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18587A -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필터 튜브 킷트 - Google Patents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필터 튜브 킷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587A
KR20080018587A KR1020060080930A KR20060080930A KR20080018587A KR 20080018587 A KR20080018587 A KR 20080018587A KR 1020060080930 A KR1020060080930 A KR 1020060080930A KR 20060080930 A KR20060080930 A KR 20060080930A KR 20080018587 A KR20080018587 A KR 20080018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lasmid dna
filter
kit
e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429B1 (ko
Inventor
박용원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코아바이오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아바이오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아바이오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4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42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sterilisation, filtration or dialysis means
    • C12M1/12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sterilisation, filtration or dialysis means with hollow fibres or tubular filter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미드 DNA 필터튜브 킷트(kit)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2)와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16)의 하단부에 용리 출구(20)가 중심축(21)에 대하여 외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용리 출구(20)는 필터 튜브 킷트(12,16,11)가 원심분리기에 경사지게 배치될 때 튜브 (13,16)들에서 용리 버퍼의 수면의 최저 위치와 같은 수평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필터 튜브를 정확히 배치할 수 있도록, 튜브(13,16)들의 용리 출구(20)들의 편심된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튜브 용기속에 DNA 결합용 튜브와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가 차례로 동심원적으로 삽입된 필터 튜브 킷트를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배치될 때의 경사 각도를 감안하여 각각의 튜브들의 용리 출구를 편심되게 형성함으로써, 원심분리후 DNA 결합용 튜브에서의 반응 용액의 잔류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여 DNA 수득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필터 튜브 킷트

Description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필터 튜브 킷트{PLASMID DNA FILTER TUBE KITS}
도 1은 종래의 필터 튜브 킷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필터 튜브 킷트의 조립된 상태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필터 튜브 킷트를 원심분리기에 배치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과 같이 배치된 상태의 필터 튜브 킷트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 튜브 킷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용리 출구가 편심된 필터 튜브 킷트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필터 튜브 킷트를 원심 분리기에 배치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필터 튜브 킷트의 필터들의 용리 출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으로서의 맞물림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필터 튜브킷트
11, 13, 16 : 튜브 12 : 필터
18 : 링부재 20 : 용리출구
본 발명은 플라스미드 정제를 위한 DNA 필터 튜브 킷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심분리 과정을 거친 다음 용리 버퍼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최종 플라스미드 수득율을 향상시키도록 개선한 DNA 필터 튜브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분석 및 조작을 위해 배양된 세포로부터 플라스미드 DNA(Plasmid DNA)를 분리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중 알칼라인 용해법(Alkaline lysis procedure)은 예를 들면, EDTA용액과 SDS용액과 같은 시약을 이용하여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세포의 외형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세포벽과 세포막을 제거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는 방식이며 통상적으로,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알카라인 용해법을 이용해 플라스미드 DNA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제안된 복수개의 필터튜브들을 결합한 필터튜브 킷트(1)를 사용한다. 이러한 필터튜브 킷트(1)의 예는 플라스미드 DNA가 함유된 상층액을 수용하여 반응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2)를 내부에 구비한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3), 상기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3)로부터 반응 찌꺼기가 제거되고 분리된 플라스미드 DNA가 함유된 상층액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플라스미드 DNA를 결합하기 위한 필터(4)를 내부에 구비한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5), 원심분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추출된 플라스미드 DNA를 수용하는 튜브(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5)의 필터(4)가 제공된 하부가 튜브(6)속에 끼워지고,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3)는 상기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5)속에 수용된다. 그리고,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3)와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5)의 저면에는 그 중심부에 배출구(7)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 킷트(1)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원심분리기의 회전부(8)에 환상으로 배열되게 형성된 수용부(9)에 배치되며, 이때 원심분리기의 작동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킷트의 튜브들내에 있는 처리용액들이 튜브의 외측부에 치우치게 되어 필터에 의한 필터링 작용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킷트(1)의 튜브는 상부가 회전부(8)의 중심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튜브 킷트를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경사지게 배치하더라도 용리 버퍼의 상면은 수평면을 이루므로 원심분리시 회전 중심에서 외측의 부분에 있는 용리 버퍼(A)는 튜브의 중앙에 위치한 용리 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튜브의 경사진 배치에 따라 일부 용리 버퍼(A)가 배출되지 못하고 튜브내에 잔류함에 따라 원심분리 과정후 용리 버퍼의 최초 체적 보다 최종 용리 버퍼의 체적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용리 버퍼의 체적 감소는 결국 플라스미드의 수득율의 감소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들어, 100ul의 농도로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 정제하기 위해서는 50ul의 용리 버퍼가 사용되며, 이때 얻어지는 최종 용리 버퍼는 통상적으로 45ul로 나타난 다. 