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4106A -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 Google Patents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106A
KR20080004106A KR1020060062635A KR20060062635A KR20080004106A KR 20080004106 A KR20080004106 A KR 20080004106A KR 1020060062635 A KR1020060062635 A KR 1020060062635A KR 20060062635 A KR20060062635 A KR 20060062635A KR 20080004106 A KR20080004106 A KR 20080004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lower body
brush
rock
clea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요찬
김정곤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106A/ko
Publication of KR2008000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10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하부체의 상부에 낙하하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는, 굴삭기(10)에서 상부체(10)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체(20)의 상부면에 접하여 상기 상부체(10)가 회전시 상기 하부체(20)의 상부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리도록 형성된 브러쉬(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작업중에 굴삭기 하부체의 상부면에 토사, 암반 등과 같은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굴삭기의 하부체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고, 구동부의 기능장애를 방지한다.
굴삭기, 하부체, 브러쉬, 청소, 회전

Description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 Excavator having brush }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굴삭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굴삭기 10 : 상부체
11 : 엔진룸 12 : 캐빈
13 : 붐 14 : 암
15 : 버켓 20 : 하부체
21 : 샤시 프레임 22 : 바퀴
23 : 선회베어링 30 : 브러쉬
101: 굴삭기 110 : 상부체
111 : 엔진룸 112 : 캐빈
113 : 붐 114 : 암
115 : 버켓 120 : 하부체
121 : 샤시 프레임 122 : 바퀴
123 : 선회베어링
본 발명은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굴삭기 하부체의 상부면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굴삭기(101)는 샤시 프레임(121)에 주행수단이 구비되어 주행을 담당하는 하부체(120)와, 상기 하부체(120)에 캐빈(112), 엔진 룸(111) 및 프런트를 포함하여 굴삭작업을 담당하는 상부체(110)로 이루어진다.
하부체(120)에는 샤시 프레임(121)에 바퀴(122) 또는 크롤러와 같은 주행 수단이 구비되고, 상부체(110)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캐빈(112)과,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룸(111)과, 토사, 암반을 굴삭하기 위해 붐(113), 암(114), 버켓(115)으로 이루어지는 프런트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101)에서는 작업도중 토사를 비롯한 이물질이 굴삭기 하부체(120)의 상부면에 낙하하여 퇴적됨으로써 굴삭기 하부체(120)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굴삭기(101)는 특성상 토사,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건축, 토목 공사 현장에서 주로 사용된다. 건축, 토목 공사현장에서 굴삭기를 이용하여 토사, 암반을 굴삭하거나, 굴삭한 토사, 암반을 적재시키는 데 사용되는데, 이 과정에서 버켓(115)에 수용된 토사, 암반 중 일부가 굴삭기(101)로 낙하한다. 낙하된 토사, 암반은 굴삭 기 하부체(120)의 상부면으로 낙하하여, 그 위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별도로 토사, 암반, 분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했다.
특히, 굴삭기 하부체(120)이 쌓인 토사, 잘게 분쇄된 암반, 분진 등의 이물질이 상부체(110)가 회전되도록 하는 샤시 프레임(121)의 선회 베어링(123) 등과 같은 각 구동부위에 유입됨으로써,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굴삭기의 작업중에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굴삭기의 하부체 상부면에 토사, 암반 등과 같은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는, 적어도 4개의 주행용 바퀴를 구비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에는 굴삭장치를 구비한 상부체를 포함하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체의 상부면에 접하여 상기 상부체가 회전시 상기 하부체의 상부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리도록 형성된 브러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하부체에 부착된 일측 또는 양측 바퀴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체 저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에서 굴삭장치가 구비된 상부체의 하부면에 브러쉬가 구비된다.
굴삭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장치가 구비되어 굴삭작업을 담당하는 상부체(10)와, 상기 상부체(10)가 회전가능도록 구비하고 적어도 4개이상의 주행용 바퀴(22)가 구비되어 주행을 담당하는 하부체(20)로 이루어진다. 상부체(10)는 굴삭기(1)의 상부를 구성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캐빈(12)과, 엔진을 수용한는 엔진 룸(11)과, 굴삭작업을 수행하는 붐(13), 암(14), 버켓(15)으로 이루어져 통상 '프런트'라 불리우는 굴삭장치가 구비된다. 하부체(20)는 샤시 프레임(21)에 바퀴(22) 또는 크롤러와 같은 주행수단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 상기 하부체(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체(10)가 구비된다.
상기의 굴삭기(1)에서 상부체(10)의 저면에 브러쉬(30)가 구비되도록 한다.
굴삭기(1) 상부체(10)의 저면에 브러쉬(30)를 구비하여, 브러쉬(30)의 상단에 굴삭기(1) 상부체(10)의 저면에 위치하고, 브러쉬(30)의 하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한다.
상기 브러쉬(30)는 상부체(10)의 반경방향을 따라 '一'자형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브러쉬(30)는 상부체(10)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브러 쉬(30)는 상부체(10)의 반경방향으로 구비되고, 브러쉬(30)의 하단이 하부체(2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하여, 회전에 의해서 하부체의 전면적에 분포하는 이물질은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체(10)의 회전시, 자동으로 하부체(20)의 상부면에 퇴적된 토사, 암반 등과 같은 이물질을 쓸어내어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30)는 교환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30)를 상부체(10)에 교환할 수 있도록 볼트를 이용하거나, 고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브러쉬(30)를 굴삭기(1)의 상부체(10)에 구비되도록 하면, 지속적인 사용으로 닳아버린 브러쉬(30)를 신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30)는 상부체(10)의 반경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브러쉬(30)는 상부체(10)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상부체(10)의 반경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30)는 하부체(20)에 구비된 바퀴(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굴삭기(1)에서 하부체(20)의 바퀴(22)가 위치한 부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토사, 분쇄된 암반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체(20)에 구비된 일측 또는 양측 바퀴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체(10) 저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즉, 굴삭기(1)에 구비된 바퀴(22)의 상방에 브러쉬(3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굴삭기(1)는 특성상, 토사, 암반 등에 노출된 환경에서 작업이 수행되므로, 작업중에 굴삭기(1) 하부체(20)의 상부면에는 토사, 암반 등이 퇴적된다. 특히, 굴삭기 하부체(20)는 그 위치가 버켓(15)의 작업영역보다 낮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작업중 버켓(15)에서 떨어진 토사, 암반 등이 쌓인다.
또, 굴삭기(1)가 작업중인 상태에서는 그 주기가 불규칙적이지만 굴삭기(1)의 상부체(10)는 간헐적으로 계속해서 회전한다.
상부체(10)가 회전하면, 상부체(10)의 저면에 구비된 브러쉬(30)도 상부체(10)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상부체(10)의 회전에 따라 브러쉬(30)가 회전하면, 상기 브러쉬(30)의 하단은 하부체(20)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브러쉬(30)의 하단이 굴삭기 하부체(20)의 상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 브러쉬(30)의 하단이 굴삭기 하부체(20)의 상부면을 쓸어내므로, 굴삭기 하부체(20)의 상부면에 토사, 암반 등이 퇴적되지 못하게 한다.
즉, 브러쉬(30)의 하단이 굴삭기(1)의 하부체(20)의 상부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므로, 굴삭기(1) 하부체(20)의 상부면으로 떨어진 토사, 분쇄된 암반은 퇴적되지 못하고 제거된다.
따라서, 별도의 토사, 암반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굴삭기 하부체(20)의 상부면에 토사, 암반과 같은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굴삭기 하부체(20)의 상부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굴삭기 하부체(20)에 토사, 암반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이물질들이 샤시 프레임(21)의 선회 베어링(23)과 같은 구동부로 유입되어 굴삭기(1)의 기능 장래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의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는 바람직하게는 휠타입의 굴삭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삭기는 주행방식에 따라 크게 휠 타입의 굴삭기와 크롤러 타입의 굴삭기로 나눌 수 있다.
크롤러 타입의 굴삭기에도 본 발명의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를 구비하여 굴삭기 하부체에 퇴적되는 토사, 암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러나, 크롤러 타입의 굴삭기에서는 통상적으로 상부체와 하부체의 간격이 넓어서, 브러쉬의 길이가 길어야하고, 상부체의 회전시 브러쉬의 하단과 트랙사이에 간섭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브러쉬의 하단이 트랙사이에 끼여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는 크롤러 타입의 굴삭기보다는 휠타입의 굴삭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에 따르면, 굴삭기 작업중에는 자동으로 굴삭기 하부체의 상부면에 토사, 암반 등과 같은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굴삭기의 하부체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굴삭기 하부체의 상부면에 토사, 암반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들 토사, 암반과 같은 이물질이 선회 베어링과 같은 구동부로 유입되어 고장 되는 현상은 미리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적어도 4개의 주행용 바퀴를 구비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에는 굴삭장치를 구비한 상부체를 포함하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0)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체(20)의 상부면에 접하여 상기 상부체(10)가 회전시 상기 하부체(20)의 상부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리도록 형성된 브러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30)는,
    상기 하부체(20)에 부착된 일측 또는 양측 바퀴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체(10) 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KR1020060062635A 2006-07-04 2006-07-04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Ceased KR20080004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635A KR20080004106A (ko) 2006-07-04 2006-07-04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635A KR20080004106A (ko) 2006-07-04 2006-07-04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106A true KR20080004106A (ko) 2008-01-09

