중 신호를 서로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얻는 합성 단계
    를 갖는 데이터 다중 방법.
KR20077012394A 2004-12-03 2005-12-01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 Withdrawn KR200700911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1092 2004-12-03
JPJP-P-2004-00351092 2004-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128A true KR20070091128A (ko) 2007-09-07

Family

ID=3656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12394A Withdrawn KR20070091128A (ko) 2004-12-03 2005-12-01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17744B2 (ko)
EP (1) EP1818968A1 (ko)
JP (1) JP4571152B2 (ko)
KR (1) KR20070091128A (ko)
CN (1) CN101069258A (ko)
BR (1) BRPI0515803A (ko)
WO (1) WO2006059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2917B (zh) * 2006-08-31 2013-03-06 意法爱立信有限公司 用于接收空间分集的复用接收到的信号的通信接收机
EP2070217B1 (en) * 2006-09-26 2020-04-22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mulitplexing for data-non-associated control channel
KR101090911B1 (ko) * 2006-09-26 2011-12-08 노키아 코포레이션 업링크 제어 시그날링을 위한 시퀀스 변조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GB0619530D0 (en) 2006-10-03 2006-11-15 Nokia Corp Signalling
US8897394B1 (en) * 2008-04-08 2014-11-25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selecting a communications mode in high frequency systems
US9887754B2 (en) * 2010-05-04 2018-0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distribution between symbols
US9742639B1 (en) * 2013-08-20 2017-08-22 Cavirin Systems, Inc. Intelligent network resource discovery and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5059A (ja) * 1998-03-26 199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変速度伝送方法および可変速度伝送装置
JP3116923B2 (ja) * 1998-11-25 2000-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拡散変調回路
FR2805943B1 (fr) * 1999-09-14 2002-08-09 Inst Nat Sciences Appliq Procede d'egalisation dans des recepteurs utilisant une combinaison des techniques de modulations a porteuses multiples et a acces multiple par repartition de codes
WO2001069826A1 (en) * 2000-03-17 2001-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7158474B1 (en) * 2001-02-21 2007-01-02 At&T Corp. Interference suppressing OFDM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3628987B2 (ja) 2001-07-31 2005-03-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03046481A (ja) * 2001-07-31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EP1422853A4 (en) * 2001-08-30 2009-09-30 Ntt Docomo Inc RADIO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RANSMISSION ST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STATION APPARATUS, USED IN THIS RADIO TRANSMISSION SYSTEM
JP3727283B2 (ja) 2001-11-26 2005-1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JP2003304220A (ja) * 2001-11-26 2003-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US7123580B2 (en) * 2004-01-16 2006-10-17 Nokia Corporation Multiple user adaptive modulation scheme for MC-CD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71152B2 (ja) 2010-10-27
JPWO2006059680A1 (ja) 2008-06-05
EP1818968A1 (en) 2007-08-15
WO2006059680A1 (ja) 2006-06-08
US20090279527A1 (en) 2009-11-12
BRPI0515803A (pt) 2008-08-05
US7817744B2 (en) 2010-10-19
CN101069258A (zh)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3894B2 (en) Wireless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therein
US7468943B2 (en)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530844B1 (en) Hybri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nd method
CN101375524B (zh) 用于在高速分组数据系统的前向链路中支持多输入多输出技术的传送/接收设备和方法
RU2369970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информации некодированного канала в системе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с ортогональным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EP16788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JP4313925B2 (ja) マルチキャリア直接拡散送受信システム,マルチキャリア直接拡散送受信機,マルチキャリア直接拡散送信機及びマルチキャリア直接拡散受信機
CN100488184C (zh) 正交频分复用通信系统和方法
WO2007013560A1 (ja) マルチキャリア通信における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移動局装置、および、パイロット信号系列割当方法
US8300521B2 (en) Radio reception apparatus and radio reception method
JP398785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070091128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이터 다중 방법
JP2009005103A (ja)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信号拡散方法
HK1112120A (en) Hybri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