즉, 5ul의 용리 버퍼는 각 필터의 중심에 위치한 용리 출구로부터 튜브내의 외측부에 잔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잔류 용리 버퍼는 원심분리에 의해서 용리되지 않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플라스미드 DNA의 분리 정제시 5 - 10%의 플라스미드 DNA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가 각각 내장된 복수개의 튜브들로 이루어진 종래 필터 튜브 킷트에 의한 원심분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용리 버퍼의 튜브내 잔류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여 원심분리 과정에서의 용리 버퍼 회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플라스미드 DNA 필터 튜브 킷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미드 DNA 필터 튜브 킷트는 플라스미드 DNA가 함유된 상층액을 수용하여 반응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를 내부에 구비한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 상기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로부터 반응 찌꺼기가 제거되고 분리된 플라스미드 DNA가 함유된 상층액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플라스미드 DNA를 결합하기 위한 필터를 내부에 구비한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 원심분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추출된 플라스미드 DNA를 수용하는 튜브 용기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DNA 추출용 필터튜브 킷트(kit)에 있어서,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와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의 하단부에 용리 출구가 중심축에 대하여 외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용리 출구는 필터 튜브 킷트가 원심분리기에 경사지게 배치될 때 튜브들에서 용리 버퍼의 수면의 최저 위치와 같은 수 평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필터 튜브를 정확히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들은 용리 출구들의 편심된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미드 DNA 필터튜브 킷트(10)의 분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뷰브 킷트(10)는 플라스미드 DNA 추출용에 대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지 플라스미드 DNA 추출용 필터튜브 킷트로서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필터와 필터튜브를 사용하여 원심분리 과정을 통하여 특정 성분을 용리시켜 추출하기 위한 필터 튜브 킷트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튜브 킷트(10)는 튜브 용기(11)내에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필터(12)가 내장된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가 동심원적으로 끼워져 조립됨과 함께, 그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에는 다시 반응 찌꺼기 제거용 필터(15)가 내장된 반응찌꺼기 제거용 튜브(16)가 동심원적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튜브(13,16)들에 내장되는 필터(12,15)들은 튜브의 하단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외측 테두리부분 위에 링부재(18)가 배치되어 필터들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2)와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16)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용리 출구(20)는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튜브(13,16)들의 중심축(21)에 대하여 외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튜브(13,16)들에 배치되는 필터(12)(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중심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용리 출구(20)는 필터의 경사진 상면의 연장선상에 위치시킨다.
이와같이, 상기 용리 출구(20)의 위치와 필터(12,15) 상면의 경사각도는 용리 출구와 필터들의 상면이, 튜브(13,16)들이 튜브 용기(11)에 끼워진 필터 튜브 킷트를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하부가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때 튜브 (13,16)들에서 용리 버퍼의 수면의 최저 위치와 같은 위치를 이루게 된다.
이로써, 튜브 킷트를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회전시킬 때 용리 버퍼는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내에서 잔류하지 않게 되므로 종래 용리액의 튜브내 잔류로 인한 플라스미드 DNA 수득율 저하의 문제가 해결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용리 출구 위치를 변경시켜 개선한 튜브 킷트는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배치할 때, 튜브(13,16)들은 그 용리 출구(20)들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축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튜브(13,16)들을 튜브 용기(11)내에 끼워 조립할 때 튜브(13,16)들의 용리 출구의 위치가 잘못되지 않게 간편하고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튜브 용기(11)와, 거기에 끼워지는 튜브(13,16)들의 상부에 표시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표시수단으로서,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의 회전중심과 반대쪽의 튜브 용기(11) 상단부 내측면에 요홈(21)을 형성함과 함께,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의 내측면에도 요홈(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의 외측면에도 튜브 용기(11)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홈(21)과 맞물리는 돌 기부(23)를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 내측에 끼워지는 찌꺼기 제거용 튜브(16)의 외측면에도 튜브(13)의 내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요홈(22)에 맞물리는 돌기부(24)를 형성한다.
또한, 가장 외측의 튜브 용기(11)에의 표시수단으로서는 튜브들의 용리 출구 위치를 나타내는 돌기부와 요홈의 맞물림 구조가 어느쪽에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외측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거나 상단부의 상면에 홈을 형성하거나 색상있는 테이프를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와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16) 및 튜브 용기(11)들의 맞물림 구조와 튜브 용기의 표시수단에 의하여 튜브 킷트를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배치할 때 튜브(13,16)들의 용리 출구가 정확히 반향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본 발명에 따라, 튜브 용기속에 DNA 결합용 튜브와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가 차례로 동심원적으로 삽입된 필터 튜브 킷트를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배치될 때의 경사 각도를 감안하여 각각의 튜브들의 용리 출구를 편심되게 형성함으로써, 원심분리후 DNA 결합용 튜브에서의 반응 용액의 잔류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여 DNA 수득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플라스미드 DNA가 함유된 상층액을 수용하여 반응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를 내부에 구비한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 상기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로부터 반응 찌꺼기가 제거되고 분리된 플라스미드 DNA가 함유된 상층액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플라스미드 DNA를 결합하기 위한 필터를 내부에 구비한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 원심분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추출된 플라스미드 DNA를 수용하는 튜브 용기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DNA 필터튜브 킷트(kit)에 있어서,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2)와 반응 찌꺼기 제거용 튜브(16)의 하단부에 용리 출구(20)가 중심축(21)에 대하여 외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용리 출구(20)는 필터 튜브 킷트(12,16,11)가 원심분리기에 경사지게 배치될 때 튜브 (13,16)들에서 용리 버퍼의 수면의 최저 위치와 같은 수평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미드 DNA 필터 튜브 킷트.