Family

ID=3921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635A Ceased KR20080004106A (ko) 2006-07-04 2006-07-04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1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06A1 (ko) * 2017-03-16 2018-09-2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 기계 및 그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 모듈
KR102626351B1 (ko) * 2023-06-29 2024-01-17 최운만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06A1 (ko) * 2017-03-16 2018-09-2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 기계 및 그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 모듈
KR102626351B1 (ko) * 2023-06-29 2024-01-17 최운만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94199A (ja) 履帯式車両
JP2002308160A (ja) 装軌車両の泥落し装置
KR20080004106A (ko)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US11608600B2 (en) Working machine
JP6060446B2 (ja) 人工芝生清掃車
CN215800717U (zh) 道砟挖掘装置以及使用其的挖掘机和多功能维修机
JP6746548B2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2004217154A (ja) 装軌式車両の泥除け装置
JPH0522687U (ja) オーガスクリユーの排土装置
JP5185797B2 (ja) 地盤の掘削装置および掘削方法
CN109720428B (zh) 一种低耗节能型履带式单斗挖掘机
JP6657155B2 (ja) 建設機械
JP3246655B2 (ja) 構真柱ケレン機械
JP2500112B2 (ja) 地中連続壁継手の接合鋼板清掃装置
KR20090065567A (ko)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CN213233585U (zh) 一种多功能挖掘机推土结构
CN223373524U (zh) 一种筛分机
CN217369471U (zh) 一种公路工程路基路面施工用新型洗石除泥装置
KR102800731B1 (ko) 굴삭기 버켓
CN222766900U (zh) 一种挖掘机铲斗的清洁结构
JP2009107547A (ja) 建設機械
JP4247142B2 (ja) 作業機械
JP4031372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JPH11152795A (ja) 道路排水溝の清掃器具
JPH09144053A (ja) ショベルバケ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岩盤清掃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