  2. 제 1항에 있어서,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필터 튜브를 정확히 배치할 수 있도록, 튜브(13,16)들의 용리 출구(20)들의 편심된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미드 DNA 필터 튜브 킷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필터 튜브 킷트가 원심분리기의 회전부에 배치될 때 회전부의 회전중심과 반대쪽의 튜브 용기(11) 상단부 내측면에 요홈(20) 을 형성함과 함께,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의 내측면에도 요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의 외측면에도 튜브 용기(11)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홈(20)과 맞물리는 돌기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미드 DNA 결합용 튜브(13) 내측에 끼워지는 찌꺼기 제거용 튜브(16)의 외측면에도 튜브(13)의 내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요홈(21)에 맞물리는 돌기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미드 DNA 필터 튜브 킷트.
KR1020060080930A 2006-08-25 2006-08-25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필터 튜브 킷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86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930A KR100861429B1 (ko) 2006-08-25 2006-08-25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필터 튜브 킷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930A KR100861429B1 (ko) 2006-08-25 2006-08-25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필터 튜브 킷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587A true KR20080018587A (ko) 2008-02-28
KR100861429B1 KR100861429B1 (ko) 2008-10-02

Family

ID=3938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9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1429B1 (ko) 2006-08-25 2006-08-25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필터 튜브 킷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4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48B1 (ko) * 2008-11-07 2011-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물조직의 실시간 유전자 추출 휴대장치 및 방법
WO2013004366A1 (en) * 2011-07-01 2013-01-10 Qiagen Gmbh Filter module in biomolecule isolation
US20150151294A1 (en) * 2012-05-21 2015-06-0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tainer For Multiple Particle/Layer Separations And Particle/Layer Separ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9595B2 (en) 2001-06-15 2007-06-12 Molecular Devices Corporation Filtration column devices and methods of filtering therewith
KR100555435B1 (ko) * 2003-04-02 2006-02-24 코아바이오시스템 주식회사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추출용 필터튜브 킷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48B1 (ko) * 2008-11-07 2011-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물조직의 실시간 유전자 추출 휴대장치 및 방법
WO2013004366A1 (en) * 2011-07-01 2013-01-10 Qiagen Gmbh Filter module in biomolecule isolation
US20150151294A1 (en) * 2012-05-21 2015-06-0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tainer For Multiple Particle/Layer Separations And Particle/Layer Separ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802194B2 (en) * 2012-05-21 2017-10-31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tainer for multiple particle/layer separations and particle/layer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429B1 (ko)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117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fluid from a fluid absorbing element
US7547272B2 (en) Blood components separator disk
KR100861429B1 (ko)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필터 튜브 킷트
CN101312788B (zh) 处理流体的方法和流体处理装置
CN101808708A (zh) 离心过滤器
EP1399727B1 (en) Filtration columns for different vessel sizes and use
AU2001272085A1 (en) Blood components separator disk
CA2500589A1 (en) Low volume filtration column devices and methods of filtering therewith
AU2022203037B2 (en) Centrifugal separator
CN101653668A (zh) 间歇式固液分离装置
JP2014030397A (ja) 多孔質フィルターカラム、試薬カートリッジ、および核酸精製キット
US20020093147A1 (en) Well plate seal
KR102279491B1 (ko) 필터 카트리지의 덮개
KR100555435B1 (ko) 플라스미드 디엔에이 추출용 필터튜브 킷트
KR101481539B1 (ko) 원심분리키트
US12434173B2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uch a filter device
CN201175872Y (zh) 研磨抛光用磨粒流循环系统外置式专用搅拌分离器
KR102482029B1 (ko) 멤브레인 원심분리 농축기
US20240382869A1 (en) Spin column
KR100890316B1 (ko) 원심분리 튜브
KR20120131291A (ko) 원심분리기용 튜브
US5149428A (en) Water filter with extended operational period
WO2024227129A1 (en) Separation basket
KR20230011118A (ko)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50064916A (ko) 필터 하우징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9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926